KR20130004588U - 건축용 가설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용 가설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588U
KR20130004588U KR2020120000433U KR20120000433U KR20130004588U KR 20130004588 U KR20130004588 U KR 20130004588U KR 2020120000433 U KR2020120000433 U KR 2020120000433U KR 20120000433 U KR20120000433 U KR 20120000433U KR 20130004588 U KR20130004588 U KR 201300045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nnector
cover plate
connecting fram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20000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588U/ko
Publication of KR20130004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2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devices to avoid accidental disengag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s, e.g.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둘레부에 상하로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공(21)이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들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결하며 양단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연결프레임(30); 상기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을 커버하는 커버판(41)과, 이 커버판(41)의 전면에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음각 성형된 지지홈(42)과, 상기 커버판(41)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43)를 포함하는 연결구(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40)의 끼움돌기(43)가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될 때, 포스트(10)의 외주면이 연결구(40)의 지지홈(42)에 밀착됨으로써, 연결프레임(30)이 포스트(10)의 측방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가설구조물{A temporary structure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가설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큰 중량의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넓은 구조물의 보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좀 더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하도록 고안된 건축용 가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은 거푸집을 형성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건물의 천장이나 터널 등과 같이 지면 등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거푸집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지지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는 도시안된 거푸집의 높이를 고려하여 원형의 수직파이프(1)와 수평파이프(2)를 서로 적절하게 결합하여 제작된다. 이때, 상기 수직파이프(1)에는 원판 형상이며 중앙에 수직파이프(1)가 관통되는 결합부재(3)가 구비되는데, 이 결합부재(3)에는 복수의 끼움공(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파이프(2)의 양단부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을 형성하여 결합핀(5)을 용접하는데, 이 결합핀(5)은 좌우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판 형상이며 하단으로 갈수록 전후폭이 좁아지는 쇄기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전면(6)이 수직파이프(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미설명 2b는 다른 수직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단관이고, 2a는 상기 단관을 수평파이프(2)에 고정시키는 브래킷이다.
그런데, 상기 결합핀(5)의 하단이 결합부재(3)의 끼움공(4)에 삽입될 때, 도 2에서와 같이, 수직파이프(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결합핀(5)의 전면(6)의 좌우폭이 상당히 작게 형성되어 수직파이프(1)와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는 결합핀(5)이 수직파이프(1)와 밀착되는 면적이 작으므로, 결합핀(5)의 전면(6)이 수직파이프(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결합핀(5)이 수직파이프(1)를 중심으로 측방으로 슬립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파이프(2)가 수직파이프(1)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콘크리트타설 등의 시공상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핀(5)이 수평파이프(2)의 단부면 중앙에 수평파이프(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되므로, 결합핀(5)이 슬립됨에 따라 수평파이프(2)의 절개홈부위가 결합핀(5)에 의해 가압되어 형상이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5500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되어 큰 중량의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넓은 구조물의 보 거푸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건축물의 정밀시공성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복수개의 수평 프레임을 하나의 포스트에 서로 간섭되지 않게 좀 더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설치작업이 편리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수평 프레임이 포스트와의 연결부위의 하중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둘레부에 상하로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공(21)이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들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결하며 양단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연결프레임(30);
상기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을 커버하는 커버판(41)과, 이 커버판(41)의 전면에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음각 성형된 지지홈(42)과, 상기 커버판(41)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43)를 포함하는 연결구(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40)의 끼움돌기(43)가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될 때, 포스트(10)의 외주면이 연결구(40)의 지지홈(42)에 밀착됨으로써, 연결프레임(30)이 포스트(10)의 측방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40)의 지지홈(42)의 양측부에는 하측부가 상측부에 비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절개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40)의 커버판(41)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보강돌기(45)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보강돌기(45)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개의 둘레부에 끼움공(21)이 상하로 형성된 포스트(10)를 수평이나 경사지게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에 전면에 포스트(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홈(42)이 음각 성형되고 하단에는 상기 끼움공(2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3)가 형성된 커버판(41)으로 이루어진 연결구(40)를 결합시킨 가설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연결구(40)의 끼움돌기(43)가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끼워질 때 포스트(10)의 외주면이 지지홈(42)에 밀착 지지되므로, 연결프레임(30)이 포스트(10)에 대해 좌우측방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설구조물이 구조적으로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7)에 콘크리트(8)를 타설하여 수평방향으로 면적이 넓고 중량이 큰 콘크리트(8) 구조물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시공정밀성이 우수해지고 시공상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구(40)의 커버판(41)이 연결프레임(30)의 단부면과 직교된 상태로 커버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연결구(40)에 가해지는 하중 등에 의해 연결프레임(30)이 연결구(40)에 의해 뒤틀리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40)의 지지홈(42)의 양측부에는 하측부가 상측부에 비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절개부(44)를 형성함으로써, 연결프레임(30)이 연결된 포스트(10)에 상기 연결프레임(30)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보강재(50)를 연결할 때 상기 보강재(50)의 단부가 상기 연결구(40)의 절개부(44)로 삽입되어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여러 방향에서 복수개의 보강재(5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구조적으로도 더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40)의 커버판(41)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된 보강돌기(45)를 구비하고, 연결프레임(30)에 보강돌기(45)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을 형성하여, 연결구(40)가 연결프레임(3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4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외부압력 등에 의해 연결구(40)가 연결프레임(30)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면서 연결프레임(30)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가설구조물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구조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가설구조물은 둘레부에 복수개의 끼움공(21)이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10)와, 이 포스트(10)들을 연결하며 양단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연결프레임(30)과, 이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43)를 포함하는 연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10)는 단면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바닥면으로부터 직립설치되어 상단에 구비된 거푸집(7)이나 작업발판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포스트(10)의 하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쟈키(8)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거푸집(7)을 이루는 빔을 지지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헤드(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10)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끼움공(21)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10)와는 별체인 결합부재(20)에 상기 끼움공(21)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결합부재(20)는 판 형상이며 중앙에 포스트(10)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상하로 형성되고, 관통공의 둘레부에는 역시 상하로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공(21)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 결합부재(20)는 포스트(10)의 소정위치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결합부재(20)가 포스트(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상하로 긴 직사각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포스트(10)를 수평 또는 경사진 형태로 연결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프레임(30)의 둘레부에는 단관(31)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매입되어, 거푸집(7)의 설치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단관(31)에 길이가 짧은 다른 포스트(10a)를 설치하여 거푸집(7)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30)의 양단부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양단부의 하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삽입홈(32)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서, 한 쌍의 포스트(10)의 하측부는 보강재(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40)는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을 커버하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판(41)과, 이 커버판(41)의 전면에 형성된 지지홈(42)과, 커버판(41)의 하단에서 하향된 끼움돌기(43)와, 커버판(41)의 후면에 형성된 보강돌기(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판(41)은 전후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후면 또는 측면이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판(41)의 후면 중간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보강돌기(45)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끼움돌기(43)는 상기 보강돌기(45)와 커버판(4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40)의 보강돌기(45)가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2)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지지홈(42)은 커버판(41)의 전면에 음각 성형되며, 이 지지홈(42)의 단면은 포스트(10)의 외주면과 밀착(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단면인 포스트(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30)에 구비된 연결구(40)의 끼움돌기(43)가 포스트(10)의 결합부재(20)의 끼움공(21)에 삽입될 때, 포스트(10)가 연결구(40)의 지지홈(42)에 밀착되므로 연결프레임(30)이 포스트(10)에 대해 좌우측방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되어, 포스트(10)와 연결프레임(30)의 결합구조가 구조적으로 견고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포스트(10)의 상측에 구비된 거푸집이나 작업자가 밟고 있는 작업발판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42)의 양측부에는 하측부가 상측부에 비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절개부(4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30)에 구비된 연결구(40)의 끼움돌기(43)가 포스트(10)의 결합부재(20)의 일측 끼움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20)의 인접된 끼움공(21)에 상기 연결프레임(30)과 직교되도록 파이프 형상의 보강재(50)를 연결할 때, 도 7에서와 같이, 보강재(50) 단부면의 측부가 상기 연결프레임(30)에 구비된 연결구(40)의 절개부(44)에 위치되므로, 보강재(50)가 연결프레임(30)의 연결구(40)와 간섭되지 않아서 여러 방향으로 보강재(50)를 연결함에 따라 완성된 가설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좀 더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이점쇄선은 연결구(40)의 지지홈(42) 상측의 양측부를 나타낸다. 한편, 미설명 부호 51은 보강재(50)의 단부에 결합된 결합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설구조물의 연결프레임(30)이 포스트(10)에 결합되어 측방으로 슬립되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거푸집(7)에 콘크리트(8)를 타설하여 형성된 수평방향으로 면적이 넓고 중량이 큰 콘크리트구조물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프레임(30)이 직사각의 파이프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40)의 커버판(41)도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 3에서는 건물의 천장 슬래브를 시공할 때의 거푸집(7)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터널이나 교량 등 다양한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스트(10)의 상단에 작업발판을 연결하여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작업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둘레부에 상하로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공(21)이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들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결하며 양단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연결프레임(30);
    상기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면을 커버하는 커버판(41)과, 이 커버판(41)의 전면에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음각 성형된 지지홈(42)과, 상기 커버판(41)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43)를 포함하는 연결구(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40)의 끼움돌기(43)가 포스트(10)의 끼움공(21)에 삽입될 때, 포스트(10)의 외주면이 연결구(40)의 지지홈(42)에 밀착됨으로써, 연결프레임(30)이 포스트(10)의 측방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0)의 지지홈(42)의 양측부에는 하측부가 상측부에 비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의 절개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0)의 커버판(41)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보강돌기(45)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의 개방된 단부에는 상기 보강돌기(45)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구조물.
KR2020120000433U 2012-01-17 2012-01-17 건축용 가설구조물 KR201300045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33U KR20130004588U (ko) 2012-01-17 2012-01-17 건축용 가설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33U KR20130004588U (ko) 2012-01-17 2012-01-17 건축용 가설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88U true KR20130004588U (ko) 2013-07-25

Family

ID=5135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433U KR20130004588U (ko) 2012-01-17 2012-01-17 건축용 가설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58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717A (ko) 2014-08-12 2016-02-22 (주)미래엔지니어링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CN111576611A (zh) * 2020-06-04 2020-08-25 九江职业技术学院 装配式建筑支撑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717A (ko) 2014-08-12 2016-02-22 (주)미래엔지니어링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CN111576611A (zh) * 2020-06-04 2020-08-25 九江职业技术学院 装配式建筑支撑座
CN111576611B (zh) * 2020-06-04 2021-11-26 九江职业技术学院 装配式建筑支撑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200475119Y1 (ko) 시스템비계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JP5965544B2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10077744A (ko) 이종재질 거푸집간의 연결고정장치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KR101895448B1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고정구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US20160060885A1 (en) Support bracket and method for temporary guard railing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KR200397218Y1 (ko) 거푸집의 스라브 설치용 양생 버팀재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JP3862707B2 (ja) 高架橋の張出スラブの構築方法および張出スラブ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086219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KR20060000012U (ko) 쐐기가 불필요한 비타격식 핸드레일 취부용 러그
KR101101741B1 (ko) 기둥-보 분리타설용 코너 막음 유닛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