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313Y1 -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313Y1
KR200476313Y1 KR2020140006898U KR20140006898U KR200476313Y1 KR 200476313 Y1 KR200476313 Y1 KR 200476313Y1 KR 2020140006898 U KR2020140006898 U KR 2020140006898U KR 20140006898 U KR20140006898 U KR 20140006898U KR 200476313 Y1 KR200476313 Y1 KR 200476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support
corner block
protrusion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윤석
Original Assignee
채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윤석 filed Critical 채윤석
Priority to KR2020140006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3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수평으로 구축되어 구조물을 이루도록 가설되는 지지프레임 중 수직되는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부착된 받침부에 저부가 안착고정되게 설치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마련하도록 구조물의 코너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각각 안착되고, 상호 일단부는 지지프레임이 위치한 각도에 맞추어 각도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업발판의 코너측의 연결을 보강하는 코너 가설재가 작업발판과 함께 설치된 작업발판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 가설재는, 제1코너블럭 및 제2코너블럭을 나누어지며, 상기 제1코너블럭은,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1레일턱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돌출형성된 제1슬라이드관체와, 상기 제1슬라이드관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레일턱 내에 안내되는 제1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돌출턱의 일단측에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제1받침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코너블럭은,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2레일턱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돌출 형성된 제2슬라이드관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관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2레일턱내에 안내되는 제2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측에 제1슬라이드관체의 단부측을 수용하는 포크부 및 포크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되는 받침턱이 형성된 제2받침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구조물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중 수직되는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코너 가설재인 제1코너블럭과 제2코너블럭의 단부측을 가연결한 상태로 받침부에 고정하고, 작업발판은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와 코너 가설재측의 지지편에 상부가 들뜨지 않게 받침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코너 가설재로 하여금 기존 작업발판의 폭을 확장하여 발판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한편, 작업자의 발이 코너 가설재를 구성하는 돌출턱 및 레일턱에 걸려 지지프레임과 벽체 사이의 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체, 건물 등의 고소작업시 구축되는 구조물(비계)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work scaffold using corner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
본 고안은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고소작업시 가설되는 작업발판에 있어, 벽면에 근접 설치된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 지지되는 코너 가설재로서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받쳐지는 작업발판의 코너부분을 더욱 안정된 상태로 보강하여 작업발판을 받치도록 함은 물론, 코너각도에 맞추어 작업발판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구조물의 코너측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자의 발이 작업발판으로 가장자리로 벗어나 빠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의 고소작업은 선박의 선창이나 각종 건축의 내외부측 공사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고소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부재(족장, 기둥, 보, 사다리, 핸드레일 등)를 작업대상이 되는 선체의 내,외측에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단층 혹은 다층으로 가설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시켜 준다.
통상 대형 선박의 선체 특정부위에 대한 간단한 작업은 고소차의 붐대 종단에 마련된 바스켓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공간까지 이동하여 간단한 보수, 점검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지만, 시일이 요구되는 작업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 내에 고소작업용 구조물인 비계를 가설하여 각종 작업(용접, 도색, 보수작업 등)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가설되는 구조물은 다층으로 구축하기 위해 환봉형으로 된 지지프레임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고정하여 구조물을 구축한 다음,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에 대해 작업발판을 가설한다.
즉, 작업발판은 '족장'이라고도 불리며, 대체로 금속판재를 직사각형 판체로 절곡하고 그 양측에는 연결부를 두어 작업공간에 따라 연속 작업발판을 이음부재로서 연장시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발판을 발로 딪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조물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작업발판의 일단측은 45로 각도로 형성시켜 상호 직각으로 이웃하는 또 하나의 작업발판과 그 경사진 면이 맞대어져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발판과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016465호(명칭: 공사건물의 모서리용 안전발판)가 선행기술로 개시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안전발판의 일측단에 경첩에 의해 회동연결 이음되어지는 이음발판이 구비되며, 이 이음발판의 선단에는 일정길이의 이음판이 형성되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이음발판은 모서리부분을 연결 이음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경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틈새없이 회동연결이음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이음발판 선단에는 이음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음판은 모서리부분에 이미 설치시공된 안전발판에 회동연결 이음시 안전발판의 상부에 안착지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안전발판과 결합된 이음발판의 회동결합수단으로서 힌지축을 구비한 경첩이 구비되었으나, 이는 경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음발판이 회동연결이음될 수 있는 구조로서, 이음발판이 안전발판에 슬라이드 삽입 개폐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안전발판 일측면 부위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여 핀으로서 이음발판을 회동연결 이음될 수 있는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조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사건물의 모서리부분의 안전발판은 건물외벽을 따라 작업이동통로를 구성하여, 지지프레임에 설치하여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시공된 모서리부분의 안전발판은 약간의 틈새가 있게 설치되며, 작업자는 완벽한 작업이동통로를 구현하기 위해 이음발판을 회동시킴으로써, 선단에 형성된 이음판은 이미 설치된 타측의 안전발판에 안착되어 틈새를 없애게 하여 작업 이동통로를 확보하게 되어 공사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작업자는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안전발판은 대부분 건물의 외벽 혹은 내벽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받쳐진 형태는, 지지프레임의 받침부를 가로지르게 얹혀지게 되는데, 여기서 안전발판의 가장자리는 작업자가 이동하는 도중 발이 미끄러져 안전발판과 지지프레임이 접하는 지지프레임의 외측 공간 쪽으로 얘기치 못하게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가 잦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발이 빠지는 구간은 안전발판이 설치된 코너부분에서이동 또는 작업중에도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각종 고소작업시 가설되는 작업발판에 있어, 벽면에 근접 설치된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 지지되는 코너 가설재로서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받쳐지는 작업발판의 코너부분을 더욱 안정된 상태로 보강하여 작업발판을 받치도록 함은 물론, 코너측 각도에 맞추어 작업발판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구조물의 코너측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자의 발이 작업발판으로 가장자리로 벗어나 빠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코너측 작업발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 수평으로 구축되어 구조물을 이루도록 가설되는 지지프레임 중 수직되는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부착된 받침부에 저부가 안착고정되게 설치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마련하도록 구조물의 코너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각각 안착되고, 상호 일단부는 지지프레임이 위치한 각도에 맞추어 각도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업발판의 코너측의 연결을 보강하는 코너 가설재가 작업발판과 함께 설치된 작업발판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 가설재는,
제1코너블럭 및 제2코너블럭을 나누어지며, 상기 제1코너블럭은,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1레일턱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돌출형성된 제1슬라이드관체와, 상기 제1슬라이드관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레일턱 내에 안내되는 제1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돌출턱의 일단측에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제1받침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코너블럭은,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2레일턱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돌출 형성된 제2슬라이드관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관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2레일턱내에 안내되는 제2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측에 제1슬라이드관체의 단부측을 수용하는 포크부 및 포크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안착되는 받침턱이 형성된 제2받침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걸림턱은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는, 구조물(비계)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중 수직되는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에 코너 가설재인 제1코너블럭과 제2코너블럭의 단부측을 가연결한 상태로 받침부에 고정하고, 작업발판은 지지프레임의 받침부와 코너 가설재측의 지지편에 상부가 들뜨지 않게 받침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코너 가설재로 하여금 기존 작업발판의 폭을 확장하여 발판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한편, 작업자의 발이 코너 가설재를 구성하는 돌출턱 및 레일턱에 걸려 지지프레임과 벽체 사이의 공간으로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체, 건물 등의 고소작업시 구축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코너 가설재가 적용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코너블럭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코너블럭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가설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다른 코너가설재에 작업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코너 가설재 및 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직, 수평으로 구축되어 구조물을 이루도록 가설되는 지지프레임(10) 중 수직되는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부착된 받침부(12)에 저부가 안착고정되게 설치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마련하도록 구조물의 코너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각각 안착되고, 상호 일단부는 지지프레임(10)이 위치한 각도에 맞추어 각도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업발판(20)의 코너측의 연결을 보강하는 코너 가설재(100)가 작업발판(20)과 함께 설치된 작업발판(2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삭제
상기 코너 가설재(100)는 부식이 없는 압출 알루미늄 강재를 바탕으로 제작되며, 이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제1코너블럭(110) 및 제2코너블럭(120)을 나누어 구성된다.
상기 제1코너블럭(110)은,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1레일턱(112a)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112b)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20)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112c)이 돌출형성된 제1슬라이드관체(112)와, 상기 제1슬라이드관체(112)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레일턱(112a) 내에 안내되는 제1돌출턱(114a)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돌출턱(114a)의 일단측에는 이탈방지턱(114b)이 형성된 제1받침체(114)로 구성된다.
상기 제2코너블럭(120)은,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2레일턱(122a)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122b)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20)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122c)이 돌출 형성된 제2슬라이드관체(122)와, 상기 제2슬라이드관체(122)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2레일턱(122a)내에 안내되는 제2돌출턱(124a)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측에 제1슬라이드관체(112)의 단부측을 수용하는 포크부(124b) 및 포크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되는 받침턱(124c)이 형성된 제2받침체(1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레일턱(112a), 제2레일턱(122a), 제1돌출턱(114a), 제2돌출턱(124a)은 각 제1코너블럭(110), 제2코너블럭(120)의 길이방향을 신장하거나 줄여서 사용하는 목적과 함께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발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턱(112b, 122b)은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또는 도면에서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걸림턱은 받침부의 폭 양측을 끼워 안착 지지할 수 있는 포크타입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1코너블럭(110)을 구성하는 제1받침체(114) 및 제2코너블럭(120)을 구성함에 있어, 제2받침체(124)의 받침턱(124c)과 제2슬라이드관체(122)의 저부측에 마련된 걸림턱(122b)은 모두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수평으로 안착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받침체의 걸림턱과 제2받침체의 걸림턱 높이는 작업발판의 두께와 맞추어 형성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가능하게 관으로 높이조절나사로 받침부의 높이를 위치 조정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코너 가설재의 설치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 수직으로 지지프레임(10)이 연결되어 구조물을 가설 구축함에 있어, 수직되어 작업발판(2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측의 받침부(12)에 본 고안인 코너 가설재(100)를 안착시켜 가설한다.
상기 코너 가설재(100)를 구성하는 제1코너블럭(110) 및 제2코너블럭(120)은 선체, 건물의 내측 모퉁이가 되는 지점의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하되, 제1코너블럭(110)의 단부측과 제2코너블럭(120)의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제1코너블럭(110)에 대해 제2코너블럭(120)의 단부측인 포크부(124b)를 삽입한 포크부(124b)의 하부측 받침턱(124c)은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코너블럭(110)의 제1슬라이드관체(112)의 단부에 위치된 제1받침체(114)의 일측을 제2코너블럭(120)의 제2받침체(124)의 단부측 포크부(124b)로서 삽입하고, 이때 코너측 지지프레임(10)이 위치한 동일방향에 위치된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에는 제1코너불럭(110)의 제1받침체(114)에 대해 상기 제1슬라이드관체(112)를 이동시켜 상기 제1슬라이드관체(112) 저부측 걸림턱(112b)을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시켜 준다.
상기 포크부(124b)는 제1받침체(114)의 제2돌출턱(114a) 및 이탈방지턱(114b)에 단부측이 걸리는 범위에서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코너블럭(110)에 대한 제2코너블럭(120)을 직각 즉, 선체 내의 코너가 직각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는 상기 포크부(124b)를 제1받침체(114)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이탈방지턱(114b)으로부터 포크부(122b)가 완전히 벗어나지 않는 정도의 각도로서 제2코너블럭(120)의 각도를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측 지지프레임(10)이 위치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1코너블럭(110)에 대해 제2코너블럭(120)의 각도가 벌어지는 형태로 조정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제1코너블럭과 제2코너블럭을 지지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코너측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지지프레임이 위치한 거리에 맞추어 상기 제1코너블럭과 제2코너블럭의 길이를 임으로 신장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받쳐지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코너 가설재(100)는 지지프레임(10)에 대해 그 연결부분을 안정된 상태로 연결한 다음, 이후 작업발판(20)을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와 코너 가설재(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 설치하는 작업발판에 비하여 안정된 작업 이동통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코너블럭(120)의 제2슬라이드관체(122)에 대해 제2받침체(124)를 슬라이딩시켜 주며, 여기서 제2슬라이딩관체(122)의 슬라이딩시키는 길이는 포크부(124b)측을 받치는 지지프레임(10)과 이격 설치된 또 하나의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까지 저부에 마련된 걸림턱(122b)을 이동시켜 받쳐주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받쳐진 제2코너블럭(120)은 제2슬라이관체(122)의 받침턱(124c)과 상기 걸림턱(122b)이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받쳐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코너블럭(110) 및 제2코너블럭(120)의 길이연장은, 제1돌출턱(114a), 제2돌출턱(124a)이 제1레일턱(112a), 제2레일턱(122a)을 기준으로 슬라이딩시켜 그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구조물의 구축시 고정된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맞게 안착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설된 코너 가설재(100)에 대해 각각 작업발판(20)을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시키되, 그 상부는 제1코너블럭(110)의 제1슬라이드관체(112) 및 제2코너블럭(120)의 제2슬라이딩관체(122)측의 지지편(112c, 122c)에 의해 작업발판(20)의 상부 일측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지지편(112c,122c)은 작업발판(20)이 상향 들뜨는 현상을 방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대해 작업발판(20)을 더욱 안정된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발판(20)의 상면 가장자리는 제1코너블럭(110)과 제2코너블럭(120)에 의해 작업자가 발을 딪고 지나다닐 수 있는 통로를 넓게 확보해 주어 안정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턱(114a), 제2돌출턱(124a), 제1레일턱(112a), 제2레일턱(122a)은 수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이유에서 작업자의 발이 외측 즉, 지지프레임(10)이 설치된 선체 혹은 건물의 내벽 측과의 공간 사이로 빠지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코너 가설재(100)의 적용 설치시 작업발판(20)의 폭을 확장하는 효과로서 안전성을 더 기여해줄 수 있게 되며, 더불어 특히 코너부분에서의 작업시 작업자의 발이 빠지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구조물(비계)에 대한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해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 12 : 받침부
20: 작업발판 100: 코너 가설재
110: 제1코너블럭 112: 제1슬라이드관체
114: 제1받침체 112a: 제1레일턱
114a: 제1돌출턱 114b: 이탈방지턱
112b,122b: 걸림턱 112c, 122c: 지지편
120: 제2코너블럭 122: 제2슬라이드관체
122a: 제2레일턱 122c: 받침턱
124: 제2받침체 124a: 제2돌출턱
124b: 포크부

Claims (3)

  1. 수직, 수평으로 구축되어 구조물을 이루도록 가설되는 지지프레임(10) 중 수직되는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부착된 받침부(12)에 저부가 안착고정되게 설치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마련하도록 구조물의 코너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각각 안착되고, 상호 일단부는 지지프레임(10)이 위치한 각도에 맞추어 각도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업발판(20)의 코너측의 연결을 보강하는 코너 가설재(100)가 작업발판(20)과 함께 설치된 작업발판(2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 가설재(100)는 제1코너블럭(110) 및 제2코너블럭(120)을 나누어지며, 상기 제1코너블럭(110)은,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1레일턱(112a)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112b)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20)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112c)이 돌출형성된 제1슬라이드관체(112)와, 상기 제1슬라이드관체(112)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레일턱(112a) 내에 안내되는 제1돌출턱(114a)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돌출턱(114a)의 일단측에는 이탈방지턱(114b)이 형성된 제1받침체(114)로 구성되며,
    상기 제2코너블럭(120)은, 사각형의 관체로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 제2레일턱(122a)이 마련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 지지되는 걸림턱(122b)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작업발판(20)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122c)이 돌출 형성된 제2슬라이드관체(122)와, 상기 제2슬라이드관체(122)의 내측에 수용되는 사각형의 관체로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2레일턱(122a)내에 안내되는 제2돌출턱(124a)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측에 제1슬라이드관체(112)의 단부측을 수용하는 포크부(124b) 및 포크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안착되는 받침턱(124c)이 형성된 제2받침체(1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2b, 122b)은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받침부(12)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KR2020140006898U 2014-09-22 2014-09-22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KR200476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98U KR200476313Y1 (ko) 2014-09-22 2014-09-22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98U KR200476313Y1 (ko) 2014-09-22 2014-09-22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313Y1 true KR200476313Y1 (ko) 2015-02-16

Family

ID=5259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98U KR200476313Y1 (ko) 2014-09-22 2014-09-22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3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2529A (zh) * 2020-04-16 2020-07-31 唐镜宸 一种节能环保的建筑房建用高空施工平台
KR20220048118A (ko) * 2020-10-12 2022-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636U (ko) * 1989-08-28 1991-04-17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636U (ko) * 1989-08-28 1991-04-17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2529A (zh) * 2020-04-16 2020-07-31 唐镜宸 一种节能环保的建筑房建用高空施工平台
CN111472529B (zh) * 2020-04-16 2021-08-13 安徽峻屹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建筑房建用高空施工平台
KR20220048118A (ko) * 2020-10-12 2022-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452414B1 (ko) * 2020-10-12 2022-10-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94B2 (ja) レールガイド式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KR200391348Y1 (ko) 슬라이드식 안전발판
US4372425A (en) Auxiliary scaffolding attachment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5422075B1 (ja)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US10604951B2 (en) Support member for joinable scaffolding planks
KR20180111720A (ko)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JP2013076315A (ja) クサビ用枠付クランプ
KR200476313Y1 (ko)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US11761217B2 (en) Scaffold gate toeboard assembly for use on a scaffold gate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AU2010100013A4 (en) Temporary edge protection for scaffolding
KR102118725B1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AU2012200673B2 (en) Barrier
JP5357456B2 (ja) 先行手摺
AU2010224325B2 (en) Temporary edge protection for scaffolding
JP2003097055A (ja) 先行手摺枠
JP2019078110A (ja) 踏桟幅拡張器具
JP2012017596A (ja) 足場用幅木装置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2011094378A (ja) 作業台における作業位置感知装置
KR20150063761A (ko) 보조발판을 구비하는 작업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