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91Y1 -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91Y1
KR200274991Y1 KR2020020004490U KR20020004490U KR200274991Y1 KR 200274991 Y1 KR200274991 Y1 KR 200274991Y1 KR 2020020004490 U KR2020020004490 U KR 2020020004490U KR 20020004490 U KR20020004490 U KR 20020004490U KR 200274991 Y1 KR200274991 Y1 KR 200274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ace
handrail
pie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만 권
Original Assignee
영 만 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만 권 filed Critical 영 만 권
Priority to KR2020020004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91Y1/ko

Link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갈때 안전을 위해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난간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계단난간의 손잡이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계단(A)에 안전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간살(12)이 끼워진 골조(11)로 이루어지는 난간(1)과; 판체를 상면이 반원형으로 곡선지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 끝단면을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부(220)가 형성될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평지게 절곡시켜 내부에 반원의 모양을 갖는 공간부(230)가 형성하는 손잡이(210)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고무캡(240)으로 형성하는 손잡이부(2)와; 상기 손잡이의 저면 중간지점에 형성된 개방부(220)를 통해 선단부가 공간부(230)내로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되도록 하고 하단부분은 골조(11)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될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연결부를 손잡이의 일측면 개방면을 통해 일일히 끼워주지 않고 연결부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손잡이의 하부를 통해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a handle for stairs railing}
본 고안은 계단난간의 손잡이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갈때 안전을 위해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난간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계단난간의 손잡이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의 일측 또는 양측면 부분에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을 설치하여 주어 사람들이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때 추락의 우려가 없는 상태에서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계단난간은 추락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목적이 있으나, 계단을 올라오거나 내려갈때 특히 노약자및 어린이들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난간을 의지하여 계단을 올라거나 내려감에 따라 난간의 상단측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노약자및 어린이 그리고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손잡이를 잡고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계단을 이용할수 있도록 하게되는 것이다.
즉, 계단난간(1)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계단(A)의 길이에 따라 제작된 골조(11)의 내부에 사람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간격으로 세워진 간살(12)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골조(1)의 상단측에 연결부(3)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부(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계단난간에 설치되는 종래 손잡이부의 체결수단을 보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잡이부(2)가 얇은 두께를 갖는 판체를 상면을 곡면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 끝단을 내측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절곡시켜 중간지점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부(22)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부에 반원의 형상을 갖는 공간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손잡이(21)를 형성하며, 상기의 손잡이 외면에 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연질의 고무캡(24)이 씌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3)는 골조(11)를 관통하는 체결볼트(4)에 의해 일단이 체결되도록 절곡된 연결관(31)의 선단부에 일체로 하여 손잡이의 공간부(23)내에 긴밀히 끼워질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부의 모양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고정돌기부(32)로 형성하여 상기의 연결관(31) 일단을 체결볼트(4)에 의해 골조(11)에 체결고정 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관(31)이 손잡이(21)의 저면 중간지점에 형성된 개방부(22)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기부(32)가 손잡이의 공간부(23)내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손잡이가 연결부에 의해 기본골조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잡이 체결수단은 손잡이의 공간부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부가 공간부의 형상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의 공간부내에 고정돌기부를 끼워주기 위해서는 계단의 길이에 따라 절단된 손잡이의 일측 개방면을 통해 순차적으로 끼워준 상태에서 기본골조에 형성된 체결공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상기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연결관이 체결되도록 하고있어, 다수개의 연결관을 손잡이의 일측 개방면을 통해서만 끼워주어야 하기 때문에 손잡이에 연결관을 끼워주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이로인해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단의 난간에 설치되어 사람이 오르로나 내려올때 손으로 잡게되는 손잡이부를 난간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를 손잡이부에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연결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인해 작업의 능률과 설치비용을 절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계단에 안전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간살이 끼워진 골조로 이루어지는 난간과; 판체를 상면이 반원형으로 곡선지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 끝단면을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될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평지게 절곡시켜 내부에 반원의 모양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하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고무캡으로 형성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의 저면 중간지점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선단부가 공간부내로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되도록 하고 하단부분은 골조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될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계단난간의 설치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결합상태 확대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연결부가 손잡이내에 끼워진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연결부에 의해 손잡이가 골조에 체결고정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난간 11:골조
2:손잡이부 210:손잡이
220:개방부 230:공간부
3:연결부 310:체결편
320:연결관 330:끼움편
340:가이드편 400:체결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계단난간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계단난간(1)은 계단(A)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간살(12)이 설치된 골조(11)와, 상기의 기본골조중 상단 부분에 사람이 손으로 잡을수 있는 손잡이부(2)가 연결부(3)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손잡이부(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얇은 두께를 갖는 판체를 상면을 곡면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 끝단을 내측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절곡시켜 중간지점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부(220)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부에 반원의 형상을 갖는 공간부(230)가 형성되도록 하는 손잡이(210)를 형성하며, 상기의 손잡이 외주면에 연질의 고무를 재질로 하여 씌워질수 있도록 하는 고무캡(240)으로 형성한다.
또한, 연결부(3)는 골조(11) 상단부 일면과 체결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상의 체결편(31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의 일측에 일체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연결관(320)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손잡이의 저면 중간지점에 형성된 개방부(220)를 통해 공간부(230)내에 삽입 고정될수 있도록 반원형의 모양을 갖는 끼움편(330)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손잡이(210)의 공간부(230)내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편(330)이 안정되게 고정될수 있도록 상기 끼움편(33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 가이드시켜 주는 가이드편(340)이 형성시켜 줄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연결부(3)의 끼움편(330)을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잡이(210)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220)를 통해 공간부(230)내로 끼워질수 있도록 하여 개방부의 저면으로 부터 공간부(230)내로 끼움편(330)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체결편(310)은 끼움편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210)와는 직각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끼움편(330)을 90°의 각도로 회전시켜 주게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끼움편(330)의 상면 곡선면이 손잡이(210)의 공간부(230)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끼움편이 90°의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손잡이(210)와 직각을 이루고 있던 체결편(310)이 일직선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편(310)을 골조(11)의 일면에 접하도록 한 다음 체결볼트(400)를 이용하여 이들을 체결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서, 골조의 일면에 체결되는 체결편의 체결위치에 맞추어 연결부(3)의 끼움편(330)을 손잡이(210)의 공간부(230)내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여 체결편을 골조에 체결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편(330)의 상면 일면 또는 양측면으로 동일한 곡선면을 갖도록 하여 돌출된 가이드편(340)이 공간부(230)의 내면 상단을 지지하고 있게 되므로서, 공간부내에 끼워져 있는 끼움편이 임의적으로 유동됨이 없이 안정되게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가 골조에 연결될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손잡이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공간부내로 삽입시켜 준 상태에서 90°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면접촉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하단부는 골조의 일면에 면접촉되도록 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연결부를 갖추어 주므로서, 상기의 연결부를 손잡이의 일측면을 통해 공간부내에 일일히 끼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간격에 위치하는 손잡이의 저면 개방부를 통해 연결부의 끼움편을 끼워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체결볼트에 의해 골조와 체결고정시켜 주면 됨에 따라 골조와 손잡이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의 연결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이로인해 설치비용을 절감시켜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계단(A)에 안전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간살(12)이 끼워진 골조(11)로 이루어지는 난간(1)과; 판체를 상면이 반원형으로 곡선지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 끝단면을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부(220)가 형성될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평지게 절곡시켜 내부에 반원의 모양을 갖는 공간부(230)가 형성하는 손잡이(210)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고무캡(240)으로 형성하는 손잡이부(2)와; 상기 손잡이의 저면 중간지점에 형성된 개방부(220)를 통해 선단부가 공간부(230)내로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단부분이 공간부내에서 손잡이와 결합되도록 하고 하단부분은 골조(11)와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될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3)는 골조(11) 상단부 일면과 체결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상의 체결편(31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의 일측에 일체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연결관(320)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손잡이의 저면 중간지점에 형성된 개방부(220)를 통해 공간부(230)내에 삽입 고정될수 있도록 반원형의 모양을 갖는 끼움편(33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손잡이(210)의 공간부(230)내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편(330)이 안정되게 고정될수 있도록 상기 끼움편(33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 가이드시켜 주는 가이드편(3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KR2020020004490U 2002-02-15 2002-02-15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KR200274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90U KR200274991Y1 (ko) 2002-02-15 2002-02-15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90U KR200274991Y1 (ko) 2002-02-15 2002-02-15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038A Division KR20030068598A (ko) 2002-02-15 2002-02-15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91Y1 true KR200274991Y1 (ko) 2002-05-09

Family

ID=7311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490U KR200274991Y1 (ko) 2002-02-15 2002-02-15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3295C (en)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KR200274991Y1 (ko)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20030068598A (ko) 계단난간의 손잡이 결합장치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100757029B1 (ko) 벽 부착용 핸드레일
JP2000087672A (ja) 反射体を備えた梯子
KR960005769Y1 (ko) 난간 체결구
KR200494590Y1 (ko) 계단 난간대용 손잡이
KR960005768Y1 (ko) 패널형 난간의 패널 부착구조
KR200308583Y1 (ko) 계단용 경사구
JP4851102B2 (ja) 手すり
JP3038456U (ja) 安全手摺自在継手
US20030110716A1 (en) Grab rail having secure support member connection
JP3407297B2 (ja) 階段構造
KR200189726Y1 (ko) 계단 난간의 핸드바와 모서리 보호대 연결장치
KR200339308Y1 (ko) 높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구조물
KR200378348Y1 (ko) 계단난간 설치용 링크 콘넥터
JPS641383Y2 (ko)
KR930003078Y1 (ko) 계단난간 파이프 연결 소켓관
JP4235131B2 (ja) 手摺
JP2004143831A (ja) 手摺りブラケットのカバー
KR200174404Y1 (ko) 난간동자
KR890006167Y1 (ko) 조립식 난간
KR200243199Y1 (ko) 난간대의 수직골조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