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716Y1 - 계단 난간용 기둥 - Google Patents

계단 난간용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716Y1
KR200390716Y1 KR20-2005-0011677U KR20050011677U KR200390716Y1 KR 200390716 Y1 KR200390716 Y1 KR 200390716Y1 KR 20050011677 U KR20050011677 U KR 20050011677U KR 200390716 Y1 KR200390716 Y1 KR 200390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air railing
handrail
fix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협선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선물산(주) filed Critical 협선물산(주)
Priority to KR20-2005-0011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 난간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계단 난간용 기둥은, 일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정면의 표면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어, 특정한 문양이 그려져있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그림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문양 고정부와, 본체의 뒷면에 일정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계단용 핸드레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핸드레일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분리시켜 상기 본체부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한 본체 캡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계단 난간용 기둥의 정면에 문양이 그려진 그림부재를 임의로 선택하여 손쉽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계단등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계단 난간용 기둥{POST FOR FIXING HANDRAILS}
본 고안은 건물의 계단 난간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면의 문양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계단 난간용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계단 일측에는 추락을 방지하는 계단 난간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상기 계단 난간 구조물은 보행자들의 손잡이 기능을 하는 핸드레일부와 계단의 양끝부분에서 상기 핸드레일부를 지지하는 고정용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계단 난간 구조물은 고정용 기둥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먼저 고정용 기둥을 계단에 설치한 다음, 설치된 고정용 기둥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게 된다.
종래의 고정용 기둥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종래에는 용접 수단들을 이용하거나 볼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핸드레일을 고정용 기둥에 장착시켰으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이 힘들고 용접기 등을 사용하여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장착된 후에는 핸드레일의 경사각도 등을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9-14046호의 "핸드레일설치가 용이한 계단난간구조물"이 제안되었다. 본 출원은 핸드레일을 설치하는데 있어 경사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한 계단난간구조물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9-49358호는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구구조물을 미리 계단참에 묻어 임시계단난간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공장제작으로 시공이 편리한 계단난간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계단 난간의 기둥들은 단순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에 상향 핸드레일과 하향 핸드레일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계단 난간의 기둥은 핸드레일들을 고정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므로, 계단 전체의 미관 등은 고려할 수 없었다.
그리고, 전술한 방법들에서 제안된 계단난간들은 그 표면에 무늬나 문양을 첨가하기 어려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난간이 설치되는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외관을 고려하여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문양을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끼워넣을 수 있는 계단 난간용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계단 난간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정면의 표면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어, 특정한 문양이 그려져있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그림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문양 고정부와,
본체의 뒷면에 일정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계단용 핸드레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핸드레일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분리시켜 상기 본체부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한 본체 캡부를 구비하여, 정면에 문양이 그려진 그림부재를 임의로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문양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에 그림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는 상향 핸드레일과 하향 핸드레일을 결합시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상기 계단 난간용 기둥의 문양고정부(310)에 고정될 소정의 문양이 그려진 그림 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도 3b의 그림 부재가 장착된 계단 난간용 기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은, 본체부(300), 문양고정부(310), 본체 캡부(3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드레일 결합부(340, 342)을 구비한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300)는 수평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00)는 계단참 등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본체부의 뒷면에 형성된 핸드레일 결합부(340, 342)에 상향 핸드레일과 하향 핸드레일이 장착된다.
문양고정부(310)는 상기 본체부의 정면의 표면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어, 특정한 문양이 그려진 소정 두께의 그림 부재가 그 위에 고정된다. 도 3c는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그림부재(330)가 계단 난간용 기둥의 문양 고정부(310)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문양 고정부에 장착되는 그림부재의 문양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계단 난간용 기둥이 설치될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따라 적절한 문양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문양 고정부(310)의 양 측면에 이탈방지턱(350, 352)을 더 구비하고, 상기 그림부재를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340, 342)는 홈의 형태로 본체부의 뒷면에 형성되어, 계단난간용 핸드레일의 일단을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는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핸드레일 결합부는 계단난간의 상향 계단에 설치되는 상향 핸드레일과 하향 계단에 설치되는 하향 핸드레일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핸드레일 결합부의 다른 실시 형태는 기둥의 양 측면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체 캡부(320)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문양 고정부 및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 캡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착탈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문양 고정부(310)에 그림부재를 끼워넣거나 장착시킬 때에는 본체 캡부를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은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00), 삽입홈(522, 520)을 갖는 문양고정부(510), 본체캡부(550), 핸드레일 결합부(540, 54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은 문양고정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양 고정부(510)는 그 양 측면에 삽입홈(522, 520)이 형성되어, 문양이 그려진 그림부재를 끼워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문양 고정부의 삽입홈에 그림부재(도 5b의 530)를 끼워넣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캡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킨 후 그림부재를 끼워넣은 후, 다시 본체 캡부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의 본체부의 뒷면에 형성된 핸드레일 결합부에 핸드레일이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과 기둥사이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은 본체부의 뒷면에 하나의 핸드레일 결합부를 구비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핸드레일 결합부의 형태나 갯수, 본체 캡부의 형상 등과 같은 구성요소는 계단 난간의 구조물의 미관이나 안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사용함으로써, 기둥에 원하는 문양을 취사 선택하여 부착하거나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여, 기둥이 설치되는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형성되는 계단참 등과 같은 공간을 보다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계단 난간 구조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상기 기둥에 부착시킬 그림 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그림부재가 부착된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계단 난간용 기둥에서 A-A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상기 계단 난간용 기둥에 삽입시킬 그림 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그림부재가 삽입된 계단 난간용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a의 계단 난간용 기둥에서 A-A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에 핸드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에 핸드레일이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용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500 : 본체부
310, 520 : 문양 고정부
330, 530 : 그림부재
320, 550 : 본체 캡부
340, 342, 540, 542 : 핸드레일 결합부

Claims (6)

  1.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정면의 표면의 소정 영역에 배치되어, 특정한 문양이 그려져있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그림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문양 고정부;
    본체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계단용 핸드레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핸드레일 결합부;
    를 구비하여, 정면에 문양이 그려진 그림부재를 임의로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에 그림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난간용 기둥은 소정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그림 부재를 상기 문양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을 구비하며, 각각은 상향 핸드레일과 하향 핸드레일을 각각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난간용 기둥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분리시켜 상기 본체부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한 본체 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캡부에는 상기 문양 고정부와 상기 핸드레일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용 기둥.
KR20-2005-0011677U 2005-04-27 2005-04-27 계단 난간용 기둥 KR200390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77U KR200390716Y1 (ko) 2005-04-27 2005-04-27 계단 난간용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77U KR200390716Y1 (ko) 2005-04-27 2005-04-27 계단 난간용 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716Y1 true KR200390716Y1 (ko) 2005-07-22

Family

ID=4369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77U KR200390716Y1 (ko) 2005-04-27 2005-04-27 계단 난간용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42Y1 (ko) 2011-06-23 2011-12-07 코랜스그린산업(주) 조립식 목재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42Y1 (ko) 2011-06-23 2011-12-07 코랜스그린산업(주) 조립식 목재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219B1 (ko) 건축물 난간대
KR200390716Y1 (ko) 계단 난간용 기둥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JP4948992B2 (ja) 階段
JP2007255100A (ja) 手摺りの連結構造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20090007770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200279221Y1 (ko) 난간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JP3685135B2 (ja) 階段の手摺り取り付け構造
KR100525272B1 (ko) 건축용 높이조절 작업난간대
KR101199887B1 (ko) 실내 계단용 난간지주
KR200346844Y1 (ko) 난간 지주 결합구
US20050205855A1 (en) Baluster
CN214995393U (zh) 一种可用于拆卸的装配式楼梯
CN211548471U (zh) 一种装饰钢楼梯
JP4588668B2 (ja) 階段用手摺りの組み付け構造
KR100574071B1 (ko) 작업난간대
KR200248963Y1 (ko) 계단 난간 고정장치
KR200443919Y1 (ko)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KR0132119Y1 (ko) 건물계단용난간
KR200322170Y1 (ko)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