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919Y1 -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 Google Patents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919Y1
KR200443919Y1 KR2020070011468U KR20070011468U KR200443919Y1 KR 200443919 Y1 KR200443919 Y1 KR 200443919Y1 KR 2020070011468 U KR2020070011468 U KR 2020070011468U KR 20070011468 U KR20070011468 U KR 20070011468U KR 200443919 Y1 KR200443919 Y1 KR 200443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member
rod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450U (ko
Inventor
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용신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신프라임 filed Critical (주)용신프라임
Priority to KR2020070011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이 개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난간의 지주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몸체 및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구에 관통하는 파이프 또는 봉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1번의 작업으로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파이프 또는 봉을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의 외관이 고급스럽고 미려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 고정부재, 체결부재

Description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PIPE OR POLE FIXING UNIT FOR HANDRAIL}
도 1은 종래의 난간 파이프가 지주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가 지주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를 지주에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를 지주에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체결부재가 고정부재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과정을 순차적 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가 제 1지주와 제 2지주 사이에 구비된 이격편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를 상기 이격편에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파이프 또는 봉, 3; 파이프 고정구,
3a; 고정부재, 3b, 5d, 5e, 33, 53; 관통구,
3c; 제 1체결부재, 3d; 제 2체결부재,
5; 지주, 5a; 제 1지주,
5b; 제 2지주, 5c; 이격편,
9; 고정볼트, 10;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30; 몸체, 31; 수용공간,
50; 고정부재, 55; 체결공,
57; 암나사부, 70; 체결부재,
73; 수나사부.
본 고안은 1번의 작업으로 고정부재 및 파이프 또는 봉을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외관이 고급스럽고 미려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 파이프(이하 '파이프'라 칭한다.)는 건축물의 계단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원형형상의 난간의 지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유도하거나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파이프(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를 고정하는 통상의 파이프 고정구(3)에 의해 상기 지주(5)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 고정구(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파이프(1)가 관통하는 관통구(3b)가 형성되고, 상부와 후면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a)와; 상기 지주(5)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3a)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3a)를 상기 지주(5)에 고정시키는 제 1체결부재(3c)와; 상기 고정부재(3a)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관통구(3b)에 관통하는 상기 파이프(1)를 고정하는 제 2체결부재(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고정볼트 등의 상기 제 1체결부재(3c)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부재(3a)를 상기 지주(5)에 고정시키고, 스터드 볼트 등의 상기 제 2체결부재(3d)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구(3b)를 관통하는 상기 파이프(1)를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작업자가 상기 제 1체결부재(3c) 및 상기 제 2체결부재(3d)를 사용하여 2번의 작업으로 상기 고정부재(3a)와 상기 파이프(1)를 각각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a)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터드 볼트 등의 상기 제 2체결부재(3d)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3a)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되어 상기 고정부재(3a)의 고급스러운 면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1번의 작업으로 고정부재 및 파이프 또는 봉을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외관이 고급스럽고 미려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이 개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난간의 지주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몸체 및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구에 관통하는 파이프 또는 봉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가 지주(5)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를 지주(5)에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를 지주에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단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난간의 지주(5)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난간 파이프(이하 '파이프'라 칭한다.) 또는 봉(1)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내부가 꽉찬 관을 의미하며, 상기 봉은 내부가 빈 관을 의미한다.
그리고, 계단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난간의 상기 지주(5)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30), 고정부재(50) 및 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30)는 상기 고정부재(50)를 수용하는 것으로써,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되어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이 관통하는 관통구(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31)에 상기 고정부재(50)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몸체(30)가 상기 고정부재(5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구(33)의 형상이 도면에서는 원형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재(5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몸체(30)에 수용되는 것으로써, 상기 몸체(30)의 상기 수용공간(31)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50)의 양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이 관통하는 관통구(5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0)의 후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부(57)가 형성된 체결공(5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53)의 형상 역시 도면에서는 원형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체결부재(70)가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재(70)는 상기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몸체(3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53)에 관통하는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을 고정하는 것으로써,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난간의 지주(5)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70)의 외주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체결공(5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57)와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부(7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된 상기 체결부재(70)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30)의 상기 수용공간(31)에 수용된 상기 고정부재(50)가 상기 체결부재(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3)를 따라 후방으로 견인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통구(53) 또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의 상기 관통구(33)와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53)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5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3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33, 53)에 위치하는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이 상기 관통구(33, 53)에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50)의 길이(도 6의 L1)는 상기 몸체(30)의 상기 수용공간(31)의 깊이(도 6의 D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의 길이(L1)가 상기 몸체(30)의 상기 수용공간(31)의 깊이(D1)보다 짧게 형성되면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기 체결부재(70)가 상기 고정부재(50)를 보다 용이하게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7 및 도 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70)가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상기 몸체(3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33, 53)에 관통하는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이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공(55)에 상기 체결부재(70)를 나사결합시키는 1번의 작업으로 상기 고정부재(50) 및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을 각각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종래에 비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에 별도의 체결부재(70)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상기 몸체(30)의 외관이 미려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몸체(30)의 고급스러운면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이점 또한 있게 된다.
도 9는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가 제 1지주(5a)와 제 2지주(5b) 사이에 구비된 이격편(5c)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를 상기 이격편(5c)에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달리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지주(5a)와; 상기 제 1지주(5a)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2지주(5b)와; 상기 제 1지주(5a)와 상기 제 2지주(5b)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지주(5a)와 상기 제 2지주(5b)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이격편(5c);으로 구성되는 지주(5)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지주(5a)와 상기 제 2지주(5b)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이격편(5c)은 고정볼트(9)와 너트(미도시) 등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9)가 상기 제 1지주(5a)를 관통하여 상기 이격편(5c)과 체결된 후 다시 상기 제 2지주(5b)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미도시)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격편(5c)이 상기 제 1지주(5a)와 상기 제 2지주(5b) 사이에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격편(5c)에는 상기 고정볼트(9)가 관통하는 관통구(도 10의 5d)와 상기 체결부재(70)가 관통하는 관통구(도 10의 5e)가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의 상기 체결부재(7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격편(5c)의 상기 관통구(5e)를 지나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7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30)의 상기 수용공간(31)에 수용된 상기 고정부재(50)가 후방으로 견인되고, 이때 상기 몸체(30)의 상기 관통구(33)와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53)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되어 상기 몸체(3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상기 관통구(33,53)에 위치하는 상기 파이프 또는 봉(1)이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10)가 상기에서는 원형형상의 지주(5)와 제 1지주(5a), 제 2지주(5b) 및 이격편(5c)으로 구성되는 지주(5)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술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지주(5)에 고정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상기 몸체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관통구에 관통하는 상기 파이프 또는 봉이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공에 상기 체결부재를 나사결합시키는 1번의 작업으로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파이프 또는 봉을 각각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종래에 비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몸체의 외관이 미려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몸체의 고급스러운면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후방으로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후방이 개방되어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1)이 관통하는 관통구(33)가 형성된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수용공간(31)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파이프 또는 봉(1)이 관통하는 관통구(53)가 형성되고, 후면에 체결공(55)이 형성된 고정부재(50)와;
    난간의 지주(5)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5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몸체(30) 및 상기 고정부재(50)의 관통구(53)에 관통하는 파이프 또는 봉(1)을 고정하는 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의 길이는 상기 몸체(30)의 수용공간(31)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KR2020070011468U 2007-07-12 2007-07-12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KR20044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68U KR200443919Y1 (ko) 2007-07-12 2007-07-12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68U KR200443919Y1 (ko) 2007-07-12 2007-07-12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50U KR20090000450U (ko) 2009-01-15
KR200443919Y1 true KR200443919Y1 (ko) 2009-03-24

Family

ID=412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468U KR200443919Y1 (ko) 2007-07-12 2007-07-12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48B1 (ko) * 2019-05-03 2019-10-14 최우석 높이 조절형 난간 포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50U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54579A (en) Railing
US20090050865A1 (en) Barrier System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KR101049437B1 (ko)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US20110198552A1 (en) Hidden rail fastener connection system
KR200408340Y1 (ko) 의자겸용난간
KR200443919Y1 (ko) 난간용 파이프 또는 봉 고정구
CN202227943U (zh) 阳台护栏的栏杆及装饰物的内藏式连接结构
JPH05506486A (ja) 改良された手摺のアンカ組立体
KR101920252B1 (ko) 계단 난간
KR20100001977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20090007770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100931957B1 (ko) 조립식 펜스
KR100877495B1 (ko) 확장형 발코니 안전난간대
JP6411427B2 (ja) デッキ
KR102451655B1 (ko) 난간 상부 구조체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JP6820709B2 (ja) デッキ
KR200390716Y1 (ko) 계단 난간용 기둥
KR102249911B1 (ko) 용접연결유닛이 구비된 데크 난간 기둥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KR200334801Y1 (ko) 난간동자용 쐐기형 조립식 앵커
JP2017071917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