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13B1 - 계단난간 - Google Patents

계단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13B1
KR102149413B1 KR1020180072556A KR20180072556A KR102149413B1 KR 102149413 B1 KR102149413 B1 KR 102149413B1 KR 1020180072556 A KR1020180072556 A KR 1020180072556A KR 20180072556 A KR20180072556 A KR 20180072556A KR 102149413 B1 KR102149413 B1 KR 10214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bar
bar
bars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72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산업
Priority to KR102018007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3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panels, and balustrad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가로 바로부터 이탈이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동시에, 가로 바, 세로 바 및 간살 사이의 경사도를 조절 가능한 계단난간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일체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설치 시 다양한 경사도를 갖는 계단에 적응 가능하도록 하는 계단난간을 제공하여, 계단난간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은, 계단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계단난간에 있어서, 앵커볼트로 바닥에 고정되는 세로 바; 세로 바들 사이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되되, 서로 바라보는 방향의 외주에 타원형의 끼움홀이 타공된 한 쌍의 가로 바; 한 쌍의 가로 바 사이에 고정되되, 한 쌍의 가로 바에 형성된 끼움홀에 양 단측이 각각 억지 삽입되어 가로 바 사이에 가로 바와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간살; 및 가로 바와 세로 바 사이에 설치되며, 가로 바의 단측에 가로 바의 외주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세로 바에 볼트 결합되는 제2 힌지부 및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을 포함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단난간{A STAIRWAY RAILING}
본 발명은 계단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계단난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계단난간의 설치 및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계단난간에 설치 가능한 계단난간에 관한 것이다.
계단난간은 계단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 건물 등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설비이다. 해당 설비는 견고성을 포함한 안전한 설비로서의 기능 수행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계단난간은 보통, 기둥이 되는 세로 바를 설치하고, 설치된 세로 바에 가로 바 및 가로 바 사이의 간살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간살의 경우, 보통 간살 양단에 합성수지재의 캡을 씌운 후 가로 바의 관통공에 이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설치된다.
그러나 간살 양단의 합성수지재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구성되는 간살에 완전히 결합되기 힘들뿐 아니라, 가로 바의 관통공으로부터도 이탈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계단난간의 설치 시공 시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해 왔다. 이러한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서 다양한 일체형 또는 조립 간편형 난간대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10-1103388호 등에서는 블록형으로 난간대를 구성하여조립이 간편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음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합성목재 난간대의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도 불구하고, 간살과 가로 바 사이의 이탈은 피할 수 없어 조립 시에 정확하고 편리한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계단난간은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계단구조에 설치가 되는 것이어서, 계단난간의 구성 시 일체형으로 편리하게 설치를 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경사로 구성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간살, 가로 바 및 세로 바의 특징에 있어서 간살에 합성수지재의 캡을 씌우는 경우 간살과 가로 바 사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각 건물에 따라서 다른 스펙(경사)를 갖도록 일일이 해당 난간을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계단난간의 대량 생산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가로 바로부터 이탈이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동시에, 가로 바, 세로 바 및 간살 사이의 경사도를 조절 가능한 계단난간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일체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설치 시 다양한 경사도를 갖는 계단에 적응 가능하도록 하는 계단난간을 제공하여, 계단난간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은, 계단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계단난간에 있어서, 앵커볼트로 바닥에 고정되는 세로 바; 상기 세로 바들 사이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되되, 서로 바라보는 방향의 외주에 타원형의 끼움홀이 타공된 한 쌍의 가로 바; 상기 한 쌍의 가로 바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한 쌍의 가로 바에 형성된 끼움홀에 양 단측이 각각 억지 삽입되어 상기 가로 바 사이에 상기 가로 바와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간살; 및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세로 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 바의 단측에 상기 가로 바의 외주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세로 바에 볼트 결합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을 포함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가로 바는, 한 쌍의 상기 세로 바 사이에 상기 한 쌍의 가로 바 두 쌍이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세로 바 사이에 두 쌍의 가로 바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씩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상하 회동된 후 나머지 하나의 세로 바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세로 바에 각 쌍의 가로 바가 서로 같거나 다른 상대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끼움홀은, 상기 가로 바의 길이 방향의 직경이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살과 상기 가로 바와의 경사각 조절 시 상기 간살의 상기 가로 바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살은, 상기 간살의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에 상기 간살이 끼워진 후의 상기 간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간살의 상기 가로 바와 맞닿은 일 영역의 직경이 상기 간살의 외주 직경보다 작은 외주 직경이 되도록 오목하게 리세스(Recess)된 링 형의 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의 직경 중 상기 간살의 홈 영역과 상기 끼움홀이 맞닿은 영역의 직경은 상기 간살의 상기 홈 영역을 제외한 외주 직경보다 작고 상기 홈 영역의 상기 간살의 직경과 같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간살은 상기 끼움홀과 맞닿은 일 영역으로부터 양단의 끝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향한 영역의 직경이 가장 크고, 직경이 가장 큰 영역으로부터 양단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직경이 가장 큰 간살 영역으로부터 상기 간살의 양단 끝 부분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태의 영역으로써, 상기 직경이 가장 큰 간살 영역이 상기 끼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 되는 돌출된 영역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계단난간은, 상기 간살과 상기 가로 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세로 바가 이루는 경사각이 계단의 경사로 설정되도록 상기 가로 바, 상기 세로 바 및 상기 간살을 상대 회동한 후, 상기 가로 바, 상기 세로 바 및 상기 간살에 대한 도장 공정을 수행하고, 도장이 건조된 상태에서 계단에 대한 설치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살 자체가 가로 바의 끼움홀에 억지 삽입됨으로써 해당 간살과 가로 바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삽입력에 의하여 간살이 효율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세로 바와 가로 바의 힌지 결합에 의하여, 간살, 가로 바 및 세로 바가 서로 상대 회동에 의해서 계단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를 조절한 뒤, 도장 공정을 하여 계단 유닛의 제품이 완성되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제조된 계단난간을 계단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서, 그 설치의 편의성이 매우 증가하고, 설치 시의 간살의 이탈 등에 의한 공정 효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바의 길이만 조절하는 것을 통해서 계단의 모든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로 계단난간을 제조할 수 있어, 계단난간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의 일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III 영역에 대한 평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의 경사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간살 구조에 대한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의 일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III 영역에 대한 평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난간의 경사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간살 구조에 대한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상술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계단난간으로서, 구체적으로 세로 바(10), 가로 바(20), 간살(30) 및 힌지 결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로 바(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되어 가로 바(20) 및 간살(30)을 설치 시 해당 구성들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닥과 앵커볼트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앵커볼트 이외에, 다양한 구성에 의하여 바닥과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다.
도면에서는 세로 바(10)가 부채꼴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세로 바(10)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단면 형태 및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세로 바(10)는 스틸(Steel), 알루미늄 및 기타 합금 등 다양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합성수지재, 목재 등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는 세로 바(10)가 1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계단난간의 설치 시에는 후술하는 가로 바(20)의 사이즈에 따라서 계단에 복수개 가로 바(20)의 단측마다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가로 바(20)는 세로 바(10)들 사에 각각에 두 개의 세로 바(10)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되되, 서로 바라보는 방향, 즉 가로 바(20) 사이를 향하는 방향의 외주에는 내면과 관통되어 후술하는 간살(30)이 삽입되도록 하는 타원형의 끼움홀(21)이 타공된 한 쌍의 구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가로 바(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 형태의 구성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계단난간 중, 간살이 직접 세로 바와 같은 형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방식에 비하여 상술한 계단 난간을 일체로 형성하여 한 번에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특징의 일부로 이해될 것이다.
가로 바(20)는 도면에서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로 바(20)는 심미감을 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단면 형태 및 길이 방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외주의 두께 역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가로 바(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바(10)와 마찬가지로 중공형의 파이프형 단면이거나 내부에 특정 물질이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가로 바(20)는 스틸(Steel), 알루미늄 및 기타 합금 등 다양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합성수지재, 목재 등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로 바(20)는 세로 바(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이후 설명할 도장 공정 진행 시 동일한 색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바(20)는 서로를 바라보는 방향, 즉 한 쌍의 가로 바(20) 사이를 향하는 방향의 외주면이 관통되어, 간살(30)이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관통된 외주면과 반대 반향의 외주면, 즉 서로를 대향하는 방향의 외주면은 관통되지 않고 폐쇄되어, 간살(30)이 끼움홀(21)을 통해 삽입되되 반대면을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간살(30)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 바(20)는 세로 바(10)들 사이에 설치되되,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두 쌍이 각각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한 쌍의 가로 바(20) 두 쌍이 한 쌍의 세로 바(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세로 바(10) 사이에 두 쌍의 가로 바(20)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씩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상하 회동된 후 나머지 하나의 세로 바(10)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세로 바(10)에 각 쌍의 가로 바(20)가 서로 같거나 다른 상대 높이로 고정 설치되도록, 도 5 및 6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설치 직전 상태의 계단난간을 생산할 시,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서 계단의 경사도에 대응되는 세로 바(10), 가로 바(20) 및 간살(30)의 상대 각도 제어를 통해서 계단 난간이 조립된 후, 조립된 계단 난간을 계단에 설치를 진행하는 데, 간살(30)이 삽입된 상태의 가로 바(20)에 있어서 세로 바(10)와의 경사도를 설정하여 조립 시 한 쌍의 가로 바(20)만을 조립할 때에 비해서, 두 쌍의 가로 바(20)를 조립한 경우, 도 5에 도시되었듯, 한 쌍의 가로 바(20) 두 쌍의 일단의 끝부분은 힌지 결합부(40)와 더 결합되어 한 쌍의 세로 바(10) 중 하나의 세로 바(10)의 서로 다른 일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도 5 및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 쌍의 가로 바(20) 두 쌍의 타단의 끝부분 또한 힌지 결합부(40)와 더 결합되어 한 쌍의 세로 바(10) 중 또다른 세로 바(10)의 서로 다른 일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한 쌍의 가로 바(20)만을 조립할 경우에는 간살에 의해 회동 제한이 생기나,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한 쌍의 가로 바(20) 두 쌍이 한 쌍의 세로 바(10)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간살에 의한 회동 제한 뿐만이 아니라 한 쌍의 세로 바(10)에 양단 모두가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로 바(20)의 길이 또한 회동에 있어 제한되는 요소로써 더 작용하므로, 한 쌍의 가로 바(20)만을 조립할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한 쌍의 가로 바(20) 두 쌍을 조립할 때가 회동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한이 더 생기게 된다. 물론, 이는 간살이 없고 가로 바(20)만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이렇듯, 최종 계단난간 생산 시 가로 바(20), 세로 바(10) 및 간살(30) 사이의 구성적인 특징을 통해 상대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가로 바(20)와 간살(30)의 조립체를 세로 바(10)에 조립 시에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계단의 경사도에 따른 제품 생산을 위해서 필수적이나, 세로 바(10)에 가로 바(20)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각도가 조절되지 않는 것이 설치 시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 바(20)는 두 쌍, 즉 총 4개가 세로 바(10) 사이에 도면과 같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심미감 및 요구되는 스펙에 따라서, 3 쌍 이상의 가로 바(20)가 세로 바(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간살(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 바(20)에 형성된 끼움홀(21)에 양 단측이 각각 억지 삽입되어 가로 바(20) 사이에 가로 바(20)와이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간살(30)은 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간살(30)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단면 형태 및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간살(30)은 스틸(Steel), 알루미늄 및 기타 합금 등 다양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합성수지재, 목재 등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로 바(20) 및 세로 바(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이후 설명할 도장 공정 진행 시 동일한 색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간살(30)은 도면에서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간살(30)은 심미감을 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단면 형태 및 길이 방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외주의 두께 역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간살(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바(10) 및 가로 바(20)와 마찬가지로 중공형의 파이프형 단면이거나 내부에 특정 물질이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살(30)은 가로 바(20)와의 상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간살(30)은 가로 바(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무 캡 등이 설치되지 않고, 끼움홀(21)에 억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억지 삽입이란, 간살(30)의 외주면의 직경이 끼움홀(21)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크기 형성되어, 간살(30)이 끼움홀(21)에 삽입 시 저항력이 존재한 채로 끼워지는 개념을 의미한다.
끼움홀(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간살(30)이 억지 삽입 고정되는 특징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동시에, 간살(30)이 가로 바(20)와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로 바(20)의 끼움홀(21)은 도 1의 III 부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로 바(20)의 길이 방향의 직경이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즉 바람직하게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간살(30)과 가로 바(20)와의 경사각 조절 시 간살(30)의 가로 바(20)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과 같이 끼움홀(21)이 타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는 억지 삽입되도록 하는 저항력을 부여하되, 그 끼움 위치가 정확하게 타원의 중심이 되도록 하고(이는 저향력이 가장 낮은 위치로 삽입되기 때문), 간살(30)이 가로 바(20)와 경사각이 조절되는 경우에는, 길이 방향으로의 회동이 되도록 가이드하거나, 그 각도를 한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살(30)와 가로 바(20) 사이의 회동은 후술하는 힌지 결합부(40)를 통한 가로 바(20)와 세로 바(10) 사이의 회동(도 6의 D1, D2 방향)과 연계되어,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경사도의 난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계단 난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살(30)이 가로 바(20)에 억지 삽입 고정되면서, 두 개의 가로 바(20)와 간살(30)의 결합체가 제조된다. 이후, 가로 바(20)와 세로 바(10)가 이루는 경사각이 계단의 경사로 설정되도록 후술하는 힌지 결합부(40) 및 간살(30)과 가로 바(20)의 삽입 구조 상의 특징에 의하여 가로 바(20), 세로 바(10) 및 간살(30)을 상대 회동하여 계단의 경사에 일치되도록 조절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쌍의 가로 바(20)를 세로 바(10)에 서로 다른 각도(이때 적어도 한 쌍의 가로 바(20)는 상술한 계단의 경사와 같도록 하는 각도로 설정(도 5의 A측))로 설치를 완료하여 세로 바(10), 가로 바(20) 및 간살(30)이 서로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 뒤, 세로 바(10), 가로 바(20) 및 간살(30)에 대해서 일괄 도장 공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색을 구현하게 된다.
이후 도장이 건조된 상태가 되면, 이를 계단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계단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하면, 작업자는 이미 도장까지 마친 계단난간을 이동시켜 계단에서 세로 바(10)와 지면의 고정을 위한 체결 공정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제작자의 제작 편의성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 바(10), 가로 바(20) 및 간살(30)의 상대 회동을 통해서 다양한 경사도에 설치 가능한 계단 난간을 동일한 부재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 바(20)만의 다양한 사이즈 생산을 통해서 모든 계단에 대한 난간 시공을 수행할 수 있어, 해당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간살(30)이 가로 바(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데 있다. 기존의 제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간살(30)의 제조 편의성을 위해서 간살(30)의 양단에 고무나 합성수지재의 캡을 씌우고, 가로 바(20)의 관통공으로 이를 삽입해왔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금속제의 간살(30)이 바로 가로 바(20)에 삽입되기 때문에, 금속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간살(30)이 가로 바(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이탈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간살(30)의 양 단측, 바람직하게는 끼움홀(21)에 삽입되는 영역에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어 끼움홀(21)에 간살(30)이 끼워진 후의 간살(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살(30)의 이탈 방지부의 형태는 도 6의 B 영역에 대한 도 7 및 8의 도면들을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이탈 방지부는, 간살(30)의 가로 바와 맞닿은 일 영역의 직경이 간살(30)의 외주 직경보다 작은 외주 직경이 되도록 오목하게 리세스(Recess)된 링 형의 홈 영역(31)을 포함하고, 끼움홀(21)의 직경 중 간살(30)의 홈 영역(31)과 끼움홀(21)이 맞닿은 영역의 직경은 간살(30)의 홈 영역(31)을 제외한 외주 직경보다 작고 홈 영역(31)의 간살(30)의 직경과 같을 수 있다.
그래서 끼움홀(21)에는 홈 영역(31)이 끼워진 상태가 되어서 홈 영역(31)과 간살(30)의 외주 직경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끼움홀(21)이 홈 영역(31)에만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살(30)의 외주 직경은 끼움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간살(30)이 가로 바(20)에 삽입되는 경우 끼움홀(21)로부터의 저항력에 의하여 억지 끼움(삽입)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끼워진 상태에서, 링 형태의 홈 영역(31)이 구성되는 경우, 해당 홈 영역(31)은 끼움홀(21)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끼움홀(2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것이며, 그 이탈이 홈 영역(31) 및 끼움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돌출부는 홈 영역(31)의 하부의 돌출부의 직경이 끼움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끼움홀(21)의 가로 바(20)의 길이 방향의 직경이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구조 등을 이용하여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 간살(30)은 심미감을 주기 위하여 다양한 단면 형태 및 길이 방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홈 영역(31)의 측단면이 사각 형태로 구성되거나, 나사골과 동일한 형태 또는 홈 영역(31)이 라운드진 오목한 형태로 구성되는 등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조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홈 영역(31)은 끼움홀(21)에 헐겁게 위치하고 이탈은 가로 바(20)에 억지끼움으로 내삽된 돌출부가 끼움홀(21)에 걸려 간살(30)이 가로 바(2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와 반대로, 간살(30)의 단측과 끼움홀(21) 반대측의 가로 바(20)의 내면이 접촉되는 경우 간살(30)이 더 이상 아래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간살(30)의 단측과 가로 바(20)의 내면과의 접촉 저향력 및 돌출부와 끼움홀(21)의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간살(30)이 가로 바(20)로부터 불필요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이탈 방지부는, 돌출된 영역(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간살(30)은 끼움홀(21)과 맞닿은 일 영역으로부터 양단의 끝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향한 영역의 직경이 가장 크고, 직경이 가장 큰 영역으로부터 양단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때, 이탈 방지부는, 직경이 가장 큰 간살(30) 영역으로부터 간살(30)의 양단 끝 부분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태의 영역으로써, 직경이 가장 큰 간살(30) 영역이 끼움홀(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 되는 돌출된 영역(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간살(30)의 양단은 끼움홀(21)의 반대 측의 가로 바(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이때의 돌출된 영역(32)이 정확하게 끼움홀(21)에 삽입되는 위치가 되도록 그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간살(30)의 단측과 가로 바(20)의 내면과의 접촉 저항력 및 돌출된 영역(32)와 끼움홀(21)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간살(30)이 가로 바(20)에 대해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동시에 정확한 고정이 되어 상하 이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간살(30) 일단과 가로 바(20)의 내면이 접촉되더라도 간살(30)이 가로 바(20)에서 이탈되기 위해서는 위쪽으로 이동해야 되는 데 돌출된 영역(32)에 의하여 위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간살(30)의 단측과 끼움홀(21) 반대측의 가로 바(20)의 내면이 접촉되는 경우 간살(30)이 더 이상 아래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가진 간살(30)의 단측과 가로 바(20)의 내면과의 접촉 저향력 및 돌출된 영역(32)과 끼움홀(21)에 의하여 간살(30)이 가로 바(20)로부터 불필요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한편 힌지 결합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바(20)와 세로 바(10) 사이에 설치되며, 이때 가로 바(20)의 단측에 가로 바(20)의 외주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1 힌지부(41)와, 세로 바(10)의 외주면에 볼트 결합되는 제2 힌지부(42)와, 제1 힌지부(41) 및 제2 힌지부(42)를 힌지 이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4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부(41)는 가로 바(20)에 끼움 결합되는 동시에 접착제를 통한 결합 또는 볼트 결합 등의 구성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력을 높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힌지부(42)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단면을 갖는 세로 바(10)의 적어도 일 면을 감싸도록 하는 외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제2 힌지부(42)를 세로 바(10)에 설치 시 이탈 및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42)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캐비티를 갖도록 형성하여 볼트가 내부 캐비티로부터 제2 힌지부(42) 및 세로 바(10)를 관통하면서 제2 힌지부(42)와 세로 바(10)를 결합하도록 하고, 볼트 결합 후에는 캡 등을 통해 내부 캐비티를 폐쇄 마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결합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바(20), 간살(30) 및 세로 바(10) 사이의 상대 회동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계단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계단난간에 있어서,
    앵커볼트로 바닥에 고정되는 세로 바;
    상기 세로 바들 사이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되되, 서로 바라보는 방향의 외주에 타원형의 끼움홀이 타공된 한 쌍의 가로 바;
    상기 한 쌍의 가로 바 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한 쌍의 가로 바에 형성된 끼움홀에 양 단측이 각각 억지 삽입되어 상기 가로 바 사이에 상기 가로 바와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간살; 및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세로 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 바의 단측에 상기 가로 바의 외주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세로 바에 볼트 결합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을 포함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로 바는,
    한 쌍의 상기 세로 바 사이에 상기 한 쌍의 가로 바 두 쌍이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세로 바 사이에 두 쌍의 가로 바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씩 서로 같거나 다른 각도로 상하 회동된 후 나머지 하나의 세로 바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세로 바에 각 쌍의 가로 바가 서로 같거나 다른 상대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은,
    상기 가로 바의 길이 방향의 직경이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살과 상기 가로 바와의 경사각 조절 시 상기 간살의 상기 가로 바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살은,
    상기 간살의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에 상기 간살이 끼워진 후의 상기 간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간살의 상기 가로 바와 맞닿은 일 영역의 직경이 상기 간살의 외주 직경보다 작은 외주 직경이 되도록 오목하게 리세스(Recess)된 링 형의 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의 직경 중 상기 간살의 홈 영역과 상기 끼움홀이 맞닿은 영역의 직경은 상기 간살의 상기 홈 영역을 제외한 외주 직경보다 작고 상기 홈 영역의 상기 간살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살은 상기 끼움홀과 맞닿은 일 영역으로부터 양단의 끝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향한 영역의 직경이 가장 크고, 직경이 가장 큰 영역으로부터 양단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직경이 가장 큰 간살 영역으로부터 상기 간살의 양단 끝 부분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태의 영역으로써, 상기 직경이 가장 큰 간살 영역이 상기 끼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 되는 돌출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난간은,
    상기 간살과 상기 가로 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세로 바가 이루는 경사각이 계단의 경사로 설정되도록 상기 가로 바, 상기 세로 바 및 상기 간살을 상대 회동한 후, 상기 가로 바, 상기 세로 바 및 상기 간살에 대한 도장 공정을 수행하고, 도장이 건조된 상태에서 계단에 대한 설치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KR1020180072556A 2018-06-25 2018-06-25 계단난간 KR10214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56A KR102149413B1 (ko) 2018-06-25 2018-06-25 계단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56A KR102149413B1 (ko) 2018-06-25 2018-06-25 계단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72A KR20200000572A (ko) 2020-01-03
KR102149413B1 true KR102149413B1 (ko) 2020-08-31

Family

ID=6915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556A KR102149413B1 (ko) 2018-06-25 2018-06-25 계단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311A (ko) 2021-04-02 2022-10-12 노덕현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55B1 (ko) * 2019-03-25 2021-04-21 주식회사 트윈휀스산업 복수개의 컬러 도장을 갖는 휀스 결합 구조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4973148B (zh) * 2022-06-22 2024-05-24 烟台国信智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城市建设的市政设施在线监测数字化智能管理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136Y1 (ko) * 2004-12-01 2005-03-10 이윤철 조립식 계단 난간
KR100763645B1 (ko) * 2006-05-12 2007-10-05 김오형 비용접 구조의 난간대
KR101054261B1 (ko) 2010-11-04 2011-08-08 (주)이건환경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051Y1 (ko) * 1994-04-15 1998-04-13 이종현 난간용조립부재
KR20150032982A (ko) * 2013-09-23 2015-04-01 우정기업(주) 계단 난간용 난간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136Y1 (ko) * 2004-12-01 2005-03-10 이윤철 조립식 계단 난간
KR100763645B1 (ko) * 2006-05-12 2007-10-05 김오형 비용접 구조의 난간대
KR101054261B1 (ko) 2010-11-04 2011-08-08 (주)이건환경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311A (ko) 2021-04-02 2022-10-12 노덕현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72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413B1 (ko) 계단난간
US4403767A (en) Variable rack stair rail assembly
US20150211235A1 (en) Baluster Bracket Assembly
KR102049362B1 (ko) 난간 연결구조체
CA2772794A1 (en) Baluster bracket assembly
US3991981A (en) Balustrade with adjustable supporting balusters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US5737884A (en) Spiral stair case
KR100786732B1 (ko) 건축물 난간대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100763645B1 (ko) 비용접 구조의 난간대
KR20200002671U (ko) 연결캡 및 간살의 조립체,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캡
KR20120008956A (ko) 팬스용 관절형 브라켓 구조
KR200281771Y1 (ko) 난간봉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계단 난간
KR102620886B1 (ko) 난간
KR102647623B1 (ko) 난간용 마감캡과 이를 이용한 난간
KR102254953B1 (ko) 계단 난간용 지주의 각도조절구조체
KR20220002371U (ko) 난간용 가변조립링크
KR102451668B1 (ko) 난간 구조체
KR102543262B1 (ko) 조립식 난간
KR200460036Y1 (ko) 데크용 목재난간
RU2614174C1 (ru)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круглого поручня из дерева и деревянный поручен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KR200468618Y1 (ko) 난간동자
KR102113576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2249911B1 (ko) 용접연결유닛이 구비된 데크 난간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