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262B1 - 조립식 난간 - Google Patents
조립식 난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3262B1 KR102543262B1 KR1020220086004A KR20220086004A KR102543262B1 KR 102543262 B1 KR102543262 B1 KR 102543262B1 KR 1020220086004 A KR1020220086004 A KR 1020220086004A KR 20220086004 A KR20220086004 A KR 20220086004A KR 102543262 B1 KR102543262 B1 KR 102543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verse
- handrail
- pillar material
- stairs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계단의 경사면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재; 상기 기둥재의 상측 단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상호 엇갈리도록 한 쌍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계단 상부에 위치하는 기둥재와 계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둥재 사이에서 상향 고정브라켓과 하향 고정브라켓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계단의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횡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부; 상기 핸드레일부의 하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핸드레일부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브라켓 및 횡대를 형성하는 보조레일부; 및 상기 핸드레일부와 보조레일부의 각 횡대 사이에 일정간격 반복되게 끼움 결합되는 간살;을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형상이나 경사도에 제한없이 횡대 결합이 가능한 고정브라켓 구조를 제공하고, 고정브라켓의 금형을 1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계단에 설치하여 통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계단난간에는 계단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핸드레일과 하부에 상기 핸드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로대,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과 가로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세로대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하층계단 난간과 상층계단 난간의 접속지점에는 서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코너 연결구조가 구비된다.
즉, 한쪽은 하층계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다른 한쪽은 상층계단을 따라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각 핸드레일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계단난간은 상층 핸드레일과 하층 핸드레일을 연결하기 위해 상층 핸드레일 및 하층 핸드레일 사이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관을 볼트에 의한 연결이나 관의 면을 각도를 내어 절단 후 맞대기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연결방법은 상층 핸드레일 및 하층 핸드레일 사이의 코너부에 관을 연결할 때 상층 핸드레일 및 하층 핸드레일의 상하 각도에 맞추어 연결하게 된다.
계단의 경사도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핸드레일과 핸드레일을 받쳐주면서 계단의 단에 입설되는 수직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파이프는 그 하단이 각 계단의 단과 계단참에 매설된 앵커볼트의 머리에 밀착되어 밀착부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용접을 하여 계단참, 층계의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 되게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파이프 설치방식은 수직파이프와 앵커볼트의 밀착부를 일일이 용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용접 부위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므로 다시 별도의 보호캡으로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직파이프를 계단의 단마다 설치되면서 난간 설치 시간이 증가하면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또한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수직파이프를 현장에서 직접 용접 시공하여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좁은 계단에서 용접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경사진 계단 난간을 용접 시공하기 위해서는 숙련자가 아니면 쉽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일정 각도로 경사진 계단 난간을 시공하기도 어렵고, 그만큼 시공 시간과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원가절감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난간지주와 가이드 프레임을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난간 구조 및 구조와 관련된 기술이 제공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3538호를 통해서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기술의 구성은 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설치되는 앵커볼트(11)와, 상기 앵커볼트(11)의 외측에 앵커볼트(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공으로 설치되는 난간지주(15)로 이루어지는 수직고정부재(10); 보행자가 상기 계단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수직고정부재(10)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연결부재(20); 상기 수직고정부재(10)에 상기 수평연결부재(2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속부재(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30)는 상기 난간지주(15)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앵커볼트(11)와 상기 난간지주(15)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링(31)과, 상기 난간지주(15)의 외면에 설치되는 소켓(3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11)의 하부에는 상기 계단에 시공되도록 고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11)의 상부에는 상기 결속부재(30)가 체결되도록 나사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의 하부에는 체결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난간지주(15)에는 상기 결속부재(30)의 소켓(35)이 설치되도록 관통구멍(1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1)에는 상기 앵커볼트(11)의 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고정링본체(32)의 내면에 중공나사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본체(32)에는 상기 소켓(35)이 설치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멍(34)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35)은 상기 난간지주(1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소켓본체(36)와, 상기 소켓본체(36)의 일면에 상기 수평연결부재(20)가 결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삽입공간부(37)와, 상기 소켓본체(36)가 상기 난간지주(15)에 밀착시키는 제1 볼트(41)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볼트구멍(38) 및 상기 삽입공간부(37)에 결합된 상기 수평연결부재(20)를 고정시키는 제2 볼트(42)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멍(39)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난간 구조의 설치환경에 따라 난간 구조의 구성부재 간의 결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난간의 구성부재를 새로이 생산해야 하거나 결합각도를 맞추기 위해서 시공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단실의 폭은 벽체의 마감선부터 핸드레일의 지주 바깥쪽 까지 건축법상 1200mm 이상 확보해야 한다 . 그러나 빌라 특성상 거주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계단폭을 좁게 설계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1 개의 기둥으로 상향 간살대와 하향 간살대를 조립하는 방식인 외기둥 계단 난간을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자유각 고정구는 2개의 부품을 볼트 너트 체결하여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만 볼트 너트를 결합하는 행위가 추가되고 사출 금형이 2개가 제작됨으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자재관리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계단의 모양, 좌우, 경사각도 등의 변수에 따라 브라켓 종류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 및 시공성이 나쁘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좌우 형상이나 경사도에 제한없이 횡대 결합이 가능한 고정브라켓 구조를 제공하고, 고정브라켓의 금형을 1개로 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용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관리 및 생산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조립식 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대와 간살을 별도의 용접이나 접속부재 없이도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결합된 이후에도 횡대와 간살의 결합각도의 용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단의 경사면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재; 상기 기둥재의 상측 단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상호 엇갈리도록 한 쌍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계단 상부에 위치하는 기둥재와 계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둥재 사이에서 상향 고정브라켓과 하향 고정브라켓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계단의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횡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부; 상기 핸드레일부의 하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핸드레일부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브라켓 및 횡대를 형성하는 보조레일부; 및 상기 핸드레일부와 보조레일부의 각 횡대 사이에 일정간격 반복되게 끼움 결합되는 간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횡대의 단부가 장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횡대 장입부; 상기 횡대 장입부의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판형으로 연장되어 좌우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이 기둥재 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는 기둥재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횡대 장입부와 결합플레이트의 경계에 형성되어 기둥재와의 설치각을 가이드하는 설치가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는, 기둥재와 맞닿는 좌, 우측면에 각각 대칭형상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 우측 함몰부 내에 나사체결용 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 일측에 캡결합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 및 캡결합수단의 돌출단부가 함몰부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보강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캡결합수단을 이용해 기둥재 결합플레이트를 감싸서 마감하는 마감캡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횡대 장입부와 결합플레이트의 경계에 배수홀을 형성하여 횡대 장입부 내로 유입된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홀을 이용해 마감캡의 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가드는 상향각 가이드면과 하향각 가이드면이 "V"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상기 상향각 가이드면 또는 하향각 가이드면으로부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의 최외측까지의 거리를 기둥재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횡대는 상호 평행하게 마주하는 단변부와 장변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변부와 장변부 외측을 곡면부로 연결하되, 상기 장변부에는 간살 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간살대 결합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간살대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용하여 간살대 결합홀 내부로 진입하는 후크부재를 대칭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대는 아연도금파이프 본체에 PVC 랩핑에 의한 피복층을 형성하되, 상기 PVC 랩핑 작업은 고주파 가열수단에 의해 작업되고, 상기 피복층은 나무질감을 느낄 수 있는 3차원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은 좌우 형상이나 경사도에 제한없이 횡대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고정브라켓의 금형을 1개로 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용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관리 및 생산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횡대와 간살을 별도의 용접이나 접속부재 없이도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결합된 이후에도 횡대와 간살의 결합각도의 용기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속 절감에 따른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간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횡대장입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횡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조립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대칭구조로 조립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을 도시한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설치가드를 이용해 설치각이 조절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대가 횡대 사이에 결합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살대와 횡대 사이의 착탈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간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횡대장입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횡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조립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대칭구조로 조립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을 도시한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설치가드를 이용해 설치각이 조절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대가 횡대 사이에 결합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살대와 횡대 사이의 착탈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간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횡대장입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횡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조립하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대칭구조로 조립하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을 도시한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설치가드를 이용해 설치각이 조절되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대가 횡대 사이에 결합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살대와 횡대 사이의 착탈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난간은 크게 기둥재(110), 핸드레일부(A), 보조레일부(B), 간살(15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계단의 경사면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재(110)가 개시된다. 이때, 상기 기둥재(110)는 금속재 각파이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둥재(110)는 계단 통로의 바깥쪽 경계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시공된다. 상기 기둥재(110)의 하부는 계단 바닥에 앙카시공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기둥재(110)의 하단에는 앙카시공용 고정브라켓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재(110)는 계단의 경사 시작지점과와 경사 끝지점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고, 이들 기둥재(110) 사이를 핸드레일부(A) 및 보조레일부(B)로 연결하여 보행자의 계단이용을 돕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드레일부(A) 및 보조레일부(B)를 최대한 계단통로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하여 설치하는데 특징이 있다.
한편, 핸드레일부(A) 및 보조레일부(B)를 기둥재(110)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시공현장의 계단경사에 맞춰 현장에서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핸드레일부(A)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부(A)는 기둥재(1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에 양측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횡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레일부(A)의 고정브라켓(130)은 기둥재(11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기둥재(110)의 좌우 양측면에서 한 쌍이 상호 엇갈리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한 쌍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를 갖도록 엇갈리게 설치된다.
이때, 좌우 양측면의 기준은 계단 통로를 기준으로 했을 때, 통로 외측을 좌측면이라 하고, 통로 내측을 우측면이라 칭한다.
이하, 핸드레일부(A)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130)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횡대(120)의 단부가 장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횡대 장입부(131)를 형성한다.
상기 횡대 장입부(131)는 파이프구조의 부재 즉, 횡대(12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일종의 관체형상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횡대 장입부(131)의 구조나 형상은 횡대(120)의 단면형상과 동일 유사하게 제작되는 것이다. 도 3, 도 4를 통해 개시되는 본 발명의 횡대 장입부(131) 예시형태를 설명하면, 상호 평행하게 마주하는 단변부(131a)와 장변부(131b)를 형성하고, 상기 단변부(131a)와 장변부(131b) 외측을 곡면부(131c)로 연결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대 장입부(131)의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판형으로 연장되어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는 좌우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이 기둥재(110) 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나사 체결되는데, 좌우 양측이 대칭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두께는 나사 체결시 결합력이 담보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로 제작되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양측을 함몰시켜 각각 함몰부(133a)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133a)의 내부공간에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체결용 보스(133b), 및 마감캡(140)과의 결합을 위한 캡결합수단(133d)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단부는 라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단부에 함몰부(133a)를 형성하는 바, 함몰부(133a)의 외측은 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라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함몰부(133a)의 내측은 각진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내측의 각진 형태는 후술하게 될 마감캡(140)과의 결합시에 마감캡(140)의 상대 결합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함과 아울러 결합 후에는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는 기둥재(110)와 맞닿는 좌, 우측면에 각각 대칭형상의 함몰부(133a)를 형성하고, 상기 좌, 우측 함몰부(133a) 내에 나사체결용 보스(133b)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133b) 일측에 캡결합수단(133d)을 형성하되,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133b) 및 캡결합수단(133d)의 돌출단부가 함몰부(133a)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133b)의 외주연에는 방사상으로 보강리브(133c)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결합수단(133d)은 돌출형 기둥형상 또는 기둥형상이 결합되는 기둥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결합수단(133d)을 이용해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를 감싸서 마감하는 마감캡(14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을 도시한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마감캡(140)의 외형은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내면에는 기둥재 결합플레이트의 함몰부(133a)에 대응 결합하는 돌출테두리(14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테두리(141) 내에는 캡결합수단(133d)에 대응하는 반대 결합구조의 대응결합수단(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응결합수단(143)의 형태는 기둥재 결합플레이트 측의 캡결합수단(133d)과 반대되는 개념의 돌출형 기둥형상 또는 기둥형상이 결합되는 기둥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기둥재에 대칭구조로 조립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일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횡대 장입부(131)의 폭을 기둥재(110) 두께의 1/2 이하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고정브라켓(130)이 1개의 기둥재(110)를 이용해 좌우 양측에 엇갈리게 시공되더라도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횡대 장입부(131)와 결합플레이트(133)의 경계에 설치가드(135)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가드(135)는 기둥재(110)와의 설치각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난간 조립 작업시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가 기둥재(110)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가드(135)는 상향각 가이드면(135a)과 하향각 가이드면(135b)이 "V"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각 가이드면(135a) 또는 하향각 가이드면(135b)으로부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133)의 최외측 까지의 거리를 기둥재(110)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횡대 장입부(131)와 결합플레이트(133)의 경계에 배수홀(136)을 형성하여 횡대 장입부(131) 내로 유입된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홀(136)을 이용해 마감캡(140)의 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감캡(140) 측에는 배수홀(13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결합돌기(1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브라켓(130)은 계단 상부에 위치하는 기둥재(110)와 계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둥재(110) 사이에서 상향 고정브라켓(130)과 하향 고정브라켓(130)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 고정브라켓(130)과 하향 고정브라켓(130)에 횡대(120)의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계단의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횡대(120)는 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도 4를 통해서 예시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호 평행하게 마주하는 단변부(120a)와 장변부(120b)를 형성하고, 상기 단변부(120a)와 장변부(120b) 외측을 곡면부(120c)로 연결하는 형상의 파이프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횡대(120)는 간살(150) 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간살대 결합홀(123)들을 형성할 수 있는데, 장변부(120b)를 이용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폭이 좁은 직선구간인 단변부(120a)는 핸드레일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는 횡대(120)의 전구간이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손으로 파지할 때 좌우 미끌림이 심해져서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반해서, 파지하는 상면을 직선구간으로 형성하는 경우, 좌우 미끌림이 제한되어 안정감을 느끼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횡대(120)는 아연도금파이프 본체에 PVC 랩핑에 의한 피복층(1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VC 랩핑 작업은 고주파 가열수단에 의해 작업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피복층(125)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층(125)은 나무질감을 느낄 수 있는 3차원 엠보싱(126)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보행자는 핸드레일의 사용시 원목의 질감을 느끼게 되어 보다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미끌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부(A)의 하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핸드레일부(A)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브라켓(130) 및 횡대(120)를 형성하는 보조레일부(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레일부(B)는 횡대(120)와 계단 바닥 사이가 100mm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보조레일부(B)는 핸드레일부(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핸드레일부(A)의 설명으로 갈음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대가 횡대 사이에 결합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살대와 횡대 사이의 착탈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핸드레일부(A)와 보조레일부(B)의 각 횡대(120) 사이에는 일정간격 반복되게 간살(150)이 끼움 결합된다.
상기 간살(150)의 양측 단부에 각각에는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용하는 후크부재(151)를 대칭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횡대(120)와 간살(150)을 별도의 용접이나 접속부재 없이 상호 결합시키고, 결합된 이후에도 결합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간살(150)에 프레싱 공정을 통해 후크부재(151)를 형성한다. 이때 프레싱 압력은 대략 10MPa 정도이며, 프레싱 압력이 10MPa보다 큰 경우에는 후크부재(151)가 횡대(120)에 세게 부딪혀 횡대(120)가 손상되고, 프레싱 압력이 10MPa보다 작은 경우에는 후크부재(151)가 눌리지 않아 횡대의 간살대 결합홀(123)을 통과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후크부재(151)는 간살(150) 몸체의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날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한 휨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0에서와 같이 횡대의 간살대 결합홀(123)을 통과할 때는 날개가 접혀졌다가 통과 후에는 날개가 펴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후크부재(151)의 기능을 통해서 간살(150)과 횡대(120) 결합시 별도의 부품이나 용접이 필요없게 된다.
이때, 상기 후크부재(151)의 프레싱 각도는 간살(140) 몸체의 외면과 15~20도가 되도록 한다. 이때, 20도 이상의 경우에는 조립이 어려우며, 15도 미만인 경우에는 횡대(120)에 간살(150)을 조립하였을 때 고정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재(151)는 횡대(120)의 간살대 결합홀(123)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간살(150)이 횡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상기 횡대(120)에는 간살(150)이 삽입되는 간살대 결합홀(123)이 타공 형성되는데, 상기 간살대 결합홀(123)의 폭은 간살(150)의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벌어진 후크부재(151)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살(150)과 횡대(120) 사이에는 설치각도조절이 자유로운 구조를 제공한다.
예컨대, 횡대(120)에 형성된 간살대 결합홀(123)과 간살(150)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도록 형성함에 따라, 횡대의 간살대 결합홀(123) 유격의 범위 내에서 간살(15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각도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은 좌우 형상이나 경사도에 제한없이 횡대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고정브라켓의 금형을 1개로 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용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관리 및 생산성과 시공성이 우수하며, 횡대와 간살을 별도의 용접이나 접속부재 없이도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결합된 이후에도 횡대와 간살의 결합각도의 용기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속 절감에 따른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기둥재 120: 횡대
120a: 단변부 120b: 장변부
120c: 곡면부 121: 브라켓 체결홀
123: 간살대 결합홀 125: 피복층
126: 3차원 엠보싱 130: 고정브라켓
131: 횡대 장입부 131a: 단변부
131b: 장변부 131c: 곡면부
133: 기둥재 결합플레이트 133a: 함몰부
133b: 나사체결용 보스 133c: 리브
133d: 캡결합수단 135: 설치가드
135a: 상향각 가이드면 135b: 하향각 가이드면
135c: 꼭지점 136: 배수홀
140: 마감캡 141: 돌출테두리
143: 대응결합수단 145: 보조결합돌기
150: 간살 151: 후크부재
A: 핸드레일부 B: 보조레일부
120a: 단변부 120b: 장변부
120c: 곡면부 121: 브라켓 체결홀
123: 간살대 결합홀 125: 피복층
126: 3차원 엠보싱 130: 고정브라켓
131: 횡대 장입부 131a: 단변부
131b: 장변부 131c: 곡면부
133: 기둥재 결합플레이트 133a: 함몰부
133b: 나사체결용 보스 133c: 리브
133d: 캡결합수단 135: 설치가드
135a: 상향각 가이드면 135b: 하향각 가이드면
135c: 꼭지점 136: 배수홀
140: 마감캡 141: 돌출테두리
143: 대응결합수단 145: 보조결합돌기
150: 간살 151: 후크부재
A: 핸드레일부 B: 보조레일부
Claims (5)
- 삭제
- 계단의 경사면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재; 상기 기둥재의 상측 단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상호 엇갈리도록 한 쌍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계단 상부에 위치하는 기둥재와 계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둥재 사이에서 상향 고정브라켓과 하향 고정브라켓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계단의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횡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부; 상기 핸드레일부의 하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핸드레일부와 동일한 구성의 고정브라켓 및 횡대를 형성하는 보조레일부; 및 상기 핸드레일부와 보조레일부의 각 횡대 사이에 일정간격 반복되게 끼움 결합되는 간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횡대의 단부가 장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횡대 장입부; 상기 횡대 장입부의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판형으로 연장되어 좌우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이 기둥재 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는 기둥재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횡대 장입부와 결합플레이트의 경계에 형성되어 기둥재와의 설치각을 가이드하는 설치가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는, 기둥재와 맞닿는 좌, 우측면에 각각 대칭형상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 우측 함몰부 내에 나사체결용 보스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 일측에 캡결합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 및 캡결합수단의 돌출단부가 함몰부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나사체결용 보스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보강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캡결합수단을 이용해 기둥재 결합플레이트를 감싸서 마감하는 마감캡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횡대 장입부와 결합플레이트의 경계에 배수홀을 형성하여 횡대 장입부 내로 유입된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홀을 이용해 마감캡의 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가드는 상향각 가이드면과 하향각 가이드면이 "V"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상기 상향각 가이드면 또는 하향각 가이드면으로부터 기둥재 결합플레이트의 최외측까지의 거리를 기둥재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는 상호 평행하게 마주하는 단변부와 장변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변부와 장변부 외측을 곡면부로 연결하되, 상기 장변부에는 간살 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간살대 결합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간살대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용하여 간살대 결합홀 내부로 진입하는 후크부재를 대칭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는 아연도금파이프 본체에 PVC 랩핑에 의한 피복층을 형성하되, 상기 PVC 랩핑 작업은 고주파 가열수단에 의해 작업되고, 상기 피복층은 나무질감을 느낄 수 있는 3차원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6004A KR102543262B1 (ko) | 2022-07-13 | 2022-07-13 | 조립식 난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6004A KR102543262B1 (ko) | 2022-07-13 | 2022-07-13 | 조립식 난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3262B1 true KR102543262B1 (ko) | 2023-06-14 |
Family
ID=8674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6004A KR102543262B1 (ko) | 2022-07-13 | 2022-07-13 | 조립식 난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326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4507A (ko) * | 1993-11-25 | 1995-06-16 | 임문갑 | 난간 구조물의 조립방법 및 그 구조 |
KR20110105629A (ko) * | 2010-03-19 | 2011-09-27 | 대지금속 주식회사 | 계단난간용 포스트와 핸드바의 연결구조 |
KR101588302B1 (ko) * | 2015-07-01 | 2016-01-26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관절 브라켓 |
KR102160381B1 (ko) * | 2020-05-15 | 2020-09-25 | 김효중 | 조립식 난간 구조 |
KR200493538Y1 (ko) | 2019-07-18 | 2021-04-19 | 홍승표 |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
-
2022
- 2022-07-13 KR KR1020220086004A patent/KR1025432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4507A (ko) * | 1993-11-25 | 1995-06-16 | 임문갑 | 난간 구조물의 조립방법 및 그 구조 |
KR20110105629A (ko) * | 2010-03-19 | 2011-09-27 | 대지금속 주식회사 | 계단난간용 포스트와 핸드바의 연결구조 |
KR101588302B1 (ko) * | 2015-07-01 | 2016-01-26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관절 브라켓 |
KR200493538Y1 (ko) | 2019-07-18 | 2021-04-19 | 홍승표 |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
KR102160381B1 (ko) * | 2020-05-15 | 2020-09-25 | 김효중 | 조립식 난간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0418B1 (ko) |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 |
CA2413295C (en) |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 |
KR20200053252A (ko) |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 |
KR200439417Y1 (ko) | 조립식 난간 | |
KR102543262B1 (ko) | 조립식 난간 | |
JP2007009465A (ja) | 多孔板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2531987B1 (ko) | 난간 조립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간 | |
RU2400603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балко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 |
KR101712376B1 (ko) |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 |
KR200436708Y1 (ko) | 계단난간 | |
KR102011492B1 (ko) | 가로대의 연결구조가 개선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 조립체 | |
KR102011487B1 (ko) | 구조강도가 향상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용 지주 조립체 | |
CN212533700U (zh) | 一种盖梁施工用的拼装式抱箍平台 | |
KR100924619B1 (ko) | 조립식 계단 | |
KR100903833B1 (ko) | 조립식 계단 | |
KR101881515B1 (ko) |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 |
CN210508466U (zh) | 一种预制楼梯的临时防护栏 | |
KR200274990Y1 (ko) | 핸드 레일과 지주의 접합구조 | |
KR200279221Y1 (ko) | 난간 | |
KR100680277B1 (ko) |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 |
JPS5930122Y2 (ja) | 手摺支柱 | |
KR102362861B1 (ko) | 난간 결합체 | |
KR102113576B1 (ko) |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휀스 | |
KR200211926Y1 (ko) |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 |
KR200490267Y1 (ko) |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