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381B1 - 조립식 난간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난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381B1
KR102160381B1 KR1020200058660A KR20200058660A KR102160381B1 KR 102160381 B1 KR102160381 B1 KR 102160381B1 KR 1020200058660 A KR1020200058660 A KR 1020200058660A KR 20200058660 A KR20200058660 A KR 20200058660A KR 102160381 B1 KR102160381 B1 KR 102160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rotating member
coupling
fastening
fixed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중
Original Assignee
김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중 filed Critical 김효중
Priority to KR102020005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 구조는,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립식 난간 구조로서,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난간지주, 난간지주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평바, 수평바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간살, 수평바에 삽입 수용되어 간살과 수평바의 결합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수평바는 간살 및 제1 회동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통공을 포함하고, 제1 회동부재는 간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체결부 및 가이드통공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말단부, 한 쌍의 말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한 쌍의 말단부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난간 구조 {ASSEMBLY RAILING STRUCTURE}
본 개시는 조립식 난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부재를 통해 수평바와 간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여 난간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난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등에는 상, 하층을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이 제공되며, 계단의 가장자리에는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은 안전을 위해 대부분이 철재 혹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기 때문에 난간지주와 간살을 조합한 난간 및 난간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등을 상호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부재를 현장에서 직접 용접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용접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난간지주와 가이드 프레임을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난간 구조 및 구조와 관련된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난간 구조의 설치 환경에 따라 난간 구조의 구성부재 간의 결합 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조립식 난간 구조일지라도 설치 환경에서의 편차를 고려하여 난간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설치 환경에 따라 난간의 구성부재를 새로이 생산해야 하거나 시공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수평바와 간살, 수평바와 난간지주, 핸드레일 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 구조는,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립식 난간 구조로서,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난간지주, 난간지주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평바, 수평바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간살, 수평바에 삽입 수용되어 간살과 수평바의 결합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수평바는 간살 및 제1 회동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통공을 포함하고, 제1 회동부재는 간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체결부 및 가이드통공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말단부, 한 쌍의 말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한 쌍의 말단부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말단부는 제1 결합부가 상기 가이드통공을 통해 상기 수평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바와 난간지주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회동부재는 수평바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체결부는 수평바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제2 회동부재가 난간지주에 사전결정된 각도로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바와 난간지주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3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3 회동부재는 수평바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3 체결부 및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3 체결부는 제3 결합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체결홀을 포함하고, 제3 결합부는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체결홀 및 제3 체결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5 체결홀을 포함하며, 제3 체결부와 제3 결합부 간의 고정 결합된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바와 난간지주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핸드레일과 제2 핸드레일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4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4 회동부재는 제1 핸드레일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암 체결부, 제2 핸드레일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수 체결부 및 암 체결부와 수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암 체결부는 제4 결합부와 맞물려 수 체결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6 체결홀을 포함하고, 수 체결부는 제4 결합부와 맞물려 암 체결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7 체결홀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동부재의 체결부 및 결합부를 통해 수평바와 간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설치 환경이 다르더라도 수평바에 간살을 손쉽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난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난간 구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 인해 수평바나 간살이 변형 또는 파손된 경우 수평바나 간살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결합된 수평바, 간살 및 제1 회동부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회동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조립식 난간 구조는 난간지주(120), 수평바(130), 간살(140) 및 수평바(130)에 삽입 수용되어 간살(140)과 수평바(130)의 결합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동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식 난간 구조는 복수 개의 난간지주(120)가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수평바(130)는 조립식 난간 구조에서 난간지주(12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30)는 난간지주(120) 사이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난간지주(1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배치된 각각의 제2 회동부재(도 4의 410) 또는 제3 회동부재(도 6의 610)에 삽입되어 난간지주(12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동부재(도 4의 410) 및 제3 회동부재(도 6의 610)의 구조와 난간지주(120) 및 수평바(130)와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바(13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수평 플레이트(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수평 플레이트(132) 중 하나에는 간살(140) 및 제1 회동부재(15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통공(1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지주(1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고정 결합된 2개의 수평바(130)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통공(134)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간살(140)은 조립식 난간 구조에서 수평바(130)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살(140)은 난간지주(1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고정 결합된 2개의 수평바(130)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함으로써 난간 구조가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로부터 견고히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살(140)은 말단에서 제1 회동부재(15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살(140)은 제1 회동부재(150)와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살(140)은 말단에서 제1 회동부재(150)와 결합된 상태로 수평바(130)에 삽입되어 수평바(130)와 결합될 수 있다.
수평바(130) 및/또는 간살(140)은 외부의 충격에 강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30) 및/또는 간살(140)은 대향하는 한 쌍의 면(136)이 외측으로 완곡된 플랫 튜브(flat tube)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y-z 평면에서 플랫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플랫 튜브 형태는 응력이 집중되는 튜브의 대향하는 한 쌍의 면(136)이 외측으로 완곡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인하도록 수평바(130) 및/또는 간살(1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수평바(130) 및/또는 간살(140)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평바(130) 및/또는 간살(140)은 외부 충격에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바(130) 및/또는 간살(140)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회동부재(150)는 간살(140)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간살(140)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과 인접한 수평바(130)의 가이드통공(134)에 삽입 수용되어 간살(140)과 수평바(130)의 결합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부재(150)는 간살(14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체결부(152) 및 수평바(130)의 가이드통공(134)에 삽입 수용되는 제1 결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52) 및 제1 결합부(15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평바(130), 간살(140) 및 제1 회동부재(150)가 상호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부재(150)는, 그 하부가 가이드통공(134)을 통해 수평바(130)에 삽입 및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가 수평바(130)의 외부로 돌출되어 간살(1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회동부재(150)가 수평바(130) 및 간살(1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150)의 중간부분은 가이드통공(134)에 걸려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만 회동될 수 있다. 가이드통공(134)의 x축 방향의 길이는, 제1 회동부재(150) 또는 간살(140)이 수평바(130)에 대해 일정 각도의 회동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간살(140)의 x축 방향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바(130)에 대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동부재(150)를 통해 간살(140)과 수평바(13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평지부 뿐만 아니라 경사부를 포함하는 시공환경에서도 간살(140)과 수평바(130)의 결합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부재(150)는 수평바(130)의 가이드통공(134)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회동부재(150)를 통해 간살(140)을 수평바(130)에 손쉽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간살(140)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 간살(140)의 단말에 결합된 제1 회동부재(150)를 수평바(130)의 가이드통공(134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파손된 간살(140)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난간 구조의 시공 뿐만 아니라 보수 및 관리가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동부재(3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1 회동부재(300)는 도 1 및 도 2의 제1 회동부재(150)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부재(300)는 간살(14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체결부(310) 및 수평바(130)의 가이드통공(134)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동부재(300)는 사이드 릴리즈 버클(Side Release Buckle)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310)는 제1 회동부재(300)가 간살(140)에 삽입 수용되도록 제1 회동부재(3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310)는, 간살(140)의 단말에 형성된 통공에 밀접하게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간살(140)의 단말에 형성된 통공과 대략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310)의 수평방향(예를 들어, x-y 평면 방향) 단면은 간살(140)의 수평방향 단면에 상응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10)와 간살(140)은,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는 한 쌍의 말단부(322), 가이드 빔(324), 및 말단부(322)의 상부와 가이드 빔(324)의 상부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홈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말단부(322)는 가이드 빔(324)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말단부(322)는, 제1 결합부(320)가 가이드통공(134)을 통해 수평바(130)에 삽입될 때, y축을 따라 제1 결합부(320)의 내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20)가 가이드통공(134)에 삽입 완료된 후에는, 한 쌍의 말단부(322)는 y축을 따라 제1 결합부(320)의 외측방향으로 다시 이동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말단부(322)는 가이드통공(134)을 통해 수평바(130)에 삽입되는 동안에 탄력적으로 수축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된 후에 원래 형상으로 복구됨으로써, 제1 결합부(320)가 수평바(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말단부(322)에 대해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가이드통공(134) 밖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310)의 y축 길이는 가이드통공(134)의 y축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되며, 한 쌍의 말단부(322)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320)의 y축 길이는 가이드통공(134)의 y축 길이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말단부(322)는 제1 체결부(310)와 대비하여 제1 결합부(3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통공(134)을 통해 수평바(130)에 삽입 완료된 제1 결합부(320)가 수평바(130)로부터 가이드통공(134) 밖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말단부(322)는, 가이드통공(134)을 통해 유연하게 삽입되도록 y축 방향의 길이가 -z 축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그 외측면이 완곡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말단부(322)는 가이드통공(134)에 유연하게 삽입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말단부(322)는 내구력이 뛰어나며 탄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빔(324)은 한 쌍의 말단부(322)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말단부(32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빔(324)은, 제1 결합부(320)가 가이드통공(134)에 삽입될 때, 한 쌍의 말단부(322)가 y축을 따라 제1 결합부(32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가이드(또는 한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빔(324)은 한 쌍의 말단부(322)가 가이드통공(134)에 유연하게 삽입되고 삽입 완료 후에는 가이드통공(134)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z 축 방향에서 -z 축 방향으로 갈수록 y축 길이(또는 폭)가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빔(324)의 일 측면은 대략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홈부(326)는 한 쌍의 말단부(322) 각각과 가이드 빔(3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홈부(326)는 y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말단부(322)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말단부(322)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은, 한 쌍의 말단부(322)가 가이드통공(134)에 삽입될 때 제1 결합부(320)의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추가의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한 쌍의 말단부(322)가 가이드통공(13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말단부(322)의 내측에 형성된 홈의 단면은 대략 반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식 난간 구조는, 난간지주(120), 수평바(130), 간살(140), 제1 회동부재(150) 및 제2 회동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동부재(410)는 난간지주(120)와 수평바(130)가 일정한 각도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동부재(410)는 수평바(130)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 체결부(412) 및 난간지주(120)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결합부(4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412) 및 제2 결합부(414)의 구조와 수평바(130) 또는 난간지주(120)가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회동부재(410)는 난간지주(120)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홀(도 5의 522)을 가리는 덮개부(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동부재(50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 회동부재(500)는 도 4의 제2 회동부재(41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동부재(500)는 제2 체결부(510) 및 제2 결합부(5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동부재(500)는 결합가이드부(524)의 2개의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는 2개의 각도 중 어느 하나로 수평바와 난간지주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동부재(5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체결부(510)는 수평바가 제2 회동부재(500)에 삽입 수용되도록 제2 회동부재(50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부(510)의 단면은, 수평바와 밀접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바의 단면과 대략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510)의 수직방향 단면은 수평바의 수직방향 단면에 상응되는 플랫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체결부(510)는 수평바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체결부(510)에 수평바의 말단이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체결부(510)는 제1 체결홀(512)을 통해 수평바와 볼트체결됨으로써, 수평바와 제2 회동부재(50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520)는, 난간지주에 제2 회동부재(500)가 고정 결합되도록 제2 회동부재(5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520)는 제2 체결홀(522) 및 결합가이드부(5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520)는 제2 체결홀(522)을 통해 난간지주와 볼트체결됨으로써, 제2 회동부재(500)와 난간지주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홀(522)은 제2 결합부(520)의 일측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520)에 형성된 제2 체결홀(522)의 개수는, 제2 회동부재(500)와 난간지주 간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한 개 이상일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5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상향의 대각선 방향과 우상향의 대각선 방향의 총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524)의 경사면들은, 일반 조립식 난간 구조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준 규격에 따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식 난간 구조는, 난간지주(120), 수평바(130), 간살(140), 제1 회동부재(150) 및 제3 회동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회동부재(610)는 난간지주(120)와 수평바(1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회동부재(610)는 수평바(130)와 난간지주(120)의 결합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회동부재(610)는 수평바(130)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3 체결부(612) 및 난간지주(120)에 고정 결합되는 제3 결합부(6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부(612) 및 제3 결합부(614)의 구조와 수평바(130) 또는 난간지주(120)와의 결합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7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회동부재(700)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3 회동부재(700)는 도 5의 제3 회동부재(61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회동부재(700)는 제3 체결부(710) 및 제3 결합부(7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회동부재(700)는, 이하에서 설명할 볼트 체결부(730)를 풀고 조이는 과정에서도, 강인하도록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3 체결부(710)는 수평바가 제3 회동부재(700)에 삽입 수용되도록 제3 회동부재(70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체결부(710)의 단면은, 수평바의 단말에 밀접하게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수평바의 단면과 대략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710)의 수직방향 단면은 수평바의 수직방향 단면에 상응되는 플랫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체결부(710)는 제3 결합부(720)와 고정 결합되도록 도 7의 y축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제3 체결홀(7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720)는 난간지주에 제3 회동부재(700)가 고정 결합되도록 제3 회동부재(7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부(720)는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체결홀(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720)는 제4 체결홀(722)을 통해 난간지주와 볼트체결됨으로써 제3 회동부재(700)와 난간지주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720)는 제3 체결부(710)와 고정 결합되도록 도 7의 y축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제5 체결홀(7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x축을 따라 제3 체결부(710)와 제3 결합부(720)가 맞닿는 부분은, 도 7의 y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반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부(710)와 제3 결합부(720)가 맞닿는 부분은 도 7의 x-y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ㄱ'과 'ㄴ'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회동부재(700)는 제3 체결부(710)와 제3 결합부(720) 간의 고정 결합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바와 난간지주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체결부(710)와 제3 결합부(720)가 맞물린 상태에서, 제3 체결홀(712) 및 제5 체결홀(724)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부(730)가 체결되면, 도 7의 y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3 체결부(710)와 제3 결합부(720)가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회동부재(700)는 난간지주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제3 결합부(720)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제3 회동부재(700)의 제3 체결부(710)에 수평바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부(730)를 중심으로 난간지주로부터 제3 회동부재(70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고, 삽입된 수평바는 볼트 체결에 의해 제3 회동부재(7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3 회동부재(700)를 통해 난간지주와 수평바의 결합각도를 조절하여 수평바를 난간지주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난간 구조를 설치하는 환경에 따라 난간지주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더라도 난간 구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110)의 상부면에 설치된 조립식 난간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식 난간 구조는 난간지주(120), 수평바(130), 간살(140), 제1 회동부재(150), 핸드레일(810) 및 제4 회동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회동부재(820)는 2개의 핸드레일(810) 간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회동부재(820)는 일측에서 핸드레일(810)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암 체결부(822), 타측에서 핸드레일(810)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수 체결부(824) 및 암 체결부와 수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4 결합부(도 9의 9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 체결부(822), 수 체결부(824) 및 제4 결합부(도 9의 930)의 구조와 핸드레일(810)과의 결합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회동부재(900)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제4 회동부재(900)는 도 8의 제4 회동부재(82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회동부재(900)는 암 체결부(910), 수 체결부(920) 및 제4 결합부(9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회동부재(900)는 금속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암 체결부(910)는 핸드레일이 제4 회동부재(900)에 삽입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암 체결부(910)는 핸드레일과 밀접하게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그 단면들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체결부(910)의 수직방향 단면은 헨드레일의 수직방향 단면에 상응되는 대략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체결부(910)는, 제4 결합부(930)와 맞물려 수 체결부(920)에 연결되도록, 수 체결부(920)와 인접하는 면에 형성된 제6 체결홀(9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암 체결부(910) 및 수 체결부(920)와 맞물린 제4 결합부(930)가 제6 체결홀(912) 내에서 도 9의 x-z 평면을 따라 가동 범위를 확보함으로써 핸드레일 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6 체결홀(912)의 x축 방향 길이가 제4 결합부(930)의 x축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체결홀(912)은 직사각형이고 제4 결합부(930)는 볼트(932)와 너트(934)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6 체결홀(912)의 x축 방향 길이는 볼트(932) 꼬리의 지름보다 크고 핸드레일 간의 결합 각도에 대응하는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수 체결부(920)는 핸드레일이 제4 회동부재(900)에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 체결부(920)는 핸드레일과 밀접하게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그 단면들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체결부(920)의 수평방향 단면은 헨드레일의 수평방향 단면에 상응되는 대략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체결부(920)는 제4 결합부(930)와 맞물려 암 체결부(910)에 연결되도록 암 체결부(910)와 인접하는 면에 형성된 제7 체결홀(9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7 체결홀(922)의 크기는 제4 결합부(93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4 결합부(930)가 제7 체결홀(922) 내에서 도 9의 x-y평면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체결홀(922)은 원형이고 제4 결합부(930)는 볼트(932)와 너트(934)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7 체결홀(922)의 지름은 제4 결합부(930)의 볼트(932) 꼬리의 지름에 대응할 수 있다.
제4 결합부(930)는 제6 체결홀(912) 및 제7 체결홀(922)을 통해 암 체결부(910) 및 수 체결부(920)와 맞물려 암 체결부(910)와 수 체결부(92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결합부(930)는 볼트(932)와 너트(93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제6 체결홀(912)의 y축 방향 길이는 볼트(932) 꼬리의 지름보다 크고 볼트(932) 머리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932)는 암 체결부(910)의 내측으로부터 제6 체결홀(912)로 삽입되어 암 체결부(910)와 맞물리고, 너트(934)는 제7 체결홀(922)로 삽입된 볼트(932) 꼬리와 결합하여 수 체결부(920)와 맞물릴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결합부(930)가 제6 체결홀(912) 내에서 도 9의 x-z 평면을 따라 가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고, 이로부터 핸드레일들 간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4 회동부재(900)를 통해 핸드레일들 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난간 구조를 설치하는 환경에 따라 핸드레일 간의 결합 각도가 가변되더라도 난간 구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 120: 난간지주
130: 수평바 140: 간살
150, 300: 제1 회동부재
152, 310: 제1 체결부 154, 320: 제1 결합부
410, 500: 제2 회동부재
412, 510: 제2 체결부 414, 520: 제2 결합부
610, 700: 제3 회동부재
612, 710: 제3 체결부 614, 720: 제3 결합부
730: 볼트 체결부
810: 핸드레일
820, 900: 제4 회동부재
822, 910: 암 체결부 824, 920: 수 체결부
930: 제4 결합부

Claims (5)

  1.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립식 난간 구조로서,
    지표면 또는 하부 구조물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평바;
    상기 수평바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간살; 및
    상기 수평바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간살과 상기 수평바의 결합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는 상기 간살 및 상기 제1 회동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상기 간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가이드통공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말단부, 상기 한 쌍의 말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말단부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빔을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말단부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가이드통공을 통해 상기 수평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난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와 상기 난간지주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수평바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회동부재가 상기 난간지주에 사전결정된 각도로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홀을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와 상기 난간지주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3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회동부재는 상기 수평바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3 체결부 및 상기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제3 결합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난간지주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체결홀 및 상기 제3 체결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5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체결부와 상기 제3 결합부 간의 고정 결합된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바와 상기 난간지주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난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핸드레일과 제2 핸드레일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4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회동부재는 상기 제1 핸드레일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암 체결부, 상기 제2 핸드레일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수 체결부 및 상기 암 체결부와 상기 수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체결부는 상기 제4 결합부와 맞물려 상기 수 체결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6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 체결부는 상기 제4 결합부와 맞물려 상기 암 체결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7 체결홀을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구조.
KR1020200058660A 2020-05-15 2020-05-15 조립식 난간 구조 KR10216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0A KR102160381B1 (ko) 2020-05-15 2020-05-15 조립식 난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60A KR102160381B1 (ko) 2020-05-15 2020-05-15 조립식 난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381B1 true KR102160381B1 (ko) 2020-09-25

Family

ID=7270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60A KR102160381B1 (ko) 2020-05-15 2020-05-15 조립식 난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3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668B1 (ko) 2021-01-14 2021-10-01 김준수 미스트 분무형 난간
KR102531987B1 (ko) * 2022-07-12 2023-05-12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난간 조립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간
KR102543262B1 (ko) * 2022-07-13 2023-06-14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조립식 난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25U (ko) * 1997-12-10 1999-07-05 김진보 계단용 난간 지지대 고정구
KR200446121Y1 (ko) * 2009-06-10 2009-09-28 조계환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KR101703929B1 (ko) * 2016-02-23 2017-02-08 주식회사 비와이물산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KR20190046308A (ko) * 2017-10-26 2019-05-07 (유)원테크 착탈 결합식 조인트 구조를 갖는 펜스 조립체
KR102088599B1 (ko) * 2019-09-27 2020-03-12 주식회사 하나로금속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25U (ko) * 1997-12-10 1999-07-05 김진보 계단용 난간 지지대 고정구
KR200446121Y1 (ko) * 2009-06-10 2009-09-28 조계환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KR101703929B1 (ko) * 2016-02-23 2017-02-08 주식회사 비와이물산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KR20190046308A (ko) * 2017-10-26 2019-05-07 (유)원테크 착탈 결합식 조인트 구조를 갖는 펜스 조립체
KR102088599B1 (ko) * 2019-09-27 2020-03-12 주식회사 하나로금속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668B1 (ko) 2021-01-14 2021-10-01 김준수 미스트 분무형 난간
KR102531987B1 (ko) * 2022-07-12 2023-05-12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난간 조립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간
KR102543262B1 (ko) * 2022-07-13 2023-06-14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조립식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381B1 (ko) 조립식 난간 구조
AU2011209619B2 (en) Scaffold system and method
US20150204103A1 (en) Railing system
US20150152654A1 (en) Support steel pipe and bracket for scaffolding or falsework, and scaffolding or falsework
EP1609912A1 (de) Ausbildung eines korrosionsgeschützten Zugglieds im Bereich einer an einer Abstützung angeordneten Umlenkstelle, insbesondere eines Schrägseils am Pylon einer Schrägseilbrücke
WO2011079616A1 (zh) 碗盘组合式钢管脚手架
KR102341317B1 (ko) 삽입형 유동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난간 시공방법
US6736373B2 (en) Connector assembly for handrail installation
EP3327213A1 (en) Node elements, kit, and method for assembling
JP2023041907A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
CN213868280U (zh) 梁柱连接节点
EP3997284B1 (en) Heavy duty transom for structural support systems
KR101004204B1 (ko)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DE69927538T2 (de) Zusammenbau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rohrförmige Elemente
CN218581984U (zh) 一种特种钢材的快速拼装结构
KR200419382Y1 (ko)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CN111005517A (zh) 阳台栏杆的快速连接件
KR102511719B1 (ko) 휨 변형 방지를 위한 h 빔 조립체
CN217460305U (zh) 一种高铁箱梁施工用快拆临时护栏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JPH0523680Y2 (ko)
CN219528637U (zh) 一种可拼接式防护栏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1166795B1 (ko) 교량의 점검시설용 난간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