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21Y1 -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 Google Patents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21Y1
KR200446121Y1 KR2020090007499U KR20090007499U KR200446121Y1 KR 200446121 Y1 KR200446121 Y1 KR 200446121Y1 KR 2020090007499 U KR2020090007499 U KR 2020090007499U KR 20090007499 U KR20090007499 U KR 20090007499U KR 200446121 Y1 KR200446121 Y1 KR 200446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inclination
coupl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계환
Original Assignee
조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계환 filed Critical 조계환
Priority to KR2020090007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수단의 구성과 관련하여 필요한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작업성과 최종 제품 완성에 따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대상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대상체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1경사수단과,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경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향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수단 중 상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경사수단은, 상기 제1절곡부에 의해 개구된 상방향 수평프레임의 하면을 폐쇄시키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제1걸림공과, 상기 제1절곡부와 제1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부가 제1걸림공으로 노출되고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1관부재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HAND RAIL}
본 고안은 평지면이든 경사면이든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운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수단의 구성과 관련하여 필요한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작업성과 최종 제품 완성에 따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계단 난간의 일반적인 구성은 난간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상하로 나열된 상·하 방향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하 수평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난간의 높이와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난간의 경우 건물마다 시공되는 계단 내지 비탈면의 경사가 다를 수 있어 계단 내지 비탈면의 시공과 동시에 난간이 함께 설치되지 못하고 계단 내지 비탈면을 먼저 설치한 후에 그 경사진 각도에 따라 난간을 별도로 제작하고 설치해야 하는 등 공사기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고 이에 따라 공사비용 또한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형성된 계단 내지 비탈면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난간 제작 당시부터 정교하게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수정 작업을 별도로 거치는 것이 대부분이고, 수정작업이 불가능할 때에는 각도의 차이가 있는 상태로 난간을 시공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공되는 계단 등의 경사에 맞추어 난간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난간들이 선보이고 있는데,
실용신안등록 제0132119호(1998.09.23) 『건물계단용난간』, 공개실용신안 제2001-0000080호(2001.01.05)『난간봉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계단 난간』, 실용신안등록 제0393014호(2005.08.08)『핸드레일용 계단 난간 구조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중 실용신안등록 제0132119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01-0000080호는 계단에 형성된 경사 정도에 맞추어 난간의 경사를 난간 설치시 바로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본원 고안과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것이나,
그 구체적인 경사를 조절하는 수단의 구조가 본원 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비해 복잡하고 이에 따른 작업성 또한 저해되는 것이어서 본원고안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93014호를 살펴보면, 이는 『핸드레일에 설치 구성되는 간살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과 간살 간에는 고정체와 관절용 지지체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는 하측 외면이 반구형상을 한 미끄럼면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불관절이 삽입되는 볼컵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관절용 지지체는 상측부에 상기 고정체의 미끄럼면이 삽입 당접되는 반원형의 미끄럼홈을 형성하고 상기 미끄럼홈의 중앙 상측으로 볼 지지리브에 의해 볼 관절을 돌출 형성하여 한 구성』인 것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볼이나 관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부재에 수직프레임을 결합시켜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경사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일견 본원 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구성과 비슷해보인다.
그러나 본원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구조에 비해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93014호는 구조 또한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한계와, 특히 실용신안등록 제393014호는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체를 구비하여 이를 수평프레임에 체결시켜야 한다는 작업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의 문제 여지가 있는 기술이다.
또한 상부쪽과 하부쪽에서 형성되는 하중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실용신안등록 제393014호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동일한 구성의 경사 조절 수단을 채용하여 하중 차이에 쉽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는 기술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경사를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설치 이후 장기간 사용에도 내구력이 우수한 난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프레임의 형성에 있어 프레임의 연결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경사수단의 구비시 내구력이 보장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고려되는 계단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간단한 구조로도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경사 각도가 제한될 수 있는 난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고안의 난간대는,
대상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대상체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1경사수단과,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경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향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수단 중 상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경사수단은, 상기 제1절곡부에 의해 상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제1절곡부와 제1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부가 걸림공으로 노출되고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1관부재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난간대의 하방향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수단 중 하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경사수단은, 상기 제2절곡부에 의해 하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하방향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제2결합부에 안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2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수평프레임에 대해 수직프레임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경사수단을 형성함에 있어 기존의 경사형성이 가능한 난간대보다 보다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기존 난간대와 비교시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내구력을 기대할 수 있는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통판 프레임을 절곡시켜 본 고안의 상부 내지 하부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고안의 제2경사수단과 같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이음새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등 외관상으로도 수려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간단한 방법으로 통상적인 계단의 경사 각도에 맞추어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회동 각도 제한이 가능하여 시공시의 편의성을 높인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난간대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상향경사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하향경사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을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평프레임 110: 상방향 수평프레임 120: 하방향 수평프레임
20: 수직프레임 30; 제1경사수단
40: 제2경사수단 410: 제2상향경사수단 420: 제2하향경사수단
115; 제1절곡부 125: 제2절곡부
412: 제1결합부 414: 걸림공 416: 제1관부재
422: 제2결합부 424: 관통공 4264262관부재
P: 이음새 D; 직경 d: 높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계단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계단을 도시하였으나 비탈면 등 다양한 경사가 형성된 곳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계단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난간대에 한정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난간대와 기능이 유사한 펜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난간대의 양 끝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즉, 제1경사수단(30)이 형성되는 벽면이나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이하에서는 대상체라고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난간대는
벽면이나 별도의 지지프레임이 될 수 있는 대상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위치한 상하방향 수평프레임(10)과, 상기 상하방향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프레임이 대상체를 기준으로 계단 등의 경사에 대응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경사수단(30)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을 기준으로 계단 등의 경사에 대응되어 자연스럽게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경사수단(40)이 구비된다.
제1경사수단(30)은 수평프레임에서 형성된 삽입부(310)가 대상체에 형성되는 대응부(320)에 삽입된 후 체결수단(330)에 의해 회전 내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됨으로써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수단을 삽입부 및 대응부의 통공에 삽입한 후 체결수단의 양 끝단을 타격하여 삽입부 및 대응부가 체결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이탈방지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2경사수단(40)을 살펴보면,
제2경사수단은 수평프레임에 대해서 수직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제2경사수단(이하, 제2상향경사수단(410)이라 칭한다)과 하방향 수평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제2경사수단(이하, 제2하향경사수단(420)이라 칭한다)은 구체적인 구조는 하중이나 사용상태의 필요에 따라 서로 조금씩 달리한다.
이는 제2상향경사수단(410)이 견뎌야 하는 하중보다는 제2하향경사수단(420)이 견뎌야 하는 하중이 크고 이에 맞추어 구조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고,
나아가 설치 후 외부적으로 보여지는 이음부분 등 또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목적 즉, 간단한 구조를 제안하여 제작 및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내구성을 만족하면서도 외관적으로 수려한 이미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제2경사수단 모두에 반영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2상향경사수단(420)을 살펴보면,
우선 제2상향경수사단이 형성되기 위해서 상방향 수평프레임(110)에는 제1절곡부(115)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1절곡부(115)는 수평프레임의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 삽입됨으로써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절곡부(115)는 제2상향경사수단의 형성에 필요한 구조이기도 하지만, 상방향 수평프레임(110)의 제작시 제작 단가와 제작 편의성, 그리고 완성시 이음새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이다.
즉, 상방향 수평프레임(110)은 재질 특성과 제조 단가의 이유로 넓은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켜 최종적인 모양을 완성시키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절곡된 판재의 일단과 타단을 납땜 등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이 경우 연결된 이음새(P)를 내측으로 삽입된 제1절곡부(115) 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상으로는 이음새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깔끔한 표면 연출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2상향경사수단(410)은,
상기 제1절곡부(115)에 의해 개구된 상방향 수평프레임의 개구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412)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걸림공(414)과, 수직프레임과 결합된 것으로 걸림공(414)에 일부가 노출되어 걸쳐진 상태로 회동되기 위한 제1관부재(416)로 이루어진다.
즉, 제1결합부(412)에 형성된 걸림공(414)으로 제1관부재(416)를 안치시켜 걸림공으로 제1관부재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제1결합부(412)와 제1절곡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110)을 체결하는 것으로,
걸림공에 걸쳐진 상태로 회동이 가능한 제1관부재(416)의 회동에 의해 수평프레임(110)에 대한 수직프레임(20)의 자연스러운 각도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앞서 설명된 종래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393014호에 비해, 제2상향경사수단을 형성함에 있어
구조 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1관부재를 수평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에 편의성 또한 증진하였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2하향경사수단(420)을 살펴보면,
이 또한 제2하향경사수단이 형성되기 위해서 하방향 수평프레임(120)에는 제2절곡부(125)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2절곡부(125)는 제1절곡부와 동일하게 하방향 수평프레임의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 삽입됨으로써 형성된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나
제1절곡부는 상방향 수평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삽입 절곡되는 면을 가진 형태인 반면, 제2절곡부는 하방향 수평프레임에서 내측으로 삽입 절곡시킨 후 내측으로 삽입된 면은 절단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상향경사수단에 있어서는 제1결합부에 수직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관부재가 걸쳐지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상방향 수평프레임이 얹혀지는 구조이기에 제1절곡부는 내측으로 삽입 절곡된 면 형태이어야 하나,
제2하향경사수단에 있어서는 제2결합부에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관부재가 안치되고 제2관부재의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간단하면서도 외관상 이음새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필요에 의해 제2절곡부는 하방향 수평프레임의 하면이 내측으로 삽입 절곡된 후 삽입된 면이 절단된 형태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하향경사수단(420)은,
상기 제2절곡부(125)에 의해 하방향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422)와, 상기 하방향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424)과, 상기 제2결합부 상면에 안치되고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일부가 하방향 수평프레임 상부로 노출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2관부재(426)로 이루어진다.
즉, 제2결합부(422)에 제2절곡부가 형성된 하방향 수평프레임(120)을 안치시켜 결합하되, 제2결합부에 안치된 제2관부재(426)를 제2절곡부(125)를 지나 하방향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424)에 관통되도록 하면서 제2결합부(422)를 하방향 수평프레임(120)과 결합시킨다.
따라서 관통공을 통해 일부가 노출된 제2관부재(426)는 수직프레임(20)과 결합되면서 제2상향경사수단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 맞추어 회동되어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자연스러운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제2하향경수사단(420)은 제2상향경사수단(410)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 맞추어 각도가 형성되는 되는 것이기에 수직프레임과 결합된 제2관부재의 회동 각도를 관통공의 형성 크기에 따라 제한시킬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제2상향경사수단(410)의 경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관부재(416)의 회동 각도가 제한되지 않는다면 설치 이후 외력에 의하여 수직프레임이 요동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한 사고 위험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위험 요소를 없애기 위해 제2상향경사수단(410)의 경우 제1관부재(416)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제1관부재가 걸림공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높이를 제한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노출 높이 제한은 제1절곡부에 형성되는 걸림공(414)의 형성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관부재(416)의 전체 직경 길이의 17 내지 21%가 걸림공(414)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치는 제2상향경수수단의 회동 가능한 각도를 25도에서 35도 정도로 제한을 두기 위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관부재(416)의 전체 직경의 길이(D)를 37로 가정하는 경우, 제1관부재가 걸림공을 통해 노출되는 높이(d)는 7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난간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대상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을 대상체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1경사수단;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평프레임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경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향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수단 중 상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경사수단은,
    상기 제1절곡부에 의해 상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제1절곡부와 제1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부가 걸림공으로 노출되고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1관부재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에 대한 수직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향 수평프레임은 하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수단 중 하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경사수단은,
    상기 제2절곡부에 의해 하방향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하방향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제2결합부에 안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한 제2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경사 형성을 위하여 제1관부재는 전체 직경 길이의 17 내지 21%가 걸림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여 경사 형성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KR2020090007499U 2009-06-10 2009-06-10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KR200446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99U KR200446121Y1 (ko) 2009-06-10 2009-06-10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99U KR200446121Y1 (ko) 2009-06-10 2009-06-10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21Y1 true KR200446121Y1 (ko) 2009-09-28

Family

ID=4164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499U KR200446121Y1 (ko) 2009-06-10 2009-06-10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34B1 (ko) 2020-02-17 2020-09-17 양희숙 조립식 난간구조물
KR102160381B1 (ko) * 2020-05-15 2020-09-25 김효중 조립식 난간 구조
GB2598268A (en) * 2020-09-01 2022-03-02 Ashley Hyams Jonathan Universal balustra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918A (ja) * 1994-04-25 1995-11-07 Naigai:Kk 手摺りユニット
JP2004019364A (ja) * 2002-06-19 2004-01-22 Naka Ind Ltd 手摺の角度調節構造
JP2007046276A (ja) * 2005-08-08 2007-02-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手摺り取り付け構造
KR100763645B1 (ko) * 2006-05-12 2007-10-05 김오형 비용접 구조의 난간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918A (ja) * 1994-04-25 1995-11-07 Naigai:Kk 手摺りユニット
JP2004019364A (ja) * 2002-06-19 2004-01-22 Naka Ind Ltd 手摺の角度調節構造
JP2007046276A (ja) * 2005-08-08 2007-02-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手摺り取り付け構造
KR100763645B1 (ko) * 2006-05-12 2007-10-05 김오형 비용접 구조의 난간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34B1 (ko) 2020-02-17 2020-09-17 양희숙 조립식 난간구조물
KR102160381B1 (ko) * 2020-05-15 2020-09-25 김효중 조립식 난간 구조
GB2598268A (en) * 2020-09-01 2022-03-02 Ashley Hyams Jonathan Universal balustrading
GB2598268B (en) * 2020-09-01 2024-07-10 Ashley Hyams Jonathan Universal balustra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3295C (en)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KR200446121Y1 (ko) 경사형성이 자연스러우면서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난간대
KR100513230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WO2007096641A1 (en) Balustrading
CN110295679A (zh) 变形缝预埋组装式盖板结构
JP2006328738A (ja) 建物
KR10142559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102037665B1 (ko) 다용도 건축 자재용 조립식 계단 블록
KR200274990Y1 (ko) 핸드 레일과 지주의 접합구조
KR101847057B1 (ko) 건축용 외부 마감재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CN110403501A (zh) 稳固型整体卫浴底盘安装结构及其整体卫浴底盘
KR100777867B1 (ko) 계단용 난간 지주 조인트
KR200382507Y1 (ko) 난간용 지주
CN212104508U (zh) 一种入户阳台
JP4559268B2 (ja) 手摺
KR100577090B1 (ko) 조립식 사이딩
CA3112336C (en) Apartment balcony
KR20140000543U (ko) 채광 패널 구조물
JPH10159043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JP3081170B2 (ja) 手摺りの支柱構造
CN207863337U (zh) 一种装配式楼梯扶手连接装置
JP5354716B2 (ja) 建物付設物
CN205857539U (zh) 一种雨水收集的下排瓦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