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302B1 - 관절 브라켓 - Google Patents
관절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302B1 KR101588302B1 KR1020150094309A KR20150094309A KR101588302B1 KR 101588302 B1 KR101588302 B1 KR 101588302B1 KR 1020150094309 A KR1020150094309 A KR 1020150094309A KR 20150094309 A KR20150094309 A KR 20150094309A KR 101588302 B1 KR101588302 B1 KR 101588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bracket
- fixing
- guide slit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04H17/1421—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 E04H2017/1452—
-
- E04H2017/1473—
-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고정브라켓의 연결구의 외면과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로 인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레일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브라켓의 상하각도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어 상기 레일부재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 관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주고정브라켓의 연결구의 외면과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로 인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레일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브라켓의 상하각도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어 상기 레일부재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 관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 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치료보다 예방을 중시하는 국가 시책으로 국민 들의 건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여 국가적으로 전 국토의 산림을 이용하여 둘레길, 울레길, 산책로 등의 길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길은 대부분 산이나 숲 속에 있는 관계로 험하다.
따라서, 보행자가 다니기 편리하도록 보행이 불편한 보행로의 바닥에는 방부목(약품을 이용하여 썩지 않도록 처리한 나무)으로 데크를 깔고 산책로 옆으로는 안전과 입산 금지의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난간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지형마다 지면의 형태가 고르지 못해, 보행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난간 자체를 일정하게 설치하기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또한, 통상의 보행로 설치 장소가 산악 지형인 관계로 난간 설치치 난간 사이의 경사도가 각각 달라 현장에서 조립해야지 사전에 미리 예측하고 잘라오면 대부분이 맞지 않아 실제 난간 설치에 애로점이 많았다.
또한, 현장에서 조립하는 경우 여러가지 설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공간적 제약에 따라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특히 기둥에 가로 바를 연결할 때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연결할 수 있도록 기둥에 고정하는 고정판과 가로바에 고정하는 브라켓을 걸어 볼트, 너트로 고정하여 이용하는 난간 브라켓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8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86호의 경우, 가로바가 삽입되는 브라켓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취약해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파손될 우려가 다분함은 물론 지면경사도에 따라 브라켓의 상하각도가 조절될 수 없어 브라켓에 삽입되는 가로바가 지면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주고정브라켓의 연결구의 외면과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로 인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레일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브라켓의 상하각도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어 상기 레일부재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 관절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연결구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지주고정브라켓과; 내부에 레일부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일측면 전측 및 상기 체결몸체의 일측면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전측과 상기 고정몸체의 후측에 각각 체결되고 중심부에 상기 연결구의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체결판으로 구성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의 관통구와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브라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와 함께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고,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가이드슬릿내에 상기 체결브라켓 및 상기 체결부재의 좌우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의 좌우폭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보강리브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각각 보강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연결구의 내면 상측과 상기 연결구의 내면 하측에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체결브라켓의 체결몸체의 일측에 상기 체결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체결몸체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호형상의 돌출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고정판의 전측과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고정판의 후측에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브라켓의 체결몸체의 대각선길이는 상기 레일부재의 대각선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의 체결몸체의 외면에 상기 체결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립방지용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주고정브라켓의 연결구의 외면과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로 인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레일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브라켓의 상하각도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어 상기 레일부재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관절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연결구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연결구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보강리브 사이마다 보강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연결구의 내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체결몸체의 일측에 돌출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어느 하나의 체결몸체와 다른 하나의 체결몸체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및 도 11은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고정판에 고정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3은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연결구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연결구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보강리브 사이마다 보강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연결구의 내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체결몸체의 일측에 돌출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어느 하나의 체결몸체와 다른 하나의 체결몸체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및 도 11은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고정판에 고정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3은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관절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관절브라켓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주고정브라켓(10), 체결브라켓(20) 및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은 연결구(110), 고정몸체(130), 고정판(150) 및 보강리브(17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10)의 내측에 상기 연결구(1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1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몸체(130)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구(11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50)은 상기 고정몸체(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주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리브(170)는 상기 연결구(110)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130)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20)은 체결몸체(210) 및 체결판(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몸체(210)의 내부에는 레일부재(9)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230)은 상기 체결몸체(210)의 일측면 전측 및 상기 체결몸체(210)의 일측면 후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230)의 중심부에는 상기 연결구(110)의 가이드슬릿(113)과 연통되는 관통구(23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230)은 상기 고정몸체(130)의 전측과 상기 고정몸체(130)의 후측에 각각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체결브라켓(20)의 관통구(233)와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가이드슬릿(11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20)을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에 체결시킨다.
상기 체결부재(30)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브라켓(20)의 체결몸체(210)의 외면에 상기 체결몸체(21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립방지용돌기(215)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체결브라켓(20)을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에 체결하는 과정 중에 상기 체결브라켓(20)이 미끄러지면서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체결브라켓(20)의 체결몸체(2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연결구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연결구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20)은 상기 체결부재(30)와 함께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가이드슬릿(113)을 따라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일측에서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가이드슬릿(113)내에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의 좌우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이동거리조절부재(115)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의 좌우이격거리에 따른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의 좌우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는 복수개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의 좌우폭은 서로 상이하며,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폭이 서로 상이한 복수개의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슬릿(113)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의 좌우폭에 따라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의 좌우이동거리가 짧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어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의 좌우이동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폭이 작은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가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가이드슬릿(113)내에 수용되면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의 좌우이동거리는 넓어진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폭이 넓은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115)가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가이드슬릿(113)내에 수용되면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의 좌우이동거리는 짧아진다.
도 6은 보강리브 사이마다 보강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보강리브(170)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구(110)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130)의 내면 사이에 각각 보강판(1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판(190)은 상기 보강리브(170)와 직교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보강판(190)이 구비되므로 인하여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연결구의 내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연결구(110)의 내면 상측과 상기 연결구(110)의 내면 하측에는 상기 연결구(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117)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기(117)를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20) 및 상기 체결부재(30)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체결몸체의 일측에 돌출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어느 하나의 체결몸체와 다른 하나의 체결몸체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20)의 체결몸체(210)의 일측에는 돌출판(21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판(217)은 상기 체결몸체(210)의 일측에서 상기 체결몸체(210)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돌출판(217)이 형성되므로 인하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몸체(210)의 수용공간내로 인입되는 상기 레일부재(9)의 일측인입길이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몸체(210)와 좌우대칭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체결몸체(210)의 수용공간내로 인입되는 상기 레일부재(9)의 타측인입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몸체(210)와 다른 하나의 상기 체결몸체(21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레일부재(9)의 전체 좌우길이가 미소(微少)만큼 줄어들 수 있어 상기 레일부재(9)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및 도 11은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과 상기 체결브라켓(20)을 수평으로 고정하여 어느 하나의 지주(8)와 다른 하나의 지주(8) 사이에 상기 레일부재(9)를 지면(1)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20)의 상하각도를 경사지도록 고정하여 어느 하나의 지주(8)와 다른 하나의 지주(8) 사이에 상기 레일부재(9)를 상기 지면(1)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고정판에 고정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고정판(150)의 전측과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고정판(150)의 후측에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11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과 상기 지주(8)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등의 고정부재(6)의 고정상태를 완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150)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6)의 고정상태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판(150)에 형성된 상기 고정슬릿(119)을 따라 상기 고정판(150)을 상기 지주(8)의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조절 한 후 상기 고정판(150)을 상기 고정부재(6)에 의해 상기 지주(8)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어느 하나의 지주와 다른 하나의 지주 사이에 레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20)의 체결몸체(210)의 대각선길이는 상기 레일부재(9)의 대각선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시공오차로 인해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지주(8)와 다른 하나의 지주(8) 사이에 상기 레일부재(9)를 설치할 때, 상기 레일부재(9)의 일측 또는 상기 레일부재(9)의 타측이 상기 레일부재(9)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α)로 회전이동되어 틀어진 상태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연결구(110)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130)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보강리브(170)로 인해 상기 지주고정브라켓(10)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레일부재(9)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체결브라켓(20)의 상하각도가 상기 지면(1)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어 상기 레일부재(9)가 상기 지면(1)의 경사도에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지주고정브라켓, 20; 체결브라켓,
30; 체결부재.
30; 체결부재.
Claims (9)
- 내측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내면 상측과 내면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가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연결구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와 상기 보강리브 사이마다 형성된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지주고정브라켓과;
내부에 레일부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일측면 전측 및 상기 체결몸체의 일측면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전측과 상기 고정몸체의 후측에 각각 체결되고 중심부에 상기 연결구의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체결판으로 구성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의 관통구와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와 함께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고,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가이드슬릿내에 상기 체결브라켓 및 상기 체결부재의 좌우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이동거리조절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의 좌우폭은 서로 상이하며, 복수개의 상기 이동거리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브라켓의 체결몸체의 일측에 상기 체결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체결몸체의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호형상의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고정판의 전측과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고정판의 후측에 상기 지주고정브라켓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브라켓의 체결몸체의 대각선길이는 상기 레일부재의 대각선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브라켓의 체결몸체의 외면에 상기 체결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립방지용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브라켓.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309A KR101588302B1 (ko) | 2015-07-01 | 2015-07-01 | 관절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309A KR101588302B1 (ko) | 2015-07-01 | 2015-07-01 | 관절 브라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8302B1 true KR101588302B1 (ko) | 2016-01-26 |
Family
ID=5530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4309A KR101588302B1 (ko) | 2015-07-01 | 2015-07-01 | 관절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8302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063A (ko) * | 2019-04-15 | 2020-10-23 | 이남희 | 목재부재용 브라켓 |
KR102195071B1 (ko) * | 2020-07-16 | 2020-12-24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울타리용 유동 브라켓 |
KR102246719B1 (ko) * | 2021-01-11 | 2021-04-30 | 제일에스티(주) | 난간 연결구조 |
WO2021189140A1 (en) * | 2020-03-24 | 2021-09-30 | Peak Innovations Inc. | Railing systems and brackets for same |
KR102347686B1 (ko) * | 2021-06-04 | 2022-01-07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각도조절이 용이한 브라켓이 적용된 디자인형 울타리 |
KR102347678B1 (ko) * | 2021-06-04 | 2022-01-07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
KR102531987B1 (ko) * | 2022-07-12 | 2023-05-12 |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 난간 조립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간 |
KR102543262B1 (ko) * | 2022-07-13 | 2023-06-14 |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 조립식 난간 |
KR102650239B1 (ko) * | 2023-08-16 | 2024-03-22 | 태광이브이 주식회사 | 회전이 가능한 펜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5591A (ja) * | 1996-01-16 | 1997-07-29 | Sanwa Shutter Corp | 傾斜地用フェンスにおける支柱とフェンス枠との連結構造 |
KR20060026337A (ko) * | 2004-09-20 | 2006-03-23 | 영신산업 주식회사 | 도로용 가드레일지주와 이에 장착된 가드레일의높이변경장치 |
JP3787340B2 (ja) * | 2003-08-29 | 2006-06-21 |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 地上設置物の支柱と横枠の連結構造 |
KR200474886Y1 (ko) | 2013-10-21 | 2014-10-22 | 형진랜드주식회사 | 난간 브라켓 |
-
2015
- 2015-07-01 KR KR1020150094309A patent/KR1015883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5591A (ja) * | 1996-01-16 | 1997-07-29 | Sanwa Shutter Corp | 傾斜地用フェンスにおける支柱とフェンス枠との連結構造 |
JP3787340B2 (ja) * | 2003-08-29 | 2006-06-21 |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 地上設置物の支柱と横枠の連結構造 |
KR20060026337A (ko) * | 2004-09-20 | 2006-03-23 | 영신산업 주식회사 | 도로용 가드레일지주와 이에 장착된 가드레일의높이변경장치 |
KR200474886Y1 (ko) | 2013-10-21 | 2014-10-22 | 형진랜드주식회사 | 난간 브라켓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1063A (ko) * | 2019-04-15 | 2020-10-23 | 이남희 | 목재부재용 브라켓 |
KR102229408B1 (ko) * | 2019-04-15 | 2021-03-17 | 이남희 | 목재부재용 브라켓 |
WO2021189140A1 (en) * | 2020-03-24 | 2021-09-30 | Peak Innovations Inc. | Railing systems and brackets for same |
KR102195071B1 (ko) * | 2020-07-16 | 2020-12-24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울타리용 유동 브라켓 |
KR102246719B1 (ko) * | 2021-01-11 | 2021-04-30 | 제일에스티(주) | 난간 연결구조 |
KR102347686B1 (ko) * | 2021-06-04 | 2022-01-07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각도조절이 용이한 브라켓이 적용된 디자인형 울타리 |
KR102347678B1 (ko) * | 2021-06-04 | 2022-01-07 |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
KR102531987B1 (ko) * | 2022-07-12 | 2023-05-12 |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 난간 조립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간 |
KR102543262B1 (ko) * | 2022-07-13 | 2023-06-14 | 주식회사 하나로메탈 | 조립식 난간 |
KR102650239B1 (ko) * | 2023-08-16 | 2024-03-22 | 태광이브이 주식회사 | 회전이 가능한 펜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8302B1 (ko) | 관절 브라켓 | |
US6691828B1 (en) | Scaffold stair | |
KR102075600B1 (ko) | 수평바의 각도 설치가 용이한 펜스 | |
KR101423317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 |
CA2870710C (en) | Fence rail and bracket system | |
KR101450716B1 (ko) |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 |
KR101348920B1 (ko) |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 |
EP1072736A1 (en) | Safety guard | |
KR101977189B1 (ko) |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
KR101630189B1 (ko) | 플렉시블 펜스 | |
KR101952924B1 (ko) | 난간 연결장치 | |
ES2905604T3 (es) | Plataforma de encofrado | |
KR102090329B1 (ko) | 교량용 인도 설치구조 | |
ES2385022T3 (es) | Balaustrada para andamio modular | |
KR101457633B1 (ko) |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 |
DK3130706T3 (en) | Barriers to crowd control. | |
KR101631566B1 (ko) |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
KR101849954B1 (ko) | 난간의 가로대 결합구조 | |
ES2333305T5 (es) | Sistema de componentes estructurales para estrados/plataformas y/o tribunas y/o tarimas | |
KR102370076B1 (ko) | 장부 맞춤형 울타리 | |
KR102079617B1 (ko) | 지주와 캡의 결합구조 | |
KR200479479Y1 (ko) | 지붕 보행용 발판장치 | |
KR101499015B1 (ko) | 휀스 포스트 | |
KR102139094B1 (ko) |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 |
KR102575565B1 (ko) |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