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189B1 -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7189B1 KR101977189B1 KR1020180030035A KR20180030035A KR101977189B1 KR 101977189 B1 KR101977189 B1 KR 101977189B1 KR 1020180030035 A KR1020180030035 A KR 1020180030035A KR 20180030035 A KR20180030035 A KR 20180030035A KR 101977189 B1 KR101977189 B1 KR 101977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ed frame
- cover frame
- socket body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5—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supported within blind or through holes of the posts
-
- E04H2017/1465—
-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지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훼손된 가로대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대의 교체보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프레임을 작업자가 잡지 않은 상태에서 1명 또는 2명의 최소인원의 작업자만으로 상기 가로대만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지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에 가로대를 설치할 수도 있어 기존처럼 가로대를 고정프레임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훼손된 가로대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대의 교체보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프레임을 작업자가 잡지 않은 상태에서 1명 또는 2명의 최소인원의 작업자만으로 상기 가로대만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지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에 가로대를 설치할 수도 있어 기존처럼 가로대를 고정프레임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공원, 등산로 및 자전거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와 도로의 주변, 데크통행로 등에 설치하여 경계를 표시하거나 통행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울타리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난간은 용도에 따라 평평한 곳이나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통상적이고, 지면이나 데크의 상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최근에는 난간 등의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형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63156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631566호 등으로 제안된 난간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먼저, 지주에 가로대를 설치한 후 가로대가 설치된 상기 지주를 지면에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키는 방식으로서, 상기 지주에 설치된 상기 가로대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상기 가로대의 교체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지주가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지주를 어느 한 작업자가 잡은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상기 지주로부터 훼손된 상기 가로대를 잡아 상기 지주로부터 분리시킨 후 또 다른 작업자가 신규 가로대를 상기 지주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파손된 가로대의 교체보수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대 교체보수에 여러명의 작업자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훼손된 가로대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대의 교체보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프레임을 작업자가 잡지 않은 상태에서 1명 또는 2명의 최소인원의 작업자만으로 상기 가로대만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지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에 가로대를 설치할 수도 있어 기존처럼 가로대를 고정프레임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이 개방되고, 일측과 타측에 내측상향으로 개방되어 가로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내측하향으로 개방되어 가로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수평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판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경사판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하방향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복수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경사판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경사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커버프레임이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프레임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의 전측에 형성되는 헤드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가 수평관통하는 가이드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홈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로대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의 상하각도 및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소켓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홈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 1일측소켓몸체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경크기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내측에 어느 하나의 가로대의 타측이 수용되는 제 2일측소켓몸체로 구성되는 일측소켓몸체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타측방향에 구비되고, 내측에 다른 하나의 가로대의 일측이 수용되는 타측소켓몸체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소켓몸체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연결판과, 상기 타측소켓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제 1연결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연결판과 축결합되는 제 2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훼손된 가로대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대의 교체보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프레임을 작업자가 잡지 않은 상태에서 1명 또는 2명의 최소인원의 작업자만으로 상기 가로대만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지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에 가로대를 설치할 수도 있어 기존처럼 가로대를 고정프레임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난간지주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수평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고정프레임 및 커버프레임에 가로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내측에 경사판이 각각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커버프레임 및 캡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각도조절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고정프레임 및 커버프레임으로부터 각도조절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각도조절소켓과 가로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가로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가로대의 상하각도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2는 가로대의 전후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가로대의 전후각도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4는 고정프레임과 커버프레임에 5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 내지 도 28은 가로대의 교체보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수평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고정프레임 및 커버프레임에 가로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내측에 경사판이 각각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커버프레임 및 캡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각도조절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고정프레임 및 커버프레임으로부터 각도조절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각도조절소켓과 가로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가로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가로대의 상하각도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2는 가로대의 전후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가로대의 전후각도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4는 고정프레임과 커버프레임에 5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 내지 도 28은 가로대의 교체보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난간지주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난간지주의 결합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10)과 커버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는 지면에 엥커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는 베이스판(11)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은 개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로대(도 9의 12)가 수용되는 수용홈(11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용홈(110)에 수용된 상기 가로대(12)가 상기 커버프레임(20) 방향으로 수평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용홈(110)은 상기 수용홈(1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 상부방향을 향한 상태로 개방된 반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과 타측에도 상기 가로대(12)가 수용되는 수용홈(210)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용홈(210)에 수용된 상기 가로대(12)가 상기 고정프레임(10) 방향으로 수평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용홈(21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용홈(1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용홈(210)은 상기 수용홈(210)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프레임(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방향을 향한 상태로 개방된 반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4,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수평판(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는 1개의 상기 수평판(120)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상기 수평판(12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평판(12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내면 및 타측 내면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평판(120)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의(1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수평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내측에도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수평판(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내측에는 1개의 상기 수평판(220)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상기 수평판(22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평판(12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평판(220)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면접촉되거나 일정간격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평판(22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 내면 및 타측 내면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평판(220)을 통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판(120, 2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심부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전측 중심부에는 1개의 체결공(13)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상기 체결공(13)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는 상기 커버프레임(20)이 1개의 체결부재(14) 또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4)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는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체결공(13)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체결공(13)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중심부 내측에는 상기 체결공(13)과 대향되는 1개의 가이드브라켓(230) 또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브라켓(230)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3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상태로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중심부 내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14)는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체결공(13), 상기 가이드브라켓(230)의 중심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체결공(1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14)의 전측에 형성된 헤드(141)는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체결공(13)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체결공(13)에는 마감캡(15)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마감캡(15)을 통해 상기 체결부재(14)의 헤드(141)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캡부재(30)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3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는 상기 캡부재(3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연장판(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30)의 연장판(301)은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 내측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내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거나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 내측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고정프레임 및 커버프레임에 가로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난간지주(1)와 다른 하나의 상기 난간지주(1) 사이에 상기 가로대(12)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대(12)의 일측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난간지주(1)의 수용홈(110, 210)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가로대(12)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난간지주(1)의 수용홈(110, 2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내측에 경사판이 각각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커버프레임 및 캡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내측에는 상기 수평판(120, 220) 대신에 경사판(140, 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는 1개의 상기 경사판(140) 또는 복수개의 상기 경사판(14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경사판(14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내측에는 1개의 상기 경사판(240) 또는 복수개의 상기 경사판(240)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0)의 경사판(24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경사판(140)을 따라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기 경사판(14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기 경사판(24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경사판(14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경사판(24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하방향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판(140, 240)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면접촉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판(140, 240)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면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프레임(10)이 상기 커버프레임(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커버프레임(20)이 상기 고정프레임(1)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140, 240)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에 상기 캡부재(30)를 분리가능하게 구비시켜 상기 체결부재(14)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 상기 커버프레임(20)을 고정시킬 수 있어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난간지주(1)의 시공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에 상기 체결공(13)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도 14는 각도조절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고정프레임 및 커버프레임으로부터 각도조절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용홈(1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용홈(21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로대(12)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12)의 상하각도 및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소켓(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소켓(40)은 도 14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소켓몸체(410)과 타측소켓몸체(420) 및 연결판(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소켓몸체(410)는 제 1일측소켓몸체(411)와 제 2일측소켓몸체(4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411)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용홈(110)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수용홈(2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소켓몸체(412)는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411)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4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 및 상기 커버프레임(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소켓몸체(410)가 상기 수용홈(110, 21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일측소켓몸체(412)의 외경크기는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411)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소켓몸체(420)는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411)의 타측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430)은 제 1연결판(431)과 제 2연결판(4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판(431)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411)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소켓몸체(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판(432)은 상기 타측소켓몸체(420)의 일측에서 상기 제 1연결판(431) 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연결판(431)과 겹쳐진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연결판(431, 432)를 결합시키기 위한 축부재(440)는 체결볼트(441)와 너트(4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441)는 서로 겹쳐진 상태인 상기 제 1, 2연결판(431, 432)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442)는 상기 체결볼트(441)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8은 각도조절소켓과 가로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일측소켓몸체(412)의 내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12)의 타측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소켓몸체(420)의 내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대(12)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0은 가로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가로대의 상하각도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인 상기 연결판(430)이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각도조절소켓(40)이 제자리에서 회전된 상태에서 도 20의 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소켓몸체(420)가 상기 일측소켓몸체(4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하각도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로대(12)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지면에 따라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22는 가로대의 전후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가로대의 전후각도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의 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인 상기 연결판(430)이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각도조절소켓(40)이 제자리에서 회전된 상태에서 도 22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소켓몸체(420)가 상기 일측소켓몸체(4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전후각도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로대(12)가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24는 고정프레임과 커버프레임에 5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에 각각 4개의 상기 수용홈(110, 2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에 4개의 상기 수용홈(110, 210)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에 5개의 상기 수용홈(110, 2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는 등 상기 고정프레임(10)가 상기 커버프레임(20)에는 상기 수용홈(110, 120)이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은 가로대의 교체보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복수의 상기 가로대(12)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가로대(12)가 훼손된 경우, 훼손된 복수의 상기 가로대(12) 모두 또는 훼손된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12)의 교체를 위해,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에서 상기 커버프레임(20)이 분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훼손된 복수의 상기 가로대(12) 모두 또는 훼손된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12)를 상기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한 후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새로운 복수의 상기 가로대(12) 또는 어느 하나의 새로운 상기 가로대(12)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설치할 수 있다.
훼손된 복수의 상기 가로대(12) 모두 또는 훼손된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12)의 교체가 완료된 후에는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 다시 상기 커버프레임(20)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 상기 커버프레임(20)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훼손된 가로대(12)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대(12)의 교체보수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작업자가 잡지 않은 상태에서 1명 또는 2명의 최소인원의 작업자만으로 상기 가로대(12)만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나아가, 지면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가로대(12)를 설치할 수도 있어 기존처럼 가로대(12)를 고정프레임(10)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지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고정프레임, 20; 커버프레임.
Claims (9)
- 전측이 개방되고, 일측과 타측에 내측상향으로 개방되어 가로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내측하향으로 개방되어 가로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경사판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하방향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복수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경사판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경사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수평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커버프레임이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프레임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체결볼트의 전측에 형성되는 헤드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가 수평관통하는 가이드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홈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가로대와 연결되어 상기 가로대의 상하각도 및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소켓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홈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 1일측소켓몸체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경크기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내측에 어느 하나의 가로대의 타측이 수용되는 제 2일측소켓몸체로 구성되는 일측소켓몸체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타측방향에 구비되고, 내측에 다른 하나의 가로대의 일측이 수용되는 타측소켓몸체와;
상기 제 1일측소켓몸체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소켓몸체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연결판과, 상기 타측소켓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제 1연결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연결판과 축결합되는 제 2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035A KR101977189B1 (ko) | 2018-03-15 | 2018-03-15 |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035A KR101977189B1 (ko) | 2018-03-15 | 2018-03-15 |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7189B1 true KR101977189B1 (ko) | 2019-09-10 |
Family
ID=6795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035A KR101977189B1 (ko) | 2018-03-15 | 2018-03-15 |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718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147B1 (ko) * | 2020-03-09 | 2020-07-17 | 주식회사 임성 | 지주대 내부에서 난간살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안전난간 |
KR102155782B1 (ko) * | 2020-03-24 | 2020-09-14 | 권숙희 | 지주대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난간살대가 구비되는 데크로드 |
WO2024171184A1 (en) * | 2023-02-13 | 2024-08-22 | Goldenberg Ben | Slat-supporting beam, assembly, kit and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0127U (ko) * | 1996-10-10 | 1998-07-15 | 이선용 | 횡단방지난간 |
KR101271859B1 (ko) * | 2010-12-01 | 2013-06-07 |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
KR101475807B1 (ko) * | 2014-06-11 | 2014-12-23 | 유한회사 도유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
KR101631566B1 (ko) | 2015-10-13 | 2016-06-20 | 김재영 |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
2018
- 2018-03-15 KR KR1020180030035A patent/KR101977189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0127U (ko) * | 1996-10-10 | 1998-07-15 | 이선용 | 횡단방지난간 |
KR101271859B1 (ko) * | 2010-12-01 | 2013-06-07 |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
KR101475807B1 (ko) * | 2014-06-11 | 2014-12-23 | 유한회사 도유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
KR101631566B1 (ko) | 2015-10-13 | 2016-06-20 | 김재영 |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147B1 (ko) * | 2020-03-09 | 2020-07-17 | 주식회사 임성 | 지주대 내부에서 난간살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안전난간 |
KR102155782B1 (ko) * | 2020-03-24 | 2020-09-14 | 권숙희 | 지주대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난간살대가 구비되는 데크로드 |
WO2024171184A1 (en) * | 2023-02-13 | 2024-08-22 | Goldenberg Ben | Slat-supporting beam, assembly, kit and method |
IL300609A (en) * | 2023-02-13 | 2024-09-01 | Ben GOLDENBERG | Happens to support louvers, system, kit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7189B1 (ko) | 난간지주의 결합구조 | |
KR101588302B1 (ko) | 관절 브라켓 | |
ES2904808T3 (es) | Disposición de unión | |
KR102075600B1 (ko) | 수평바의 각도 설치가 용이한 펜스 | |
KR101423317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 |
KR101793243B1 (ko) |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 |
KR102122981B1 (ko) |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 |
KR20090085188A (ko) |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 |
KR101348920B1 (ko) |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 |
KR100566721B1 (ko) | 조립식 흙막이 장치 | |
US6796549B1 (en) | Fence structure | |
JP4704766B2 (ja) | 先行手摺枠及び枠組足場を形成する方法 | |
KR100907303B1 (ko) |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 |
KR102070711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의 가로대 고정구 | |
KR101630189B1 (ko) | 플렉시블 펜스 | |
KR101946494B1 (ko) | 데크로드 난간 | |
DK3130706T3 (en) | Barriers to crowd control. | |
KR101475807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 |
KR101457633B1 (ko) |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 |
WO2008051601A3 (en) | Replaceable panel fenc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0665573B1 (ko) | 난간연결구조 | |
KR100740856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 |
US20030178613A1 (en) | Guardrail mounted on posts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1631566B1 (ko) |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
KR200430532Y1 (ko) | 난간지지봉 결합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