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747B1 -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747B1
KR101910747B1 KR1020170127745A KR20170127745A KR101910747B1 KR 101910747 B1 KR101910747 B1 KR 101910747B1 KR 1020170127745 A KR1020170127745 A KR 1020170127745A KR 20170127745 A KR20170127745 A KR 20170127745A KR 101910747 B1 KR101910747 B1 KR 10191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 frames
end flange
support frame
vertic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102017012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이 개시된다. 개시된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은 하단에 하단플랜지가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상기 하단플랜지와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1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상단 타측에 제2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직진형 계단 형태 또는 나선형 계단 형태로 결합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계단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은, 상하단에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1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수직배치되는 수직파이프;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수평파이프; 및, 상기 수평파이프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제2상단플랜지가 구비된 제2수직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ASSEMBLY TYPE SYSTEM STAIR FOR INTERIOR}
본 발명은 사람이 오르내리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인테리어시 조립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계단은 건축물의 건축시 함께 시공되며, 등록실용신안 20-02807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계단골조를 형성시키고, 이 계단골조에 접착몰탈을 타설하고 디딤판(계단발판)을 밀착시공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존 계단은 계단골조를 형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할 뿐 아니라, 계단골조 상에 접착몰탈을 타설하고, 그 위에 디딤판을 밀착하는 등 시공이 복잡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건축시에 많이 시공되며,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 등의 건물보수시에 시공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등록실용신안 20-028077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 인테리어시 간단하고 신속하게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개선된 형태를 갖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은 하단에 하단플랜지가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상기 하단플랜지와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1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상단 타측에 제2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직진형 계단 형태 또는 나선형 계단 형태로 결합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계단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은, 상하단에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1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수직배치되는 수직파이프;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수평파이프; 및, 상기 수평파이프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제2상단플랜지가 구비된 제2수직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상하 이웃하게 설치되는 두 지지프레임은 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하단플랜지가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상단플랜지와 결합되고, 상기 계단발판은 상기 두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1상단플랜지 상부에 설치되어 직진형 계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플랜지, 상기 제1상단플랜지 및 상기 제2상단플랜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원주상으로 동일한 수의 볼트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2상단플랜지를 중심축 상에 대해 회전위치 조정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하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단플랜지가 바닥슬래브에 정착된 바닥앙카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상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상단플랜지가 천정 슬래브에 고정설치된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하단은 상기 바닥슬래브 상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최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수직파이프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최상측 지지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상하 이웃하게 설치되는 두 지지프레임은 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하단플랜지가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상단플랜지와 결합되고, 상기 계단발판은 상기 두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2상단플랜지 상부에 설치되어, 나선형 계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플랜지, 상기 제1상단플랜지 및 상기 제2상단플랜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원주상으로 동일한 수의 볼트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1상단플랜지를 중심축 상에 대해 회전위치 조정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하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단플랜지가 바닥슬래브에 정착된 바닥앙카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상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상단플랜지가 천정 슬래브에 고정설치된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직진형 계단 또는 나선형 계단형태로 볼트너트를 이용해 조립결합하고, 이 지지프레임들 각각에 계단발판을 고정설치하여 직진형 계단이나 나선형 계단을 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며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시공에 매우 적합한 형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을 나타낸 시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의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의 다른 설치형태를 나타내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지지 프레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을 나타낸 시공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시공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시스템 계단은 복수의 지지프레임(10)과, 계단발판(20), 서포트부재(30), 연결프레임(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지지프레임(10) 각각은 수직파이프(12), 수평파이프(13), 제2수직파이프(14)로 이루어진다. 이 각 파이프(12,13,14)는 원형의 금속강관으로 이루지며, 수직파이프(12)의 상단부 측면에 수평파이프(13)의 일단이 용접으로 결합되고, 수평파이프(13)의 타단이 제2수직파이프(14)의 하단부 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수직파이프(12)와 제2수직파이프(14) 각각은 상하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파이프(12)와 제2수직파이프(14)는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같도록 구성된다.
수직파이프(12)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원형링 형상의 디스크 형태의 하단플랜지(15)와 제1상단플랜지(17)가 구비된다. 하단플랜지(15)와 제1상단플랜지(17)는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원주상으로 동일한 수를 갖는 볼트홀(15a,17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수직파이프(14)의 상단에는 제1상단플랜지(17)와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원주상으로 동일한 수지를 갖는 볼트홀(18a)이 형성된 제2상단플랜지(18)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제2수직파이프(14)의 상단이 수직파이프(1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제2상단플랜지(18)가 제1상단플랜지(17)에 비해 다소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계단발판(20)은 목재, 금속재, 석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볼트구멍(2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계단발판(20)은 지지프레임(10)의 제1상단플랜지(17) 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계단발판(20)은 제1상단플랜지(17)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볼트구멍(21)과 볼트홀(17a)을 일치시키고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프레임(10)을 직진형 계단형태로 결합하고, 이 복수의 지지프레임(10)의 제1상단플랜지(17)에 각각 계단발판(20)을 결합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하단 지지프레임(10)은 하단플랜지(15)를 바닥슬래브(s1)에 정착시킨 앙카볼트(b1)에 너트로 체결하여 바닥슬래브(s1)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최하단 지지프레임(10) 위에는 다른 지지프레임(10)을 직진형 계단 형태가 되도록 결합하는데, 이 경우, 최하단 지지프레임(10)의 제2상단플랜지(18)에 그 위의 지지프레임(10)의 하단플랜지(15)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되는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는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수의 볼트홀(15a,18a)이 동일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상단플랜지(18)에 대해 하단플랜지(15)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하 볼트홀(15a,18a)을 일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하 이웃하는 두 지지프레임(10)의 수평파이프(12)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를 결합시킬 수도 있고, 두 수평파이프(12)가 소정각도로 꺽인 형태가 되도록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상단플랜지(18)의 볼트홀(18a)과 하단플랜지(15)의 볼트홀(15a)은 각각 12개가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볼트홀(15a,18a)이 플랜지 중심에 대해 각 30도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의 결합시, 볼트홀(18a,15a)을 상대적으로 한칸 옆으로 이동시켜 결합하면 하단플랜지(15)에 대해 제2상단플랜지(18)가 30도 회전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플랜지(15,18)들에 볼트홀(15a,18a)들이 각 12개씩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8개씩 구성되어, 각 볼트홀들이 플랜지 중심에 대해 2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를 회전위치조작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면, 볼트홀의 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룰러, 제1상단플랜지(17)도 동일한 수의 볼트홀(17a)이 동일원주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상하 이웃하는 두 지지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도 1과 같이, 복수의 지지프레임(10)들을 직진형 계단형태로 결합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를 중심축상에 대해 회전위치조정하여 결합함으로써 도 3의 (a)와 같이 복수의 지지프레임(10)들의 각 수평파이프(13)들이 직선형으로 배치된 형태로 결합할 수 있고, 도 3 (b)와 같이 복수의 지지프레임(10)이 소정각도로 꺽인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0)는 금속재질의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며, 최상단 지지프레임(10)과 바닥슬래브(s1)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최상단 지지프레임(10)이 쳐지지 않도록 바닥슬래브(s1)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서포트부재(30)는 상부관체(31)와 하부관체(32)로 이루어지며, 하부관체(32)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2a)이 형성되고, 상부관체(3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32a)에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미 참조부호)가 형성되어, 하부관체(32)를 상부관체(3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서포트부재(3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부관체(31)의 상단에는 원형바형태의 끼움부(33)가 용접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이 끼움부(33)는 최상단 지지프레임(10)의 제2수직파이프(14)에 밀착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관체(32)의 하단에는 볼트공(34a)이 형성된 플랜지(34)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서포트부재(30)는 하부관체(32)와 상부관체(31)의 나사결합체결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적절하게 가변시킨 상태에서, 끼움부(33)를 최상단 지지프레임(10)의 제2수직파이프(14)에 끼워 상부관체(31)의 상단이 제2수직파이프(14)의 하단을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게 하고, 하부관체(32)의 플랜지(34)를 앙카볼트(b2)로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프레임(40)은 금속재질로 된 원형관체로 구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플랜지(40a, 40b)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프레임(40)은 상단의 플랜지(40b)를 천정슬래브(s2)에 앙카볼트(b3)로 결합시키고, 하단의 플랜지(40a)를 최상단 지지프레임(10)의 제2상단플랜지(18)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포트부재(40)를 통해 최상측 지지프레임(10)의 제2수직파이프(14)를 바닥슬래브(s1)와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아울러, 연결프레임(40)을 통해 최상측 지지프레임(10)의 제2수직파이프(14)를 천정슬래브(s2)에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된 구조로서, 복수의 지지프레임(10)들의 결합구조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프레임(10)들을 직진형 계단형태로 연결되도록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인테리어시공에서의 계단형성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제2상단플랜지(18)와 하단플랜지(15)를 상호 중심축에 대해 회전각도 조정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직진형 계단의 형태를 도 3의 (a)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하거나, 도 3 (b)와 같이 자유롭게 꺽인 형태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제1상단플랜지(17)에 직접 계단발판(20)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같이, 제1상단플랜지(17)에 제1상단플랜지(17)의 직경 사이즈 보다 큰 금속강판으로 된 브라켓판(19)을 볼트 및 너트로 결합시키고, 이 브라켓판(19) 상단에 계단발판(20)을 볼트 및 너트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판(19)에는 복수의 볼트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볼트체결공와 제1상단플랜지(17)의 볼트홀(17a)을 통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브라켓판(19)과 제1상단플랜지(17)를 결합시킬 수 있고, 브라켓판(19)에는 제2볼트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이 제2볼트체결공과 계단발판(20)의 볼트구멍(21)을 통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브라켓판(19)과 계단발판(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1상단플랜지(17) 보다 큰 사이즈의 브라켓판(19)을 제1상단플랜지(17)에 결합되고, 이 브라켓판(19)의 상단에 계단발판(20)이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계단발판(20)이 브라켓판(19)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프레임(10) 중 최하단 지지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지지프레임에는 도 5와 같이, 수직파이프(1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 원형 가이드바(16)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 원형 가이드바(16)는 수직프이프(1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수직파이프(12)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하 이웃하는 두 지지프레임(10)의 결합시, 원형가이드바(16)를 하측 지지프레임(10)의 제2수직파이프(14)에 끼워, 하단플랜지(15)와 제2상단플랜지(18)가 어긋나지 않고 완전히 겹쳐진 형태로 안내하여, 결합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0)을 통해 직진형 계단이 시공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0)을 통해 나선형 계단이 시공된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상하 이웃하는 두 지지프레임(10)을 결합하도록 하단플랜지(15)와 제2상단플랜지(18)를 결합하고, 계단발판(20)은 제1상단플랜지(17) 상에 고정설치하는 구조였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하 이웃하는 두 지지프레임(10)는 하단플랜지(15)와 제1상단플랜지(17)를 결합시켜, 각 지지프레임(10)의 수직파이프(12)가 동일축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계단발판(20)은 제2상단플랜지(17) 상에 고정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상단플랜지(17)와 하단플랜지(15)가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수의 볼트홀(15a,17a)이 동일 원주상으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지지프레임(10)의 제1상단플랜지(17)와 상측의 하단플랜지(15)를 중심축 상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하 볼트홀(15a,17a)을 일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 이웃하는 두 수평파이프(13)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하단플랜지(15)와 제1상단플랜지(17)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각 지지프레임(10)의 수평파이프(13)들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하단플랜지(15)와 제1상단플랜지(17)를 회전조정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도 6과 같이, 동일축상에 설치된 수직파이프(12)에 대해 수평파이프(13)들이 상측으로 갈수록 소정간격씩 나선형태로 형성된 구조가 됨으로써, 나선형 계단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 에서도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계단발판(20)이 직접 각 지지프레임(10)의 제2상단플랜지(18)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상단플랜지(18)에 제2상단플랜지(18) 보다 큰 사이즈의 브라켓판을 볼트너트를 이용해 고정설치하고, 이 브라켓판에 볼트너트를 이용해 계단발판(20)을 고정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서는 연결프레임(40)의 상측 플랜지(40b)는 천정슬래브(s2)에 앙카볼트로 고정시키고, 하측 플랜지(40a)는 최상단 지지프레임(10)의 제1상단플랜지(17)에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지지프레임
12...수직파이프
13...수평파이프
14...제2수직파이프
15...하단플랜지
17...제1상단플랜지
18...제2상단플랜지
19...연결프레임
20...계단발판
30...서포트부재
31...제1관체
32...제2관체

Claims (7)

  1. 하단에 하단플랜지가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상기 하단플랜지와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1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상단 타측에 제2상단플랜지가 구비되어, 결합형태에 따라 직진형 계단 형태로 결합설치되거나, 나선형 계단 형태로 결합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계단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은,
    상하단에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1상단플랜지가 구비되며 수직배치되는 수직파이프;
    상기 수직파이프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수평파이프; 및,
    상기 수평파이프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제2상단플랜지가 구비된 제2수직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플랜지, 상기 제1상단플랜지 및 상기 제2상단플랜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원주상으로 동일한 수의 볼트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직진형 계단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상하 이웃하게 설치되는 두 지지프레임은 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하단플랜지가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상단플랜지와 결합되고, 상기 계단발판은 상기 두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1상단플랜지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나선형 계단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상하 이웃하게 설치되는 두 지지프레임은 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하단플랜지가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1상단플랜지와 결합되어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수직파이프가 서로 동일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계단발판은 상기 두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2상단플랜지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하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단플랜지가 바닥슬래브에 정착된 바닥앙카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상측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상단플랜지가 천정 슬래브에 고정설치된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계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직진형 계단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2상단플랜지를 중심축 상에 대해 회전위치 조정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계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직진형 계단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하단은 상기 바닥슬래브 상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최상측 지지프레임의 상기 제2수직파이프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최상측 지지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계단.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나선형 계단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하단플랜지와 상기 제1상단플랜지를 중심축 상에 대해 회전위치 조정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계단.


  7. 삭제
KR1020170127745A 2017-09-29 2017-09-29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KR10191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45A KR101910747B1 (ko) 2017-09-29 2017-09-29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45A KR101910747B1 (ko) 2017-09-29 2017-09-29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747B1 true KR101910747B1 (ko) 2018-10-22

Family

ID=6410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45A KR101910747B1 (ko) 2017-09-29 2017-09-29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7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7379A1 (fr) * 1984-08-14 1986-04-09 Arbel Industrie S.A. Elément préfabriqué pour la construction d'escalier et escaliers ainsi obten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7379A1 (fr) * 1984-08-14 1986-04-09 Arbel Industrie S.A. Elément préfabriqué pour la construction d'escalier et escaliers ainsi obten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880A (en) Fence coupling
JP4856744B2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US5303900A (en) Plastic security handrail system and connectors therefor
US20070209316A1 (en) Post system for a railing
US20130313174A1 (en) Adjustable drain
KR101910747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JP2601725B2 (ja) 軽量ドーム及びそのためのコネクター
KR101595177B1 (ko)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KR200489481Y1 (ko) 핸드레일 고정구
US3673752A (en) Circular stair with central support and disc spacers between treads
JP2001193246A (ja) 螺旋階段
KR20170007194A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58147B1 (ko) 난간의 핸드레일 연결장치
US6330894B1 (en) Wood bending jig
KR101945152B1 (ko) 가설재용 잭서포트
JPH0631068Y2 (ja) 組立式カーポート
RU111174U1 (ru) Модульная секция лестницы
US9200471B2 (en) Mounting accessory for secure attachment of rails to pipe-mounted hollow posts
RU149048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лестница
KR200259036Y1 (ko) 계단난간 제작용 파이프 연결구
JP3703386B2 (ja) 手摺の取付構造
JP7466595B2 (ja) 柱脚金物
US11732481B2 (en) Cantilever stair assembly
JP3103118U (ja) 簡易組立形フェンス
JP3126080U (ja) 横材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