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152B1 - 가설재용 잭서포트 - Google Patents

가설재용 잭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152B1
KR101945152B1 KR1020180078857A KR20180078857A KR101945152B1 KR 101945152 B1 KR101945152 B1 KR 101945152B1 KR 1020180078857 A KR1020180078857 A KR 1020180078857A KR 20180078857 A KR20180078857 A KR 20180078857A KR 101945152 B1 KR101945152 B1 KR 10194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fixed
inner diameter
jack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박상일
Original Assignee
박태준
박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준, 박상일 filed Critical 박태준
Priority to KR102018007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설재 설치시 사용되는 잭서포트에 있어서, 종래 스틸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작업 및 이송의 편이성을 달성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되,
설치 위치에서 잭서포트를 1차적으로 길이 조절하여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고정한 뒤, 견고하게 고정되는 길이만큼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회전체를 통해 상측의 제2 기둥이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설재용 잭서포트{JACK SUPPORT OF TEMPORARY RESOURCES}
본 발명은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설재 설치시 사용되는 잭서포트에 있어서, 종래 스틸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작업 및 이송의 편이성을 달성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되,
설치 위치에서 잭서포트를 1차적으로 길이 조절하여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고정한 뒤, 견고하게 고정되는 길이만큼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회전체를 통해 상측의 제2 기둥이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층고는 구조물의 기능상 대략 260Cm 에서 320Cm 까지 다양한 높이로 설계 시공되기 때문에 종래에도 이와 같은 층고의 고저차이를 감안해서 지지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한 잭서포트가 몇몇 제안된 바 있다.
즉, 도면 5와 도면 6으로 도시된 잭서포트가 그 대표적인 예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971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에서, 도면 5로 도시된 잭서포트는 회전핸들(9)이 장착된 높이조절스크류(8)의 상하에 각기 길고 짧은 숫나사부(10)(10a)를 형성하되, 상기 짧은 숫나사부(10a)는 주물형성된 하부베이스(11) 내에서 신축하고 다시 긴 숫나사부(10)에는 수직파이프(5)와 연결되는 캡(6)의 암나사(7)가 나합 승강됨으로써, 결국 2단 방식에 의해 신축되어 높이조절스크류(8)의 상·하숫나사부(10)(10a)의 길이 범위 내에서 층고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주물로 성형 제작함에 따른 단가 상승 요인 때문에 숫나사부(10)(10a)의 길이를 어느 수준이상으로 키울 수 없다는 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통상 주물제품의 경제적 길이가 50Cm 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제품은 부재연결을 위해 암·수나사가 겹치는 길이와 회전핸들(9)의 춤 등을 빼면 실질적으로는 30Cm 정도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밖에 없어 결국, 층고 차이가 30Cm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상부 수직파이프(5)의 길이를 여러 단계의 규격으로 준비해둔 상태에서 층고의 차이에 따라 그 규격에 맞는 상부 수직파이프(5)를 일일이 갈아 끼우거나 별도의 연결대를 덧대거나 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불편이 있었다.
도면 6에 도시된 잭서포트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스크류를 2단으로 추가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3단 방식에 의해 조절하여 길이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즉, 도 1의 제품과 동일한 구조를 기본으로 하되, 그 숫나사(10)에 숫나사관(14)이 형성된 보조 높이조절스크류(12)를 부가시킨 다음 다시 기존의 암나사(7)가 형성된 캡(6)을 나착시켜 수직파이프(5)에 연결시킴으로써 보조 높이조절스크류(12)에 형성된 숫나사관(14)의 길이 만큼 더 길게 조절될 수 있게한 것이다.
결국, 이 제품은 도 1의 제품에 보조 높이조절스크류(12)를 단순 부가시킨 구성으로서 회전핸들(9, 9a)이 두개가 형성되어 실제로는 3단계로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이므로 조작방식이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주물로 성형 제작하여야할 주요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단가상승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두 제품은 모두 회전핸들(9)이 지면에서 얕은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높이조절시 쭈그려 앉아서 작업해야 하는 불편과 함께 하부베이스(11) 전체를 주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역시 제품의 단가상승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4245호의 가설공사용 잭서포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하부기판 상에 입설되는 하우징파이프 내에서 상·하부스크류관체가 차례로 신축 출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층고의 고저차이에 따라 지지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한 2단 신축방식의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을 포함한 상기 기술 역시,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신개념 가설재용 잭서포트와는 구성적 측면에서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97168호(2000.11.01.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4245호(2010.04.23.)
본 발명의 목적은, 가설재 설치시 사용되는 잭서포트에 있어서, 종래 스틸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작업 및 이송의 편이성을 달성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되,
설치 위치에서 잭서포트를 1차적으로 길이 조절하여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고정한 뒤, 견고하게 고정되는 길이만큼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회전체를 통해 상측의 제2 기둥이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설재용 잭서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는, 지면에서부터 입설되는 제1 기둥(1)과, 천장에 닿도록 고정되는 제2 기둥(2)과, 상기 제1 기둥(1) 및 제2 기둥(2)의 연결부위에서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고정회전체(3)를 포함하되,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은 하부측에 플랜지가 구성되며, 제1 기둥(1)의 직경은 제2 기둥(2)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음으로써, 제2 기둥(2)의 내부로 제1 기둥(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회전체(3)는,
상기 제1 기둥(1)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고정회전체(3)의 이동에 따라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의 연결된 총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회전체(3)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에는 이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몸체(31) 및 제2 몸체(32)보다 돌출된 이음돌출몸체(33)가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31) 및 제2 몸체(32)의 내경은 중간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 사이에 홈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32)의 상측으로는 중간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부체(35)가 형성되며,
상부체(35)의 상측으로는 상부체(35)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플랜지 지지체(36)가 상기 제2 기둥(2)의 플랜지(21)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기둥(2)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2개가 1쌍으로 된 고정판과, 2개의 고정판을 관통하는 힌지와, 힌지의 단부 외면에 감싸지고 고정판 또는 제2 기둥에 양단부가 고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토션 스프링과,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제2 기둥(2)의 플랜지(21) 방향이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의하면, 종래 스틸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작업 및 이송의 편이성을 달성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개념 잭서포트를 제공함으로써, 설치 위치에서 잭서포트를 1차적으로 길이 조절하여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고정한 뒤, 견고하게 고정되는 길이만큼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회전체를 통해 상측의 제2 기둥이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가 설치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의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고정회전체를 확대시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의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고정회전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에서 고정회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설재 설치시 사용되는 잭서포트에 있어서, 종래 스틸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작업 및 이송의 편이성을 달성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되,
설치 위치에서 잭서포트를 1차적으로 길이 조절하여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고정한 뒤, 견고하게 고정되는 길이만큼 2차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회전체를 통해 상측의 제2 기둥이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설재용 잭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가 설치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의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고정회전체를 확대시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의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고정회전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에서 고정회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재용 잭서포트는, 지면에서부터 입설되는 제1 기둥(1)과, 천장에 닿도록 고정되는 제2 기둥(2)과, 상기 제1 기둥(1) 및 제2 기둥(2)의 연결부위에서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고정회전체(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은 하부측에 플랜지가 구성되며, 제1 기둥(1)의 직경은 제2 기둥(2)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음으로써, 제2 기둥(2)의 내부로 제1 기둥(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기둥(1)이 삽입되는 제2 기둥(2)의 하측으로는 플랜지(21)가 구성된다.
고정회전체(3)는 제1 기둥(1)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이러한 고정회전체(3)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회전체(3)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면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의 연결된 총 길이가 짧아지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면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의 연결된 총 길이가 길어진다.
이러한 고정회전체(3)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고정회전체(3)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에는 이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몸체(31) 및 제2 몸체(32)보다 돌출된 이음돌출몸체(33)가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몸체(31) 및 제2 몸체(32)의 내경은 중간체(도면부호 미표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 사이에 홈부(34)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홈부(34)는 상기 이음돌출몸체(33)를 통과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32)의 상측으로는 중간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부체(3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체(35)의 상측으로는 상부체(35)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플랜지 지지체(36)가 상기 제2 기둥(2)의 플랜지(21)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회전체(3)의 내경은 나사산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고정회전체(3)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1 기둥(1)의 외면과 동일한 형태를 내경으로 갖고, 외경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경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외경과 제2 부재의 내경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이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둥(1)에 제1 부재, 판 스프링 및 제2 부재가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회전체(3)가 제2 부재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 관계는, 제1 부재, 판 스프링 및 제2 부재를 외력(外力)을 인가하여 제1 기둥(1)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고정회전체(3)를 나사산 결합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제2 기둥에는 지지부재(도면부호 미표시)가 상기 제2 기둥의 외면에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는, 2개가 1쌍으로 된 고정판과, 2개의 고정판을 관통하는 힌지와, 힌지의 단부 외면에 감싸지고 고정판 또는 제2 기둥에 양단부가 고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토션 스프링과,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는 걸림부로 구성된다.
이때, 걸림부는 제2 기둥(2)의 플랜지(21) 방향이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고, 길이가 고정회전체(3)의 플랜지 지지체(36)에 닿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토션 스프링에 의해 별도의 외력이 없는 경우, 도 4와 같이 제2 기둥(2)의 플랜지(21) 방향의 걸림부 단부가 반대 단부보다 내측(기둥(1, 2) 방향)으로 위치되도로 하고, 외력을 인가하여 제2 기둥(2)의 플랜지(21) 방향의 걸림부 단부의 반대 단부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기둥(1)의 외면에 위치된 고정회전체(3)의 플랜지 지지체(36) 상측으로, 제2 기둥(2)의 플랜지(21)를 얹혀놓고, 지지부재의 걸림부를 통해 상기 플랜지 지지체(36)를 고정함으로써,
제1 기둥(1)에 고정된 고정회전체(3)의 플랜지 지지체(36)가 제2 기둥(2)의 플랜지(2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나사산으로 고정회전체(3)를 지지하게 됨에 따라, 고정회전체(3)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 : 제1 기둥
2 : 제2 기둥
21 : 플랜지
3 : 고정회전체
31 : 제1 몸체
32 : 제2 몸체
33 : 이음돌출몸체
34 : 홈부
35 : 상부체
36 : 플랜지 지지체

Claims (4)

  1. 지면에서부터 입설되는 제1 기둥(1)과, 천장에 닿도록 고정되는 제2 기둥(2)과, 상기 제1 기둥(1) 및 제2 기둥(2)의 연결부위에서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고정회전체(3)를 포함하되,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은 하부측에 플랜지가 구성되며, 제1 기둥(1)의 직경은 제2 기둥(2)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음으로써, 제2 기둥(2)의 내부로 제1 기둥(1)이 삽입되고,
    상기 제2 기둥(2)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2개가 1쌍으로 된 고정판과, 2개의 고정판을 관통하는 힌지와, 힌지의 단부 외면에 감싸지고 고정판 또는 제2 기둥에 양단부가 고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토션 스프링과,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제2 기둥(2)의 플랜지(21) 방향이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회전체(3)는,
    상기 제1 기둥(1)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고정회전체(3)의 이동에 따라 제1 기둥(1)과 제2 기둥(2)의 연결된 총 길이가 조절되고,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에는 이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몸체(31) 및 제2 몸체(32)보다 돌출된 이음돌출몸체(33)가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31) 및 제2 몸체(32)의 내경은 중간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31)와 제2 몸체(32) 사이에 홈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32)의 상측으로는 중간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부체(35)가 형성되며,
    상부체(35)의 상측으로는 상부체(35)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플랜지 지지체(36)가 상기 제2 기둥(2)의 플랜지(21)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회전체(3)의 내경은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회전체(3)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1 기둥(1)의 외면과 동일한 형태를 내경으로 갖고, 외경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경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외경과 제2 부재의 내경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이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기둥(1)에 제1 부재, 판 스프링 및 제2 부재가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회전체(3)가 제2 부재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재용 잭서포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8857A 2018-07-06 2018-07-06 가설재용 잭서포트 KR10194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57A KR101945152B1 (ko) 2018-07-06 2018-07-06 가설재용 잭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57A KR101945152B1 (ko) 2018-07-06 2018-07-06 가설재용 잭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152B1 true KR101945152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57A KR101945152B1 (ko) 2018-07-06 2018-07-06 가설재용 잭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1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68Y1 (ko) 1998-07-06 2000-11-01 곽시영 거푸집 지지용 잭서포트
KR20100004245U (ko) 2008-10-15 2010-04-23 디에치씨 주식회사 가설공사용 잭서포트
KR20170003881A (ko) * 2016-10-12 2017-01-10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68Y1 (ko) 1998-07-06 2000-11-01 곽시영 거푸집 지지용 잭서포트
KR20100004245U (ko) 2008-10-15 2010-04-23 디에치씨 주식회사 가설공사용 잭서포트
KR20170003881A (ko) * 2016-10-12 2017-01-10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93541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фальшпола
US2834621A (en) Hand railing and mounting
US20180258648A1 (en) Handrail and railing assembly
US10633875B2 (en) Concret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WM588161U (zh) 一種抗舉式高架地板腳架結構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101945152B1 (ko) 가설재용 잭서포트
KR101421212B1 (ko)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10098571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1615738B1 (ko) 건축용 조립식 파이프 서포트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CN213174807U (zh) 一种新型建筑模板固定结构
KR101622472B1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KR200487309Y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190004153A (ko) 돌출발코니용 갱폼
JP3224946U (ja) 介護用手摺り装置
CN205063336U (zh) 一种卫生间混凝土翻边的定位模具
RU200026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фальшпола
KR101910747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시스템 계단
JPH1046776A (ja) 手摺り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JP3216756U (ja) 介護用ポール装置
CN218952643U (zh) 一种装配式钢结构楼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