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309Y1 - 건축용 가설 지지대 - Google Patents

건축용 가설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09Y1
KR200487309Y1 KR2020170000754U KR20170000754U KR200487309Y1 KR 200487309 Y1 KR200487309 Y1 KR 200487309Y1 KR 2020170000754 U KR2020170000754 U KR 2020170000754U KR 20170000754 U KR20170000754 U KR 20170000754U KR 200487309 Y1 KR200487309 Y1 KR 200487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g
bolt
cap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527U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2020170000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0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구를 구성하는 지지볼트의 구조를 개량하여 다양한 크기의 지지대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조립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높낮이 조절구와 중공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구는, 스프링과,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 지지되고 타측에는 받침대가 설치된 높이조절용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볼트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체결용 캡과, 상기 지지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용 캡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중공형상으로서 내부에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스프링과 지지볼트를 수용하면서 하단에는 상기 체결용 캡이 결합되고, 상부 또는 중간부위에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가설 지지대{A suppor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가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 및 천장 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또는 치장벽돌의 시공을 위한 지지판을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여 생산 및 설치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및 조적 공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벽돌 및 블록 등의 조적체를 모르타르로 쌓아 벽체 또는 기타 구조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지판을 설치하고 이들 거푸집 및 지지판 그리고 콘크리트 및 조적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다수의 가설 지지대를 설치하는 건축 공사이다.
예컨대 종래의 가설 지지대 중 하나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455910호(2004.11.10. 공고)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높낮이 조절 손잡이를 형성하면서 조적을 위한 지지판을 상부에 형성한 상부지지대로 이루어졌다.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는 수나사가 형성된 상부지지대의 높이조절 손잡이를 회전시켜 건축물 바닥과 건축물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간격을 조정하는 단순한 나사 회전식 설치 구조이므로 설치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7328호(2011.12.15. 공고) '조적용 서포트'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167호(2013.01.08. 공개) '조적용 지지대'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85호(2013.06.07. 공고)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들은 사각파이프로 형성된 중공형상이면서 상단에 상부캡을 결합시킨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탄성 지지되도록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받침대를 결합한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볼트를 지지대에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체결용 캡 그리고 상기 지지볼트에 체결되어 높낮이를 설정시키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지지대의 상부캡을 거푸집 또는 조적용 지지판에 접촉시키고 지지볼트의 받침대를 바닥에 접촉시키면 지지볼트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바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지지하게 되고, 고정너트를 조여서 체결용 캡에 접촉시키면 상기 지지볼트의 유동을 정지시켜 안정적으로 거푸집 또 조적용 지지판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높낮이 조절용 지지볼트를 지지대에 체결시키는 체결용 캡은 대부분 용접을 통해 구성되고 지지볼트에 스프링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구조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조립하는 형태이므로 제작 비용 및 조립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1. 국내 등록특허 제10-0455910호(2004.11.10. 공고) 2.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7328호(2011.12.15. 공고) 3.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167호(2013.01.08. 공개) 4.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85호(2013.06.07.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높낮이 조절을 하는 지지볼트의 구조를 개량하여 다양한 크기의 가설 지지대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조립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가설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높낮이 조절구와 중공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구는, 스프링과,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 지지되고 타측에는 받침대가 설치된 높이조절용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볼트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체결용 캡과, 상기 지지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용 캡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중공형상으로서 내부에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스프링과 지지볼트를 수용하면서 하단에는 상기 체결용 캡이 결합되고, 상부 또는 중간부위에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용 캡은 절삭 가공을 통해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지지볼트가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 내경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볼트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용 요철면을 갖는 받침대와 용접이 아닌 가공을 통해 마련된 체결용 캡과 높낮이 조절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지지볼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항상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길이가 짧고 긴 제1 내지 제3 가설 지지대에 결합 및 분리 그리고 거푸집 및 지지판을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볼트의 나사산 부분을 단조 가공하여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고정핀 또는 고정너트의 결합수단보다 간편하고 별도의 부품이 없으므로 구조가 간결하며, 체결용 캡의 플랜지는 가설 지지대의 외형과 동일하게 사각 형태로 형성되므로 자체 또는 가설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적재가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구가 제1 내지 제3 지지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구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A, B)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구가 제1 지지대에 결합 및 가설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구가 제2 지지대에 결합되고 가설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구가 제1 지지대 및 제3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종래 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또는 벽돌 및 블록 등의 조적체를 쌓기 위한 지지판을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1) 및 높낮이 조절구(2)의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구(2)는 스프링(3)과, 이 스프링(3)이 탄성 지지되도록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받침대(4)를 결합한 높이조절용 지지볼트(5)와, 이 지지볼트(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체결용 캡(6), 그리고 상기 지지볼트(5)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용 캡(6)의 높낮이 위치를 설정시키는 고정너트(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는 중공형상으로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2)의 스프링(3)과 지지볼트(5)를 수용하면서 하단에는 상기 체결용 캡(6)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기본 구조에 대한 부분은 선행 기술문헌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핵심기술은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볼트(5)를 지지대(1)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체결용 캡(6)과, 스프링(3)의 안정적 결합상태 유지 및 탄성력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볼트(5)에 마련되는 걸림부(51) 및 받침대(4)의 구조를 간결하고 기능적으로 개량하며, 자체 또는 가설 지지대(1)에 결합 후 보관 및 운반을 위한 적재가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볼트(5)의 하단에 고정되는 받침대(4)의 외경은 적재할 때 걸림이 없도록 체결용 캡(6)의 둘레면보다 작게 형성하면서 바닥면에 접하는 접지 부분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면(4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용 캡(6)은 절삭 가공을 통해 사각형태의 플랜지(61)를 형성하고 중앙에 상기 지지볼트(5)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면서 상기 지지대(1)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플랜지(61)의 일측에 수나사(6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절삭 가공을 통해 체결용 캡(6)의 플랜지(61)를 사각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플랜지(61)를 지지대(1)의 하단에 정교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고, 보관 및 이동을 위한 적재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편리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볼트(5)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의 일단이 걸려 탄성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51)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볼트(5)의 걸림부(51)는 도 2(A, B)에서와 같이 수나사 일부분을 단조 가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고정핀 또는 고정너트에 의한 걸림수단보다 그 구조가 간결하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구(2)는 도 1에서와 같이 작업 현장의 특성에 따라 지지하고자 하는 높낮이 차이에 적합한 지지대(1)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지지대(1)는, 길이가 짧은 제1 지지대(11) 및 각 현장의 설치 공간의 높이에 적합하도록 절단된 길이가 긴 제2 지지대(12) 또는 제3 지지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대(11)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길이가 짧고 원형파이프의 하단 외경을 사각형태로 단조 성형하면서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체결용 캡(6)의 수나사(62)가 체결되도록 암나사(111)를 형성하고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경을 축소하여 걸림턱(1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대(12)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의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체결용 캡(6)의 수나사(62)가 체결되도록 암나사(121)를 형성하고, 중간 부위에는 상기 스프링(3)의 단부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나사(122)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대(13)는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로서, 하단 내측으로 상기 지지볼트(5)를 체결한 제1 지지대(11)의 사각형태의 하단부위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3(A)에서와 같이 높낮이 조절구(2)의 스프링(3)과 지지볼트(5)의 상단을 길이가 짧은 제1 지지대(11)에 유입시키면서 체결용 캡(6)의 수나사(62)을 제1 지지대(11)의 암나사(111)에 체결시키면 제1 지지대(11)의 하단과 체결용 캡(6)의 플랜지(61)는 정교하게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어서, 도 3(B)에서와 같이 거푸집 또는 지지판의 저면에 제1 지지대(11)의 상단을 접촉시키고 지지볼트(5)의 하단에 고정된 받침대(4)를 바닥면에 위치시켜 수직상태를 만들면 스프링(3)은 지지볼트(5)의 걸림부(51)를 탄성으로 반발시켜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2)와 상기 제1 지지대(11)가 함께 거푸집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쓰러지지 않고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7)를 회전시켜 체결용 캡(6)의 플랜지(61)에 조여서 고정하여 지지볼트(5)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거푸집 또는 지지판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이나 조적체를 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구(2)는 도 4에서와 같이 가설하는 공간이 넓은 경우에는 제2 지지대(12)의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121)에 높낮이 조절구(2)의 체결용 캡(6)의 수나사(62)를 체결하고 스프링(3)의 상단이 고정나사(122)에 접하여 압착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여 거푸집 또는 지지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콘크리트 타설이나 조적체를 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구(2)는 도 4의 제2 지지대(12)에 형성되는 암나사(121) 및 스프링(3)을 지지하는 고정나사(122)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의 하단 내측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구(2)를 체결한 제1 지지대(11)의 사각형태의 하단부위를 직접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구(2)는 그 자체 또는 제1 내지 제3 지지대(11, 12, 13)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 빛 운반할 때 적재가 편리하여 물류비용이 절감되며, 지지볼트(5) 자체를 단조 가공하여 형성되는 걸림부(51)는 결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스프링(3)의 탄성력 작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지지대 11: 제1 지지대
12: 제2 지지대 13: 제3 지지대
2: 높낮이 조절구 3: 스프링
4: 받침대 41: 요철면
5: 지지볼트 51: 걸림부
6: 체결용 캡 61: 플랜지
62: 수나사 7: 고정너트

Claims (4)

  1. 스프링(3)과,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이 삽입 지지되고 타측에는 받침대(4)가 설치된 높이조절용 지지볼트(5)와, 상기 지지볼트(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체결용 캡(6)과, 상기 지지볼트(5)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용 캡(6)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구(2)와;
    내부에 상기 높낮이 조절구(2)의 스프링(3)과 지지볼트(5)를 수용하면서 하단에는 상기 체결용 캡(6)이 결합되고, 상부 또는 중간부위에는 상기 스프링(3)의 단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중공 형상의 지지대(1);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용 캡(6)은 절삭 가공을 통해 상기 지지대(1)의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61)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61)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지지볼트(5)가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1)의 하단 내경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볼트(5)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의 일단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51)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의 외경은 상기 체결용 캡(6)의 둘레면 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접지 부분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볼트(5)의 걸림부(51)는 수나사 일부분을 단조 가공하여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는,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외경부가 사각형태로 단조 성형 되면서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체결용 캡(6)의 수나사(62)가 체결되는 암나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내경이 축소된 걸림턱(112)이 구비되어 있는 제1 지지대(11)와;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체결용 캡(6)의 수나사(62)가 체결되도록 암나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상기 스프링(3)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나사(122)가 설치된 제2 지지대(1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는 추가적으로,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내경부에는 상기 제1 지지대(11)의 사각형태의 하단 외경부가 결합되는 제3 지지대(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20170000754U 2017-02-14 2017-02-14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0487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54U KR200487309Y1 (ko) 2017-02-14 2017-02-14 건축용 가설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54U KR200487309Y1 (ko) 2017-02-14 2017-02-14 건축용 가설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27U KR20180002527U (ko) 2018-08-22
KR200487309Y1 true KR200487309Y1 (ko) 2018-09-04

Family

ID=6340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754U KR200487309Y1 (ko) 2017-02-14 2017-02-14 건축용 가설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3037A (en) * 2020-11-23 2022-07-27 Plumwall Bracing Systems Inc Alignment device for concrete for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82B1 (ko) * 2015-04-24 2016-11-08 서보산업 주식회사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7140A (en) * 1959-05-22 1962-03-27 Ralph H Holzbach Jack posts and means for forming the same
KR100455910B1 (ko) 2002-09-04 2004-11-10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KR200457328Y1 (ko) 2011-04-26 2011-12-15 강희준 조적용 서포트
KR20130000167U (ko) 2011-06-29 2013-01-08 조대희 조적용 지지대
KR200467285Y1 (ko) 2012-10-16 2013-06-07 한재홍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KR20140005306U (ko) * 2013-04-03 2014-10-14 한음기업(주) 높낮이 조절용 서포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82B1 (ko) * 2015-04-24 2016-11-08 서보산업 주식회사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27U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91902B2 (en) Concrete slab form system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0487309Y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2322571B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17134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95039Y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2427444B1 (ko) 서포트 일체형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1934520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시공용 거푸집 시스템 및 합벽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KR20160101427A (ko) 조적 벽체용 배전함 지지대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10156841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20170036438A (ko) 콘크리트 매립형 인서트
KR200388070Y1 (ko) 조적 보강대
JP2500961Y2 (ja) コンクリ―ト用型枠
KR101788650B1 (ko) 이중 안전 고정 서포트
KR101540253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200367616Y1 (ko) 거푸집 지지용 수직조절대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