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666B1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Google Patents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1666B1 KR102451666B1 KR1020210148762A KR20210148762A KR102451666B1 KR 102451666 B1 KR102451666 B1 KR 102451666B1 KR 1020210148762 A KR1020210148762 A KR 1020210148762A KR 20210148762 A KR20210148762 A KR 20210148762A KR 102451666 B1 KR102451666 B1 KR 1024516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liner
- post
- locking
- preven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1—Posts therefor with hollow cross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는 난간 포스트의 측면에 라이너 고정구가 구비되어지고, 난간 라이너가 거치된 난간바가 상기 라이너 고정구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너 고정구의 일측에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 라이너가 유동방지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난간 포스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난간바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는 난간 포스트의 측면에 라이너 고정구가 구비되어지고, 난간 라이너가 거치된 난간바가 상기 라이너 고정구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너 고정구의 일측에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 라이너가 유동방지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난간 포스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난간바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 건 발명은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간 포스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난간바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 다리에는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장식을 위한 방안으로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수직형태를 갖는 난간 지주와 수평형태를 갖는 난간대를 이용하여 막아 놓은 난간대가 설치된다.
난간대는 주문 제작된 것을 이용하여 난간 지주가 수직으로 구비되도록 한 후 난간 지주에 난간대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하고, 이어 난간대의 타측이 다른 난간 지주에 결합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설치된다.
난간 지주는 속이 채워져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브라켓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난간대 역시 속이 채우져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태를 갖거나, 속이 비어 있는 원통 또는 사각통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난간 브라켓에 의하여 난간 지주 사이에 단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된다.
속이 채워지거나 비어 있는 단순한 형태의 난간 지주 및 난간대를 이용하여 난간을 설치할 경우, 현장이 설계도면과 다른 램프구배, 계단구배 및 꺽임 등에 의하여 입편 및 평면상 다양한 각도가 발생됨에 따라 작업의 지연으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과 비용 지출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난간 지주의 형태가 가장 단순함에 따라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06096호(2017.02.07.)의 개량형 난간 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난간 구조는 난간 포스트의 내부에 난간 내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난간 내부 프레임 고정구에 슬롯을 형성하여 난간 내부 프레임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난간 내부 프레임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슬롯에 변형이 발생되고, 난간 내부 프레임 고정구가 난간 포스트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나의 난간 포스트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된 난간 내부 프레임이 분리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인장력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건 발명은 난간 포스트의 라이너 고정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난간 라이너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난간바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 보행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난간바를 지지하는 포스트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난간 포스트(10)의 측면에 라이너 고정구(30)가 구비되어지고, 난간 라이너(40)가 거치된 난간바(50)가 상기 라이너 고정구(30)를 관통하는 난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고정구(30)의 일측에는 유동방지구(20)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 라이너(40)가 유동방지구(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너 고정구(30)는 라이너 프레임(310)의 단반향 외측에 난간 라이너(40)가 관통되어 안착되는 아우터 관통홀(311-1)이 형성되고, 단방향 내측에 난간 라이너(40)와 연결되도록 인너 관통홀(321-1)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관통홀(311-1) 일측에 록킹핀(255)이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관통홀(311-1)의 타측에 힌지 고정핀(280)이 결합되어 유동방지구(20)가 힌지 회동되되며, 상기 유동방지구(20)는 록킹핀(255)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난간 라이너(40)가 가압되도록 ∩형태를 갖는 록킹홈(2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구(20)는 상기 록킹홈(250)의 입구측에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받는 록킹편(230)이 구비되어지고, 타측에 힌지축(27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힌지축(270)은 상기 타측 힌지 고정핀(280)에 의하여 상기 라이너 고정구(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 포스트(10)는 중공의 4각형태를 갖는 포스트 프레임(110)의 모서리에 각각 스킨 걸림편(121)을 갖는 스킨 걸림부(120)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4면에 각각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되는 2열 돌기 라이너(111)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돌기 라이너(111) 사이에 아우터 조인 관통홀(112)이 구비되어 조인바(430)가 관통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스킨 걸림부(120)는 외측으로 경사편(122)과 연장편(123)이 2겹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내부에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이 삽입되되, 상기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은 중공의 각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구(20)는, 아암 몸체(210)와 아암 캡(220)에 의하여 내부 공간부(S)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암 몸체(210)는 2열의 록킹 가이드 레일(211)에 의하여 제1스프링 안착부(231)를 갖는 록킹편(230)이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록킹 가이드 레일(211)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제2스프링 안착부(212)가 구비되어 스프링(240)이 상기 제1스프링 안착부(231)와 제2스프링 안착부(212)에 안착되게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암 몸체(210)에 아암 캡(220)이 맞대어져 일측 하부에 록킹홈(250)이 구비어지고, 타측에 힌지축 관통홀(260)이 형성되어 암나사부(271)를 갖는 힌지축(270)이 리벳형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271)를 관통한 타측 힌지 고정핀(280)이 라이너 고정구(30)에 타측 암나사부(311-3)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난간 포스트에 구비된 라이너 고정구에 난간 라이너가 끼워져 유동방지구에 의하여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난간 와이어의 외부에 구비된 난간바가 유동되어 흔들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보행자에게 불안감을 해소시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난간 라이너가 난간 포스트를 관통하는 조인바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양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에 있어 유동방지구가 록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에 있어 유동방지구가 록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에 있어 유동방지구가 록킹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는 난간 라이너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에 있는 난간바가 같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 보행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포스트(10), 유동방지구(20), 라이너 고정구(30), 난간 라이너(40), 난간바(50)가 포함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난간 포스트(10)의 측면에 유동방지구(20)를 갖는 라이너 고정구(30)가 구비되어지고, 난간 라이너(40)가 거치된 난간바(50)가 상기 라이너 고정구(30)를 관통하여 유동방지구(20)에 의하여 눌려지게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난간 포스트(1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형태를 가짐으로써, 난간바(50)가 수평 또는 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공의 4각형태를 갖는 포스트 프레임(110)으로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모서리에 각각 스킨 걸림편(121)을 갖는 스킨 걸림부(1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4면에 각각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되는 2열 돌기 라이너(111)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강도가 더 한층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2열의 돌기 라이너(111) 중 내측으로 위치된 부분에는 후술하는 라이너 고정구(30)의 인너 돌출부(32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라이너 고정구(30)가 안정되게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기 라이너(111) 사이에는 아우터 조인 관통홀(112)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조인바(430)가 일측에서 타측 또는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관통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고, 이는 조인바(430)에 의하여 난간 라이너(40)가 결합될 경우, 양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스킨 걸림부(120)는 후술하는 스킨부재(150)가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난간 포스트(10)의 표면이 자연친화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킨 걸림부(120)는 외측으로 경사편(122)과 연장편(123)이 2겹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높은 강도 내지는 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스킨 걸림편(121)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킨 걸림부(120)의 스킨 걸림편(121)은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 요철부(121-1)가 구비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이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강도를 더 한층 보강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부에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상기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은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중공의 각관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인너 조인트 관통홀(131)이 관통되게 구비되어 조인바(430)가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관통된 조인바(430)의 단부는 다시 포스트 프레임(110)에 구비된 아우터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라이너 고정구(30)의 라이너 프레임(310) 내부까지 노출 또는 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킨부재(150)는 포스트 프레임(110)의 표면이 자연친화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목재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스킨부재(150)는 포스트 프레임(110)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장스킨부재(151)가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의 전후방에 구비되어지고, 소정 길이로 절단된 단스킨부재(152)가 포스트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모서리 스킨부재(153)가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 네개의 모서리에 구비된다.
이러한 스킨 부재(150)는 포스트 프레임(1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방지구(20)는 난간 라이너(40)가 상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일측에 ∩형태를 갖는 록킹홈(25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록킹홈(250)의 입구측에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받는 록킹편(230)이 구비되어지고, 타측에 힌지축(27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270)이 타측 힌지 고정핀(280)에 의하여 상기 라이너 고정구(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된다.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구(20)는 아암 몸체(210)와 아암 캡(220)에 의하여 내부로 내부 공간부(S)가 제공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아암 몸체(210)는 2열의 록킹 가이드 레일(211)에 의하여 제1스프링 안착부(231)를 갖는 록킹편(230)이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록킹 가이드 레일(211)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제2스프링 안착부(212)가 구비되어 스프링(240)이 상기 제1스프링 안착부(231)와 제2스프링 안착부(212)에 안착되게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아암 몸체(210)에 아암 캡(220)이 맞대어져 일측 하부에 일측 언록킹핀(255)에 삽입되는 록킹홈(250)이 구비어지고, 타측에 힌지축 관통홀(260)이 형성되어 암나사부(271)를 갖는 힌지축(270)이 리벳형태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아암 몸체(210)와 아암캡(2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암나사부(271)를 관통한 타측 힌지 고정핀(280)이 라이너 고정구(30)에 타측 암나사부(311-3)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유동방지구(20)가 라이너 고정구(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구(20)가 타측 힌지 고정핀(280)을 중심으로 외측 상부를 향하여 젖혀진 상태 즉, 아우터 관통홀(311-1)이 오픈된 상태에서 내부로 난간 라이너(40)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하고, 이어 젖혀져 있던 유동방지구(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록킹홈(250)에 일측 록킹핀(255)이 위치되도록 한 후 누름과 동시에 일측 록킹편(230)의 단부가 만곡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록킹편(230)이 록킹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인입되게 이동되면서 스프링(24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어 록킹홈(250)의 상단이 일측 록킹핀(255)에 맞닿음과 동시에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록킹편(230)이 록킹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인출되게 이동되면서 일측 록킹핀(255)이 록킹홈(250)에서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부가 개방된 아우터 관통홀(311-1)의 하부로 안착된 난간 라이너(40)가 상부를 향하여 이동 내지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국 난간바(50)가 같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행자는 난간바(50)가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없게 됨에 따라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라이너 고정구(30)는 라이너 프레임(310)의 단반향 외측에 난간 라이너(40)가 관통되어 안착되는 아우터 관통홀(311-1)을 갖는 아우터 돌출부(311)가 구비되어지며, 단방향 내측에 난간 라이너(40)에 조인트(420)로 연결되는 조인바(430)가 관통되는 인너 관통홀(321-1)을 갖는 인너 돌출부(3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라이너 프레임(310)은 상부 또는 하부에 난간 포스트(10)의 스킨부재(150)가 맞대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의 표면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 돌출부(311)에 구비된 아우터 관통홀(311-1) 일측에는 일측 암나사부(311-2)가 구비되어 일측 록킹핀(255)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동방지구(20)의 록킹홈(250)이 록킹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아우터 관통홀(311-1)의 타측에는 타측 암나사부(311-3)가 구비되어 타측 힌지 고정핀(280)이 결합됨으로써, 유동방지구(20)가 젖혀진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난간 라이너(40)는 난간 포스트(10)와 이웃하는 다른 난간 포스트(10)가 연결되도록 하여 난간바(5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산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라이너 고정구(30)의 내부로 삽입된 조인바(430)에 용이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난간바(50)는 라이너 고정구(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부가 개방된 역찬넬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난간 포스트(10) 사이에 난간 라이너(40)가 설치된 상태에서 난간 라이너(4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난간 라이너(4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트(420)는 난간 포스트(10)의 외측으로 위치된 난간 라이너(40)와 내측으로 위치된 조인바(43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난간 포스트(10)의 양측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라이너 고정구(3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조인트(420)는 내주연부에 소정 직경을 갖는 조인 암나사부(421)가 관통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조인 과정에서 조인트(4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부는 다각형태의 공구 결합부(422)가 구비된다.
상기 조인바(430)는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또는 양측이 포스트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라이너 고정구(30)의 내부까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인바(430)의 조인 암나사부(42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인바(430)는 전산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난간 포스트(10)는 하부에 보호링캡(60)이 구비되어 하부 마감이 미려해져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상부에 포스트캡(70)이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포스트 프레임(110)의 내,외부와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의 내,외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난간 포스트 20:유동방지구
30:라이너 고정구 40:난간 라이너
50:난간바 150:스킨부재
240:스프링 255:일측 록킹핀
270:힌지축 280:타측 힌지 고정핀
310:라이너 프레임 311:아우터 돌출부
311-1:아우터 관통홀 311-2:일측 암나사부
311-3:타측 암나사부 320:록킹편
321:인너 돌출부 321-1:인너 관통홀
420:조인트 430:조인바
30:라이너 고정구 40:난간 라이너
50:난간바 150:스킨부재
240:스프링 255:일측 록킹핀
270:힌지축 280:타측 힌지 고정핀
310:라이너 프레임 311:아우터 돌출부
311-1:아우터 관통홀 311-2:일측 암나사부
311-3:타측 암나사부 320:록킹편
321:인너 돌출부 321-1:인너 관통홀
420:조인트 430:조인바
Claims (9)
- 삭제
- 난간 포스트(10)의 측면에 라이너 고정구(30)가 구비되어지고, 난간 라이너(40)가 거치된 난간바(50)가 상기 라이너 고정구(30)를 관통하는 난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고정구(30)의 일측에는 유동방지구(20)가 구비되어 상기 난간 라이너(40)가 유동방지구(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 고정되며,
상기 라이너 고정구(30)는 라이너 프레임(310)의 단반향 외측에 난간 라이너(40)가 관통되어 안착되는 아우터 관통홀(311-1)이 형성되고, 단방향 내측에 난간 라이너(40)와 연결되도록 인너 관통홀(321-1)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관통홀(311-1) 일측에 록킹핀(255)이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관통홀(311-1)의 타측에 힌지 고정핀(280)이 결합되어 유동방지구(20)가 힌지 회동되며, 상기 유동방지구(20)는 록킹핀(255)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난간 라이너(40)가 가압되도록 ∩형태를 갖는 록킹홈(2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구(20)는,
상기 록킹홈(250)의 입구측에 스프링(240)의 탄성력을 받는 록킹편(230)이 구비되어지고, 타측에 힌지축(27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힌지축(270)은 상기 타측 힌지 고정핀(280)에 의하여 상기 라이너 고정구(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포스트(10)는 중공의 4각형태를 갖는 포스트 프레임(110)의 모서리에 각각 스킨 걸림편(121)을 갖는 스킨 걸림부(120)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4면에 각각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되는 2열 돌기 라이너(111)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돌기 라이너(111) 사이에 아우터 조인 관통홀(112)이 구비되어 조인바(430)가 관통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스킨 걸림부(120)는 외측으로 경사편(122)과 연장편(123)이 2겹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110)은 내부에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이 삽입되되, 상기 포스트 보강 프레임(130)은 중공의 각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구(20)는,
아암 몸체(210)와 아암 캡(220)에 의하여 내부 공간부(S)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몸체(210)는 2열의 록킹 가이드 레일(211)에 의하여 제1스프링 안착부(231)를 갖는 록킹편(230)이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록킹 가이드 레일(211)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제2스프링 안착부(212)가 구비되어 스프링(240)이 상기 제1스프링 안착부(231)와 제2스프링 안착부(212)에 안착되게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몸체(210)에 아암 캡(220)이 맞대어져 일측 하부에 록킹홈(250)이 구비되어지고, 타측에 힌지축 관통홀(260)이 형성되어 암나사부(271)를 갖는 힌지축(270)이 리벳형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271)를 관통한 타측 힌지 고정핀(280)이 라이너 고정구(30)의 타측 암나사부(311-3)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762A KR102451666B1 (ko) | 2021-11-02 | 2021-11-02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762A KR102451666B1 (ko) | 2021-11-02 | 2021-11-02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1666B1 true KR102451666B1 (ko) | 2022-10-06 |
Family
ID=8359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762A KR102451666B1 (ko) | 2021-11-02 | 2021-11-02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166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1332B1 (ko) | 2022-12-10 | 2023-05-12 | 대지이앤씨산업(주) | 안전난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330B1 (ko) * | 2011-11-30 | 2012-07-30 | 주식회사 호영하이텍 | 난간용 로프의 텐션 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난간 |
KR101706096B1 (ko) | 2016-08-24 | 2017-02-15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대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개량형 난간 구조 |
KR101978357B1 (ko) * | 2018-09-19 | 2019-05-16 | 에스와이우드(주)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
2021
- 2021-11-02 KR KR1020210148762A patent/KR1024516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330B1 (ko) * | 2011-11-30 | 2012-07-30 | 주식회사 호영하이텍 | 난간용 로프의 텐션 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난간 |
KR101706096B1 (ko) | 2016-08-24 | 2017-02-15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대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개량형 난간 구조 |
KR101978357B1 (ko) * | 2018-09-19 | 2019-05-16 | 에스와이우드(주)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1332B1 (ko) | 2022-12-10 | 2023-05-12 | 대지이앤씨산업(주) | 안전난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92383B2 (en) |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 |
KR101876827B1 (ko) |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451666B1 (ko)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
KR101742245B1 (ko) |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 |
KR20090077459A (ko) | 난간의 난간지주 | |
KR20200053252A (ko) |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 |
KR102049362B1 (ko) | 난간 연결구조체 | |
KR101663738B1 (ko) | 계단용 난간 | |
CN110285121A (zh) | 家具系统 | |
KR101952924B1 (ko) | 난간 연결장치 | |
KR200439417Y1 (ko) | 조립식 난간 | |
KR102451655B1 (ko) | 난간 상부 구조체 | |
KR101978360B1 (ko) |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 |
KR101805796B1 (ko) | 작업용 안전난간 이탈 방지장치 | |
KR200493538Y1 (ko) |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 |
KR101852139B1 (ko) | 계단용 난간지주 | |
KR200436708Y1 (ko) | 계단난간 | |
KR101263171B1 (ko) |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 |
KR20090111368A (ko) | 체결부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및 울타리 | |
KR101425590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및 그 시공방법 | |
KR102672965B1 (ko) | 조립식 핸드레일 | |
KR102249911B1 (ko) | 용접연결유닛이 구비된 데크 난간 기둥 | |
KR102362861B1 (ko) | 난간 결합체 | |
KR102674096B1 (ko) | 조립식 핸드레일 설치방법 | |
KR200468618Y1 (ko) | 난간동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