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357B1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Google Patents
개량형 난간 포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8357B1 KR101978357B1 KR1020180112392A KR20180112392A KR101978357B1 KR 101978357 B1 KR101978357 B1 KR 101978357B1 KR 1020180112392 A KR1020180112392 A KR 1020180112392A KR 20180112392 A KR20180112392 A KR 20180112392A KR 101978357 B1 KR101978357 B1 KR 1019783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rner
- skin member
- tube
- en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사각형상의 지지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가 구비된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관의 외측 모서리에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가 전후방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세로방향 사이에 상기 프레임 고정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레임 고정구는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의 외측 모서리에 모서리 스킨부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각관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에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난간대를 지지하는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사각형상의 지지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가 구비된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관의 외측 모서리에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가 전후방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세로방향 사이에 상기 프레임 고정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레임 고정구는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의 외측 모서리에 모서리 스킨부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각관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에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난간대를 지지하는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 건 발명은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간대를 지지하는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 다리, 툇마루 등에는 사용자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장식을 위한 방안으로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수직형태를 갖는 난간 지주와 수평형태를 갖는 난간대를 이용하여 막아 놓은 난간대가 설치되어 있다.
난간대는 설계도면에 일치하도록 공장에서 주문제작된 것을 이용하여 난간 지주가 수직으로 구비되도록 한 후 난간 지주에 난간대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하고, 이어 난간대의 타측이 다른 난간 지주에 결합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설치된다.
난간 지주는 속이 채워져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브라켓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난간대 역시 속이 채우져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태를 갖거나, 속이 비어 있는 원통 또는 사각통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난간 브라켓에 의하여 난간 지주 사이에 단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된다.
속이 채워지거나 비어 있는 단순한 형태의 난간 지주 및 난간대를 이용하여 난간을 설치할 경우, 현장이 설계도면과 다른 램프구배, 계단구배 및 꺽임 등에 의하여 입편 및 평면상 다양한 각도가 발생됨에 따라 작업의 지연으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과 비용 지출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난간 지주의 형태가 가장 단순함에 따라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06096호(2017.02.07)의 개량형 난간 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난간 구조는 난간 포스트에 난간 내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난간 내부 프레임 고정구에 슬롯을 형성하여 난간 내부 프레임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난간 내부 프레임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슬롯에 변형이 발생되고, 난간 내부 프레임 고정구가 난간 포스트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나의 난간 포스트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된 난간 내부 프레임이 분리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인장력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건 발명은 난간대를 지지하는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가운데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사각형상의 지지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된 개량형 난간 포스트(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각관(110)의 외측 모서리에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120)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130)가 전후방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세로방향 사이에 상기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고정구(20)는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130)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210)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 모서리에 모서리 스킨부재(1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각관(110)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210)에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직사각의 중공형태를 갖는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에 2열의 보강리브(2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보강리브(212) 사이로 상부가 오픈된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몸체(211)의 내측에 상기 각관(110)을 향하도록 형성된 돌출부(213)에는 돌출된 양측의 외측면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에 형성된 간격유지편(122)의 단부 및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돌출부(213)에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노출된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에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411)의 내측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재(430)의 내측단부(431a)가 고정 프레임(210)에 형성된 돌출부(213)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각관(110)의 표면으로 가압시켜 상기 돌출부(213)가 각관(110)의 외측면에 긴결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각관(110)에 작용되도록 한 후 이어 2차적으로 각관(110)의 내부로 위치된 인너 프레임(41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은 모서리 안착편(121)의 외측에 각각 2개의 간격유지편(1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편(122) 사이로 위치된 절곡부(123)에 각각 경사편(12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편(124)의 단부에 상기 간격유지편(122)과 평행한 2개의 연장편(1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2개의 연장편(125) 단부에 걸림편(126)이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에 결합되어지는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사각기둥 또는 사각통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으로 끼워지되, 상기 모서리 스킨부재(140)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25)은 2열로 형성되어짐으로서 내부에 연장공간부(12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킨부재(130) 및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 건 발명은 난간대를 지지하는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각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프레임 고정구에 작용되도록 하는 가운데 각관의 내부에 구비된 인너 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단이 각관 및 프레임 고정구를 관통하여 아우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난간 포스트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관의 외부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스킨부재와 모서리 스킨부재가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횡단면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횡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난간 포스트(A)는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갖는 지지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2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10)는 각관(110)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모서리 프레임(120)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130)가 전후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세로방향 사이에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되어짐으로써, 각관(11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스킨부재(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관(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인너 프레임(410)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있다.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은 내측이 각관(110)의 모서리에 안착되는 형태를 갖는 모서리 안착편(121)의 외측에 각각 2개의 간격유지편(1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편(122) 사이로 위치된 절곡부(123)에 각각 경사편(124)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경사편(124)의 단부에는 간격유지편(122)과 평행한 2개의 연장편(1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2개의 연장편(125) 단부에 걸림편(126)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모서리 스킨부재(14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각관(11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스킨부재(130)와, 스킨부재(130)의 상부에 안착되는 프레임 고정구(20)의 고정 프레임(210)이 각관(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은 사각기둥 또는 사각통형태를 갖는 모서리 스킨부재(140)가 슬라이딩으로 끼워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 스킨부재(140)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으로 형성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모서리 안착편(121)의 연장편(125)은 2열로 형성되어짐으로써, 내부에 연장공간부(127)가 형성되는 가운데 모서리 부분의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킨부재(130)는 난간 포스트(A)의 내부로 구비된 각관(11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미려해져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목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적으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목재 이외에 합성수지재가 압출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구(20)는 지지대(10)의 각관(100)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130)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210)으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스킨부재(130)의 높이에 따라 난간 포스트(A)의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내부에 결합부재(43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각관(110)의 내부로 삽입된 인너 프레임(410)의 일측 또는 양측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 프레임(40)의 내부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의 일측 또는 양측이 각각 결합부재(430)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직사각의 중공형태를 갖는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에 2열의 보강리브(212)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몸체(211)의 내측에는 각관(110)을 향하는 돌출부(213)가 형성되어 각관(110)의 표면에 맞대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13)는 돌출된 양측의 외측면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에 형성된 간격유지편(122)의 단부 및 측면이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10)에는 양측에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13)에 형성된 관통홀(h)은 원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노출된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에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411)의 내측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재(430)의 내측단부(431a)가 고정 프레임(210)에 형성된 돌출부(213)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각관(110)의 표면으로 가압시켜 상기 돌출부(213)가 각관(110)의 외측면에 긴결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각관(110)의 표면으로부터 프레임 고정구(20)의 프레임 몸체(211)가 이격되거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프레임 몸체(211)의 내측이 각관(110)의 모서리에 결합된 모서리 프레임(120)을 가압시킨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스킨부재(130)와 모서리 스킨부재(140)에 유동이 발생되거나, 각관(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 나사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각관(110)에 작용되도록 하여 완화되는 가운데 인장력이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면인 보강리브(212)와 U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된 부분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완화된 후 이어 2차적으로 각관(110)의 내부로 위치된 인너 프레임(41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고정구(20)를 포함하는 난간 포스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 나사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각관(110)에 작용되도록 하여 완화되는 가운데 인장력이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면인 보강리브(212)와 U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된 부분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완화된 후 이어 2차적으로 각관(110)의 내부로 위치된 인너 프레임(41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고정구(20)를 포함하는 난간 포스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관(110)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210)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난간 프레임(40)을 지지하는 전산볼트 형태를 갖는 아우터 프레임(420)과 인너 프레임(410)이 결합부재(430)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난간 포스트(A)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아우터 프레임(420)이 결합부재(430)에 의하여 각관(110)의 내부에 삽입된 인너 프레임(410)에 결합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420)을 통해 작용하는 인장력이 미도시한 다른 난간 포스트(A)에 작용하여 저항력의 증가를 가져와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난간 포스트(A)의 양측에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난간 프레임(40)이 수평형태를 갖도록 아우터 프레임(420)에 얹혀지게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일측과 타측의 난간 포스트(A) 사이의 공간이 난간 프레임(40)에 의하여 차단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난간 포스트(A)는 먼저, 난간이 설치될 장소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난간 포스트(A)가 직립되도록 설치된 후 각관(110)의 상부로 인너 프레임(41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너 프레임(410)은 고정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형성된 U형태를 관통홀(h)과 돌출부(213)에 형성된 관통홀(h)을 경유하여 각관(110)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해 각관(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 각관(110)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h) 및 고정 프레임(210)의 돌출부(213)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해 노출된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양측으로 위치된 외측단부(411a)가 각각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관(110)의 내부로 삽입된 인너 프레임(410)은 각관(110)의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에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411)의 내측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재(430)의 내측단부(431a)가 고정 프레임(210)에 형성된 돌출부(213)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각관(110)의 표면으로 가압시켜 상기 돌출부(213)가 각관(110)의 외측면에 긴결되게 결합되어지게 된다.
다음, 각관(110)의 일측으로 구비된 프레임 고정구(20)의 프레임 몸체(211)에 형성된 U형태를 갖는 관통홀(h)에 아우터 프레임(420)이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 프레임(210)의 내부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나사결합되도록 한 후 각관(110)의 타측으로 구비된 다른 프레임 고정구(20)에 동일한 과정을 통해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의 단부가 나사결합되록 한다. 이때,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는 난간 포스트(A)를 구비하는 각관(110)을 기준으로 각관(110)의 내부에 구비된 인너 프레임(410)에 아우터 프레임(420)이 결합부재(430)에 의하여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어느 하나의 아우터 프레임(42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인장력이 난간 포스트(A)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다른 난간 포스트(A)에 연결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난간 포스트(A)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부분의 국부적인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난간 포스트(A)와 다른 난간 포스트(A) 사이에 아우터 프레임(4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난간 프레임(40)에 형성된 거치홈(401)이 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공이 마무리된다.
10:지지대 20:프레임 고정구
110:각관 120:모서리 프레임
121:모서리 안착편 122:간격유지편
123:절곡부 124:경사편
125:연장편 126:걸림편
127:연장공간부 130:스킨부재
140:모서리 스킨부재 210:고정 프레임
211:프레임 몸체 212:보강리브
213:돌출부
110:각관 120:모서리 프레임
121:모서리 안착편 122:간격유지편
123:절곡부 124:경사편
125:연장편 126:걸림편
127:연장공간부 130:스킨부재
140:모서리 스킨부재 210:고정 프레임
211:프레임 몸체 212:보강리브
213:돌출부
Claims (7)
- 사각형상의 지지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된 개량형 난간 포스트(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각관(110)의 외측 모서리에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120)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130)가 전후방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세로방향 사이에 상기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고정구(20)는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130)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210)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 모서리에 모서리 스킨부재(1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각관(110)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210)에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직사각의 중공형태를 갖는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에 2열의 보강리브(2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보강리브(212) 사이로 상부가 오픈된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몸체(211)의 내측에 상기 각관(110)을 향하도록 형성된 돌출부(213)에는 돌출된 양측의 외측면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에 형성된 간격유지편(122)의 단부 및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돌출부(213)에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노출된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에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411)의 내측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재(430)의 내측단부(431a)가 고정 프레임(210)에 형성된 돌출부(213)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각관(110)의 표면으로 가압시켜 상기 돌출부(213)가 각관(110)의 외측면에 긴결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각관(110)에 작용되도록 한 후 이어 2차적으로 각관(110)의 내부로 위치된 인너 프레임(41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은 모서리 안착편(121)의 외측에 각각 2개의 간격유지편(1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편(122) 사이로 위치된 절곡부(123)에 각각 경사편(12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편(124)의 단부에 상기 간격유지편(122)과 평행한 2개의 연장편(1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2개의 연장편(125) 단부에 걸림편(126)이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에 결합되어지는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사각기둥 또는 사각통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으로 끼워지되, 상기 모서리 스킨부재(140)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25)은 2열로 형성되어짐으로서 내부에 연장공간부(12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재(130) 및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392A KR101978357B1 (ko) | 2018-09-19 | 2018-09-19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392A KR101978357B1 (ko) | 2018-09-19 | 2018-09-19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8357B1 true KR101978357B1 (ko) | 2019-05-16 |
Family
ID=6667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2392A KR101978357B1 (ko) | 2018-09-19 | 2018-09-19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835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666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KR102451655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 상부 구조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349Y1 (ko) * | 2011-01-12 | 2011-06-29 | (주)우리조경건설 |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
KR200473181Y1 (ko) * | 2014-02-14 | 2014-06-16 | 김경자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 |
KR101706096B1 (ko) | 2016-08-24 | 2017-02-15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대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개량형 난간 구조 |
-
2018
- 2018-09-19 KR KR1020180112392A patent/KR1019783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349Y1 (ko) * | 2011-01-12 | 2011-06-29 | (주)우리조경건설 |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
KR200473181Y1 (ko) * | 2014-02-14 | 2014-06-16 | 김경자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 |
KR101706096B1 (ko) | 2016-08-24 | 2017-02-15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대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개량형 난간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666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KR102451655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 상부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686B1 (ko) |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 |
KR101978357B1 (ko)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
CA2320656C (en) | Post and railing system | |
KR101994644B1 (ko) | 데크 확장형 난간고정장치 | |
KR101548905B1 (ko) |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 |
US20140054530A1 (en) | Railing assembly | |
KR101464304B1 (ko) | 교량 점검로 | |
UA124109C2 (uk) | Пристрій для прикріплення переважно плоского предмета до споруди | |
KR20200053252A (ko) |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 |
KR101409637B1 (ko) |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 |
US10625329B2 (en) | Railing system | |
KR101978360B1 (ko) |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 |
US8215063B1 (en) | Guard rail lock assembly | |
KR101634503B1 (ko) | 목교 | |
KR101199507B1 (ko) |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연결장치 | |
ES2875379T3 (es) | Estructura de marco para un sistema de estanterías | |
KR101810954B1 (ko) | 데크 고정용 클립 | |
US3389931A (en) | Connector means for attaching components into an integral structure | |
KR101808460B1 (ko) |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 |
KR20170011230A (ko) |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 |
KR101471489B1 (ko) | 조립식 발코니 난간대 | |
KR101567301B1 (ko) |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 |
KR101976314B1 (ko) | 캐노피 결합구조 | |
KR101166795B1 (ko) | 교량의 점검시설용 난간지주 | |
US20030091386A1 (en) | Furniture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