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121B1 -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 Google Patents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121B1
KR101754121B1 KR1020170005828A KR20170005828A KR101754121B1 KR 101754121 B1 KR101754121 B1 KR 101754121B1 KR 1020170005828 A KR1020170005828 A KR 1020170005828A KR 20170005828 A KR20170005828 A KR 20170005828A KR 101754121 B1 KR101754121 B1 KR 10175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deck
foundation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이윤경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경,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윤경
Priority to KR102017000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10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데크조립체에서 수직연장된 지주를 끼움 결합에 이은 걸림 고정방식을 적용하여 지주시공이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갖는 목재 데크를 효율적으로 시공함을 제공하도록, 상부에 바닥면을 형성토록 데크상판이 배열 배치된 데크조립체에서 바닥기초 또는 난간기초를 이루도록 수직연장된 지주를 지지고정하는 지주조립체에 있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기초지주목과; 하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에 대응하여 수용 고정할 수 있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기초지주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지주관에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의 외부 표면에 걸림 접촉하는 경사고정편을 포함하는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Post Assembly for Wood Deck}
본 발명은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데크조립체에서 수직연장된 지주를 끼움 결합에 이은 걸림 고정방식을 적용하여 지주시공이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갖는 목재 데크를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주변의 자연 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므로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목재 데크(Deck)를 시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추구한다는 현상과 맞물리면서 목조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목재 데크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 펜션 등과 같은 개인적인 건축물에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목재 데크의 기본적인 구조적 구성들을 살펴보면, 상부에 여러 개가 배열 배치되어 보행자가 보행가능한 바닥면을 조성하기 위한 데크상판과 함께 데크상판을 지지고정하기 위한 수평보를 구비하고, 지면의 기초 위에 데크상판 및 수평보를 지지고정하거나 데크상판 상에 난간을 지지고정할 수 있게 기둥역할을 하는 지주조립체로 구성한다.
그런데 기존 목재 데크의 지주조립체는 목재 데크의 기초로 콘크리트 타설하거나 단순히 볼트 고정하여 지주를 고정하기 때문에 해당 작업공정이 복잡하며,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바 전반적인 시공공기가 길어지고, 볼트 등 고정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상기한 문제로 인한 해결방안 중 지주를 수용토록 지지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지주각관을 구성토록 시공하였는바, 이는 지주의 부피에 맞춰 지주각관의 내경을 가공제조한다 하더라도 서로 유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목재 데크의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3119호(2011.11.07.)에는 복수의 열을 이루며,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다수의 지주 상측에 걸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목재 데크와; 상기 각 지주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다수의 지주케이스 - 상기 각 지주케이스는 대응하는 상기 각 지주 하단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고정하며, 상기 각 지주케이스의 하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지면에 매몰되어 고정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됨 - 와; 상기 각 지주케이스에 마련되되, 상기 다수의 지주로 구성된 복수의 열이 어느 하나의 열에서 다른 하나의 열을 향하여 상기 각 지주 상단 높이가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각 지주의 하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각 지주케이스에 고정하게 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목재 데크가 상기 각 지주 상단 높이의 차이에 따라 경사를 이루어 상기 목재 데크 상단에 물고임이 방지될 수 있는 목재 데크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목재 데크의 지주를 고정할 수 있게 구비되는 지주케이스는 기초 위에 고정 설치하되 내측에 지주를 수용지지한 후 별도의 볼트를 사용하여 결속시키기 때문에 시공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시공공기가 지체되고, 볼트로 고정하여 지주의 이탈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지주와 지주케이스 간에 미세한 결합 공차로 인하여 외력에 따른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3119호(2011.1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 데크에서 지주강관을 향한 지주의 슬라이딩 끼움 결합시 지주강관 내 지주가 걸림 접촉하도록 구성하므로 목재 데크의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시공공기를 단축하고, 지주조립에 따른 결속력 및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는 상부에 바닥면을 형성토록 데크상판이 배열 배치된 데크조립체에서 바닥기초 또는 난간기초를 이루도록 수직연장된 지주를 지지고정하는 지주조립체에 있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기초지주목과; 하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에 대응하여 수용 고정할 수 있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기초지주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지주관에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의 외부 표면에 걸림 접촉하는 경사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지주관에는 상기 기초지주목의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향한 상기 기초지주목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고정편은 일단이 뾰족한 단면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기초지주관의 각 내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경사고정편은 상기 기초지주관의 내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가 10~25°를 이루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에 의하면 데크조립체에 수직연장된 기초지주목과 함께 기초지주관 내 기초지주목이 걸림 접촉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현하므로, 간단한 결합시공으로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해당 시공공기를 단축하면서 조립체 간의 끼움 결함구조에 따른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지주조립구조 간에 우수한 결속력을 도모하여 외력에 따른 흔들림 현상을 방지한 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목재 데크의 시공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는 기초지주목과 기초지주관 간에 상호 수직방향을 향한 끼움 결합의 안내 및 결합 정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작업이 보다 간편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립체의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기초지주목 및 기초지주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의 (a)~(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안내돌출부의 제1~3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경사고정편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상부에 바닥면을 형성토록 데크상판이 배열 배치된 데크조립체에서 바닥기초 또는 난간기초를 이루도록 수직연장된 지주를 지지고정하는 지주조립체에 있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기초지주목과; 하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에 대응하여 수용 고정할 수 있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기초지주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지주관에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의 외부 표면에 걸림 접촉하는 경사고정편을 포함하는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바닥면을 형성토록 데크상판이 배열 배치된 데크조립체에서 바닥기초 또는 난간기초를 이루도록 수직연장된 지주를 지지고정하는 지주조립체(200)에 있어서, 기초지주목(210)과, 기초지주관(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지주목(2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별도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이룬다. 예를 들면, 상기 기초지주목(210)은 데크조립체에 바닥기초로 적용하는 경우 상단에 데크상판을 포함한 전반적인 데크조립체의 구성을 지지고정할 수 있게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은 데크조립체에 난간기초로 적용하는 경우 난간을 이루는 복수 개의 수평연장재 등을 서로 연결토록 지지고정할 수 있게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기초지주목(210)은 일반적은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데크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의 소재와 동일한 목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기초지주목(210)에 사용가능한 목재로는 일반적인 천연목재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천연목분(톱밥)에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등과 같은 친환경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압축 성형한 합성목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초지주목(210)에는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가이드홈(215)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측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상기 가이드홈(215)을 형성하되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길이방향 즉 상하 종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도 4의 (a)에 나타낸 바처럼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절반 즉 측면 폭 방향의 1/2지점에 상기 가이드홈(215)이 위치하도록 형성하므로, 상기 기초지주관(220)과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기초지주목(210) 측면의 중심지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원활한 작업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홈(215)은 내측으로 오목한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초지주목(210)에는 내측에 중공홀을 구비하여 상기 기초지주목(210) 상에 설치할 별도의 LED조명과 연결된 구성들이 위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초지주관(220)은 하부가 지면 또는 데크조립체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초지주목(210)이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초지주관(2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하부를 지지 고정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기초지주목(210)에 대응하여 상하 관통된 구조로 개방형성되고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하부를 수용한 채 고정할 수 있게 내부공간을 갖는 유입구(221)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구(221)는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어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외면이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기초지주관(220)은 금속제로 이루어진 강관으로서, 지면 또는 데크조립체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부에 별도의 플랜지를 형성하여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초지주관(220)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가이드홈(215)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출부(225)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돌출부(225)는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 형성하므로,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홈(215)에 상기 안내돌출부(225)가 끼워져 위치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안내돌출부(225)는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유입구(221)를 향한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기초지주목(210) 중 상기 가이드홈(215)과의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의 (b)에 나타낸 바처럼 상기 안내돌출부(225)는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을 기준으로 절반 즉 해당 면 폭 방향의 1/2지점에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가이드홈(215)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형성하므로,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안내돌출부(225)에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가이드홈(215)을 맞춰 끼움 결합함에 따라 결합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간편하며 그에 따른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지주조립체(200) 간의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출부(225)의 돌출된 길이(L1)는 상기 가이드홈(215)의 오목한 깊이(L2)보다 1/3~1/5만큼 더 길게 돌출 형성하므로, 상기 기초지주관(220)을 향한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안내돌출부(225)가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면 접촉력이 가중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내돌출부(225)가 면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홈(215)에는 요철형태로 거친 표면을 갖게 표면처리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안내돌출부(225)와의 효율적인 면 접촉을 도모하여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안내돌출부(225)를 형성함에는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측면을 절개하되 상기 안내돌출부(225)의 형상을 성형가능하게 절개한 후 상기 유입구(221)를 향해 외력을 가해 펀칭 가공하므로, 상기 기초지주관(220) 내 상기 안내돌출부(225)를 형성시키는 제품의 제작가공공정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돌출부(225)는 원호형상, 경사판형상, 경사만곡형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내돌출부(225)의 제1실시예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에 만곡면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안내돌출부(225)의 해당 폭만큼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절개한 후 상기 유입구(221)를 향해 외력을 가해 펀칭 가공하므로, 상기 유입구(221)를 향해 돌출된 만곡면을 갖는 원호형상의 안내돌출부(225)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와 같이 안내돌출부(225)를 구성하게 되면, 기초지주목(210)의 가이드홈(215)에 강한 탄성력으로 면 접촉하여 기초지주목(210)의 유입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호 효율적인 결속력을 보다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돌출부(225)의 제2실시예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에 하향경사지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안내돌출부(225)를 구성하게 되면, 기초지주목(210)의 가이드홈(215)에 끝단이 걸림 접촉하여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돌출부(225)의 제3실시예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에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갖되 한쪽 끝단이 완만한 만곡면을 형성토록 굽어진 경사만곡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안내돌출부(225)는 한쪽 끝단이 하향방향으로 굽어진 구조로서,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가이드홈(215)과 원활한 미끄럼 접촉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초지주관(220)에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221)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경사고정편(223)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측 벽면에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된다.
상기 경사고정편(223)을 형성토록 절개함에는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측 벽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 펀칭 가공하여 상기 경사고정편(223)을 절개형성하므로, 상기 기초지주관(220) 내 상기 경사고정편(223)을 형성토록 절개하는 제품의 제작가공공정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목(210)이 결합되는 상기 유입구(22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끝단이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외부 표면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끝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절개 형성하여 상기 기초지주목(210)이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유입구(221)를 향해 수용되는 결합과정에서 상기 경사고정편(223)의 경사면과의 밀어내는 힘의 작용으로 강한 면 접촉에 따른 결합력을 생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초지주목(210)에 상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경사고정편(223)의 끝단에 걸리면서 상호 걸림 접촉에 따른 결합력을 생성시킬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한쪽 끝단이 뾰족한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외면에 찍힘 작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걸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경사고정편(223)은 일단이 뾰족한 단면을 형성하되 "∨"단면형상 또는 "W"단면형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기본적으로 "∨"단면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W"단면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가공성보다도 기초지주목(210)과의 접촉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에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되 각 내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도 2에는 2개씩)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고정편(22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지주관(220)의 내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α)가 10~25°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경사고정편(223)의 경사각도(α)가 10°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기초지주목(210)이 접촉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력이 미흡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경사고정편(223)의 경사각도(α)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초지주목(210)이 접촉 결합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면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기초지주목(210)의 결합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를 유발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에 의하면, 데크조립체에 수직연장된 기초지주목과 함께 기초지주관 내 기초지주목이 걸림 접촉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현하므로, 간단한 결합시공으로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해당 시공공기를 단축하면서 조립체 간의 끼움 결함구조에 따른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지주조립구조 간에 우수한 결속력을 도모하여 외력에 따른 흔들림 현상을 방지한 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목재 데크의 시공품질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0 : 지주조립체 210 : 기초지주목
215 : 가이드홈 220 : 기초지주관
221 : 유입구 223 : 경사고정편
225 : 안내돌출부 α : 경사고정편의 경사각도
L1 : 안내돌출부의 길이 L2 : 가이드홈의 깊이

Claims (3)

  1. 상부에 바닥면을 형성토록 데크상판이 배열 배치된 데크조립체에서 바닥기초 또는 난간기초를 이루도록 수직연장된 지주를 지지고정하는 지주조립체에 있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기초지주목과; 하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에 대응하여 수용 고정할 수 있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기초지주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지주관에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되고 상기 기초지주목의 외부 표면에 걸림 접촉하는 경사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지주관에는 상기 기초지주목의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원호형상, 경사판형상, 경사만곡형 중 하나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기초지주관의 측면에 절개하여 상기 가이드홈의 오목한 깊이보다 1/3~1/5만큼 더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향한 상기 기초지주목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고정편은 일단이 뾰족한 단면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기초지주관의 각 내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경사고정편은 상기 기초지주관의 내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각도가 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170005828A 2017-01-13 2017-01-13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KR10175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28A KR101754121B1 (ko) 2017-01-13 2017-01-13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28A KR101754121B1 (ko) 2017-01-13 2017-01-13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121B1 true KR101754121B1 (ko) 2017-07-06

Family

ID=5935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828A KR101754121B1 (ko) 2017-01-13 2017-01-13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330B1 (ko) 2020-06-01 2020-10-23 주식회사 위드우드 내충격 기능을 갖는 조립식 난간 지주
KR102252869B1 (ko) * 2020-12-11 2021-05-17 명인컴퍼니 주식회사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36B1 (ko) *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200480718Y1 (ko) * 2016-02-19 2016-06-28 수풍산업 주식회사 목재 부식이 방지되는 난간 결속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36B1 (ko) *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200480718Y1 (ko) * 2016-02-19 2016-06-28 수풍산업 주식회사 목재 부식이 방지되는 난간 결속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330B1 (ko) 2020-06-01 2020-10-23 주식회사 위드우드 내충격 기능을 갖는 조립식 난간 지주
KR102252869B1 (ko) * 2020-12-11 2021-05-17 명인컴퍼니 주식회사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US8522505B2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KR101574519B1 (ko) 바닥데크용 완충구조
TW201504505A (zh) 戶外拼接地板
KR101754121B1 (ko) 목재 데크용 지주조립체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20150055928A (ko) 울타리 지주용 고정결합구가 구비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20150088123A (ko)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US20050210773A1 (en) Adornment for a post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200414028Y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102393747B1 (ko)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1773040B1 (ko)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101256726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KR20150134852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102598177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데크 결합구조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102127347B1 (ko)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200460036Y1 (ko) 데크용 목재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