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347B1 -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347B1
KR102127347B1 KR1020190025022A KR20190025022A KR102127347B1 KR 102127347 B1 KR102127347 B1 KR 102127347B1 KR 1020190025022 A KR1020190025022 A KR 1020190025022A KR 20190025022 A KR20190025022 A KR 20190025022A KR 102127347 B1 KR102127347 B1 KR 10212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teel pipe
ground
foundation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휘
Original Assignee
조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휘 filed Critical 조영휘
Priority to KR102019002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울타리 시설물의 지주를 지반에 항타 시공할 때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기초파일과 함께 복합 결합한 구조로 적용하여 신속하면서도 견고한 지주시공을 도모하면서 지주를 효율적으로 시공함을 제공하도록, 도로변 울타리가 설치될 수 있게 지반에 항타하여 기립 상태로 설치하는 울타리 지주의 기초파일에 있어서, 지상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에 수직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관통홀을 향해 측 방향으로 관통된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주강관파일과;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되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 결합하도록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여 관통된 체결공을 구비하고,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과 함께 혼화재를 배합하여 양생 제작되는 골재기초파일;을 포함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Driving Complex Foundation Pile for Supporting Fence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울타리 시설물의 지주를 지반에 항타 시공할 때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기초파일과 함께 복합 결합한 구조로 적용하여 신속하면서도 견고한 지주시공을 도모하면서 지주를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일정 구역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며, 울타리는 복수 개의 지주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시켜 바닥에 설치한 후 복수 개의 지주를 연결하여 지주가 설치된 부분을 구획하도록 울타리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서 주변의 자연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므로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데크로드의 시공에 지주를 활용하여 설치하게 되고, 통상적인 울타리는 물론 데크로드 상의 펜스에도 지주를 활용하여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울타리 지주의 시공은 항타기에 의해 항타 작업하여 바닥에 박히도록 설치하거나, 바닥에 기초구조물을 설치한 후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울타리 지주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형태로 설치하게 시공한다.
상기와 같은 울타리 지주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84939호(2003.05.09.)에는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방호울타리를 횡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방호울타리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방호울타리 지주로서, 상부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는 하방으로 진행할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퍼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그 외주면에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단부를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지면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방호울타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 쌍의 홀들이 형성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면서 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호울타리 지주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712655호(2017.02.27.)에는 복수 개의 펜스용 지주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항타하여 설치하기 위한 펜스용 지주 설치 항타지그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펜스용 지주 중 어느 하나의 펜스용 지주를 지지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펜스용 지주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이격시켜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제1지주파지부, 상기 제1지주파지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펜스용 지주과 인접한 펜스용 지주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이격시켜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제2지주파지부, 상기 제1지주파지부에 연결되는 제1가로대와, 상기 제2지주파지부에 결합되는 제2가로대가 상호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지주파지부와 상기 제2지주파지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연결하는 간격조절대, 상기 제1가로대와 상기 제2가로대의 상호 끼워진 위치를 고정하는 간격고정구, 및 상기 간격조절대에서 상기 제1지주파지부와 상기 제2지주파지부가 위치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지주파지부와 상기 제2지주파지부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바닥이격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이격대는 상기 바닥이격대에 상호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제1지주파지부와 상기 제2지주파지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바닥연장대, 및 상기 바닥이격대에서 상기 바닥연장대의 삽입된 길이를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높낮이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펜스용 지주가 항타시 용이하게 미끄러져 지면에 박히도록 상기 클램프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펜스용 지주를 지지하는 미끄럼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설치 번거로움을 해결하면서 원활한 항타시공을 도모할 수 있는 펜스용 지주 설치 항타지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384939호 및 제1712655호는 양자 모두 지반에 대응하여 박히는 하단부가 지주와 동일하게 강관파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관의 표면이 지반 속에서 습기와 계속해서 접촉하여 부식현상 및 그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강관 지주의 경우 지반에서의 지지력이 약하여 휨 현상 등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며, 특히 지주를 항타작업하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쉽게 흔들려 틀어짐 등 작업불량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712655호의 경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반드시 지반에 항타지그를 설치한 다음에야 클램프에 지주를 고정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기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384939호 (2003.05.09.)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12655호 (2017.0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의 하단에 결합하여 지반을 향해 항타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의 골재 기초파일을 복합 구성하므로, 간단한 작업구조를 이루어 시공공기를 최소화하고, 우수한 내식성 및 내구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지주의 항타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은 도로변 울타리가 설치될 수 있게 지반에 항타하여 기립 상태로 설치하는 울타리 지주의 기초파일에 있어서, 지상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에 수직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관통홀을 향해 측 방향으로 관통된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주강관파일과;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되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 결합하도록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여 관통된 체결공을 구비하고,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과 함께 혼화재를 배합하여 양생 제작되는 골재기초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기초파일은, 상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관통홀을 향해 상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연결삽입단부와, 지반을 향한 하단부에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강관파일과 상기 골재기초파일 간에 상호 결속 결합을 안내하는 결속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가이드부는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속 결합하게 수직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은 상기한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나사공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하고, 상기 지주강관파일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이 일체로 조립된 지주 기초파일을 지면 설치지점에 기립 상태로 배치한 후 지주 기초파일을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은 상기한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기초파일을 지면 설치지점에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가 지면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나사공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한 다음, 상기 지주 기초파일을 재차 항타하여 상기 골재기초파일을 지중에 매립 설치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울타리 지주로 지주강관파일에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의 프리캐스트 형태로 성형된 골재기초파일을 조합하여 항타 시공하게 구성하므로, 전반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생산성 및 현장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지주의 항타 시공에 따른 우수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도모하여 지주의 시공균형과 함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울타리 전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일실시예에서 지주강관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본 발명은 도로변 울타리가 설치될 수 있게 지반에 항타하여 기립 상태로 설치하는 울타리 지주의 기초파일에 있어서, 지상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에 수직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관통홀을 향해 측 방향으로 관통된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주강관파일과;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되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 결합하도록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여 관통된 체결공을 구비하고,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과 함께 혼화재를 배합하여 양생 제작되는 골재기초파일;을 포함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나사공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지주강관파일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이 일체로 조립된 지주 기초파일을 지면 설치지점에 기립 상태로 배치한 후, 지주 기초파일을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기초파일을 지면 설치지점에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가 지면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나사공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변 울타리가 설치될 수 있게 지반에 항타하여 기립 상태로 설치하는 울타리 지주의 기초파일에 있어서, 지주강관파일(10)과, 골재기초파일(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은 다양한 울타리 구성(예를 들면, 펜스망이나 횡바 등)이 설치될 수 있게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주 구조체로서, 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기립 설치된 구조로 시공되어진다.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원통형을 이루는 강관구조로서, 지상에 다양한 울타리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게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 관통된 관통홀(11)을 형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관통홀(11)을 밀폐하기 위한 마감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홀(11)의 하부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과 결속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지주강관파일(1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관통홀(11)을 향해 측 방향으로 관통된 나사공(13)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지주강관파일(10)에는 상기 관통홀(11)의 하부가 상기 골재기초파일(20)과 결속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고, 상기 골재기초파일(20)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나사공(1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확장 형성된 확장단부(1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지주강관파일(10)에서 상기 골재기초파일(20)과의 결속 결합을 위한 일부 영역인 상기 확장단부(15)만을 확장 형성하므로, 일반적인 지주의 규격화된 관경으로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을 적용하되 상기 골재기초파일(20)과 더불어 보다 확장된 관경을 갖는 확장단부(15)에 의하여 더욱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주강관파일(10)에서 상기 확장단부(15)로의 확장된 경계부분은 곡면의 굴곡진 구조를 이루게 형성한다.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은 전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의 구조물로서, 지중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매설되는 구조로 시공되게 구성한다.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은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하부를 연결 결합한 채 지지하며, 항타 시공에 의해 지면에 박힘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연결삽입단부(21) 및 타격돌출부(25)를 구성한다.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은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과 함께 혼화재를 배합하여 양생 제작한다. 즉,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은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포함하는 골재 또는 폐콘크리트에 혼화재를 물과 함께 일정비율로 배합 설계하여 상기 연결삽입단부(21) 및 상기 타격돌출부(25)를 갖는 형상과 구조로 양생한 철근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 제품을 이룬다.
상기 연결삽입단부(21)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상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관통홀(11)을 향해 상향 돌출 형성되므로,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이 끼움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연결삽입단부(21)에는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나사공(13)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체결공(23)을 구비한다. 즉,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나사공(13)과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체결공(23)에 볼트나 나사피스 등의 체결수단(B)을 결속 결합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체결공(23)은 상기 연결삽입단부(21) 상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골재기초파일(20)에는 상기 연결삽입단부(21)와의 경계지점에 상기 연결삽입단부(21)를 향해 연결 결합하는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부(27)를 형성한다.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지지단부(27)에는 상기 지주강관파일(10)과의 탄력적인 지지 접촉을 도모할 수 있게 지지패킹(28)을 구비하므로, 상기 체결수단(B)에 의한 결속 결합시 보다 강한 결속력을 도모하여 시공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주강관파일(10)과 상기 골재기초파일(20)에는 상호 결속 결합을 안내할 수 있는 결속가이드부(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속가이드부(30)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연결삽입단부(21)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와,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하부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3)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돌기(31)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 중 상기 연결삽입단부(21)의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안내경로를 이루게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홈(33)은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가이드돌기(31)에 결속 결합하게 수직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을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연결삽입단부(21)에 결합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31)에 상기 가이드홈(33)이 맞물려 원활한 결합을 도모한다.
상기와 같이 결속가이드부(30)를 구성하게 되면, 골재기초파일(20)을 향한 지주강관파일(10)의 결합을 안내하여 나사공(13)과 체결공(23)의 위치를 자연히 맞춤으로 원활한 시공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골재기초파일(20) 상에 지주강관파일(1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타격돌출부(25)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루되, 지반을 향해 하단부가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타격돌출부(25)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지중을 향한 타격이동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주 기초파일(P)을 일체로 조립한 다음, 지주 기초파일(P)을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 기초파일(P)을 일체로 조립함에는 연결삽입단부(21) 및 타격돌출부(25)로 구성된 골재기초파일(20)에서 상기 연결삽입단부(21)에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한다. 이어,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나사공(13)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체결공(23)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B)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P)을 일체로 조립한다.
이후, 상기 지주 기초파일(P)을 지반에 고정 설치함에는 상기 지주강관파일(10)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이 일체로 조립된 지주 기초파일(P)을 지면 설치지점에 기립 상태로 배치한 후, 항타기로 지주 기초파일(P)을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에서 지주 기초파일(P)을 지반에 설치함에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상부가 노출된 상태로 항타 설치 시공하거나,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이 지중에 완전히 매립상태를 이루게 일괄적으로 항타 설치 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골재기초파일(20)을 지면에 항타 시공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골재기초파일(20)에 지주강관파일(10)을 결합하여 지주 기초파일(P)을 일체로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을 지면에 설치함에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을 지면 설치지점에 위치한 후 항타기로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은 상부 즉 연결삽입단부(21)가 지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를 이루게 설치한다.
이후, 지주 기초파일(P)을 조립함에는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연결삽입단부(21)에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하고, 이어 상기 지주강관파일(10)의 나사공(13)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의 체결공(23)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B)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P)을 일체로 조립한다.
상기에서 지주 기초파일(P)을 일체로 조립한 다음, 상기 지주 기초파일(P)을 재차 항타하여 상기 골재기초파일(20)을 지중에 완전히 매립 설치하게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울타리 지주로 지주강관파일에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의 프리캐스트 형태로 성형된 골재기초파일을 조합하여 항타 시공하게 구성하므로, 전반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생산성 및 현장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지주의 항타 시공에 따른 우수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도모하여 지주의 시공균형과 함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지주강관파일 11 : 관통홀
13 : 나사공 15 : 확장단부
20 : 골재기초파일 21 : 연결삽입단부
23 : 체결공 25 : 타격돌출부
27 : 지지단부 28 : 지지패킹
30 : 결속가이드부 31 : 가이드돌기
33 : 가이드홈
B : 체결수단 P : 지주 기초파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상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에 수직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관통홀을 향해 측 방향으로 관통된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주강관파일과;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에 연결 결합하되 체결수단에 의해 결속 결합하도록 상기 나사공에 대응하여 관통된 체결공을 구비하고, 콘크리트 또는 폐플라스틱과 함께 혼화재를 배합하여 양생 제작되는 골재기초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강관파일에는 상기 골재기초파일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확장 형성된 확장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골재기초파일은, 상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관통홀을 향해 상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연결삽입단부와, 지반을 향한 하단부에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타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기초파일에는 상기 연결삽입단부와의 경계지점에 상기 연결삽입단부를 향해 연결 결합하는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단부에는 상기 지주강관파일과의 탄력적인 지지 접촉을 도모할 수 있게 지지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지주강관파일과 상기 골재기초파일 간에 상호 결속 결합을 안내하는 결속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가이드부는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속 결합하게 수직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기초파일을 지면 설치지점에 항타하여 지반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가 지면을 기준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연결삽입단부에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하부를 억지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강관파일의 나사공 및 상기 골재기초파일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결속 결합하므로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 기초파일을 일체로 조립한 다음, 상기 지주 기초파일을 재차 항타하여 상기 골재기초파일을 지중에 매립 설치하는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시공방법.
  6. 삭제
KR1020190025022A 2019-03-05 2019-03-05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12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22A KR102127347B1 (ko) 2019-03-05 2019-03-05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022A KR102127347B1 (ko) 2019-03-05 2019-03-05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347B1 true KR102127347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022A KR102127347B1 (ko) 2019-03-05 2019-03-05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64B1 (ko) 2021-09-10 2022-04-04 주식회사 굿윌코퍼레이션 상부프레임 높이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42U (ko) * 1998-04-24 1998-07-25 염영식 가로등지주 연결구조
KR100259616B1 (ko) * 1997-07-16 2000-06-15 김이남 매립 고정형 지주
KR100384939B1 (ko) 1999-12-22 2003-05-22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나사형 방호울타리 지주
KR200338439Y1 (ko) * 2003-10-06 2004-01-16 용 관 박 가드레일 지주용 매설구
KR200458741Y1 (ko) * 2009-03-30 2012-03-07 크리너코리아 (주) 길이연장이 용이한 시설물 고정구
KR101712655B1 (ko) 2016-08-30 2017-03-07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펜스용 지주 설치 항타지그 및 이를 이용한 펜스의 시공 방법
KR101837951B1 (ko) * 2016-07-06 2018-03-13 장성근 도로시설물 지주 고정용 파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616B1 (ko) * 1997-07-16 2000-06-15 김이남 매립 고정형 지주
KR19980024942U (ko) * 1998-04-24 1998-07-25 염영식 가로등지주 연결구조
KR100384939B1 (ko) 1999-12-22 2003-05-22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나사형 방호울타리 지주
KR200338439Y1 (ko) * 2003-10-06 2004-01-16 용 관 박 가드레일 지주용 매설구
KR200458741Y1 (ko) * 2009-03-30 2012-03-07 크리너코리아 (주) 길이연장이 용이한 시설물 고정구
KR101837951B1 (ko) * 2016-07-06 2018-03-13 장성근 도로시설물 지주 고정용 파일
KR101712655B1 (ko) 2016-08-30 2017-03-07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펜스용 지주 설치 항타지그 및 이를 이용한 펜스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64B1 (ko) 2021-09-10 2022-04-04 주식회사 굿윌코퍼레이션 상부프레임 높이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25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US4386762A (en) Fence
US9416559B2 (en) Steel supported polymeric fence post
US20160145893A1 (en) Fence and gate pos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fence or gate
KR102127347B1 (ko)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200496837Y1 (ko) 철망 펜스 기둥 고정용 기초 구조체
KR100949908B1 (ko) 지주용 기초석
KR200426635Y1 (ko)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KR200295161Y1 (ko)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102221830B1 (ko) 울타리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KR200206759Y1 (ko) 조립식 울타리
KR101466279B1 (ko) Src 난간제작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src 난간 및 그 시공방법
JPH1018249A (ja) 組立フェンス
CA2974270C (en) Anchor fence post assembly
KR200433183Y1 (ko) 지주펙
KR102540040B1 (ko) 다수의 경사말뚝을 구비한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94786B1 (ko) 휀스 지주의 시공방법
US20080073634A1 (en) Fence end spacer apparatus
CN219196927U (zh) 一种栏杆及具有该栏杆的桥体、建筑
KR102339088B1 (ko) 횡간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200383860Y1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KR102452899B1 (ko)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101013028B1 (ko) 콘크리트말뚝용 두부보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