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908B1 - 지주용 기초석 - Google Patents

지주용 기초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908B1
KR100949908B1 KR1020090089834A KR20090089834A KR100949908B1 KR 100949908 B1 KR100949908 B1 KR 100949908B1 KR 1020090089834 A KR1020090089834 A KR 1020090089834A KR 20090089834 A KR20090089834 A KR 20090089834A KR 100949908 B1 KR100949908 B1 KR 10094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stone
steel fram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암
Original Assignee
이영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암 filed Critical 이영암
Priority to KR102009008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기초석은, 지면에 매설되되,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체결되어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용 기초석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를 관통한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너트를 수용한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너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너트 수용체가 기초석의 상단면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너트 수용체 내에 삽입되는 너트가 플랜지에 형성된 홈부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이동되기 때문에, 지주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플랜지의 홈부에 대응이 가능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지주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플랜지와 기초석의 조립과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볼트, 너트 체결방식을 통하여 지주가 지면에서 수직 설치되어 지주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기초석, 지주, 볼트, 너트

Description

지주용 기초석{Pillar for grounding stone}
본 발명은 가로등, 신호등, 안내표지판, 울타리지주, 중앙선분리대 등의 지주를 지지하는 기초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 하단의 플랜지와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석이 볼트, 너트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기초석으로 너트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너트 수용체가 매설되어 플랜지에 형성되는 홈부의 위치에 너트 수용체 내의 너트를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지주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플랜지의 홈부에 대응이 가능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지주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플랜지와 기초석이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지주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지주용 기초석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주는 도로 또는 인도에서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가로등, 신호등, 안내표지판 등을 세울 수 있는 기둥으로, 이와 같은 지주는 하단으로 볼트가 관통되도록 홈부가 마련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기초석과 볼트 너트 체결구조로 인해 지주가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플랜지와 체결되는 기초석은 통상 지면에 터파기작업을 통한 구덩이를 형성하고, 형성된 구덩이에 제작하고자 하는 기초석의 형태의 거푸집을 배치하고, 배치된 거푸집에 보강용 철골을 형성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앵커볼트(110)를 기초석(100)의 상단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기초석(100)의 형태가 완성된다.
따라서 지주 하부의 플랜지의 홈부를 상기 기초석(100)에 돌출된 앵커볼트(110)에 수용시켜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볼트(110)의 선단을 너트로 체결하여 플랜지와 기초석(100)을 체결한 후, 플랜지의 상부로 지주부재를 적층되도록 결속함으로써 지주가 도로에서 수직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주의 설치작업은 기초석(100)과 플랜지의 체결작업이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초석(100)에 돌출된 앵커볼트(110)는 기초석(100)에 매설되어 항상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써 플랜지에 형성된 홈부와 앵커볼트(110)가 매설된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플랜지에 형성된 홈부의 직경을 넓혀 앵커볼트(110)를 관통시키거나, 고정된 앵커볼트(110)의 위치와 일치한 홈부가 마련되는 플랜지 자체를 다시 제작하여 기초석(100)과 플랜지와의 체결을 도모하였으나 이는 작업이 번거로워 효율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그 체결구조가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초석(100)과 플랜지가 체결되더라도 기초석(100)과 플랜지를 체결한 다수개의 앵커볼트(110) 중 어느 하나라도 훼손되거나 나사산이 파손되면 훼손된 앵커볼트(110)를 따로 기초석(100)에서 교체할 수 없어 기초석(100) 자체를 다시 제작해야 함으로 기초석(100)의 수명이 짧아지며 그에 따라 지주를 다시 해체 하고 설치함으로써 작업의 번거로움과 설치비용이 따로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주의 높이나 무게에 따라 지주 및 플랜지의 직경이 필수적으로 가변되며 플랜지의 직경이 가변되면 플랜지에 형성되는 홈부의 위치도 달라지는데 상기 앵커볼트(110)는 기초석(10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지주의 직경에 대응할 수 없어 다시 기초석을 제작하는 등 작업의 번거로움과 설치비용이 따로 드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 하단의 플랜지와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석이 볼트, 너트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기초석으로 너트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너트 수용체가 매설되어 플랜지에 형성되는 홈부의 위치에 너트 수용체 내의 너트를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지주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플랜지의 홈부에 대응이 가능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지주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플랜지와 기초석이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지주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지주용 기초석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기초석은, 지면에 매설되되,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호체결되어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용 기초석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0)를 관통한 볼트(50)와 체결되는 너트(4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너 트(40)를 수용한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너트(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너트 수용체(30)가 기초석(10)의 상단면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너트 수용체(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으로 볼트(50)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볼트 단턱부(31)와, 상기 볼트 단턱부(31)의 하측으로 관통된 볼트(50)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너트(40)가 수용되되, 상기 너트(40)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너트 수용부(33)와, 상기 너트 수용부(33)의 하측으로 너트(40)와 체결된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으로 너트(40)의 하단이 안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너트 단턱부(35)와, 상기 너트 단턱부(35)의 하측으로 너트(40)와 체결되어 관통된 볼트(50)의 하단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수용부(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기초석은, 상기 기초석의 내부로 너트의 이동이 가능한 너트 수용체가 매설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플랜지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홈부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여 지주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플랜지와 기초석이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볼트, 너트 체결방식을 통하여 지주가 지면에 수직 설치되어 지주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플랜지와 기초석에 체결된 다수개의 볼트 중 어느 하나가 훼손되어도 볼트, 너트의 개별 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기초석의 수명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지주용 기초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와 결합되는 기초석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수용체 내에서 너트와 볼트가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에 체결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수용체로 인해 플랜지의 직경에 대응되는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너트 수용체가 기초석 내부의 철골과 접합 또는 체결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통상적으로 지주를 지면에 수직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채택되는 기초석은,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호 체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지주용 기초석(10)은, 상기 플랜지(20)를 관통한 볼트(50)와 체결되는 너트(4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너트(40)를 수용한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너트(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너트 수용체(30)가 기초석(10)의 상단면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 수용체(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0)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볼트 단턱부(31)와, 너트(40)가 수용되는 너트 수용부(33) 와, 상기 너트(40)의 하단이 안착되는 너트 단턱부(35)와, 너트(40)와 체결되어 관통된 볼트(50)의 하단을 수용하는 볼트 수용부(37)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 단턱부(31)는 플랜지(20)를 관통한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으로 단턱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더욱 자세히는 볼트 단턱부(31)는 양측의 단턱이 일정길이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 단턱의 이격된 길이는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할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며 상기 단턱으로 하여금 볼트(50)의 나사부는 관통되고 헤드부의 하단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너트 수용부(33)는 볼트 단턱부(31)의 하측에 너트(4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너트(4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너트(40)가 플랜지(20)에 형성되는 홈부(20h)에 일치하도록 너트 수용부(33)에서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볼트 단턱부(31)의 하측으로 관통된 볼트(50)의 나사부와 체결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너트 단턱부(35)는 너트 수용부(33)의 하측으로 볼트 단턱부(31)와 동일하게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으로 일정길이 이격된 단턱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 단턱부(35) 상으로 너트(40)의 하단이 안착되며 이격된 너트 단턱부(35) 사이로 너트(40)와 체결된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된다.
상기 볼트 수용부(37)는 너트 단턱부(35)의 하측으로 너트(40)와 체결되어 관통된 볼트(50)의 하단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 수용체(30)가 상단면으로 매설되는 기초석(10)을 구성함으로써, 너트 수용부(33)에 삽입된 너트(40)가 플랜지(20)에 형성된 홈부(20h)의 위치에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여 지주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홈부(20h)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너트 수용체(30)를 통해 너트(40)를 이동시켜 볼트(50)와 너트(40)의 체결이 이루어져 다양한 직경의 플랜지(20)에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채택되는 통상의 기초석은 구조를 견고히 하기 위해 콘크리트 내부로 철골을 내장하여 제작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수용체(30)와 상기 기초석에 내장되는 철골(70)을 접합 또는 체결작업을 통해 일체화시켜 기초석(10)에 내장되는 철골(70)과 너트 수용체(30)의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70)의 하단을 기초석(10)의 하단에 접지구성하고 너트 수용체(30)의 하단을 철골(70)의 상단에 안착하고 안착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통하여 상호 접합하여 너트 수용체(30)와 철골(70)을 기초석(10) 내에서 일체화된 상태로 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 수용체(30)의 하단과 너트 수용체(30)가 안착되는 철골(70)의 상단에 동일한 위치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부재(81), 너트부재(83)로 하여금 너트 수용체(30)와 철골(70)을 체결하여 너트 수용체(30)와 철골(70)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용 기초석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기초석(10)을 제작하기 위한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지면에 기초석 형태 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기초석(10)의 내부로 너트 수용체(30)를 형성하기 위해, 기초석(10) 내부에 내장되는 철골(70)의 상단부에, 너트(40)가 삽입된 너트 수용체(30)의 상부가 기초석(10)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안착시킨다.
상기 철골(70)에 너트 수용체(30)가 안착되면 용접 또는 체결작업을 통하여 철골(70)과 너트 수용체(30)를 일체화한 뒤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상기 너트 수용체(30)는 기초석(10)의 상단으로 볼트 단턱부(31)가 노출된 형태의 기초석(10)이 제작된다.
상기 기초석(10)이 제작되면 기초석(10)의 상부로 플랜지(20)를 안착하고 기초석(10)과의 체결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기초석(10)의 상단에 노출된 볼트 단턱부(31)의 이격된 단턱 사이로 드라이버나 막대기와 같이 길이가 있는 도구를 넣어 너트(40)를 마찰하여 너트 수용체(30) 내에 삽입된 너트(40)를 너트 수용부(33)에서 이동시켜 상기 플랜지(20)에 형성된 홈부(20h)와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킨다.
상기 플랜지(20)의 홈부(20h)와 너트(40)의 위치가 일치되면 플랜지(20) 홈부(20h)의 상측에서 볼트(50)를 관통시켜 너트(40)와 체결하여 플랜지(20)와 기초석(10)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며 볼트(50)와 너트(40)의 체결형태는 볼트(50)의 헤드부는 볼트 단턱부(31)에 안착되며 볼트(50)의 나사부는 너트 단턱부(35) 상의 너트(40)와 체결되고 너트 단턱부(35)의 사이로 관통되어 볼트 수용부(37)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0)의 홈부(20h)에 따라 너트(40)가 이동되는 너트 수용체(30)가 기초석(10)에 내장됨으로써 지주의 직경에 가변되는 플랜지(20)의 홈 부(20h)와 너트(40)의 위치를 일치시켜 다양한 직경을 가진 지주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며, 플랜지(20)와 기초석(10)이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볼트, 너트 체결방식을 통해 설치되어 지주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볼트(50)와 너트(40)의 개별적인 교체가 용이하여 기초석(10)의 수명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은 기초석(10)에 내장된 너트 수용체(30)에 너트(40)를 인입하여 볼트(50)로 기초석(10)과 플랜지(20)를 체결을 도모하는 형태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기초석(10')에 내장된 볼트 수용체(90)에 볼트(50')를 인입하여 기초석(10')과 플랜지(20')의 체결을 도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지주용 기초석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지주용 기초석(10')은, 상기 플랜지(20')를 하부에서 관통하기 위한 볼트(50')의 나사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볼트(50')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50')를 수용한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트(5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볼트 수용체(90)가 기초석(10')의 상단면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 수용체(90)는 상측이 플랜지(20')의 하단에 밀착되며, 볼트(50')의 나사부가 돌출되는 볼트 관통부(91)와, 내부로 볼트(50')가 수용되는 볼트 수용부(93)와, 상기 볼트(50')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볼트 단턱부(95)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 관통부(91)는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의 단턱이 일정길이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 수용부(93)는 볼트 단턱부(91)의 하측에 볼트(5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된 볼트(5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볼트(50')가 플랜지(20')에 형성되는 홈부(20h')에 일치하도록 볼트 수용부(93)에서 이동할 수 있어 상기 플랜지(20')의 상측에서 너트(40')와 체결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단턱부(95)는 볼트 수용부(93)의 하측에서 볼트(50')의 헤드부를 안착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 수용체(90)가 상단면으로 매설되는 기초석(10')을 구성함으로써, 볼트 수용부(93)에 삽입된 볼트(50')가 플랜지(20')에 형성된 홈부(20h')의 위치에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킬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여 지주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와 결합되는 기초석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수용체 내에서 너트와 볼트가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에 체결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수용체로 인해 플랜지의 직경에 대응되는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너트 수용체가 기초석 내부의 철골과 접합 또는 체결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기초석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석 20 : 플랜지
30 : 너트 수용체 40 : 너트
50 : 볼트

Claims (7)

  1. 지면에 매설되되, 지주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호체결되어 지주를 지지하는 지주용 기초석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0)를 관통한 볼트(50)와 체결되는 너트(4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너트(40)를 수용한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너트(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너트 수용체(30)가 기초석(10)의 상단면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설되되,
    상기 너트 수용체(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으로 볼트(50)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볼트 단턱부(31)와,
    상기 볼트 단턱부(31)의 하측으로 관통된 볼트(50)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너트(40)가 수용되되, 상기 너트(40)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너트 수용부(33)와,
    상기 너트 수용부(33)의 하측으로 너트(40)와 체결된 볼트(50)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으로 너트(40)의 하단이 안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너트 단턱부(35)와,
    상기 너트 단턱부(35)의 하측으로 너트(40)와 체결되어 관통된 볼트(50)의 하단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수용부(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지주용 기초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10)의 내부로 내장되는 철골(70)의 상부로 너트 수용체(30)를 안착하고, 상기 안착된 너트 수용체(30)의 하단과 철골(70)의 상단을 상호 접합하여 너트 수용체(30)와 철골(70)을 기초석(10) 내에서 일체화된 상태로 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기초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10)의 내부로 내장되는 철골(70)의 상부로 너트 수용체(30)를 안착하고, 상기 너트 수용체(30)의 하단 및 철골(70)의 상단의 동일한 위치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에 볼트부재(81) 및 너트부재(83)로 하여금 너트 수용체(30)와 철골(70)을 상호체결하여 너트 수용체(30)와 철골(70)을 일체화시켜 기초석(10)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기초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10)의 내부로 철골(70)을 내장하되, 상기 철골(70)의 하단을 기초석(10)의 하단에 접지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주용 기초석.
  6. 삭제
  7. 삭제
KR1020090089834A 2009-09-23 2009-09-23 지주용 기초석 KR10094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34A KR100949908B1 (ko) 2009-09-23 2009-09-23 지주용 기초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34A KR100949908B1 (ko) 2009-09-23 2009-09-23 지주용 기초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908B1 true KR100949908B1 (ko) 2010-03-26

Family

ID=4218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34A KR100949908B1 (ko) 2009-09-23 2009-09-23 지주용 기초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9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8198A (zh) * 2011-06-30 2013-01-02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长距离连续生产线机组设备安装防偏方法
CN104831746A (zh) * 2015-06-04 2015-08-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路灯预埋件安装定位装置
KR20200066956A (ko) * 2018-12-03 2020-06-11 함정완 지주용 레일 콘크리트기초
CN111501816A (zh) * 2020-04-08 2020-08-07 山东中车风电有限公司 一种用于锚栓更换的连接件、锚栓系统和锚栓更换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70Y1 (ko) 2006-04-18 2006-06-28 김해룡 가로등받침대 고정장치
KR20090043026A (ko) * 2007-10-29 2009-05-0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2차부재 고정용 성형강판 매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70Y1 (ko) 2006-04-18 2006-06-28 김해룡 가로등받침대 고정장치
KR20090043026A (ko) * 2007-10-29 2009-05-06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2차부재 고정용 성형강판 매입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8198A (zh) * 2011-06-30 2013-01-02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长距离连续生产线机组设备安装防偏方法
CN102848198B (zh) * 2011-06-30 2016-06-0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长距离连续生产线机组设备安装防偏方法
CN104831746A (zh) * 2015-06-04 2015-08-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路灯预埋件安装定位装置
CN104831746B (zh) * 2015-06-04 2016-06-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路灯预埋件安装定位装置
KR20200066956A (ko) * 2018-12-03 2020-06-11 함정완 지주용 레일 콘크리트기초
KR102195431B1 (ko) * 2018-12-03 2020-12-28 함정완 지주용 레일 콘크리트기초
CN111501816A (zh) * 2020-04-08 2020-08-07 山东中车风电有限公司 一种用于锚栓更换的连接件、锚栓系统和锚栓更换的方法
CN111501816B (zh) * 2020-04-08 2021-08-06 山东中车风电有限公司 一种用于锚栓更换的连接件、锚栓系统和锚栓更换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908B1 (ko) 지주용 기초석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1229250B1 (ko)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KR101726725B1 (ko) Pc블록과 현장타설을 이용한 확장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066388B1 (ko)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KR20120040042A (ko)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95957B1 (ko) 문형 도로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413915B1 (ko)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61555A (ko) 등주 지지용 앙카블록
KR100645024B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284600B1 (ko) 도로경계석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09760B1 (ko)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KR102050001B1 (ko)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JP4698661B2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162229B1 (ko)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용 지지구
KR20180115098A (ko) 조립식 암거
KR200375997Y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JP2007023642A (ja) 支柱部材の支持ブロック構造
JP2007100412A (ja) 張り出し歩道の構造体
KR101501521B1 (ko) 방음벽 지주의 프리캐스트 결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