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161Y1 -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 Google Patents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161Y1
KR200295161Y1 KR2020020025664U KR20020025664U KR200295161Y1 KR 200295161 Y1 KR200295161 Y1 KR 200295161Y1 KR 2020020025664 U KR2020020025664 U KR 2020020025664U KR 20020025664 U KR20020025664 U KR 20020025664U KR 200295161 Y1 KR200295161 Y1 KR 200295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ground
wooden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옥규
Original Assignee
안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옥규 filed Critical 안옥규
Priority to KR2020020025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16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목재 기둥을 세워서 고정하기 위한 보강체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져 고정되는 기둥의 하단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가 하향 절곡되어 끼움홀이 형성되고, 저면은 하향 개방되어 시멘트몰탈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함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하향 확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목재 기둥이 보강체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폭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목재 기둥의 부식이 방지되고, 또한 합성수지재로 그 외관이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보강체가 지면에의 고정시 별도의 체결구 및 기초 콘크리트가 필요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되어 작업시간의 단축 효과와 더불어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A SUPPORT FOR GROUND FIXATION OF WOOD POST}
본 고안은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놀이터의 구조물에 이용되는 목재 기둥이 지면에의 고정시 보강체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여 지면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조립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목재 기둥의 보호로 부식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주택단지, 아파트 등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터가 제공되고 있고, 이 놀이터에는 놀이를 위한 각종 조합 시설물 즉, 미끄럼틀 그네 줄타기 등이 복합된 시설물이 설치되어 어린이들이 재미있고 안정되게 놀이기구를 이용하거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조합 시설물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함으로 목재 기둥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목재 기둥은 초기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직접 결합되어져 모래 흙 등의 부딪힘에 따른 마모, 그리고 마모된 틈새를 통해 침투된 수분에 의해 쉽게 부식되어져 외력 발생시 쉽게 파손 또는 외관이 흉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목재 기둥(1)의 하단부와 지면(2)의 콘크리트(3)와 연결된 프레임(4) 즉, 목재 기둥(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된 금속재 프레임(4)과, 이 프레임(4)과 콘크리트(3)를 연결하는 포스트(5)와, 프레임(4)과 목재 기둥(1)을 나사 결합시키는 보올트(6)로 구성되어, 지면(2) 고정시 콘크리트(3)에 포스트(5)를 결합시키고 이 포스트(5)에 프레임(4)을 그리고 프레임(4)의 절곡된 중간 삽입홀에 목재 기둥(1)을 끼운후 보올트(6)로서 조립하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결합 구조는, 프레임과 목재 기둥의 결합시 보올트 등을 체결해야 함에 따라 목재 기둥에 보올트 홀이 형성되게 되고 이 보올트 홀과 보올트의 틈새에 수분이 공급되면 목재 기둥의 마모 또는 보올트의 녹이 흘러내려 그 외관이 흉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프레임의 절곡단부와 접하는 목재 기둥의 외면 코팅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결합부위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프레임의 절곡단부가 목재 기둥을 감싸지 못하고 외력 또는 목재 기둥의 반복된 외력에 따라 점착적으로 벌어져 그 절곡단에 신체 부위가 접촉하는 경우 심한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시 먼저 기초 콘크리트 공사를 하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에 포스트를 연결하고 이 포스트와 연결된 프레임부재에 목재 기둥을 끼워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 공수는 물론 그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놀이터의 구조물로 이용되는 목재 기둥이 지면에의 고정시 별도의 체결구가 필요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조립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더불어 목재 기둥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기중의 지면 고정을위한 보강체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재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콘크리트 공사가 필요없이 보강체를 그 역활을 수행하며 목재 기둥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목재 기둥 200: 보강체
210: 끼움홀 220: 충진함
230,240: 경사면 250: 안내홀
300: 지면 400: 실링재
500: 철근 600: 배수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에 목재 기둥을 세워서 고정하기 위한 보강체가, 지면에 세워져 고정되는 기둥의 하단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가 하향 절곡되어 끼움홀이 형성되고, 저면은 하향 개방되어 시멘트몰탈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함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하향 확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홀은 하향으로 그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기둥의 끼움시 그 틈새에 실링재가 충진되어 기둥을 지지 및 틈새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하측에는 둘레를 따라 철근등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내홀을 복수개 형성한다.
상기 끼움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보강체의 외부로 물배출을 위한 하향 경사진 배수파이프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의 하나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보강체가 목재 기둥을 고정시킨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놀이 시설물에 제공되는 목재 기둥(100)과, 이 목재 기둥(100)을 지면(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보강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체(200)는, 합성수지재로 롤링 절곡 또는 사출 성형된 것이며, 그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목재 기둥(100)의 하단이 소정폭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개방된 끼움홀(210)이 형성되고, 저면은 하향으로 개방되어 시멘트몰탈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함(220)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지면에의 삽입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향 확개되는 경사면(230)이 형성된다.
상기한 보강체(200)는 지면과 목재 기둥(100) 조립시, 먼저 저면 충진함(220)에 시멘트몰탈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경화되면 지면에 홈을 파고 하측부위를 삽입시킨다. 이후 상면 끼움홀(210)에 목재 기둥(100)의 하단을 끼움시킨 후 목재 기둥(100)과 다른 시설물과의 위치가 셋팅되면 목재 기둥(100)과 끼움홀(210) 사이의 상측 이격틈새를 실링재(400)재를 통해 밀봉시킨 후 함몰부위에 흙을 덮어 보강체(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끼움홀(210)은 상기 목재 기둥의 끼움시 그 틈새에 실링재(400)가 충진되어 기둥을 지지 및 틈새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경이 하향으로 축소되는 내측 경사면(240)을 형성함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체(200)의 외주면 하측에는 둘레를 따라 서로 대칭된 안내홀(250)을 복수개 형성시켜 콘크리트몰탈 충진과 함께 철근(500) 등이 십자 또는 방사구조를 이루며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는 보강체(200)의 매설시 보강체(200)가 지면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체(200)의 외력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홀(2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보강체(200)의 외주면 하측부로 배수파이프(600)가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끼움홀(210)내에 수분이 침투되면 외부로 물이 자동 배출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체(200)는 그 외주면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놀이 시설물에 적합한 형상의 보강체(20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는, 놀이터의 목재 구조물 또는 기타의 구조물에 기둥으로 이용되는 목재 기둥이 보강체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소정폭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목재 기둥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그 외관이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목재 기둥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강성이 오랜시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재 기둥을 고정하는 보강체가 지면에의 고정시 별도의 체결구 및 기초 콘크리트가 필요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되어 작업시간의 단축 효과는 물론 이에따른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지면에 목재 기둥을 세워서 고정하기 위한 보강체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져 고정되는 기둥의 하단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부가 하향 절곡되어 끼움홀이 형성되고, 저면은 하향 개방되어 시멘트몰탈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함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하향 확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은 하향으로 그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기둥의 끼움시 그 틈새에 실링재가 충진되어 기둥을 지지 및 틈새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외주면 하측에는 둘레를 따라 철근등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내홀이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보강체의 외부로 물배출을 위한 하향 경사진 배수파이프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의 외형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의 하나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2020020025664U 2002-08-28 2002-08-28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200295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664U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08-28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664U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08-28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161Y1 true KR200295161Y1 (ko) 2002-11-18

Family

ID=7307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664U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08-28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16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95B1 (ko) 2009-03-27 2010-03-05 변용창 지주용 기초콘크리트
KR100976876B1 (ko) * 2008-04-22 2010-08-23 박기만 정자용 인조마블 주춧돌 제조방법
KR200456117Y1 (ko) * 2008-10-28 2011-10-13 박준석 데크 지지기둥용 받침고정물
KR200473276Y1 (ko) 2012-09-27 2014-06-23 조영휘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KR20220133441A (ko) 2021-03-25 2022-10-05 이민후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
KR20220137347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이지데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KR20220144158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이지데코 퍼걸러용 기둥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76B1 (ko) * 2008-04-22 2010-08-23 박기만 정자용 인조마블 주춧돌 제조방법
KR200456117Y1 (ko) * 2008-10-28 2011-10-13 박준석 데크 지지기둥용 받침고정물
KR100942995B1 (ko) 2009-03-27 2010-03-05 변용창 지주용 기초콘크리트
KR200473276Y1 (ko) 2012-09-27 2014-06-23 조영휘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KR20220133441A (ko) 2021-03-25 2022-10-05 이민후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
KR20220137347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이지데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KR20220144158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이지데코 퍼걸러용 기둥
KR102512252B1 (ko) * 2021-04-19 2023-03-21 주식회사 이지데코 퍼걸러용 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149B1 (ko) 건축물의 원심력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그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제조방법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시공방법
KR200295161Y1 (ko)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JPH0387420A (ja) 建造物の柱体立設構造
KR20100000441U (ko) 지중 매입형 가로용 기둥
KR102127347B1 (ko) 울타리 지주 설치용 항타 복합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200322223Y1 (ko)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20090007322U (ko) 철망 휀스
KR200291890Y1 (ko) 이동형 펜스블록
KR200383860Y1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KR200459182Y1 (ko) 안전지주 설치대
JPH10159043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KR200273374Y1 (ko) 종합 놀이대 기둥 설치 구조
KR101466279B1 (ko) Src 난간제작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src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200257292Y1 (ko)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KR102452899B1 (ko)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200347889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230072613A (ko) 직립성이 향상된 목재기둥
KR200257291Y1 (ko)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KR200250981Y1 (ko) 조경 시설물용 지주의 고정 구조
KR200356616Y1 (ko)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KR20100056086A (ko) 날개형 블록
KR200260460Y1 (ko)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