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460Y1 -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460Y1
KR200260460Y1 KR2020010028710U KR20010028710U KR200260460Y1 KR 200260460 Y1 KR200260460 Y1 KR 200260460Y1 KR 2020010028710 U KR2020010028710 U KR 2020010028710U KR 20010028710 U KR20010028710 U KR 20010028710U KR 200260460 Y1 KR200260460 Y1 KR 200260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exit
sides
culvert box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윤상
김동귀
엄지회
한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28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460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암거박스 입,출입구측의 양측에 필수적으로 형성되게 되는 입,출입구 구조물을 조립이 가능한 분할 구조로 제작하여 주어,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입,출입구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결속 앵커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거박스와; 상기 암거박스의 외측 하단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되, 양측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부 접속저반과; 이와 같이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암거박스와 유,출입부 접속저반의 양측에 체결볼트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 후방과 하부에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는 인양 앙카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구 날개벽과; 상기 암거박스의 상부에는 결속을 통한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결속 막대를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결속 앵커를 삽입하여 관통공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흙막이 난간벽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CONSTRUCTION FOR A CULVERT OF ROAD}
본 고안은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암거박스 입,출입구측의 양측에 필수적으로 형성되게 되는 입,출입구 구조물을 조립이 가능한 분할 구조로 제작하여 주어,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토지 정리 공사의 배수시설에 이용되는 암거박스의 입,출입구측에는 입,배수의 원활한 유입 및 배수를 도모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유입 및 배수과정에서 발생될 입,출입구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입구 구조물이 시공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용도로 이용되는 입,출입구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입출구측의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유,출입부 접속저반과 흙막이 난간벽 그리고 상기 유출입부 접속저반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유출입 날개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암거박스의 입,출측 구조물은 시공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측에 연결 시공되는 구조물은 거푸집을 먼저 암거박스의 입,출측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 제작한 후 이 거푸집 내에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제작하게 되므로 시공에 상당한 기간과 많은 시공비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측에 연결 시공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유출입날개벽을 형성하고자 제작되는 거푸집의 경우에는 소형구조물이므로 제작이 사실상 용이하지 않아 매우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 암거박스 입,출입구측의 양측에 필수적으로 형성되게 되는 입,출입구 구조물을 조립이 가능한 분할 구조로 제작하여 주어,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입,출입구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결속 앵커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거박스와; 상기 암거박스의 외측 하단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되, 양측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부 접속저반과; 이와 같이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암거박스와 유,출입부 접속저반의 양측에 체결볼트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 후방과 하부에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는 인양 앙카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구 날개벽과; 상기 암거박스의 상부에는 결속을 통한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결속 막대를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결속 앵커를 삽입하여 관통공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흙막이 난간벽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출입구 12 :결속 앵커
14a,14b,14c :앵커 체결공 16 :암거박스
18 :유,출입부 접속저반 20 :체결볼트
22 :인양 앙카고리 24 :유,출입구 날개벽
26 :결속 막대 28 :관통공
30 :삽입공 32 :흙막이 난간벽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입구(10)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결속 앵커(1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14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거박스(16)의 외측 하단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되, 양측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14b)이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부 접속저반(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암거박스(16)와 유,출입부 접속저반(18)의 양측 후방과 하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14c)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는 인양 앙카고리(22)가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구 날개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거박스(16)의 상부에는 앵커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결속 막대(26)를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8)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결속 앵커(12)를 삽입하여 관통공(28)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30)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흙막이 난간벽(32)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시공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일정크기로 분할 제작하여 운반 연결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을 이루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일정크기로 제작된 유,출입부 접속저반(18)을 암거박스(16)의 입,출입구(10)의 하부에 연접되게 설치하고, 이 입,출입구(10)의 양측 정면에 일정크기로 제작된 유,출입구 날개벽(24)을 위치시킨 후 체결볼트(20)를 통해 유,출입부 접속저반(18)과 긴밀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흙막이 난간벽(32)을 암거박스(16)의 입,출입구(10)의 상부 정위치에 위치 연결시킨 후 이 흙막이 난간벽(3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8)에 일정길이의 결속 막대(26)를 삽입시키면 시공이 완료된다.
여기서, 흙막이 난간벽(32)과 암거박스(16)의 상호 결속은 암거박스(16)의 입,출입구(10) 상부에 정위치될 경우 흙막이 난간벽(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0) 상으로 암거박스(16)의 입,출입구(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 앵커(12)가 삽입 위치되고, 이 삽입공(30)은 결속 막대(26)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8)과 연통이 취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우처럼 입,출입구(10)측에 연결 시공되는 구조물을 거푸집을 통해 시공하지 않아도 되게 되므로 시공 기간과 시공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형구조물이므로 제작상의 애로가 상대적으로 많았던 유,출입구 날개벽(24)의 제작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 암거박스 입,출입구측의 양측에 필수적으로 형성되게 되는 입,출입구 구조물을 조립이 가능한 분할 구조로 제작하여 주어,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시공에 필요한 자재비 및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로 및 토지 정리 공사의 배수시설에 이용되는 암거박스의 입,출입구측에 제작 시공되는 입,출입구 구조물에 있어서,
    입,출입구(10)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결속 앵커(1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14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거박스(16)와;
    상기 암거박스(16)의 외측 하단에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되, 양측 상부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14b)이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부 접속저반(18)과;
    이와 같이 연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암거박스(16)와 유,출입부 접속저반(18)의 양측에 체결볼트(20)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 후방과 하부에 등간격을 취하는 다수의 앵커 체결공(14c)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는 인양 앙카고리(22)가 형성되어 있는 유,출입구 날개벽(24)과;
    상기 암거박스(16)의 상부에는 결속을 통한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양측에는 결속 막대(26)를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8)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결속 앵커(12)를 삽입하여 관통공(28)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30)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흙막이 난간벽(32)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KR2020010028710U 2001-09-18 2001-09-18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KR200260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710U KR200260460Y1 (ko) 2001-09-18 2001-09-18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710U KR200260460Y1 (ko) 2001-09-18 2001-09-18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460Y1 true KR200260460Y1 (ko) 2002-01-10

Family

ID=730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710U KR200260460Y1 (ko) 2001-09-18 2001-09-18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4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18A (ko) 2020-05-08 2021-11-17 박대일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파형 날개벽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18A (ko) 2020-05-08 2021-11-17 박대일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파형 날개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6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US20090188186A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Structural Modules Thereof
KR10059272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260460Y1 (ko) 도로 암거박스용 입,출입구 구조물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100774885B1 (ko)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는 조립식 앵커 볼트 구조 및 이를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JP3778392B2 (ja) 基礎ブロック
KR840000304Y1 (ko) 울타리용지주의 조립식 기초 콘크리트 블록
KR200186040Y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JPH0657768A (ja) 擁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361323B1 (ko) 무콘크리트 시설물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335789Y1 (ko) 논두렁 구축용 블럭
KR200275152Y1 (ko) 막대고정구
KR200210582Y1 (ko) 야외화장실의 지붕조립구조
KR200371613Y1 (ko) 와이어로 체결된 콘크리트 벽체패널을 이용한 하천 배수로
JPS6011192Y2 (ja) 組立式コンクリ−ト桝
JP3713688B2 (ja) 堤状構造物
KR200238952Y1 (ko) 옹벽 축조용 일체형 블럭
KR200210583Y1 (ko)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0072655A (ko) 조립식 옹벽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시공방법
KR930005595Y1 (ko) 조립식 울타리용 기둥
KR200289325Y1 (ko) 옹벽 일체형 납골단
KR100764688B1 (ko) 농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블록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