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83Y1 -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583Y1
KR200210583Y1 KR2020000023428U KR20000023428U KR200210583Y1 KR 200210583 Y1 KR200210583 Y1 KR 200210583Y1 KR 2020000023428 U KR2020000023428 U KR 2020000023428U KR 20000023428 U KR20000023428 U KR 20000023428U KR 200210583 Y1 KR200210583 Y1 KR 200210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ttom plate
walls
anchor bol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무림교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무림교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무림교역
Priority to KR2020000023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583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립된 정화조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닥판 외측 선단부에 인서트된 다수개의 앵커볼트(anchor bolt)와, 상기 바닥판의 외측 선단부에 배치되며 벽체가 기립될 수 있도록 벽체하단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소정폭의 받침턱과, 상기 받침턱에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 는 다수개의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 삽입돌출된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외벽체를 구성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마련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야외화장실을 손쉽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제작된 벽체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수월해져 인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함은 물론, 야외화장실의 해체시에도 벽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체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됨으로써, 해체된 벽체를 재활용할 수 있어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wall constructing structure for field-toilet}
본 고안은 야외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립된 정화조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닥판 외측 선단부에 인서트된 다수개의 앵커볼트(anchor bolt)와, 상기 바닥판의 외측 선단부에 배치되며 벽체가 기립될 수 있도록 벽체하단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소정폭의 받침턱과, 상기 받침턱에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 삽입돌출된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마련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야외화장실을 손쉽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제작된 벽체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수월해져 인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함은 물론, 야외화장실의 해체시에도 벽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체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됨으로써, 해체된 벽체를 재활용할 수 있어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등지의 야외에 설치되는 야외화장실은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진 후에, 제작된 설계도면에 의거하여 기초공사를 시행한 후 벽체나 분리벽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이 완성되면 콘크리트를 거푸집내에 타설하는 바,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하여 소정 형상 및 크기의 벽체와 분리벽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콘크리트벽체의 표면에 타일을 부착하거나 시멘트를 부착하여 마무리작업을 하는 바, 이때, 설계시 배치된 배관이나 배선등을 고려하여 마무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무리작업이 완료된 야외화장실의 벽체 및 분리벽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짐으로써 견고한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체 및 분리벽이 형성된 후에는 지붕이나 소변기,대변기등을 설치함으써, 화장실의 면모를 갖추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건축방법에 의해서 제작되는 야외화장실은 장기간에 의해서 그 작업이 완료되며, 화장실의 철거작업에 있어서도 벽체와 분리벽이 상호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벽체를 파쇄시켜 철거해야 하므로 건축폐기물의 폐기처분에 따른 비용상승의 문제와 철거작업시간에 따른 인력낭비, 그리고, 철거후에는 벽체나 분리벽을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등을 갖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벽체 및 분리벽의 시공작업과 철거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함은 물론, 철거작업에 의해 철거된 분리벽과 벽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폐기물의 폐기처분에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야외화장실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지반에 매립된 정화조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닥판 외측 선단부에 인서트된 다수개의 앵커볼트(anchor bolt)와, 상기 바닥판의 외측 선단부에 배치되며 벽체가 기립될 수 있도록 벽체하단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소정폭의 받침턱과, 상기 받침턱에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 는 다수개의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 삽입돌출된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01-바닥판 102-앵커볼트(ANCHOR BOLT)
103-받침턱 104-통공
105-브라켓 106-벽체
107-고정너트 108-정화조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반에 매립된 정화조(108)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닥판(101) 외측 선단부에 인서트된 다수개의 앵커볼트(anchor bolt)(102)와, 상기 바닥판(101)의 외측 선단부에 배치되며 벽체(106)가 기립될 수 있도록 벽체(106)하단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소정폭의 받침턱(103)과, 상기 받침턱(103)에 앵커볼트(10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102)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04)과, 상기 통공(104)으로 삽입돌출된 앵커볼트(102)에 삽입되는 브라켓(105)과, 상기 브라켓(105)의 상부로 앵커볼트(102)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7)로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기술을 도1내지 도2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야외화장실의 크기를 고려하여 마련된 정화조(102)를 기초공사와 함께 지반에 매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화조(102)의 상부에 바닥판(101)을 조립시키는 바, 상기 바닥판(101)에는 설계시에 배치되는 변기의 위치와 세면대의 위치에 따라 각각 이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통공(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바닥판(101)의 외측 선단부에는 바닥판(101) 제작시 앵커볼트(102)가 인서트되어 상부로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정화조(108)의 상부에 바닥판(101)이 배치되면 벽체(106)를 바닥판(101)의 상부에 배치시키는 바, 상기 바닥판(101)의 받침턱(103)에 형성된 통공(104)으로 바닥판의 앵커볼트(10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하며, 상기 통공(104)으로 관통된 앵커볼트(102)에는 통공(104)보다 크기가 비교적 큰 브라켓(105)을 삽입시키고, 그 상부로 고정너트(107)를 체결하여 받침턱(103)이 바닥판(101)에 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벽체(106)가 바닥판(101)에 안정되게 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벽체(106)가 조립된 후에는 또 다른 벽체(106)를 기조립된 벽체(106)의 끝단부에서 겹쳐지도록 도1과 같이 조립하는 바,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체(106)를 일측면에 조립하고,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벽체(106)는 기 조립된 벽체(106)에 그 끝단이 겹쳐지는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조립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기 제작된 벽체(106)에 형성된 출입문이나 채광창의 배치에 따라 각각의 벽체(106)를 설계도면에 맞게 조립함으로써 야외화장실의 외측벽을 수월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방법에 의해서 조립된 벽체(106)가 궁극적으로 견고하게 기립되고 지탱될 수 있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6)의 받침턱(103)과 지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받침턱(103)이 덮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야외화장실의 외측벽을 이루는 벽체를 기 제작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화장실의 건축시공작업을 몇시간만에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철거작업시 앵커볼트의 해정으로 간단한 철거작업을 이루며 철거된 벽체와 분리벽을 재활용할 수 있어 야외화장실의 재설치에 따른 경비의 재지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훌륭한 고안이다.

Claims (1)

  1. 지반에 매립된 정화조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닥판 외측 선단부에 인서트된 다수개의 앵커볼트(anchor bolt)와,
    상기 바닥판의 외측 선단부에 배치되며 벽체가 기립될 수 있도록 벽체하단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소정폭의 받침턱과,
    상기 받침턱에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 는 다수개의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 삽입돌출된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화장실의 벽체구조.
KR2020000023428U 2000-08-18 2000-08-18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KR200210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28U KR200210583Y1 (ko) 2000-08-18 2000-08-18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28U KR200210583Y1 (ko) 2000-08-18 2000-08-18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583Y1 true KR200210583Y1 (ko) 2001-01-15

Family

ID=7308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428U KR200210583Y1 (ko) 2000-08-18 2000-08-18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57Y1 (ko) 2010-05-04 2012-12-04 이종진 조립식 창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57Y1 (ko) 2010-05-04 2012-12-04 이종진 조립식 창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KR200210583Y1 (ko) 야외화장실의 벽체조립구조
KR20150076035A (ko)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KR20100009868U (ko) 길이연장이 용이한 시설물 고정구
KR100396117B1 (ko) 조립식 수세식 간이 화장실
CN112144569A (zh) 一种装配式挡土墙的预制基座及装配式挡土墙
KR200344222Y1 (ko) 조립식 방갈로
JP2004084184A (ja) 防護柵用プレキャスト連続基礎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10582Y1 (ko) 야외화장실의 지붕조립구조
KR20100002206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100569174B1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과 그에 의해 제작된 맨홀구조물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KR200263919Y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고정용 베이스
KR200336533Y1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과 그에 의해 제작된 맨홀구조물
CN213539050U (zh) 一种装配式挡土墙的预制基座及装配式挡土墙
CN214695237U (zh) 一种公路工程用混凝土预制构件
KR200326554Y1 (ko) 거푸집용 판넬의 테두리 지지구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KR100420941B1 (ko) 매설사다리 및 이의 시공방법
JP4809446B2 (ja) 浄化槽設置構造
KR100321911B1 (ko) 전단벽에사용되는스틸스터드의설치시스템
KR200246509Y1 (ko) 휀스고정용 지주콘
KR20090083978A (ko) 풍력발전기의 바디설치용 조립식 기초의 시공방법
KR20060122000A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