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35A -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35A
KR20150076035A KR1020130164637A KR20130164637A KR20150076035A KR 20150076035 A KR20150076035 A KR 20150076035A KR 1020130164637 A KR1020130164637 A KR 1020130164637A KR 20130164637 A KR20130164637 A KR 20130164637A KR 20150076035 A KR20150076035 A KR 20150076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basement
wall
ground
fix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528B1 (ko
Inventor
김태호
이동우
임철우
이한주
고현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스트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5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을 지하로 연장하여 지하주차장과 연결되는 수직동선 공간을 증축하되, 상기 코어부분 수직동선 공간에 가설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존 건물의 지하구조물을 이용하여 증축되는 코어부분 수직동선 공간의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 건물의 지하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하층 연장벽체와 신 기초슬래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지상벽체를 지지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에 가설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코어부분의 기존 기초슬래브 및 내측 기초파일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지하 구조물 축조 전 내측 기초파일에 정착캡을 설치하여 지상 구조물의 상부하중을 지반에 균등하게 전달, 지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Basement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층 수직동선공간 확보를 위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모델링되는 신축 지하주차장을 연결하는 지하층 수직동선 공간 확보를 위해 기존의 지하구조물과 지상벽체를 이용하여 지하구조물 공사의 시공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존 건축 구조물은 지상 주차공간만 설치되어 있어 차량 증대로 인한 주차공간의 확충이 필요하며, 부지면적과 건축법규의 제한으로 기존 건축 구조물을 철거하고 건물을 신축하면서 지하층에 주차공간을 확보하거나,
기존 건축 구조물에서 지상에 새로운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기존 건축 구조물을 활용하여 지하주차장을 신설하는 리모델링 공사가 실용화되고 있다.
도 1(a)는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b)는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이 지하층으로 확장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지하 주차장을 증축하는 종래기술은 지상 구조물의 코어부분에 마이크로 파일과 가설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하공간을 확보하여 수직동선 구간인 코어부분을 지하층으로 연장하여 지하 주차장과 연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도 3a 내지 도 3f는 종래기술의 리모델링된 지하층 코어부분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3a에서 건물 코어부분 1층 엘리베이터실 벽체 일부(1)와 1층 계단을 철거한다.
다음으로 도 3b에서 건물 코어부분 지하층 확장을 위해 상기 1층 엘리베이터실과 1층 계단을 포함하는 코어부분의 1층 슬래브(8)와 기존 기초슬래브(7)의 소정 면적에 마이크로파일(2)을 소정 간격으로 지중에 설치한다.
도 3c, 도 3d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2) 상부에 멍에(10)를 설치하며, 상기 멍에(10)와 1층 바닥 천정에 볼트(19)로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4) 사이에 가새(11)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1층 외측 지상벽체(12)에 강관 서포트(9)를 설치함으로써,
건물 코어부분 1층 슬래브(8)와 기존 기초슬래브(7) 철거 시 상기 가새(11)와 강관 서포트(9)에 의해 상기 코어부분 1층 지상벽체(12)를 지지하며, 상기 코어부분 1층 슬래브(8)와 기존 기초슬래브(7)의 소정 면적(4)을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소정 면적(4)을 통해 지하층으로 흙파기 공사를 실시하며, 상기 흙파기 공사로 코어부분의 외측 기초파일(5)은 1층 외측 지상벽체(12)를 지지하고, 내측 기초파일(6)을 흙파기 바닥면까지 절단한다.
도 3e에서 1층 외측 지상벽체(12)를 지지하는 지하 외측 연장벽체(17)를 설치하고, 1층 내측 지상벽체(12)를 지지하는 지하 내측 연장벽체(16)를 설치하며, 상기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지지하는 신 기초슬래브(18)를 설치함으로써, 1층 지상벽체(12)로 전달되는 건물의 상부하중을 상기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와 신 기초슬래브(18)가 지지한다.
도 3f에서 가새(11)와 멍에(10) 및 강관 서포트(9) 등의 가설 프레임과 마이크로파일(2) 등을 제거하고 지하주차장과 연결되는 수직동선 공간인 건물 지하층 코어부분을 완성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 지하 구조물에 마이크로 파일을 설치하고 가설 프레임을 설치하여, 지상벽체를 지지하며 지하공간을 증축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 파일은 소구경 파일이므로 좌굴길이가 길어 지지력을 신뢰할 수 없어서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좌굴방지를 위한 보강구조를 설치해야 하고, 가설 프레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등 시공이 복잡하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기존 건축 구조물을 이용하면서 별도의 가설 구조물 등을 설치하지 않고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지하층 수직동선 공간 확보를 위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을 지하로 연장하여 지하주차장과 연결되는 수직동선 공간을 증축하되, 상기 코어부분 수직동선 공간에 가설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존 건물의 지하구조물을 이용하여 증축되는 코어부분 수직동선 공간의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 건축 구조물의 기초파일을 이용하여 지하층 연장벽체와 신 기초슬래브를 설치하며, 이를 통해 건물 상부하중을 전달하는 지상벽체를 지지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설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건물 코어부분의 기존 기초슬래브 및 내측 기초파일을 제거하여 지하층 증축 공사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해결의 원리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은 건물 코어부분의 1층 엘리베이터실 벽체 일부(1)와 1층 계단을 철거하는 단계; 지하층 확장을 위해 상기 코어부분 1층 슬래브(8)의 소정 면적(4)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분의 절개된 1층 슬래브(8)의 소정 면적(4)을 통해 지하층으로 소정 깊이 흙파기 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분의 지하 흙파기 공간에 노출된 내,외측 기초파일(5, 6) 중 내측 기초파일(6)의 하부 주위에 정착캡(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분의 지상 벽체(12)를 지지하기 위해 지상 벽체(12) 바로 아래 지하층에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지지하며 상기 정착캡(100)이 매입 되도록 신 기초슬래브(18)를 설치하는 단계;
지하층 확장공간의 지하 외측 연장벽체(17)를 경계로 지하 내측 연장벽체(16)만 설치되도록 그 내부에 있는 기존 기초슬래브(7)와 내측 기초파일(6)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코어부분의 수직동선 공간 확보를 위해 가설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 건물의 기초파일을 이용하여 지하층 증축이 가능하므로, 기존 건물의 기초파일에 대한 지지력 신뢰로 인해 지하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코어부분 지하층 증축 시 가설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코어부분의 기존 기초슬래브 및 내측 기초파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내측 기초파일 하부에 정착캡을 설치하여 지상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균등하게 분산,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벽식구조인 건물에서 부지면적과 건축법규의 제한을 해소하고 기존 건물의 지하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중 조건에 무관하게 실용적으로 지하공간을 자유로이 증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기존 건물의 코어부분이 지하층으로 확장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모델링된 지하 주차장과 지하층 코어부분이 연결되는 것을 나나태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종래기술의 리모델링된 지하층 코어부분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델링된 지하층 코어부분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실시예인 정착캡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인 정착캡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존 건물의 기초파일을 이용하여 내,외측 지하 연장벽체와 신 기초슬래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지상벽체를 지지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지하 구조물 축조 전 내측 기초파일에 정착캡을 설치하여 지상 구조물의 상부하중을 지반에 균등하게 분산, 지지하고, 가설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건물 코어부분 기존 기초슬래브와 내측 기초파일을 용이하게 철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리모델링에서 수직동선공간인 1층 엘리베이터실과 계단을 포함하는 코어부분을 지하로 연장하여 증축하는 지하 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조로 축조되는 벽식구조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에 유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모델링된 지하 주차장과 지하층 코어부분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델링된 지하층 코어부분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은 도 4a에서 건물 코어부분 1층 엘리베이터실 벽체 일부(1)와 1층 계단을 철거한다.
도 4b에서 지하층 확장을 위해 상기 1층 엘리베이터실과 1층 계단을 포함하는 건물 코어부분 1층 슬래브(8)의 소정 면적(4)을 절개한다.
도 4c, 4d에서 건물 코어부분의 절개된 1층 슬래브(8)의 소정 면적(4)을 통해 지하층으로 소정 깊이 흙파기 공사를 실시하여 지하층의 내,외측 기초파일(5, 6)을 노출시키며, 지하 흙파기 공간에 노출된 내,외측 기초파일(5, 6) 중 내측 기초파일(6)의 하부 주위에 정착캡(100)을 설치하여 지하 구조물 축조 전 지상 구조물의 상부하중을 지반에 균등하게 전달, 지지한다.
여기서, 내,외측 기초파일(5, 6)은 말뚝기초나 피어기초 등 기초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내력을 보강하는 구조체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내,외측 기초파일(5, 6)은 건물 코어부분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도 4e에서 건물 코어부분의 지상 벽체(12)를 지지하기 위해 지상 벽체(12) 바로 아래 지하층에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설치하고, 상기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지지하며, 상기 지하 내, 외측 연장벽체는 기존 건물의 지하 벽체보다 두께를 증가시켜 지하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한다.
상기 정착캡(100)이 매입 되도록 신 기초슬래브(18)를 설치하며, 상기 신 기초슬래브(18)는 리모델링 후 축조된 새로운 기초슬래브로 기존 건물의 내측 기초파일이 제거되는 것을 감안하여 신 기초슬래브(18)의 두께를 산출하여야 한다.
도 4f에서 지하층 확장공간의 지하 외측 연장벽체(17)를 경계로 지하 내측 연장벽체(16)만 설치되도록 그 내부에 있는 기존 기초슬래브(7)와 내측 기초파일(6)을 제거하여 지상 구조물의 상부하중을 지상벽체(12)를 통해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와 신 기초슬래브(18)가 지지한다. 기존 기초슬래브(7)와 내측 기초파일(6)의 절단은 브레이커나 다이아몬드 커터기를 사용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시예인 정착캡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로, 내측 기초파일(6)의 하부에 설치되는 정착캡(100)은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부 주위에 소정 높이로 용접접합된 원통형 플레이트(102) 및 윙 플레이트(103)로 구성된다.
상기 윙 플레이트(103)는 원통형 플레이트 주위에 균등하게 배치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원통형 플레이트(102)에 다수가 삼각형상으로 용접접합되고, 상기 정착캡(100)은 지상 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균등하게 전달,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내측 기초파일(6)과 정착캡(100) 사이에는 에폭시(104)를 밀실하게 주입하여 상기 내측 기초파일과 정착캡의 부착력을 증대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인 정착캡의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로, 상기 내측 기초파일(6)과 정착캡(100)은 정착캡의 원통형 플레이트(102) 외측면에서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앵커볼트(105)를 설치하여 상기 내측 기초파일(6)과 정착캡(100)을 일체화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 1층 엘리베이터실 벽체 일부 2 : 마이크로파일
3 : 기초파일 4 : 소정 면적
5 : 외측 기초파일 6 : 내측 기초파일
7 : 기존 기초슬래브 8 : 1층 슬래브
9 : 강관 서포트 10 : 멍에
11 : 가새 12 : 지상벽체
13 : 2층 슬래브 14 : 고정플레이트
15 : 연결부재 16 : 지하 내측 연장벽체
17 : 지하 외측 연장벽체 18 : 신 기초슬래브
19 : 볼트 20 : 베이스 플레이트
100 : 정착캡 101 : 베이스 플레이트
102 : 원통형 플레이트 103 : 윙 플레이트
104 : 에폭시 105 : 앵커볼트

Claims (3)

  1. 건물 코어부분의 1층 엘리베이터실 벽체 일부(1)와 1층 계단을 철거하는 단계;
    지하층 확장을 위해 상기 코어부분 1층 슬래브(8)의 소정 면적(4)을 절개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분의 절개된 1층 슬래브(8)의 소정 면적(4)을 통해 지하층으로 소정 깊이 흙파기 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분의 지하 흙파기 공간에 노출된 내,외측 기초파일(5, 6) 중 내측 기초파일(6)의 하부 주위에 정착캡(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분의 지상 벽체(12)를 지지하기 위해 지상 벽체(12) 바로 아래 지하층에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하 내,외측 연장벽체(16, 17)를 지지하며 상기 정착캡(100)이 매입 되도록 신 기초슬래브(18)를 설치하는 단계;
    지하층 확장공간의 지하 외측 연장벽체(17)를 경계로 지하 내측 연장벽체(16)만 설치되도록 그 내부에 있는 기존 기초슬래브(7)와 내측 기초파일(6)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분은 1층 엘리베이터와 1층 계단을 포함하는 수직동선 공간이며,
    상기 내측 기초파일(6)과 정착캡(100) 사이에는 에폭시(104)를 밀실하게 주입하고,상기 정착캡(100)은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부 주위에 소정 높이로 용접접합된 원통형 플레이트(102) 및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 주위에 균등하게 배치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원통형 플레이트(102)에 용접접합되는 다수의 삼각형상 윙 플레이트(1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분은 1층 엘리베이터와 1층 계단을 포함하는 수직동선 공간이며,
    상기 내측 기초파일(6)과 정착캡(100)은 정착캡의 원통형 플레이트(102) 외측면에서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앵커볼트(105)를 설치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정착캡(100)은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부 주위에 소정 높이로 용접접합된 원통형 플레이트(102) 및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 주위에 균등하게 배치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원통형 플레이트(102)에 용접접합되는 다수의 삼각형상 윙 플레이트(1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KR1020130164637A 2013-12-26 2013-12-26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KR10156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637A KR101566528B1 (ko) 2013-12-26 2013-12-26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637A KR101566528B1 (ko) 2013-12-26 2013-12-26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35A true KR20150076035A (ko) 2015-07-06
KR101566528B1 KR101566528B1 (ko) 2015-11-05

Family

ID=5378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637A KR101566528B1 (ko) 2013-12-26 2013-12-26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6332A1 (de) 2015-05-29 2016-12-01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 gesteuerte aufhängungsvorrichtung, die einen mehrstufenschalter aufweist, und eine dämpfungskraft regelndes verfahren davon
CN110424760A (zh) * 2018-05-03 2019-11-08 浙江越宫钢结构有限公司 有车库的现有建筑上加装电梯的建筑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976B (zh) * 2016-10-14 2019-03-05 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地下车库的建筑物下井筒基础
KR102500803B1 (ko) 2022-04-14 2023-02-16 이인영 기존 구조물의 지하통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027B2 (ja) 2005-07-04 2011-05-1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既存建物を稼働させつつ増築・新築又は増築・改修する工法
KR101187170B1 (ko) 2012-03-21 2012-09-28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6332A1 (de) 2015-05-29 2016-12-01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 gesteuerte aufhängungsvorrichtung, die einen mehrstufenschalter aufweist, und eine dämpfungskraft regelndes verfahren davon
CN110424760A (zh) * 2018-05-03 2019-11-08 浙江越宫钢结构有限公司 有车库的现有建筑上加装电梯的建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528B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40B1 (ko) 리모델링 구조물의 지하 하향 증축 구조 및 공법
KR102071225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도심지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JP3644605B2 (ja) 路面下における地下構築物の逆打工法
KR101566528B1 (ko)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층 증축 시공방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775767B1 (ko) Src골조의 기둥용 수직철근을 이용한 역타설 축조공법
KR101401057B1 (ko) 기둥과 주두와 철골보 및 슬래브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KR101319527B1 (ko) 건물 리모델링용 내진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KR20160000702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KR101618719B1 (ko) Cfτ 기둥의 이음구조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2396786B1 (ko) 기존 지하 외벽의 보강을 통한 신설 건물의 지하 증축 및 역타 공법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36248A (ko) 현장타설 내벽결합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KR101358471B1 (ko) 복합 강관파일을 이용한 건축물
CN104895221B (zh) 装配式型钢约束混凝土剪力墙结构
KR101041000B1 (ko) 가설방음벽용 지주
KR101426511B1 (ko) 건물의 지하구조물 축조 시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JP4228308B2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101242017B1 (ko) 코어내부 격자형 인방보와 우선시공되는 지상층 코어부를 이용한 지상 및 지하구조물 병행 구축공법
JP3641227B2 (ja) 地下構造躯体の施工法
AU2020100004A4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A Subterranean Structure, And A Structure Made From The Method
JP2009007818A (ja) 柱と杭の接合構造
KR20210090100A (ko) 지하구조물이 벽식구조인 건물에서 가설전이구조물을 이용하여 조기지상골조 착수가 가능한 공기단축형 역타공법 및 구조
KR101481073B1 (ko) 지하구조물의 철거방법
KR101519112B1 (ko) 보강기둥과 이를 이용한 지하철도용 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