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616Y1 -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 Google Patents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616Y1
KR200356616Y1 KR20-2004-0011697U KR20040011697U KR200356616Y1 KR 200356616 Y1 KR200356616 Y1 KR 200356616Y1 KR 20040011697 U KR20040011697 U KR 20040011697U KR 200356616 Y1 KR200356616 Y1 KR 200356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insertion hole
bolt inse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종
Original Assignee
(주) 반도체 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반도체 통신 filed Critical (주) 반도체 통신
Priority to KR20-2004-001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주는,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기초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하부기둥과;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B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가 하부기둥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에 일치되도록 볼트삽입홀B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기둥과; 볼트삽입홀A와 볼트삽입홀B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중간기둥을 하부기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A;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무게가 가벼워 조립장소까지의 운반이 쉽고, 하부기둥과 중간기둥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를 간편히 조작함으로써 조립 또는 분리가 간편하며, 외주면에는 나무 표피 모양의 FRP 피복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게 된다.

Description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THE ENVIRONMENTAL-FRIENDLY PREFABRICATED ELECTROTYPING}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하부가 지하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통신용 중계기 등의 통신장비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주는 대부분 콘크리트나 강관 등으로 제작되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왔다.
최근 이러한 전주를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하기 위해 전주 외주면에 나무표피 모양의 피복을 씌우고, 인조 나뭇가지를 설치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 '환경 친화적 지주'(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8190호)가 안출되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전주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콘크리트 또는 강관 등으로 제작되어 있어 무게가 무거워 운반이 어렵고, 설치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 볼트와 너트로 조립한 금속관의 외부에 FRP관을 씌우고, 금속관과 FRP관의 사이 공간에 우레탄폼을 충진시킨 '조립식 가로등지주(한국 공개실용신안 93-4981)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지주는 금속관(130)으로 되어 있어 무게가 무겁고, 운반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 설치한 후 분리하기 위해서는 금속관(130)과 FRP관(110)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우레탄폼(120)을 일일히 제거해야 돼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관형상의 FRP 재질로 되어 있어 무게가 가볍고, 일체형이 아닌 다수 개를 조립하도록 되어 있어 조립장소까지의 운반이 간편해지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하부기둥과 중간기둥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를 간편히 조작함으로써 조립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외주면에는 나무 표피 모양의 FRP 피복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전주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주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주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전주 하부기둥에 설치되는 파이프고정부재의 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하부기둥 11 : 피복부재A
12 : 볼트삽입홀A 13 : 파이프삽입홀
20 : 중간기둥 21 : 피복부재B
22 : 볼트삽입홀B 23 : 볼트삽입홀C
24 : 걸림턱A 30 : 고정부재A
31 : 너트A 40 : 상부기둥
41 : 피복부재C 42 : 볼트삽입홀D
50 : 고정부재B 51 : 너트B
60 : 파이프 61 : 고정부재삽입홀
70 : 파이프고정부재 71 : 너트C
80 : 기초 81 : 철근
90 : 통신장비 100 : 위장나뭇가지
110 : FRP관 120 : 우레탄폼
130 : 금속관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주는 관형상의 FRP 재질로 되어 있어 무게가 가볍고, 부피를 적게 차지해 운반이 간편해진다.
또, 하부기둥과 중간기둥을 간단히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둥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FRP 피복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는,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기초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하부기둥과;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B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가 하부기둥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에 일치되도록 볼트삽입홀B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기둥과; 볼트삽입홀A와 볼트삽입홀B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중간기둥을 하부기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A;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하부기둥(10)은 관형상으로 되어 있고,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A(11)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기초(80)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다.
위와 같이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콘크리트 관 이나 강관 으로 형성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관이나 강관으로 형성할 경우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운데 반해 본 고안처럼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할 경우 무게가 가벼워져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하부기둥(10)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초(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법처럼 기초(80) 형성 전에 기초(80) 설치를 위해 배근되는 철근(81) 등에 하부기둥(10)을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켜 하부기둥(10)을 기초(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FRP 재질로 형성할 경우 상부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장비(90)의 하중이 하부기둥(10)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종래의 방법처럼 기초(80)에 기둥 하부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킬 경우 상부 하중에 의해하부기둥(10)이 기초(80)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기둥(10)의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파이프삽입홀(13)이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삽입홀(13)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파이프(60)와;
상기 파이프삽입홀(13)에 삽입되어 있는 파이프(60)를 하부기둥(10)에 고정시키는 파이프고정부재(70);를 더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하부기둥(10)을 기초(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은 기초(80)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양생시 콘크리트가 하부기둥(10)을 관통하고 있는 파이프(60)에 채워져 하부기둥(10)이 보다 견고하게 기초(80)에 고정되게 하는 방법이다.
파이프고정부재(70)는 파이프삽입홀(13)을 관통하고 있는 파이프(60)가 콘크리트 양생시 밀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60) 일측에 고정부재삽입홀(61)을 형성하고, 파이프(60)가 하부기둥(10)에 설치된 후 일측이 절곡된 형태의 파이프고정부재(70)를 고정부재삽입홀(61)에 삽입하여 파이프(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파이프(6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너트 형상의 파이프고정부재(70)를 형성하여 파이프고정부재(70)를 파이프(60)에 끼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60) 일측에 고정부재삽입홀(61)을 형성하되 고정부재삽입홀(61)에 볼트형상으로 형성된 파이프고정부재(70)를 끼우고 파이프고정부재(70)에 너트C(71)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중간기둥(20)은 하부기둥(10)과 마찬가지로 관형상으로 되어 있고,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B(21)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기둥(20)은 하부가 상기 하부기둥(10)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하부 외주면에 하부기둥(10) 상부의 볼트삽입홀A(12)에 일치되도록 볼트삽입홀B(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중간기둥(20)의 하부 직경은 하부기둥(10)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기둥(20) 전체 직경을 하부기둥(10)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보다 경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고정부재A(30)는 중간기둥(20)이 하부기둥(10)의 상부에 삽입되고, 볼트삽입홀A(12)와 볼트삽입홀B(22)가 일치된 후 볼트삽입홀A(12)와 볼트삽입홀B(22)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중간기둥(20)을 하부기둥(10)에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A(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산볼트 형태로 형성하고, 고정부재A(30)에 너트A(31)를 체결해 고정시킬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곡된 부재를 볼트삽입홀A(12)와 볼트삽입홀B(22)에 끼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나무 표피 형태의 피복부재A(11)와 피복부재B(21)는 그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므로 중간기둥(20)이 하부기둥(10)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견고하게 체결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중간기둥(20)의 하부와 하부기둥(10)의 상부, 즉 중간기둥(20)과 하부기둥(10)이 결합되는 부분은 각각 피복부재A(11)와 피복부재B(21)를 부착시키지 않은 채 중간기둥(20)과 하부기둥(1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기둥을 2단으로 구성하지 않고, 3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3단으로 형성할 경우,
중간기둥(20)의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C(23)를 형성하고,
중간기둥(2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고, 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FRP 재질로 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C(41)가 부착되어 있으며, 볼트삽입홀C(23)에 일치되도록 하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D(4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둥(40)과;
상기 볼트삽입홀C(23)와 볼트삽입홀D(42)를 관통함으로써 중간기둥(20)과 상부기둥(4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B(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기둥(40)은 위에서 설명한 하부기둥(10), 중간기둥(20)과 마찬가지로 관형상의 FRP 재질로 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C(41)가 부착된다.
또, 하부 외주면에는 중간기둥(20)의 볼트삽입홀C(23)에 일치되도록 볼트삽입홀D(4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B(50)는 위에서 설명한 고정부재A(30)와 같이 전산볼트 형태로 형성하고, 너트B(51)로 고정부재B(5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하부기둥(10)과 중간기둥(20)의 외부에는 종래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장나뭇가지(100)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중간기둥(20)을 다수개 구비해 3단 이상의 여러 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피복부재A(11), 피복부재B(21), 피복부재C(41)는 공지되어 있는 FRP 재질로 된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복부재의 나무 표피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전주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 주위 나무들의 표피 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복부재에 절단된 나이테 형상을 형성해 보다 미감을 살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중간기둥(20)이 하부기둥(10) 상부에 삽입되거나 상부기둥(40)이 중간기둥(20) 상부에 삽입된 후 고정부재A(30) 또는 고정부재B(50)로 고정시킬 때 상부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장비(90)의 하중이 클 경우 고정부재A(30) 또는 고정부재B(50)가 마모되거나 하중에 의해 파손되어 무너져 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중간기둥(20)이나 상부기둥(40)의 하부에 걸림턱A(24), 걸림턱B을 형성해 중간기둥(20)이나 상부기둥(40)의 걸림턱A(24)나 걸림턱B가 하부기둥(10) 또는 중간기둥(20) 상단에 안착되도록 하여 고정부재A(30)와 고정부재B(50)가 받는 힘을 줄여 보다 견고하게 하중을 지탱하도록 할 수도 있다.
걸림턱A(24), 걸림턱B의 형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기둥 직경을 동일하게 한 후 기둥의 하부만 직경을 작게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중간기둥(20)이나 상부기둥(40)에는 각종 통신중계기, 발판볼트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주를 조립하는는 과정은,
기초(80) 형성을 위해 철근(81)을 배근하면서 하부기둥(10)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때, 하부기둥(10)의 하부 외주면에 파이프삽입홀(1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파이프삽입홀(13)에 파이프(60)를 삽입하고, 파이프고정부재(70)로 파이프(60)를 하부기둥(10)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켜 기초(80)에 하부기둥(10)을 고정시킨다.
하부기둥(10)을 기초(80)에 고정시킨 다음 중간기둥(20)을 하부기둥(10) 상부에 삽입한 후 고정부재A(30)로 하부기둥(10)에 중간기둥(20)을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각종 통신장비(90)는 중간기둥(20)이 하부기둥(10)에 고정되기 전에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중간기둥(20)이 하부기둥(10)에 고정된 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하부기둥(10)이 기초(80)에 고정된 후 중간기둥(20)을 하부기둥(10)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하부기둥(10)에 고정된 후 기초(80)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설치된 전주의 분해는 설치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본 고안의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에 의해, 관형상으로 되어 있고 FRP 재질로 되어 있어 무게가 가벼워 조립장소까지의 운반이 쉽다.
또, 하부기둥과 중간기둥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를 간편히 조작함으로써 조립 또는 분리가 간편하다.
또한, 외주면에는 나무 표피 모양의 FRP 피복부재가 부착되어 있어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게 된다.

Claims (5)

  1.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에 있어서,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A(1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기초(80)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하부기둥(10)과;
    관형상의 FRP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B(21)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하부기둥(10)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A(12)에 일치되도록 볼트삽입홀B(22)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기둥(20)과;
    상기 볼트삽입홀A(12)와 볼트삽입홀B(22)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중간기둥(20)을 하부기둥(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A(30);를 포함하여 구성된,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둥(20)의 상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C(23)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기둥(20)의 상부에 하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관형상의 FRP 재질로 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무 표피 모양의 피복부재C(41)가 부착되어 있으며, 볼트삽입홀C(23)에 일치되도록 하부 외주면에 볼트삽입홀D(4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둥(40)과;
    상기 볼트삽입홀C(23)와 볼트삽입홀D(42)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중간기둥(20)을 상부기둥(4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B(5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하부기둥(10)의 하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파이프삽입홀(13)이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삽입홀(13)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파이프(60)와;
    상기 파이프삽입홀(13)에 삽입되어 있는 파이프(60)를 하부기둥(10)에 고정시키는 파이프고정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둥(10)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A(24)가 중간기둥(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둥(20)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B가 상부기둥(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KR20-2004-0011697U 2004-04-27 2004-04-27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KR200356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97U KR200356616Y1 (ko) 2004-04-27 2004-04-27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97U KR200356616Y1 (ko) 2004-04-27 2004-04-27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251A Division KR100679274B1 (ko) 2004-08-23 2004-08-23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616Y1 true KR200356616Y1 (ko) 2004-07-19

Family

ID=4934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97U KR200356616Y1 (ko) 2004-04-27 2004-04-27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6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43B1 (ko) 2007-02-22 2007-06-08 (주)우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주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43B1 (ko) 2007-02-22 2007-06-08 (주)우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KR100880719B1 (ko)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KR100907863B1 (ko) 가로등 지주 기초
KR101251173B1 (ko) 승강장용 조립식기둥 및 이에 의한 기둥설치 방법
KR20100066857A (ko) 후타설 앵커부재에 의한 결합방식을 이용한 기둥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79274B1 (ko)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KR200356616Y1 (ko)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KR101498485B1 (ko) 펜스용 지주
KR101187682B1 (ko) 우수 저류조
KR100902293B1 (ko) 무기초 자립형 철주
KR200295161Y1 (ko)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102213111B1 (ko) 친환경 가로등 조형물
KR20090089232A (ko) 텔레스코프식 전주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1085796B1 (ko) 콘크리트 기초 일체형 기둥 정착구조
KR101876424B1 (ko) 지주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연결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312817B1 (ko)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JP2002047662A (ja) 可搬柱状基礎体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384537Y1 (ko) 통신단자함 지지대
KR200390139Y1 (ko) 휀스
JP4203856B2 (ja) 擁壁の構築方法並びに擁壁構造
JPH076302B2 (ja) 自立電柱及びその建柱工法
CN217001090U (zh) 单柱杆件快装旅居屋
AU2003204889B2 (en) Hybrid utility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