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347A -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 Google Patents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347A
KR20220137347A KR1020210043292A KR20210043292A KR20220137347A KR 20220137347 A KR20220137347 A KR 20220137347A KR 1020210043292 A KR1020210043292 A KR 1020210043292A KR 20210043292 A KR20210043292 A KR 20210043292A KR 20220137347 A KR20220137347 A KR 20220137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dehumidifying
block
found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539B1 (ko
Inventor
윤병일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데코
Priority to KR102021004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중심부에 기둥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땅속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기초블록,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져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드,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패드 위에 설치되고,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습구멍이 배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충전된 제습통, 상기 제습통을 감싸면서 상기 기초블록의 삽입공에 상기 기둥을 세워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양쪽에 분할 형성된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기둥의 둘레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는 서포터, 상기 지지블록을 커버하면서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지고, 충격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흡수 및 완화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착된 실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야외 시설물 기둥의 내구연한을 연장하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UNDERPILING APPARATUS FOR PLAYGROUND}
본 발명은 조합 놀이대에 적용되는 기둥 설치를 위한 기초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도 조절을 통해 기둥의 내구연한을 연장 및 외력에 대해 탄성 변형력을 갖도록 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공원, 아파트 따위의 야외에는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놀 수 있는 조합놀이대와 같은 다양한 놀이시설을 비롯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운동시설, 앉아서 쉴 수 있는 정자 등과 같은 생활에 편의를 줄 수 있는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물은 주로 토대나 주춧대 따위의 기초물(podium) 위에 기둥이나 조각, 벽을 세우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데, 특히 기둥 지지용 기초물로 사각뿔대나 원뿔대 형상의 콘크리트 기초블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기둥용 콘크리트 기초블록은 설치 현장을 굴착하여 흙을 파내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여러 개의 기초볼트(앵커볼트)를 매설한 후 양생하여 건립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를 지표면 아래에 충분한 하중을 지지하도록 매설하며, 아울러 기둥을 세울 때에는 기둥 하단의 플랜지에 뚫린 관통구멍으로 기초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둥용 콘크리트 기초블록은 기초볼트와 너트가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미관을 해침은 물론 자칫 모래 등 표면재의 유실에 따른 노출로 인해 놀이시설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위험상황 및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콘크리트 기초블록이 빗물이나 습기 등을 오랫동안 머금어 기초볼트와 기둥의 부식을 촉진시켜 시설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공개특허10-2012-0105093 A(2012.09.25) KR 등록실용신안20-0295161 Y1(2002.10.31) KR 공개실용신안20-2010-0000441 U(2010.01.13) KR 등록특허10-1498540 B1(2015.02.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놀이시설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위험상황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빗물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내구연한을 연장하며, 아울러 어린이 등이 자칫 기둥에 충돌 시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내구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상면 중심부에 기둥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땅속에 일정한 깊이로 매설되는 기초블록,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져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기초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드,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패드 위에 설치되고,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습구멍이 배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충전된 제습통, 상기 제습통을 감싸면서 상기 기초블록의 삽입공에 상기 기둥을 세워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양쪽에 분할 형성된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기둥의 둘레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는 서포터, 상기 지지블록을 커버하면서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지고, 충격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흡수 및 완화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착된 실링재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야외 놀이시설물 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기둥에 충돌,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함으로써 이용자의 충돌에 의한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등 놀이시설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기둥 하단의 외향 플랜지에 상하로 뚫린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일치하도록 상면 중심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땅속에 일정한 깊이로 매설되는 기초블록,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져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기둥의 외향 플랜지 상면에 밀착되는 패드,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패드 위에 설치되고,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습구멍이 배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충전된 제습통, 상기 제습통을 감싸면서 상기 기초블록의 위에 상기 기둥을 세워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양쪽에 분할 형성된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상기 기둥의 둘레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는 서포터, 상기 지지블록을 커버하면서 상기 기둥의 둘레에 끼워지고, 충격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흡수 및 완화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착된 실링재 및 상기 기둥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기초블록의 나사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기둥이 상기 기초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볼트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기둥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이용자가 기둥의 돌출 부분에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기초볼트와 기둥의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커버의 외부와 상기 제습통의 내부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습통 내의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을 상기 커버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빼내거나 상기 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제습통의 내부에 제습제를 간편하게 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제습통 내의 수위를 검지하여 상기 제습통이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위 신호를 생성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관리자에게 제습통을 비우도록 알릴 수 있어 제습통이 넘쳐서 기초볼트와 기둥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지표면 아래의 땅속에 일정한 깊이로 기초를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설치한 후 그 위에 기둥의 하단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블록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기둥에 충돌,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기둥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서포터가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 시설물 이용자가 자칫 기둥에 충돌 시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하여 조합놀이대의 놀이시설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둥의 외향 플랜지나 볼트 등이 지면으로 돌출됨 없이 보호됨으로써 미관의 향상과 더불어 놀이시설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설물의 해체 및 이전 설치 또는 유지보수 시 등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빗물이나 습기 등의 수분 침투 시 이를 제습제가 흡수하여 볼트와 철재 기둥의 부식을 방지하므로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
더구나 제습통 내의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빼내고 제습통의 내부에 제습제를 간편하게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통의 만수위 시 관리자에게 제습통을 비우도록 알릴 수 있어 제습통이 넘침으로 인한 기초볼트와 기둥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를 나타낸 국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조합놀이대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실시 예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기초블록(10), 패드(20), 제습통(30), 지지블록(40), 서포터(50), 커버(60) 및 실링재(70)를 포함하고 있다.
기초블록(10)은 지표면에 매설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공장에서 철제 거푸집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 및 양생하여 현장에서 조립 또는 바로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 중심부에는 기둥(P)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이 수직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공(11)의 내경은 기둥(P)의 하부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P)은 금속, 목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며, 외형은 원형단면 사각단면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패드(20)는 기둥(P)의 하단 둘레에 끼우기 위하여 기둥(P)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형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기초블록(10)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고무, 나일론,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패드(20)는 기둥(P)의 바깥쪽 둘레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패드(20)는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신축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및 쿠션 성능이 우수한 우레탄 발포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통(30)은 기둥(P) 하단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습통(30)은 기둥(P)의 둘레에 끼워진 채로 패드(20)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습구멍(31)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습통(30)의 한쪽에는 커버(60)의 외부와 제습통(30)의 내부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튜브(32)가 구비되어 있다.
즉, 튜브(32)는 제습통(30) 내의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을 커버(60)의 외부에서 빼내거나 커버(60)의 외부에서 제습통(30)의 내부에 제습제를 채우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습통(30)의 내부에는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의 수위를 검지하여 제습통(30)이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위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수위센서(3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습제로는 표면적이 매우 넓어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작은 알갱이 형태의 실리카 겔(silica gel)을 채용할 수 있다.
지지블록(40)은 기초블록(10)의 삽입공(11)에 기둥(P)을 세워 지지하기 위해 제습통(30)과 기둥(P)의 하단을 감싸면서 서포터(50)를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블록(40)은 설치 및 고정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둥(P)을 중심으로 적어도 양쪽에 분할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블록(40)은 두 개의 반원통 모양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 및 밀착된 상태에서 기둥(P)의 둘레를 감싸듯이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서포터(50)는 기둥(P)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도록 기둥(P)의 하단 둘레와 대응되는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블록(40)의 기둥(P)의 둘레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즉, 서포터(50)는 기둥(P) 하단의 바깥쪽 둘레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포터(50)는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탄성과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FRP(강화플라스틱), 나일론, PP(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이 외력을 받을 시 자연스럽게 변형되는 탄성과 파손을 방지하는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60)는 기둥(P)의 하단 둘레에 끼워져 지지블록(40)을 커버하여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60)는 충돌이나 충격 등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는 고무, 나일론,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재(70)는 기둥(P)과의 틈새 등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커버(6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는 기둥(P) 설치 현장을 굴착하여 흙을 파내고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표면 아래의 땅속에 충분한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기초블록(10)이 형성되도록 한 뒤 기초블록(10)이 표면에 삽입공(11)이 형성되도록 한 후 기둥(P)의 하단을 삽입공(11)에 삽입하여 세우고, 패드(20)와 제습통(30) 및 서포터(50)를 순차적으로 끼운 후 기둥(P)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분할·배치되어 있는 지지블록(4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50)는 지지블록(40)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기둥(P)의 둘레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커버(60)와 실링재(70)가 기둥(P)과 기초블록(10)의 사이의 틈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빗물이나 습기 등의 침투로 인한 철재 기둥(P)의 부식을 방지하므로 내구연한 및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야외 놀이시설물용 기둥(P)에 충돌,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패드(20)와 서포터(50) 등이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 시설물 이용자가 자칫 기둥(P)에 충돌 시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등 놀이시설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커버(60)가 지지블록(40) 등의 지면으로 돌출 및 노출됨 없이 보호함으로써 미관의 향상과 더불어 놀이시설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기둥(P)의 하단으로 빗물이나 습기 등의 수분 침투 시 이를 제습통(30) 내의 제습제가 제습구멍(31)을 통해 자연스럽게 흡수하기 때문에 철재 기둥의 부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제습통(30) 내의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은 튜브(32)를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빼내고 제습통(30)의 내부에 제습제를 간편하게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통(30)의 만수위 시 수위센서(33)가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제습통(30)을 비우도록 알릴 수 있다.
<실시 예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기초블록(10), 패드(20), 제습통(30), 지지블록(40), 서포터(50), 커버(60), 실링재(70) 및 볼트(8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과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기초블록(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둥(P)의 외향 플랜지(G)를 볼트(80)로 조여서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나사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구멍(12)은 기둥(P) 하단의 외향 플랜지(F)에 상하로 뚫린 복수개의 관통구멍(H)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구멍(12)은 기초블록(10)의 상면에 구멍을 뚫고 너트 등의 매입하여 형성하거나 형틀에 콘크리트 반죽을 채우고 가압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성형 또는 양생하는 과정에서 너트를 인서트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기초블록(10)은 현장에서 타설하여 형성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공장에서 철제 거푸집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 및 양생하여 현장에서 조립 또는 바로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20)는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기둥(P)의 외향 플랜지(F) 상면에 밀착되도록 기둥(P)의 둘레에 끼워져 있다.
볼트(80)는 기둥(P)이 기초블록(10) 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기둥(P) 하단의 외향 플랜지(F)에 뚫려 있는 관통구멍(H)을 통해 기초블록(10)의 나사구멍(12)에 나사 체결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는 현장의 기둥(P) 설치 위치에서 굴착하여 흙을 파내고 지표면 아래의 땅속에 충분한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깊이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기초블록(10)을 형성한 후 기초블록(10)에 기둥(P)의 하단 부분을 기초블록(10) 위에 볼트(80)로 조여서 세우고, 기둥(P)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분할·배치되어 있는 지지블록(4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50)는 지지블록(40)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기둥(P)의 둘레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커버(60)와 실링재(70)가 기둥(P)과 기초블록(10)의 사이의 틈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빗물이나 습기 등의 침투로 인한 볼트(80)와 기둥(P)의 부식을 방지하므로 내구연한 및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야외 놀이시설물인 조합놀이대용 기둥(P)에 충돌,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패드(20)와 서포터(50) 등이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외력을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 시설물 이용자가 자칫 기둥(P)에 충돌 시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등 놀이시설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커버(60)가 지지블록(40) 등의 지면으로 돌출 및 노출됨 없이 보호함으로써 미관의 향상과 더불어 놀이시설 이용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기둥(P)의 하단으로 빗물이나 습기 등의 수분 침투 시 이를 제습통(30) 내의 제습제가 제습구멍(31)을 통해 자연스럽게 흡수하기 때문에 볼트(80)와 철재 기둥의 부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제습통(30) 내의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은 튜브(32)를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빼내고 제습통(30)의 내부에 제습제를 간편하게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통(30)의 만수위 시 수위센서(33)가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제습통(30)을 비우도록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기초블록 11: 삽입공
12: 나사구멍 20: 패드
30: 제습제통 31: 제습구멍
32: 튜브 33: 수위센서
40: 지지블록 50: 서포터
60: 커버 70: 실링재
80: 볼트 P: 기둥
F: 외향 플랜지 H: 관통구멍

Claims (4)

  1. 상면 중심부에 기둥(P)의 하단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이 형성되고, 땅속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기초블록(10);
    상기 기둥(P)의 둘레에 끼워져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기초블록(10)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드(20);
    상기 기둥(P)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패드(20) 위에 설치되고,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습구멍(31)이 배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충전된 제습통(30);
    상기 제습통(30)을 감싸면서 상기 기초블록(10)의 삽입공(11)에 상기 기둥(P)을 세워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P)을 중심으로 양쪽에 분할 형성된 지지블록(40);
    상기 지지블록(40)의 상기 기둥(P)의 둘레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P)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는 서포터(50);
    상기 지지블록(40)을 커버하면서 상기 기둥(P)의 둘레에 끼워지고, 충격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흡수 및 완화하는 커버(60); 및
    상기 커버(60)의 내주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착된 실링재(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2. 기둥(P) 하단의 외향 플랜지(F)에 상하로 뚫린 복수개의 관통구멍(H)과 일치하도록 상면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사구멍(12)이 형성되고, 땅속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기초블록(10);
    상기 기둥(P)의 둘레에 끼워져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기둥(P)의 외향 플랜지(F) 상면에 밀착되는 패드(20);
    상기 기둥(P)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패드(20) 위에 설치되고,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습구멍(31)이 배열 형성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충전된 제습통(30);
    상기 제습통(30)을 감싸면서 상기 기초블록(10)의 위에 상기 기둥(P)을 세워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P)을 중심으로 양쪽에 분할 형성된 지지블록(40);
    상기 지지블록(40)의 상기 기둥(P)의 둘레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P)이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유연하게 흡수 및 완화하는 서포터(50);
    상기 지지블록(40)을 커버하면서 상기 기둥(P)의 둘레에 끼워지고, 충격을 받을 시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흡수 및 완화하는 커버(60);
    상기 커버(60)의 내주면에 수밀성과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착된 실링재(70); 및
    상기 기둥(P)의 관통구멍(H)을 통해 상기 기초블록의 나사구멍(12)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기둥(P)이 상기 기초블록(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볼트(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통(30) 내의 제습제에 의해 응결된 물을 상기 커버(60)의 외부에서 빼내거나 상기 커버(60)의 외부에서 상기 제습통(30)의 내부에 제습제를 채우기 위해 상기 커버(60)의 외부와 상기 제습통(30)의 내부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튜브(3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통(30) 내의 수위를 검지하여 상기 제습통(30)이 만수위에 도달하면 만수위 신호를 생성하는 수위센서(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KR1020210043292A 2021-04-02 2021-04-02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KR10250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92A KR102500539B1 (ko) 2021-04-02 2021-04-02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92A KR102500539B1 (ko) 2021-04-02 2021-04-02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47A true KR20220137347A (ko) 2022-10-12
KR102500539B1 KR102500539B1 (ko) 2023-02-17

Family

ID=8359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292A KR102500539B1 (ko) 2021-04-02 2021-04-02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11-18 안옥규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200408601Y1 (ko) * 2005-11-10 2006-02-13 한각수 숯 채운 기둥부식 방지 안전 덮개
KR20100000441U (ko) 2008-07-04 2010-01-13 전상덕 지중 매입형 가로용 기둥
KR20120105093A (ko)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498540B1 (ko) 2013-05-24 2015-03-17 스페이스뷰 주식회사 지주 고정장치
CN207714360U (zh) * 2017-12-26 2018-08-10 内蒙古电力勘测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可拆卸的设备支柱
KR101959670B1 (ko) * 2018-04-24 2019-03-18 김성길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11-18 안옥규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200408601Y1 (ko) * 2005-11-10 2006-02-13 한각수 숯 채운 기둥부식 방지 안전 덮개
KR20100000441U (ko) 2008-07-04 2010-01-13 전상덕 지중 매입형 가로용 기둥
KR20120105093A (ko)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498540B1 (ko) 2013-05-24 2015-03-17 스페이스뷰 주식회사 지주 고정장치
CN207714360U (zh) * 2017-12-26 2018-08-10 内蒙古电力勘测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可拆卸的设备支柱
KR101959670B1 (ko) * 2018-04-24 2019-03-18 김성길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39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054B1 (ko) 이중프레임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200435077Y1 (ko) 휀스 지주 조립구조 및 기초뚜껑
KR102197261B1 (ko) 송전철탑의 내진설계가 보강된 베이스구조
KR101959670B1 (ko)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1804495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및 그 조립식 보호방벽 설치방법
KR20200111880A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패드 일체형 물탱크
JP2003055984A (ja) 柱脚連結構造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20220137347A (ko) 조합놀이대용 기초 보강재
KR20200073672A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2156736B1 (ko) 산업단지 철탑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앙카 장치
KR20220133441A (ko) 시설물 기둥 지지용 기초구조물
JP4338713B2 (ja) 雪崩・落石等防護体の支柱連結具
KR102013354B1 (ko)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충격흡수장치
KR101796469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및 그 조립식 보호방벽 설치방법
KR101009949B1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US10640999B2 (en) Earthquake dampening platform for a ground level storage vessel
KR200295161Y1 (ko)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KR102047485B1 (ko) 지중 매설용 하수처리시설의 조립식 보호방벽
JP2018135678A (ja) 支柱設置構造及び防護柵
KR20020039515A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JP6345328B1 (ja) 元位置建柱工法および元位置建柱構造
KR101254891B1 (ko) 시설물 고정기둥
KR20120001556U (ko) 시설물의 기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