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891B1 - 시설물 고정기둥 - Google Patents

시설물 고정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891B1
KR101254891B1 KR1020100136004A KR20100136004A KR101254891B1 KR 101254891 B1 KR101254891 B1 KR 101254891B1 KR 1020100136004 A KR1020100136004 A KR 1020100136004A KR 20100136004 A KR20100136004 A KR 20100136004A KR 101254891 B1 KR101254891 B1 KR 10125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horizontal
facility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055A (ko
Inventor
신동술
Original Assignee
신동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술 filed Critical 신동술
Priority to KR102010013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8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38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고정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 고정기둥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하부에 결합되고 볼트 조립공들이 구비된 수평받침대가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봉의 일면 또는 선택된 면에 장착되고 수평계와 수직계로 구성되는 균형부와, 상기 고정봉의 하부 양측에 대칭장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 없이 현장에서 고정봉에 장착되는 수평계와 수직계를 이용하여 고정기둥을 균형있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과 잘못된 시공에 따른 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설물 고정기둥{Fixing Device for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 고정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이나 울타리 등과 같은 각종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단독적으로 설치되면서 수평계와 수직계를 통해 균형있게 고정기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시설물 고정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 또는 난간 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설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둥을 먼저 설치해야한다.
그리고 도시된 도 10은 종래의 시설물 고정기둥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0)의 구조는 소정 지름을 갖는 환봉의 하단부에 받침부(200)가 용접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20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 조립공(22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0)은, 먼저 설치장소의 바닥에 다수개의 앙카볼트(300)를 설치한 후, 상기 받침부(200)의 볼트 조립공(220)을 상기 앙카볼트(300)에 끼워 조립한 다음, 조립된 앙카볼트(300)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너트(400)를 나사 조립함으로써 고정기둥(100)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설물 고정기둥을 설치장소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게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시설물 고정기둥을 설치장소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평과 수평을 맞춰야하는데 이를 작업자의 육안에 의지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시설물 고정기둥의 수평과 수직이 맞지 않을 경우 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이나 연결판을 고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규격된 물건을 수정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 없이 현장에서 고정봉에 장착되는 수평계와 수직계를 이용하여 고정기둥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봉의 하부에 회동가능한 회동브라켓을 대칭 장착하여 수평받침대와 함께 콘크리트나 시멘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봉에 수평계와 수직계로 구성되는 균형부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수평계와 수직계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설물 고정기둥에 있어서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하부에 결합되고 볼트 조립공들이 구비된 수평받침대가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봉의 일면 또는 선택된 면에 장착되고 수평계와 수직계로 구성되는 균형부와, 상기 고정봉의 하부 양측에 대칭장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 없이 현장에서 고정봉에 장착되는 수평계와 수직계를 이용하여 고정기둥의 수평을 맞추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과 잘못된 시공에 따른 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봉의 하부에 회동가능한 회동브라켓을 대칭 장착하여 수평받침대와 함께 콘크리트나 시멘트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봉에 수평계와 수직계로 구성되는 균형부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수평계와 수직계를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비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보호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봉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9는 본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종래의 시설물 고정기둥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보호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을 구성하는 고정봉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시설물 고정기둥(10)은 설치장소에 고정장착되는 고정기둥(20)과, 상기 고정기둥(20)을 구성하는 고정봉(30)에 장착되는 균형부(50)와, 상기 고정봉(30)의 하부 양측에 대칭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커버(60)와, 상기 고정기둥(20)의 고정봉(30)에 장착되고 수평받침대(40)와 지지커버(6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기둥(20)은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봉(30)과 상기 고정봉(3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가장자리 둘레 부분에 볼트 조립공(41)들이 형성된 수평받침대(40)가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30)과 수평받침대(40)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봉(30)과 수평받침대(40)는 용접이나 볼팅 결합을 통해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30)의 일면 또는 선택된 면에 장착되는 균형부(50)는 수평계(51)와 수직계(52)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봉(30)의 균형장착홈(32)에 고정장착된다.
이때, 상기 균형부(50)는 수평계(51)와 수직계(52)의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30)의 균형장착홈(3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봉(30)과 균형부(50)의 고정결합되는 도시된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봉(30)과 균형부(50)의 고정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봉(30)의 균형장착홈(32)에 고정경사면(33)과 가이드 돌기(34)이 형성되고, 상기 균형부(50)에는 고정경사면(33) 및 가이드 돌기(34)와 대응하는 균형경사면(53)과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상기 균형장착홈(32)에 균형부(5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는 상기 고정봉(30)을 형성하는 균형장착홈(32)에 균형부(50)의 개방 또는 차단을 위해 차단판(90)이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균형장착홈(32)의 상부를 관통형성하면서 내면 둘레에 차단홈(35)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홈(35)에는 상·하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균형부(50)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차단판(9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판(90)에는 손잡이 장착공(9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장착공(91)에는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92)가 장착되어, 상기 차단판(90)의 상·하 작동을 통해 차단판(90)을 배출 또는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6은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을 구성하는 고정봉(30)의 전·후에는 균형부(50)가 장착되고,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롤러(36)나 베어링들이 장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고정봉(30)의 외면에 롤러(36)나 베어링들을 장착하여 상기 고정기둥(10)을 감싸는 시설물의 커버(C)의 삽입이나 배출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봉(30)의 하부 양측에 대칭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커버(60)는 상기 고정봉(30)의 외면을 감싸도록 ' ㄷ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봉(30)에 결합되어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힌지부(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커버(60)는 고정봉(30)과 결합되는 힌지부(62)를 기준으로 회동작동하여 수직이나 수평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지지커버(60)는 시설물 설치장소의 상부에 설치할 때는 수직으로 회동작동하여 고정봉(30)의 외면을 감싸고, 콘크리트나 시멘트의 타설을 통한 지반의 매설시에는 수평으로 회동작동하여 콘크리트나 시멘트에 수용되어 결속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기둥(20)의 고정봉(30)에는 장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1)에는 지지구(8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커버(60)의 수평작동시 상기 지지구(80)가 지지커버(60)를 지지할 수 있음을 밝힌다.(도시된 도 7 참조)
상기 고정기둥(20)의 고정봉(30)에 장착되는 보호커버(70)는 상기 고정봉(30)에 장착되어 수평받침대(40)와 지지커버(60)를 보호하면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70)는 상부에 수평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봉(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72)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71)과, 상기 수평받침대(40)의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면(73)과, 상기 상부 수평면(71)과 수직면(73)을 연결하는 경사면(74)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70)는 시설물 고정기둥(10)의 지반의 상부에 설치될 때 상기 수평받침대(40)와 지반을 고정하는 앙카볼트 및 지지커버(60)를 보호하면서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설물 고정기둥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8 및 9는 본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기둥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면서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봉(30)의 일면 또는 선택된 면에 균형장착홈(32)이 형성한 후 상기 고정봉(30)의 하부에 볼트 조립공(41)들이 구비된 수평받침대(40)를 용접이나 볼팅결합하여 고정기둥(20)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30)의 균형장착홈(32)에 수평계(51)와 수직계(52)로 구성되는 균형부(50)를 장착한 후 브라켓, 볼트, 용접, 패킹 등의 여러 가지 고정수단 중 선택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균형부(50)를 고정봉(3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봉(30)의 하부에 양측에 절곡형성되는 지지커버(60)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면 시설물 고정기둥(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이 지반에 매설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부에 수평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봉(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72)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71)과, 상기 수평받침대(40)의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면(73)과, 상기 상부 수평면(71)과 수직면(73)을 연결하는 경사면(74)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커버(70)들을 별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을 시설물 설치장소에 고정장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이 설치되는 지반의 상부에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수평받침대(40)의 볼트 조립공(41)에 앙카들을 장착한 후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을 설치장소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평받침대(40)에 장착된 앙카들을 지반에 고정한 후 상기 앙카에 너트를 체결하여 설치장소의 상부에 고정기둥(20)을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기둥(20)은 수평계(51)와 수직계(52)로 구성되는 균형부(50)를 확인하면서 지반에 고정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기둥(20)의 고정봉(30)에 보호커버(70)를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고정봉(30)에 시설물의 커버(C)를 볼팅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을 지반에 매입하여 고정할 경우에는, 콘크리트나 시멘트가 수용되는 공간에 상기 고정봉(30)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커버(60)를 수평으로 회동작동시킨 후 건조시켜 일체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 고정기둥(10)이 설치되는 지반에 삽입한 후 고정봉(30)에 장착되는 수평계(51)와 수직계(52)의 균형부(50)를 이용하여 고정봉(30)의 수평을 맞춘 다음 지반을 매설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시설물 고정기둥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시설물 고정기둥, 20 : 고정기둥,
30 : 고정봉, 40 : 수평받침대,
41 : 볼트 조립공, 50 : 균형부,
51 : 수평계, 52 : 수직계,
60 : 지지커버, 70 : 보호커버,
80 : 지지구, 90 : 차단판.

Claims (6)

  1. 시설물 고정기둥(10)으로, 사각형 형상의 고정봉(30)과 상기 고정봉(30)의 하부에 결합되고 볼트 조립공(41)들이 구비된 수평받침대(40)가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기둥(20)과, 상기 고정봉(30)의 일면 또는 선택된 면에 장착되고 수평계(51)와 수직계(52)로 구성되는 균형부(50)와, 상기 고정봉(30)의 하부 양측에 대칭장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커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커버(60)가 장착되는 고정봉(30)에는 장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1)에는 지지커버(60)의 수평작동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구(8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균형부(50)가 장착되는 고정봉(30)의 균형장착홈(32)에는 고정경사면(33)과 가이드 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균형부(50)에는 고정경사면(33) 및 가이드 돌기(34)와 대응하는 균형경사면(53)과 가이드 홈(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기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20)의 고정봉(30)에는 수평받침대(40)와 지지커버(60)를 보호하면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호커버(70)가 장착되되,
    상기 보호커버(70)는 상부에 수평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봉(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72)이 형성되는 상부 수평면(71)과, 상기 수평받침대(40)의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면(73)과, 상기 상부 수평면(71)과 수직면(73)을 연결하는 경사면(74)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기둥.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30)의 전·후에는 균형부(50)가 장착되고,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롤러(36)나 베어링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기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30)에 형성되는 균형장착홈(32)의 전방 상부 및 내면 둘레에는 장착되는 균형부(50)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차단판(90)이 장착되되,
    상기 차단판(90)에는 손잡이 장착공(9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장착공(91)에는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9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기둥.
KR1020100136004A 2010-12-27 2010-12-27 시설물 고정기둥 KR10125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04A KR101254891B1 (ko) 2010-12-27 2010-12-27 시설물 고정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004A KR101254891B1 (ko) 2010-12-27 2010-12-27 시설물 고정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055A KR20120074055A (ko) 2012-07-05
KR101254891B1 true KR101254891B1 (ko) 2013-04-15

Family

ID=4670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004A KR101254891B1 (ko) 2010-12-27 2010-12-27 시설물 고정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9120B (zh) * 2021-11-13 2023-03-24 重庆顺泰铁塔制造有限公司 防断复合高强混凝土电杆
CN115341666A (zh) * 2022-09-26 2022-11-15 贵州开放大学(贵州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结构设计墙柱脚快速连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335Y1 (ko) * 1999-01-14 2001-12-24 류명식 가설용 지주
KR100626292B1 (ko) * 2006-02-02 2006-09-22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포스트 기울기 교정장치
KR100796567B1 (ko) * 2007-12-20 2008-01-21 김종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안전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335Y1 (ko) * 1999-01-14 2001-12-24 류명식 가설용 지주
KR100626292B1 (ko) * 2006-02-02 2006-09-22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포스트 기울기 교정장치
KR100796567B1 (ko) * 2007-12-20 2008-01-21 김종길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안전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055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60B2 (ja) 既設ブロック塀の防護装置
US20070086858A1 (en) Shallow mounted fixed vehicle barrier device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US9163418B2 (en) Removable and re-useable construction safety barrier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254891B1 (ko) 시설물 고정기둥
KR200477531Y1 (ko) 건축공사용 안전난간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JP5973796B2 (ja) 床版拡幅用ユニット
JP5490670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6178269B2 (ja) 壁高欄
CA2932078C (en) Fence system
KR101681505B1 (ko) 안전펜스
KR20130052259A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JP3159172U (ja) 太陽光発電パネル設置工事用落下防止安全柵
CN218715739U (zh) 一种可重复利用的装配式防护装置
KR101085324B1 (ko) 안전난간 지주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공법
KR101694786B1 (ko) 휀스 지주의 시공방법
KR101738578B1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KR200463274Y1 (ko)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AU2007101042A4 (en) Building floor safety barrier
KR101276164B1 (ko) 개방형 낙석 방지장치
KR20120092456A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