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630B1 -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630B1
KR101385630B1 KR1020130103942A KR20130103942A KR101385630B1 KR 101385630 B1 KR101385630 B1 KR 101385630B1 KR 1020130103942 A KR1020130103942 A KR 1020130103942A KR 20130103942 A KR20130103942 A KR 20130103942A KR 101385630 B1 KR101385630 B1 KR 10138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rame assembly
yoke
suppo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호주
이재권
연규종
최평근
고만기
김용군
김기현
Original Assignee
동양건설(주)
주식회사 서니플라테크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건설(주), 주식회사 서니플라테크,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동양건설(주)
Priority to KR102013010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발명은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부에 동시에 사용토록 수직재 또는 수평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각 형상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각가 연장되면서 4면으로 각각 분할되는 복수의 본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에 연결되는 레일고정브라켓을 통하여 적층지지되는 가드레일을 지지토록 보강편이 구비되어 데크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frame assembly for deck-road}
발명은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부에 동시에 사용토록 수직재 또는 수평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각 형상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각가 연장되면서 4면으로 각각 분할되는 복수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에 연결되는 레일고정브라켓을 통하여 적층지지되는 가드레일을 지지토록 보강편이 구비되어 데크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또는 수변 등에는 주민들의 편의성 향상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산책을 할 수 있게 한 산책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산책로 중에는 하천이나 건천과 같이 다리가 요구되는 부분이나 별도의 수상에 산책로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산책 다리 즉, 데크로드를 시공하여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산책 다리는 환경친화성과 장식성의 향상을 위하여 목재를 이용하여 주교각을 세우고 상기 주교각에 수평보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상판을 설치하여서 시공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목재를 사용하여 시공한 다리는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침수시 주교각이 쉽게 부식되어서 그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허 제1175220호에 수변 데크로드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철재골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에이치 빔 수평보(20)와, 상기 수평보(20)에 안착되는 장선목재(30)와, 수평 상태의 장선목재를 연결하면서 결속되는 목재상판(40)과, 상기 목재상판의 양단부에 결합되도록 안전기둥(51) 및 안전보강대(52)를 갖는 안전난간(50)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난간(50)의 안전기둥(51)은 하부가 은폐형 지주결속구(100)에 의해 목재상판(40)과 조립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주결속구(1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통이 형성되어 안전기둥(51)이 끼워지면 체결구(B)로 하여금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각통(110)은 일측 선단이 목재상판(40)의 폭방향 바깥측단과 대응되는 선상을 이루며 부착되되, 상기 목재상판(40)의 바깥측단과 대응되는 사각통(110)의 일면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날개판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변 데크로드는, 사각통(110)이 정형화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안전보강대(52)의 처짐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레일을 보강하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장착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하나의 고정유니트를 통하여 수평재와 수직재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접작업 없이 현장에서의 피스조립으로 조립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부에 동시에 사용토록 수직재 또는 수평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4각 형상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각가 연장되면서 4면으로 각각 분할되는 복수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에 연결되는 레일고정브라켓을 통하여 적층지지되는 가드레일을 지지토록 보강폄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데크러드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판은 지지블럭과의 연결부에 미리 형성되는 절곡라인이 구비되면서 그 연결부에 응력분산부가 구비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레일고정브라켓은 4각의 통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면서 지지편이 돌출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편은, 가드레일에 각각 지지되는 걸림턱과 역행방지턱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가드레일의 일부면에 각각 접촉토록 형성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을 보강하면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장착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하나의 고정유니트를 통하여 수평재와 수직재를 신속하게 연결하고, 용접작업 없이 현장에서의 피스조립으로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수변 데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데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연결상태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가드레일 연결상태도이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가드레일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가드레일의 연결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데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연결상태도이며,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가드레일 연결상태도이고,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가드레일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가드레일의 연결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멍에(510)가 테두리멍에(530)의 내측에 연결되고, 상기 데두리멍에 또는 멍에의 상측에 장선(550)이 구비되어 그 상측에 데크(5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멍에(530)의 하부에는 동바리(540)가 상부에는 포스트(560)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멍에와 멍에, 테두리멍에와 포스트, 테두리멍에와 동바리로 이루어진 수직재 또는 수평재의 연결부에는 수직재 또는 수평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4각 형상의 지지블럭(610)과 상기 지지블럭에 각가 연장되면서 4면으로 각각 분할되는 복수의 지지판(630)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60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포스트(560)에 연결되는 레일고정브라켓(580)을 통하여 적층지지되는 복수의 가드레일(590)이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은 보강편(52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30)은 지지블럭과의 연결부에 미리 형성되는 절곡라인(631)이 구비되면서 그 연결부에 응력분산부(633)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레일고정브라켓(580)은 4각의 통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581)가 구비되면서 지지편(585)이 일체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보강편(520)은, 가드레일(590)의 지지홈(595)에 각각 지지되는 걸림턱(521)과 역행방지턱(523)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드레일은 별도의 보가편(520) 없이 레일고정브라켓(580)의 내측에 복수개가 장착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포스트(560)는, 내측에 각재(565)가 더 투입되어도 되며, 상기 각재(565)와의 밀착부에 간격유지돌기(567) 또는 탄지편(56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 동바리 또는 데크는 목재로 이루어져도 좋으나 프라스틱재의 압출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멍에(510)가 테두리멍에(530)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데크가 지지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멍에(530)의 하부에는 동바리(540)가 상부에는 포스트(560)가 각각 연결되어 지면의 일정높이에 프레임의 설치가 가능토록 되고, 상기 포스트(560)를 통하여 수평방향에 복수의 가드레일(590)이 지지되어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멍에 또는 멍에의 상측에 장선(550)이 구비되어 그 상측에 데크(520)가 연결을 위한 피스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멍에와 멍에, 테두리멍에와 포스트, 테두리멍에와 동바리로 이루어진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부에는 수직재 또는 수평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4각 형상의 지지블럭(610)과 상기 지지블럭에 각가 연장되면서 4면으로 각각 분할되는 복수의 지지판(630)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600)를 통하여 용이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고정유니트(600)의 지지블럭(610)을 수직방향에 위치한 포스트 또는 동바리에 삽입한 상태에서 피스 결합하고, 상기 지지블럭(610)을 중심으로 절곡되는 지지판(630)을 멍에 또는 테두리멍에(530)의 측면에 밀착시켜 피스 결합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니트(600)를 통하여 수평상태에 위치한 멍에와 테두리멍에의 연결도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포스트(560)연결되는 레일고정브라켓(580)을 통하여 상,하로 적층지지되는 가드레일(590)을 용이하게 지지토록 한다.
즉, 상기 레일고정브라켓(580)은 가드레일이 상,하측에 각각 삽입되는 4각의 통형상으로 가드레일을 밀착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581)가 구비되면서 지지편(585)이 일체로 돌출되어 포스트에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포스트(560)은, 내측에 각재(565)가 더 투입되어 강도를 보강토록 한다.
이때, 상기 포스트(560)의 내측에 삽입되는 후공정에 의해 삽입되는 구성으로 각재(565)와의 밀착부에 간격유지돌기(567)가 구비되어 포스트의 팽창 또는 수축시에도 긴밀하게 밀착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간격유지돌기는 탄지편(565)을 대체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30)은 지지블럭과의 연결부에 미리 형성되는 절곡라인(631)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절곡토록 하고, 상기 지지판은 그 연결부에 호 또는 원으로 이루어진 응력분산부(633)가 구비되어 절곡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로 파괴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편(580)은, 가드레일(590)을 레일고정브라켓(580)에 지지할 때 상기 가드레일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가드레일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강도를 보강토록 한다.
즉, 상기 가드레일(590)의 외측면 둘레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지홈에 각각 지지토록 걸림턱(581)과 역행방지턱(583)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편을 가드레일의 측면에서 압입하는 동작에 의해 가드레일과 보강편이 일체로 고정되어 강도보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510...멍에 530...테두리멍에
540...동바리 550...장선
560...포스트 580...보강편
590...가드레일 600...고정유니트
610...지지블럭

Claims (5)

  1. 테두리멍에와 멍에, 테두리멍에와 포스트, 테두리멍에와 동바리로 이루어진 수직재 또는 수평재의 연결부에 동시에 사용토록 수직재 또는 수평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4각 형상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각가 연장되면서 4면으로 각각 분할되는 복수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인 포스트에 연결되는 레일고정브라켓을 통하여 적층지지되는 복수의 가드레일을 지지하고,
    상기 레일고정브라켓은, 4각의 통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면서 일측이 절개되어 지지편이 일체로 돌출토록 절곡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지지블럭과의 연결부에 미리 형성되는 절곡라인이 구비되면서 그 연결부에 응력분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사이에는 보강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편은, 가드레일에 각각 지지되는 걸림턱과 역행방지턱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가드레일의 지지홈에 각각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내측에 각재가 삽입되며,
    상기 포스트의 내측에는 삽입되는 각재와의 밀착부에 간격유지돌기 또는 탄지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20130103942A 2013-08-30 2013-08-30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8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42A KR101385630B1 (ko) 2013-08-30 2013-08-30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42A KR101385630B1 (ko) 2013-08-30 2013-08-30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630B1 true KR101385630B1 (ko) 2014-04-21

Family

ID=5065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942A KR101385630B1 (ko) 2013-08-30 2013-08-30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6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349B1 (ko) * 2015-04-21 2015-09-09 김윤기 염해 방지형 복합구조 잔교
KR200480289Y1 (ko) 2016-01-07 2016-05-04 (주)그린우드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696862B1 (ko)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복합구조재로 제작되는 건축물 구조체
KR102136540B1 (ko) * 2020-03-30 2020-07-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데크로드 울타리용 알루미늄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울타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37Y1 (ko) * 2007-05-23 2008-06-17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KR101045820B1 (ko) * 2008-08-06 2011-07-01 권기병 건축용 지주의 지지부재
KR20130003530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우리컨설팅 가설 난간지주
KR101227841B1 (ko) * 2011-06-22 2013-01-31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37Y1 (ko) * 2007-05-23 2008-06-17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KR101045820B1 (ko) * 2008-08-06 2011-07-01 권기병 건축용 지주의 지지부재
KR101227841B1 (ko) * 2011-06-22 2013-01-31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20130003530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우리컨설팅 가설 난간지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349B1 (ko) * 2015-04-21 2015-09-09 김윤기 염해 방지형 복합구조 잔교
KR200480289Y1 (ko) 2016-01-07 2016-05-04 (주)그린우드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696862B1 (ko)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복합구조재로 제작되는 건축물 구조체
KR102136540B1 (ko) * 2020-03-30 2020-07-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데크로드 울타리용 알루미늄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733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45989B1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793243B1 (ko)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066424B1 (ko)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1819947B1 (ko) 데크로드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101829422B1 (ko) 데크바닥 결합구조
KR20200053252A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37398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90041A (ko)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791144B1 (ko) 데크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목교
KR101054956B1 (ko) 조립형 방음패널
KR102157417B1 (ko) 난간시스템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KR101462068B1 (ko) 조립식 사다리장치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080005462U (ko) 펜스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102031079B1 (ko) 데크로드 난간 하부조립체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200480289Y1 (ko)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