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530A - 가설 난간지주 - Google Patents

가설 난간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530A
KR20130003530A KR1020110064941A KR20110064941A KR20130003530A KR 20130003530 A KR20130003530 A KR 20130003530A KR 1020110064941 A KR1020110064941 A KR 1020110064941A KR 20110064941 A KR20110064941 A KR 20110064941A KR 20130003530 A KR20130003530 A KR 2013000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wedge
plate
temporary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059B1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컨설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컨설팅
Priority to KR102011006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0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 난간지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브라켓이, 난간지주의 외주에 일단이 접합되며, 쐐기홈을 갖는 상판; 이 상판과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난간지주의 외주에 일단이 접합되고, 상판의 쐐기홈에 대응되게 쐐기홈을 가지며, 상판보다 길게 형성되는 하판; 이 하판의 자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상판의 자유단에 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판과 하판의 자유단 사이를 막아주며, 절곡부에 고정홈을 갖는 측판;을 구비하고, 쐐기가, 측판의 상단 절곡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측판을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일체로 갖는 훅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이프 난간대를 브라켓의 정면에서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난간지주와 파이프 난간대의 결합에 따른 쐐기 등의 부속물이 난간의 내측으로 돌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이동이나 작업 행위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고, 자칫 발생하기 쉬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설 난간지주{Temporary type guardrail post}
본 발명은 각종 건축구조물의 건축시에 임시 가설물의 작업용 발판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설 난간의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난간대를 매우 용이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으면서 고정된 상태로부터 작업자의 이동이나 작업에 거슬림이 없이 안정적인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가설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장재 시공시 또는 선박 등의 건조시에는 옥외 및 옥내에 비계와 같은 임시 가설물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 공간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설물에는 작업자나 건축 자재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가설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선 등록실용신안 제20-0284897호는 선박의 건조시에 널리 사용되는 가설 난간지주의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파이프형태의 난간기둥의 상부 외측과 중앙부 외측에 단부가 둥글게 라운딩된 걸이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난간기둥의 하부에는 가설 난간을 설치할 고정단부에 나사식으로 고정시킬 클램핑수단이 설치된 것으로서, 난간기둥의 상부와 중앙부 양측에 난간줄걸이구가 설치되고, 난간기둥의 상부와 중앙부 전방에는 상하 수평부에 수직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쐐기구멍을 형성한 'ㄷ'자형 브라켓트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고, 난간기둥의 하단에는 클램핑 수단으로서 클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 등록고안은 상기 브라켓트에 파이프 등의 난간대를 끼우고 쐐기구멍을 통해 쐐기를 삽입함으로써 난간대가 난간기둥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은 쐐기가 파이프 난간대의 내측 즉, 난간기둥의 내측으로 난간대가 위치하고 그 내측으로 쐐기가 위치하는 형태로서, 난간기둥에 대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하거나 이동하게 되는 공간 측으로 쐐기가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난간지주의 내측으로 돌출된 시설물들은 작업자의 이동이나 작업에 많은 제약을 주게 되는 것으로서, 이동 중이나 작업 중에 사소한 돌출물이라도 옷에 걸리게 되면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고,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인 위험요소로 지적되는 사항인 것이다.
특히, 쐐기라는 부품은 금속이면서도 외면에 대한 가공 처리가 안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접촉 시에는 쉽게 옷이 찢어질 수 있고, 상처를 줄 수 있으며, 다른 이동중인 자재들에도 손상을 주기 쉬운 것이어서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물품인 것이다.
또한, 쐐기가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작업 공간 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나 또는 다른 이동중인 자재와의 접촉으로 인해 자칫 쐐기가 쐐기 구멍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난간 자체의 기능 상실로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근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은 형태의 가설 난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도 1에서의 가설 난간(G)은, 난간지주(1)의 하단에 클램프(2)가 설치되어 가설 발판(B)에 난간지주(1)를 설치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난간지주(1)의 상단과 중간 부분에는 양 측으로 결합돌부(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난간대(5)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부(3)에 결합되는 결합요부(6)가 형성되어 결합돌부(3)와 결합요부(6)가 결합된 상태에서 쐐기(7)에 의해 고정토록 되어 있다.
따라서, 쐐기(7)는 가설 난간지주(1)의 내측으로 돌출됨이 없이 난간지주(1)의 측면에 위치됨으로써 난간의 내측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나 다른 자재와의 저촉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도 1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즉, 난간지주(1)의 측면으로 파이프 난간대(5)가 연결되므로, 난간지주(1)와 난간지주(1)의 사이 거리가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파이프 난간대(5)의 연결 조립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거리가 정확하지 않으면 파이프 난간대(5)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 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난간지주(1)의 설치 간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파이프 난간대(5)의 설치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양단에 결합요부(6)를 각각 갖는 특정 구조의 파이프 난간대(5)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파이프를 이용한 난간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전체적인 설치비용의 증가 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정확한 설치 간격이 어려운 관계로 난간지주(1)와 파이프 난간대(5)의 결합돌부(3)와 결합요부(6)는 유격이 많은 상태로 결합되며 이는 곧 전체적인 난간 구조물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게 되어 안전 사고의 우려가 상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술을 도시하였다.
이 기술은 "ㄷ"자형 브라켓(112)의 상판(113)과 하판(114) 선단부에 호형의 요부(117)가 형성되어 난간지주(110)를 감싸도록 용접으로 고정되고, 각 요부(117)의 주위에서 상판(113)과 하판(114)에 서로 대응되는 쐐기홈(121)(122)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쐐기홈(121)(122)에 쐐기(120)가 각각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112)의 상,하판(113)(114)을 연결하는 연결부(115)와 쐐기홈(121)(122)과의 간격은 브라켓(112)에 끼워지는 파이프 난간대(1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견고한 고정을 보장하며, 쐐기홈(121)(122)은 난간지주(110)의 측방으로 배치되어 쐐기(120)의 결합 시 쐐기(120)가 난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되어 있다.
나머지 부호 111은 난간지주(110)를 발판(200)에 고정시키는 클램프이고, 200은 발판이다.
이에 따라 브라켓(112)은 난간지주(1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외부로의 돌출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브라켓(112)에 파이프 난간대(130)가 끼워지는 형태로서 일반적인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고, 쐐기(120)는 난간지주(110) 측으로 설치되어 파이프 난간대(130) 보다 외측에 위치됨으로써 쐐기(120)의 돌출로 인한 작업 환경의 위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도 난간지주(1)의 측방에서 파이프 난간대(130)를 브라켓(112)에 끼워 넣어야 되기 때문에 파이프 난간대(130)의 연결작업의 번잡한 문제는 피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제반문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설 난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난간지주와 파이프 난간대를 고정시키는 쐐기가 가설 난간의 내측으로 돌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파이프 난간대의 형태에도 구애받지 않고 최소의 비용으로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설 난간지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설 난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난간지주들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견고한 가설 난간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 난간대를 난간지주의 정면에서 매우 용이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가설 난간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1 실시예는,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브라켓이, 난간지주의 외주에 일단이 접합되며, 쐐기홈을 갖는 상판; 이 상판과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난간지주의 외주에 일단이 접합되고, 상판의 쐐기홈에 대응되게 쐐기홈을 가지며, 상판보다 길게 형성되는 하판; 이 하판의 자유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상판의 자유단에 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판과 하판의 자유단 사이를 막아주며, 절곡부에 고정홈을 갖는 측판;을 구비하고,
쐐기가, 측판의 상단 절곡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측판을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일체로 갖는 훅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판은 수평에 대해서 자유단이 일정각도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난간지주에 접합됨으로써 정면에서 파이프 난간대를 브라켓에 끼워넣을 때 파이프 난간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쐐기홈이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난간지주의 양 측방에서 파이프 난간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쐐기의 설치 시 쐐기가 난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2 실시예는,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브라켓이, 호형으로 형성되어 난간지주의 외주에 접합되는 측판; 이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수평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선단부에 쐐기홈을 대응되게 갖는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쐐기홈이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3 실시예는,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브라켓이 상하로 이격되어 난간지주의 외주에 나란하게 접합되며, 난간지주의 인접부위에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하게 대응하는 쐐기홈을 각각 갖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쐐기가 상판과 측판의 자유단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커버판을 일체로 갖는 채널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가설 난간지주에 의하면, 가설 난간을 형성함에 있어서 파이프 난간대를 브라켓의 정면에서 끼워 넣고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가설 난간의 설치작업이 종래에 비해 대단히 간편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 쐐기가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난간지주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난간지주와 파이프 난간대의 결합에 따른 쐐기 등의 부속물이 난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이나 작업 행위에 대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자칫 발생하기 쉬운 안전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난간지주에 횡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난간대를 특정구조가 아닌 일반적인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어 가설 난간의 설치 비용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가설 난간의 신뢰성과 안전성 및 설치작업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설 난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가설 난간지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래 가설 난간지주에 파이프 난간대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종래 가설 난간지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에 파이프 난간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 일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 일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ⅩⅠ을 따라 취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구체적인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난간지주(10)의 제 1 실시예는, 하단에 가설 발판(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클램프(11)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 부분과 중간 부분에는 브라켓(12)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12)은 난간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간격을 이격 배치되는 상판(13) 및 하판(14)과, 이들 상판(13)과 하판(14) 사이의 한쪽 공간을 막아주는 측판(1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 및 측판(15)은 서로 분리된 구성을 가지며, 측판(15)이 하판(14)의 선단에 힌지(16)로 연결되어 브라켓(12) 내부를 정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난간대(30)의 고정을 위해서는 측판(15)의 자유단을 상판(13)에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는 바, 상판(13)은 하판(14)에 비해 길이가 짧게 구성되고, 측판(15)의 상측 자유단에는 상판(13)의 자유단에 접하는 절곡부(17)가 형성되어 후술한 쐐기(20)의 고정편(21)이 끼워지는 고정홈(17a)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상판(13)의 자유단에는 측판(15)의 절곡부(17) 선단이 안정되게 얹혀질 수 있도록 걸림턱(18)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난간대(30)는 브라켓(12)의 측판(15)과 쐐기(20) 사이에서 압착 고정되는 바, 측판(15)의 내측면과 쐐기홈(13b)(14b) 사이의 간격은 파이프 난간대(30)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판(15)에는 그 강도를 보강하고 파이프 난간대(30)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비드(19)가 세로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은 일단에 요부(13a)(14a)를 형성하여 난간지주(10)에 접합되는데, 이 요부(13a)(14a)는 바람직하기로 난간지주(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난간지주(10)가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요부(13a)(14a)가 그에 밀착될 수 있는 원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난간지주가 사각이나 'ㄷ'자형 등 기타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는 내주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난간지주(10)의 외면에 브라켓(12) 상판(13) 및 하판(14)의 요부(13a)(14a)가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이 난간지주(10)에 접합 고정되며, 이렇게 브라켓(12)은 난간지주(10)의 상단이나 중간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2)의 하판(14)은 그 정면에서 끼워 넣어지는 파이프 난간대(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에 대해 자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가설 난간지주(10)는 브라켓(12)의 측판(15)이 하판(14)에 힌지(16)로 연결되어 그 정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파이프 난간대(30)를 하판(14) 위에 거치시킨 후 측판(15)을 닫아주는 구성인 바, 하판(14)이 수평상태로 접합될 경우 파이프 난간대(30)의 이탈 우려가 높기 때문에 하판(14)의 자유단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난간지주(10)에 설치된 브라켓(12)은 난간지주(10)의 외주와 측판(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파이프 난간대(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파이프 난간대(30)를 고정시키기 위해 쐐기(20)가 사용되는데, 이 쐐기(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홈(13b)(14b)이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쐐기홈(13b)(14b)은 난간지주(10)의 인접부위, 즉 상판(13)과 하판(14)의 요부(13a)(14a) 근처에 파이프 난간대(3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후술한 쐐기(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판(13)의 쐐기홈(13b)에 비하여 하판(14)의 쐐기홈(14b)이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쐐기(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판형의 쐐기(20)가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쐐기(20)는 상단에 브라켓(12) 측판(15)의 절곡부(17)에 형성된 고정홈(17a)에 수직으로 끼워져서 측판(15)을 상판(13)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21)이 수평연결부(22)를 통해 일체로 연장 형성된 대략 훅(hook)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쐐기(20)는 파이프 난간대(3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넓은 면이 파이프 난간대(30)에 접촉하게 되는 바, 바람직하기로는 그 강도를 보강하고 파이프 난간대(30)를 보다 견고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비드(bead:23)가 세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비드(23)의 상하측에는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에 걸려 쐐기(2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돌기(24)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설 난간지주(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설치되는데, 먼저 난간지주(10)의 하측에 설치된 클램프(11)를 이용하여 가설 발판(40)에 난간지주(10)를 고정하고, 난간지주(10)의 상단 부분과 중간 부분에 설치된 브라켓(12)의 정면에서 파이프 난간대(30)를 측판(15)이 개방된 브라켓(12)의 하판(14) 위에 얹는다.
다음, 측판(15)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의 자유단 사이 열린 공간을 막아준 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20)를 상판(13)과 하판(14)의 쐐기홈(13b)(14b)에 끼워준다.
그러면, 쐐기(2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21)이 측판(15)의 절곡부(17)에 형성된 고정홈(17a)에 끼워짐으로써 측판(15)을 상판(13)에 고정하게 되고, 이어서 계속되는 쐐기(20)의 하강에 의해 파이프 난간대(30)가 측판(15)과 쐐기(20)에 의해 압착 고정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설 난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가설 난간은 쐐기(20)가 난간지주(10) 쪽에 위치하게 되어 가설 발판(40) 쪽으로 즉, 가설 난간의 내측으로 돌출됨이 거의 없어서 작업자나 다른 자재의 이동으로부터 저촉됨이 없게 되므로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브라켓(12)의 측판(15)이 하판(14)의 자유단에 힌지(16)로 연결되어 개폐가능 하기 때문에 파이프 난간대(30)를 브라켓(12)의 정면에서 바로 하판(14) 위에 얹어 쐐기(20)로 고정시킬 수 있어 가설 난간을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지주(10) 제 1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브라켓(12)의 상판(13)과 하판(14)에 형성되는 쐐기홈(13b)(14b)이 난간지주(10)의 양 측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파이프 난간대(30)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쐐기(20)의 두께 부분과 측판(15) 사이에 파이프 난간대(30)를 끼워 고정하는 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상의 쐐기(20)는 파이프 난간대(30)에 접촉하는 부분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며, 2개의 쐐기(20)가 두께 부분으로 파이프 난간대(30)를 압박하게 되므로 보다 견고한 고정상태를 구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가설 난간지주의 제 2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브라켓(52)이 난간지주(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난간지주(10)에 용접되는 측판(55)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상판(53)과 하판(54)이 연장 형성되고, 이들 상판(53)과 하판(54)의 자유단부에 대응하는 쐐기홈(53a)(54a)이 파이프 난간대(30)와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 2 실시예 역시 브라켓(52)의 정면에서 파이프 난간대(30)를 하판(54) 위에 얹은 뒤, 상판(53)과 하판(54)의 쐐기홈(53a)(54a)에 판상의 쐐기(56)를 결합함으로써 측판(55)과 쐐기(56) 사이에 파이프 난간대(30)를 압박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판상의 쐐기(56)에는 바람직하기로 그 강도 보강과 함께 파이프 난간대(30)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안쪽으로 돌출하는 비드(57)가 세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절곡부(58)와 걸림돌기(5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3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브라켓(62)이 난간지주(10)에 상하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일단이 접합되는 상판(63)과 하판(64)으로 구성되고, 이들 상판(63)과 하판(64)의 고정단측, 즉 난간지주(10)에 인접한 위치에 파이프 난간대(30)와 나란한 방향으로 대응하는 쐐기홈(63a)(64a)이 각각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판상의 쐐기(65)의 상단에 이격된 상판(63)과 하판(64) 사이를 막아주는 커버판(66)이 쐐기(65)와 대향하도록 수평연결부(67)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 난간대(30)를 브라켓(62)의 정면에서 하판(64) 위에 얹은 뒤 쐐기(65)의 결합으로 파이프 난간대(30)를 압박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판상의 쐐기(65)와 커버판(66)에는 바람직하기로 그 강도 보강을 위한 비드(68)(69)가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세로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쐐기(65)의 하단부 내측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돌기(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 난간지주의 제 4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브라켓(72)이 난간지주(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난간지주(10)에 용접되는 측판(75)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상판(73)과 하판(74)이 연장 형성되고, 하판(74)의 자유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정높이의 걸림측판(76)이 연장 형성된다.
상판(73)과 하판(74)의 고정단부, 즉 난간지주(10)의 근접부위에 대응하는 쐐기홈(73a)(74a)이 파이프 난간대(30)와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측판(76)의 높이는 파이프 난간대(3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파이프 난간대(30) 지름의 약 2/3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 걸림측판(76)에는 그 강도 보강을 위한 비드(76a)가 세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상의 쐐기(77) 상단에는 상판(73)과 걸림측판(76) 사이의 개구를 막아주는 커버판(78)이 쐐기(77)와 마주보도록 수평연결부(79)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판(78)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파이프 난간대(30)의 일부만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판(73)과 걸림측판(76)의 자유단 사이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판상의 쐐기(77)와 커버판(78)에는 바람직하기로 그 강도 보강을 위한 비드(77a)(78a)가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세로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쐐기(77)의 하단부 내측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돌기(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구성의 제 4 실시예 역시, 브라켓(72)의 정면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파이프 난간대(30)를 브라켓(72)의 정면에서 탑재한 뒤 쐐기(77)를 결합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가설 난간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판(74)의 자유단에 걸림측판(76)이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시 파이프 난간대(3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은 물론 쐐기(77)에 의한 고정 시에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장할 수 있어 매우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난간지주나 브라켓 또는 쐐기 등의 형태는 작업 환경에 따라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쐐기는 하단이 상단보다 그 폭과 두께가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단부에 리브나 돌기 등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쐐기가 끼워지는 쐐기홈 또한 쐐기에 맞추어 그 형태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판의 쐐기홈은 하판의 쐐기홈에 비하여 그 폭이 좁으면서 길이가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0 ; 난간지주 11 ; 클램프
12, 52, 62, 72 ; 브라켓 13, 53, 63, 73 ; 상판
14, 54, 64, 74 ; 하판 15, 55, 75 ; 측판
16 ; 힌지 17 ; 절곡부
18 ; 걸림턱 20, 56, 65, 77 ; 쐐기
21 ; 고정편 30 ; 파이프 난간대
40 ; 가설 발판 76 ; 걸림측판
78 ; 커버판

Claims (7)

  1.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난간지주의 외주에 일단이 접합되며, 쐐기홈을 갖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난간지주의 외주에 일단이 접합되고, 상기 상판의 쐐기홈에 대응되게 쐐기홈을 가지는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의 자유단을 연결하되 일단에 힌지가 설치되어 상단부가 회동 개폐되도록 되고, 상단에는 상기 상판의 자유단에 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이 절곡부에 고정홈을 갖는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쐐기가, 상기 측판의 상단 절곡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측판을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일체로 갖는 훅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판형의 금속으로 되고, 상기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3.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난간지주의 외주에 접합 고정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수평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선단부의 근접 위치에 쐐기홈을 대응되게 갖는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쐐기홈의 길이 방향이 상기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4.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난간지주의 외주에 나란하게 접합되며, 상기 난간지주의 인접부위에 상기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갖도록 쐐기홈을 각각 갖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쐐기가, 상기 상판과 측판의 자유단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커버판을 일체로 갖는 채널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5. 청구항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수평에 대해서 자유단이 일정각도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난간지주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6. 상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파이프 난간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가설 난간을 가설 발판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가설 난간지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난간지주의 외주에 접합 고정되는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수평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난간지주의 인접부위에 대응하는 쐐기홈을 상기 파이프 난간대와 나란하게 각각 갖는 상판 및 하판;
    상기 하판의 자유단에서 상방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걸림측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쐐기가, 상기 상판과 걸림측판의 자유단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커버판을 상단에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7. 제 1 항 내지 4항 및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하단이 상단보다 폭과 두께가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지주.
KR1020110064941A 2011-06-30 2011-06-30 가설 난간지주 KR10136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41A KR101365059B1 (ko) 2011-06-30 2011-06-30 가설 난간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41A KR101365059B1 (ko) 2011-06-30 2011-06-30 가설 난간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30A true KR20130003530A (ko) 2013-01-09
KR101365059B1 KR101365059B1 (ko) 2014-02-19

Family

ID=4783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41A KR101365059B1 (ko) 2011-06-30 2011-06-30 가설 난간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30B1 (ko) * 2013-08-30 2014-04-21 동양건설(주)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EP3543428A3 (de) * 2018-03-20 2019-11-13 Pino Albanese Verfahren zum selbsttätig aktivierbaren sicheren verbinden einer kletterkonsole mit einer verankerungsvorrichtung, system zur befestigung einer kletterkonsole, kletterkonsole um eine verankerungsvorrichtung und ein abschalplattenträger
CN110821140A (zh) * 2019-12-02 2020-02-21 怀化学院 一种爬架用防护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62B1 (ko) * 2017-06-09 2017-11-07 홍진산업 (주) 건축용 안전발판
KR101995334B1 (ko) * 2017-12-27 2019-07-03 삼성중공업(주)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발판 설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870B1 (ko) * 2004-06-30 2006-06-30 주식회사 일호 비계용 클램프
KR200417973Y1 (ko) * 2006-02-23 2006-06-07 최광철 비계용 파이프 결속구
KR200448227Y1 (ko) * 2009-07-28 2010-03-25 김영심 가설 난간용 지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30B1 (ko) * 2013-08-30 2014-04-21 동양건설(주)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EP3543428A3 (de) * 2018-03-20 2019-11-13 Pino Albanese Verfahren zum selbsttätig aktivierbaren sicheren verbinden einer kletterkonsole mit einer verankerungsvorrichtung, system zur befestigung einer kletterkonsole, kletterkonsole um eine verankerungsvorrichtung und ein abschalplattenträger
CN110821140A (zh) * 2019-12-02 2020-02-21 怀化学院 一种爬架用防护网
CN110821140B (zh) * 2019-12-02 2021-05-25 怀化学院 一种爬架用防护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059B1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059B1 (ko) 가설 난간지주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20120006518U (ko)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의 안전 난간대
KR20150116742A (ko) 안전 난간대 장착장치
GB2466768A (en) A clamp having a pivotal hook and locking element
KR101365060B1 (ko) 가설 난간지주
KR101986057B1 (ko) 안전난간대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101324561B1 (ko) 가설난간 지주대
KR101978804B1 (ko) 안전난간대
KR20130011470A (ko) 조립식 안전난간
KR20080002071U (ko) 특수족장설비의 안전용 핸드레일 설치구조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JP2003097055A (ja) 先行手摺枠
KR101715298B1 (ko) 가설 난간의 지지 장치
KR100462355B1 (ko) 난간대 설치용 지지구
JP6581817B2 (ja) 仮設足場用幅木の取付具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1376948B1 (ko) 안전 난간대 지지장치
KR20130042809A (ko) 족장용 안전난간의 난간프레임 고정장치
KR20100005314U (ko) 거푸집 작업대의 난간파이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