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022B1 -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022B1
KR101681022B1 KR1020160049023A KR20160049023A KR101681022B1 KR 101681022 B1 KR101681022 B1 KR 101681022B1 KR 1020160049023 A KR1020160049023 A KR 1020160049023A KR 20160049023 A KR20160049023 A KR 20160049023A KR 101681022 B1 KR101681022 B1 KR 10168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upper side
elastic member
plate
j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순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티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티통상 filed Critical (주)엠에스티통상
Priority to KR102016004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선; 및 상기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선의 상측에 탄성부재와 바닥판의 결합은 직결나사못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DECK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하고, 다수의 바닥판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바닥판 각각이 장선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하고, 충격 흡수가 뛰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데크 구조물은 공원이나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거나 호안 등에 설치되어 주위 경관을 볼 수 있는 산책로를 제공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데크 구조물의 일반적인 형태는 지지기둥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기둥 상층에 구비되는 장선 및 상기 장선위에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데크를 시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데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목재에 기리(볼트 홀)를 내고, 장선위에 목재를 배치한 후, 상기 볼트 홀에 볼트를 넣고 조여 장선과 목재인 데크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목재의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고 이에 목재가 뒤틀리는 등 데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보행자의 보행 또는 물건의 임시 적재 등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목재가 파손되고, 나아가 볼트가 풀려 보행자의 안전에 유해를 끼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공보 제10-1176188호에 데크로드 구조물이 개시되었다.
종래 데크로드 구조물은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금속부재와, 상기 금속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목질부재로 이루어지며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난간부재와; 상기 난간부재와 난간부재 사이를 잇도록 설치되는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부재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바닥 수평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바닥수평보와 바닥수평보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보와, 상기 보강보의 상면에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데크로드 구조물은 보강보(장선)의 상측에 바닥부재(데크)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보와 바닥부재 사이에 우레탄 매트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합성수지재의 상측에 복수의 돌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돌부 사이사이에 바닥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데크로드 구조물은 장선을 따라 긴 형태의 합성수지재를 먼저 설치하고, 상기 돌부 사이사이에 바닥부재가 위치하도록 바닥부재를 설치하는데, 이때, 다수개의 장선 각각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가 일정하게 설치되지 못하면, 바닥부재 또한 일정하게 설치되지 못해 부실공사 또는 재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데크 구조물을 개선하여 볼트 풀림 현상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데크의 수축 및 팽창에 대비할 수 있는 데크 구조물을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76188호(2012.08.1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하고, 다수의 바닥판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바닥판 각각이 장선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하고, 충격 흡수가 뛰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선; 및 상기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선의 상측에 탄성부재와 바닥판의 결합은 직결나사못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수축 및 팽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충격 흡수가 뛰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장선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바닥판의 간격유지가 용이하고, 나아가, 바닥판 각각이 장선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장선의 상측에 탄성부재와 바닥판의 결합은 직결나사못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직결나사못의 상측에 단면이 육각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홈이 형성되어, 육각 렌츠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탄성부재와 바닥판의 고정 및 해체작업시 직결나사의 머리 부분이 망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바닥판 및 탄성부재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탄성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바닥판 및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플레이트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플레이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데크 구조물은 데크로드를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데크로드가 설치되기 위한 장소 등의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등산로 또는 산책로와 같이 지면에 바로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경우, 장선, 바닥판 또는 멍에, 장선, 바닥판의 최소 구성만으로도 데크로드의 구성이 가능하고, 이에 더하여 난간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 교량 형태로 이루어진 데크로드의 경우, 동바리와 콘크리트블록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데크로드의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은 데크로드를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되, 상기 데크 구조물을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를 개선하여 데크 구조물 자체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바닥판과 장선 사이에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하고, 다수의 바닥판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바닥판 각각이 장선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하고, 충격 흡수가 뛰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이 시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데크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100)을 지지하는 장선(200)으로 이루어진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구조에 더불어 장선(200)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장선(200)을 지지하는 멍에(500) 및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상기 멍에(500)와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블록(700) 사이를 고정하는 동바리(60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데크 구조물의 바닥판(1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0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선(200)에 결합되는 난간(800)이 구비되고, 상기 난간(800)을 구성하는 세로재(830)에 가로재(840)가 설치되어 울타리 형태의 난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바닥판 및 탄성부재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탄성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바닥판 및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은 데크로드를 이루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100), 장선(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와 바닥판(100)의 결합은 직결나사못(4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100)은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장선(200)의 상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관통공(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통공(110)은 바닥판(100)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직결나사못(40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측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관통공(110)의 상부는 후술되는 직결나사못(400)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되, 하부의 좁아지는 형태에 의해 머리 부분이 걸림되는 동시에, 상기 머리 부분이 바닥판(100)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바닥판(100)에 발을 디디어 보행하는 경우, 직결나사못(400)이 바닥판(10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직결나사못(400)에 발이 걸리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관통공(110)은 이중보링용날물(도면에 미표시)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중보링용날물은 바닥판(100)에 관통공(110)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drilling)시 상기 관통공(110)을 형성하기 위한 날물로, 한번의 드릴링 과정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두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바닥판(100)은 바닥홈(130)과 측면홈(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닥홈(130)은 후술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판(100)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의 바닥돌기(313)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측면홈(120)은 후술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판(100)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의 측면돌기(321)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바닥홈(130)과 측면홈(120)이 형성된 바닥판(100)의 기능 및 효과는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장선(200)은 바닥판(100)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바닥판(1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장선(200)은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ㅗ'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별 구조로 이루어져, 하나의 바닥판(100)이 다수 개의 장선(200)에 걸쳐져 설치되는 경우, 바닥판(100)과 장선(200)이 접촉되는 부분, 즉 바닥판(10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장선(200)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부재(310), 기둥부재(320) 및 일측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판(100)과 장선(200) 사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소음 및 구조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탄성부재(300)가 다수 개 구비되어 바닥판(100)을 지지함으로써, 다수 개 구비되는 바닥판(100)의 간격유지가 용이하고, 바닥판(100) 각각이 장선(20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부재(310)는 장선(200)의 상측면과 바닥판(100)의 하측면 사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바닥부재(310)의 하측면에는 양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테이프(311)는 일측면은 바닥부재(310)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ㄷ'자 형태의 이형지(312)가 탈거가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이형지(312)의 하측면 일부분은 바닥부재(310)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선(200)의 상측에 이형지(312)가 부착된 상태의 탄성부재(300)를 위치시키고, 바닥부재(310)의 타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파지한 후 탄성부재(300)의 타측으로 당기면, 탄성부재(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ㄷ'자 형태의 이형지(312)가 점착테이프(311)로부터 분리되면서 점착테이프(311)가 점점 노출되는 동시에, 점착테이프(311)의 노출되는 부분이 장선(200)과 접촉되어 상기 장선(200)에 탄성부재(3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바닥부재(310)의 타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바닥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돌기(313)는 바닥판(100)의 하측면에 형성된 바닥홈(130)에 끼워진다.
기둥부재(320)는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바닥판(100) 사이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기둥부재(32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다수의 면에 마찰돌기(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직결나사못(400)을 통해 바닥판(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전 과정에서 임시적으로 바닥판(10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바닥판(100) 일부분이 탄성부재(30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판(100)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기둥부재(320)는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측면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돌기(321)는 바닥판(10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120)에 끼워진다.
한편, 바닥부재(310)의 바닥돌기(313)와 기둥부재(320)의 측면돌기(321)가 바닥판(100)의 바닥홈(130)과 측면홈(120) 각각에 끼워지되, 바닥홈(130)의 크기는 바닥돌기(313)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탄성부재(300) 상측에 바닥판(100)의 하측이 접촉되도록 위치시킨 후, 바닥판(100)을 탄성부재(300)의 기둥부재(320) 측으로 이동시키면, 바닥돌기(313)가 바닥홈(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닥판(100)이 이동되어 측면돌기(321)가 측면홈(120)에 끼워지면서, 바닥판(100)이 바닥부재(310)와 기둥부재(32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다수 개의 바닥판(100)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측돌기(330)는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바닥판(100)이 바닥부재(310)의 상측과 기둥부재(320)의 타측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면, 다른 하나의 바닥판(100)이 일측돌기(330)와 기둥부재(32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다수 개의 바닥판(100)을 연속해서 설치하는 경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310)와 일측돌기(330)가 바닥판(100)의 하측면 양측을 각각 지지하여 바닥판(10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수 개 설치되는 바닥판(100)이 장선(20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일측돌기(330)의 하측면에는 마찰돌기(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를 배치한 후, 바닥판(100) 설치시 장선(200)의 상측에 배치된 탄성부재(300)가 마찰돌기(301)의 마찰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바닥판(100)이 턴성부재(300)의 상측에 정확한 위치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돌기(330)의 하측면에 형성된 마찰돌기(301)의 돌출된 두께(t1)는 바닥부재(310)의 하측면에 결합된 점착테이프(311)의 두께(t2)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최초 장선(200)의 상측면에는 탄성부재(300)의 이형지(312)가 접촉되며, 탄성부재(300)가 쉽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탄성부재(3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일측돌기(330) 측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마찰돌기(301)가 장선(20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동시에 마찰력에 의해 탄성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형지(312)를 제거함으로써, 점착테이프(311)에 의해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가 임시적으로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장선(200)의 상측면에 탄성부재(300) 배치 및 설치시 처음부터 마찰돌기(301)가 장선(200)의 상측면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30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고 하는 경우, 이동이 자유로워 배치가 매우 용이하며, 배치가 완료된 후 장선(200)에 임시적으로 접착시키기 위해 이형지(312) 제거시 마찰돌기(301)가 장선(200)의 상측면과 접촉됨으로써, 탄성부재(300)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설치가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직결나사못(400)은 바닥판(100)의 관통공(110)에 끼워져 탄성부재(300)를 관통하고, 장선(200)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체결홈(410)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홈(410)은 그 단면이 육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육각 형태의 체결홈(410)은 직결나사못(400) 체결시 육각 렌치 등으로 체결이 가능함으로써, 직결나사못(400)을 체결 또는 해체할 경우 깨지거나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직결나사못의 머리 부분의 손상이 없도록 하며, 체결력에 있어서도 큰 체결 토르크(Torque)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전체적으로 체결력을 향상시켜 바닥판(100)과 탄성부재(3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상기 바닥판(100)이 일정하게 배열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탄성부재(300)는 바닥판(100)의 관통공(110)에 대응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직결나사못(400)은 바닥판(100)과 탄성부재(300)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진 후 장선(200)에 체결됨으로써,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와 바닥판(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플레이트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에서 플레이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은 장선(200)의 상측에 결합되어 바닥판(100) 상측으로 노출되는 난간(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800)은 장선(2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810), 상기 장선(200)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부재(811)가 구비된 플레이트(810), 상기 연결부재(811)가 끼워지는 연결홀(821)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8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각관(820). 상기 각관(820)의 겉면을 감싸도록 상기 각관(820)이 삽입되는 중공부(831)가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홀(832)이 형성된 한 쌍의 세로재(830) 및 상기 관통홀(832)에 끼워져 세로재(830)와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가로재(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플레이트(8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부(8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812)는 장선(200)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하측 부분의 일측단과 타측단 각각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측단에 형성된 홈부(812)에는 하나의 탄성부재(300)에 구비된 바닥부재(310) 일부분이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며, 타측단에 형성된 홈부(812)에는 다른 하나의 탄성부재(300)에 구비된 일측돌기(330)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한 쌍의 탄성부재(300) 각각에 구비된 기둥부재(320)가 플레이트(81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위치하여 플레이트(810)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하며, 플레이트(810)가 구비되는 난간(800)과 바닥판(100)이 편심되어 서로 어긋나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선(200)과 일정한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의 바닥판(100)이 어긋나지 않고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선(200)의 상측에 난간(800)이 먼저 설치되고, 상기 난간(800)을 시작점으로 하여 다수 개의 바닥판(100)을 설치해 나가는 경우, 한 쌍의 플레이트(810)에 형성된 홈부(812) 각각에 끼워지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바닥판(100)이 어긋나 설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은 바닥판(100)과 장선(200) 사이에 상기 바닥판(10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100)의 수축 및 팽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충격 흡수가 뛰어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선(200)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바닥판(100)의 간격유지가 용이하고, 나아가, 바닥판(100) 각각이 장선(20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와 바닥판(100)의 결합은 직결나사못(400)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직결나사못(400)의 상측에 단면이 육각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홈(410)이 형성되어, 육각 렌츠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탄성부재(300)와 바닥판(100)의 고정 및 해체작업시 직결나사못(400)의 머리 부분이 망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장선 설치단계(S10), 탄성부재 배치 및 설치단계(S20) 및 바닥판 설치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선 설치단계(S10)는 바닥판(1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선(200)을 설치하는 단계로, 데크로드의 구성이 바닥판(100)과 장선(200)으로 이루어진 경우, 지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멍에(5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데크로드가 교량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동바리(6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때, 장선(200)은 바닥판(100)과 격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 배치 및 설치단계(S20)는 바닥판(100)과 장선(20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00)를 바닥판(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 즉 바닥판(10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장선(200) 상측에 배치하고 설치하는 단계로, 탄성부재 배치단계(S21), 가압단계(S22) 및 이형지 탈거단계(S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부재 배치단계(S21)는 하측면에 점착테이프(311)가 구비되고, 상기 점착테이프(311)의 하측면에 탈거가 가능하게 부착된 'ㄷ'자 형태의 이형지(312)가 구비된 바닥부재(310),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다수의 면에 마찰돌기(301)가 형성된 기둥부재(320) 및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측면에 마찰돌기(301)가 형성된 일측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부재(300)를 장선(200)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탄성부재(300)의 일측돌기(330)의 하측면에 형성된 마찰돌기(301)의 돌출된 두께(t1)는 바닥부재(310)의 하측면에 결합된 점착테이프(311)의 두께(t2)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장선(200)의 상측면에는 탄성부재(300)의 일측돌기(330)에 구비된 이형지(312)가 접촉된 상태가 된다.
가압단계(S22)는 장선(200)의 상측면에 배치된 탄성부재(300)를 가압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탄성부재(300)의 바닥부재(310)와 기둥부재(320)가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장선(200)의 상측면에 배치된 탄성부재(300)의 일측돌기(330)에 형성된 마찰돌기(301)가 장선(200)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마찰력에 의해 탄성부재(300)를 임시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하기 위함이다.
이형지 탈거단계(S23)는 장선(200)의 상측면에 배치된 탄성부재(300)를 가압한 상태에서 바닥부재(310)의 타측으로 돌출된 이형지(312)의 일부분을 당겨 상기 이형지(312)가 점착테이프(3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장선(200)의 상측면에 탄성부재(300)가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탄성부재 배치단계(S21), 가압단계(S22) 및 이형지 탈거단계(S23)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배치 및 설치단계(S20)를 통해 장선(200)과 탄성부재(300)를 상호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3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며, 탄성부재(3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닥판(100) 또한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해진다.
바닥판 설치단계(S3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 개의 탄성부재(300) 상측에 바닥판(100)을 설치하는 단계로, 장선(200)과 격자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판 설치단계(S30)는 점착테이프(311)에 의해 장선(200)의 상측면에 임시적으로 접착된 탄성부재(300)의 상측면에 바닥판(100)을 배치하고, 바닥판(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에 직결나사못(400)을 인입시키고 드릴링하여 상기 직결나사못(400)이 장선(200)에 체결됨으로써, 바닥판(100), 장선(200) 및 탄성부재(3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하, 데크 구조물에 난간(800)이 더 구비된 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설계조건에 따라, 난간 설치단계(S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난간 설치단계(S40)는 장선(200)의 상측에 울타리 형태의 난간(800)을 설치하는 단계로, 플레이트 설치단계(S41), 각관 설치단계(S42), 및 세로재 및 가로재 설치단계(S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난간 설치단계(S40)는 난간(800)에 구비되는 플레이트(810)가 장선(200)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로, 장선 설치단계(S10) 이후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탄성부재 배치 및 설치단계(S20) 이후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레이트 설치단계(S41)는 장선(2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플레이트(810)를 견고하게 설치하는 단계로,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선(200)의 상측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플레이트(810)를 위치시키고, 플레이트(810)의 측면 일부분에 형성된 체결공(도면부호 미표시)과 장선(200)을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플레이트(81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810)의 하측면에 형성된 홈부(812)에 하나의 탄성부재(300)에 구성된 바닥부재(310)의 일부분과 다른 하나의 탄성부재(300)에 구성된 일측돌기(330)의 일부분이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810)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0)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장선(200)과 플레이트(81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장선(200)과 플레이트(810)를 용접하는 경우, 탄성부재(300)가 먼저 설치되면, 용접시 발생된 열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장선(200)과 플레이트(810)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탄성부재(300)가 나중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각관 설치단계(S42)는 플레이트(8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부재(811)가 각관(820)의 연결홀(821)에 끼워져 각관(820)이 플레이트(810)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각관(820)의 결합은 플레이트(810)와 각관(820)을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용접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로재 및 가로재 설치단계(S43)는 그 내부에 각관(820)이 삽입되는 중공부(831)가 형성된 세로재(830)를 설치하고, 한 쌍의 세로재(830)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 중공부(831)에 가로재(840)의 양 끝단 각각을 인입시켜 가로재(840)를 설치함으로써, 울타리 형태의 난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세로재(8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축으로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각관(820)의 양쪽을 감싸도록 구비된 후, 절개된 면을 접촉시켜 세로재(830)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로재(830)의 중공부(831)에 가로재(840)의 끝단 일부분이 인입되면, 볼트결합을 통해 세로재(830)와 가로재(84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바닥판(100)과 장선(200) 사이에 탄성부재(300)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300)의 설치가 용이하여, 장선(200)의 상측면에 바닥판(100)과 탄성부재(30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바닥판(100)이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설치되어 심미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바닥판 110 : 관통공
120 : 측면홈 130 : 바닥홈
200 : 장선 300 : 탄성부재
301 : 마찰돌기 310 : 바닥부재
311 : 점착테이프 312 : 이형지
313 : 바닥돌기 320 : 기둥부재
321 : 측면돌기 330 : 일측돌기
400 : 직결나사못 410 : 체결홈
500 : 멍에 600 : 동바리
700 : 콘크리트블록 800 : 난간
810 : 플레이트 811 : 연결부재
812 : 홈부 820 : 각관
821 : 연결홀 830 : 세로재
831 : 중공부 832 : 관통홀
840 : 가로재

Claims (12)

  1.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의 하측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장선(200); 및
    상기 바닥판(100)과 장선(200)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와 바닥판(100)의 결합은 직결나사못(4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300)는
    장선(200)의 상측면과 바닥판(100)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바닥부재(310);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바닥판(100)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기둥부재(320); 및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일측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닥부재(310)는
    하측면에 점착테이프(311)가 구비되고, 상기 점착테이프(311)의 하측면에 탈거가 가능하게 부착된 'ㄷ'자 형태의 이형지(31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재(320)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다수의 면에 마찰돌기(301)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돌기(330)는
    하측면에 마찰돌기(301)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301)의 돌출된 두께(t1)는 점착테이프(311)의 두께(t2)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직결나사못(400)은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체결홈(410)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홈(410)은 그 단면이 육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선(200)의 상측에 결합되어 바닥판(100) 상측으로 노출되는 난간(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난간(800)은
    상기 장선(200)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부재(811)가 구비되고, 상기 장선(200)의 양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810);
    상기 연결부재(811)가 끼워지는 연결홀(821)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8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각관(820);
    상기 각관(820)의 겉면을 감싸도록 상기 각관(820)이 삽입되는 중공부(831)가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홀(832)이 형성된 한 쌍의 세로재(830); 및
    상기 관통홀(832)에 끼워져 세로재(830)와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가로재(8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810)는
    상기 장선(200)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의 일측단과 타측단 각각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부(8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은
    상측면과 하측면을 연통하는 관통공(110)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0)은 상측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110)으로 삽입되는 직결나사못(400)의 머리 부분이 바닥판(100)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바닥홈(130); 및
    측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측면홈(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10)는
    타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바닥돌기(313)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320)는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측면돌기(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장선(200)을 지면 또는 멍에(500)의 상측에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S10);
    상기 장선(200)의 상측면에 다수 개의 탄성부재(300)를 배치하고 설치하는 탄성부재 배치 및 설치단계(S20);
    상기 탄성부재(300)의 상측에 상기 장선(200)과 격자 형태가 되도록 바닥판(100)을 설치하는 바닥판 설치단계(S30); 및
    상기 장선(200)의 상측에 난간(800)을 설치하는 난간 설치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 배치 및 설치단계(S20)는
    하측면에 점착테이프(311)가 구비되고, 상기 점착테이프(311)의 하측면에 탈거가 가능하게 부착된 'ㄷ'자 형태의 이형지(312)가 구비된 바닥부재(310),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다수의 면에 마찰돌기(301)가 형성된 기둥부재(320) 및 상기 바닥부재(310)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측면에 마찰돌기(310)가 형성된 일측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부재(300)를 장선(200)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탄성부재 배치단계(S21);
    상기 탄성부재(300)의 바닥부재(310)와 기둥부재(320)가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일측돌기(33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돌출된 두께(t1)가 상기 점착테이프(311)의 두께(t2)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마찰돌기(301)가 장선(20)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가압단계(S22); 및
    상기 장선(200)의 상측면에 배치된 탄성부재(300)를 가압한 상태에서 바닥부재(310)의 타측으로 이형지(312)를 당겨 상기 이형지(312)가 점착테이프(3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장선(200)의 상측면에 상기 점착테이프(311)가 접촉되도록 하는 이형지 탈거단계(S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난간 설치단계(S40)는
    상기 장선(200)의 상측에 상기 장선(200)의 양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810)를 설치하는 플레이트 설치단계(S41);
    상기 플레이트(8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부재(811)가 각관(820)의 연결홀(821)에 끼워지도록 끼움결합하는 각관 설치단계(S42); 및
    내부에 각관(820)이 삽입되는 중공부(831)가 형성된 세로재(830)를 설치하고, 한 쌍의 세로재(830)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 중공부(831)에 가로재(840)의 양 끝단 각각을 인입시켜 가로재(840)를 설치하는 세로재 및 가로재 설치단계(S4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플레이트 설치단계(S41)는
    상기 장선(200)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의 일측단과 타측단 각각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부(812)가 형성된 플레이트(810)를 장선(200)의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810)의 양측에 형성된 홈부(812) 각각에 하나의 탄성부재(300)의 바닥부재(310)와 다른 하나의 탄성부재(300)의 일측돌기(330)가 각각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장선(200)의 상측에 탄성부재(300)와 바닥판(100)의 결합은 직결나사못(4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직결나사못(400)은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단면이 육각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홈(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
  12. 삭제
KR1020160049023A 2016-04-22 2016-04-22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8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23A KR101681022B1 (ko) 2016-04-22 2016-04-22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23A KR101681022B1 (ko) 2016-04-22 2016-04-22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022B1 true KR101681022B1 (ko) 2016-12-12

Family

ID=5757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023A KR101681022B1 (ko) 2016-04-22 2016-04-22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02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72B1 (ko) * 2017-12-21 2018-05-15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할렬방지부를 구비한 목재난간
KR101925284B1 (ko) * 2018-05-18 2018-12-05 손종훈 목재 데크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7077B1 (ko) * 2018-08-29 2019-02-12 (주)티엔팀버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954377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로드
KR101954362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101965179B1 (ko) * 2018-01-31 2019-04-03 이우현 개선된 기능의 목재 데크
KR102236905B1 (ko) * 2020-02-26 2021-04-06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 점검로의 풀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KR202100705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444431B1 (ko) * 2022-04-01 2022-09-19 (주)아진토건 리벳너트로 조립된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72774A (ko) * 2021-11-18 2023-05-25 정혜선 데크 시스템의 체결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596A (ja) * 1989-08-30 1991-04-10 Anritsu Corp フォントメモリ装置
JPH03131123A (ja) * 1989-10-17 1991-06-04 Sanyo Electric Co Ltd Ad変換回路
JP2003027729A (ja) * 2001-05-08 2003-01-29 Konishi Co Ltd 化粧板の貼着工法
KR101176188B1 (ko) 2012-03-19 2012-08-22 (주)제이엠친환경건설 데크로드 구조물
KR101450716B1 (ko) * 2014-06-12 2014-10-1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596A (ja) * 1989-08-30 1991-04-10 Anritsu Corp フォントメモリ装置
JPH03131123A (ja) * 1989-10-17 1991-06-04 Sanyo Electric Co Ltd Ad変換回路
JP2003027729A (ja) * 2001-05-08 2003-01-29 Konishi Co Ltd 化粧板の貼着工法
KR101176188B1 (ko) 2012-03-19 2012-08-22 (주)제이엠친환경건설 데크로드 구조물
KR101450716B1 (ko) * 2014-06-12 2014-10-1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072B1 (ko) * 2017-12-21 2018-05-15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할렬방지부를 구비한 목재난간
KR101965179B1 (ko) * 2018-01-31 2019-04-03 이우현 개선된 기능의 목재 데크
KR101925284B1 (ko) * 2018-05-18 2018-12-05 손종훈 목재 데크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7077B1 (ko) * 2018-08-29 2019-02-12 (주)티엔팀버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954377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로드
KR101954362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202100705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266307B1 (ko) * 2019-12-05 2021-06-17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236905B1 (ko) * 2020-02-26 2021-04-06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 점검로의 풀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KR20230072774A (ko) * 2021-11-18 2023-05-25 정혜선 데크 시스템의 체결조립체
KR102610792B1 (ko) * 2021-11-18 2023-12-05 정혜선 데크 시스템의 체결조립체
KR102444431B1 (ko) * 2022-04-01 2022-09-19 (주)아진토건 리벳너트로 조립된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022B1 (ko)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JP4567432B2 (ja) 法面の作業床構築システムと作業床構築装置及び作業床パネル
KR101751184B1 (ko) 레일 데크
JP644183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1609759B1 (ko) 탈형 데크
KR101237330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20150088123A (ko)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673070B1 (ko) 연속화 강관 소켓 정착장치를 통한 경사지 확장보도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298581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101712430B1 (ko)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JP5004918B2 (ja) 化粧用プレート部材兼用型枠構造
JP6517121B2 (ja) 埋設型枠
KR101914243B1 (ko) 신축이음장치
JP2007198096A (ja) 屋外床
KR20180135656A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200303503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築物に於ける外壁形成方法及び使用金具
KR101803177B1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1387035B1 (ko) 플랜지형 파형강판
KR101674576B1 (ko)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715787B1 (ko) 유지 관리가 용이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