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576B1 -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 Google Patents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576B1
KR101674576B1 KR1020160066943A KR20160066943A KR101674576B1 KR 101674576 B1 KR101674576 B1 KR 101674576B1 KR 1020160066943 A KR1020160066943 A KR 1020160066943A KR 20160066943 A KR20160066943 A KR 20160066943A KR 101674576 B1 KR101674576 B1 KR 101674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mposite
pile
web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신
Original Assignee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합성 구간을 최대한으로 하여 H 파일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합성 H 파일 상단에 결합된 캡 부재에 파일 드라이버를 고정하여 지반에 용이하게 근입할 수 있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H 파일; 상기 H 파일 하부의 웨브 양측에 외측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에 결합되는 두부 강판; 상기 H 파일 상단에서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웨브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에 결합되는 마감 강판; 상기 두부 강판과 마감 강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콘크리트 보강체; 및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에 의한 합성 구간에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H 파일의 플랜지 및 웨브에 결합되는 쉬어스터드; 로 구성되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합성 H 파일의 상단에 캡 부재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캡 부재에 파일 드라이버의 척을 고정하고, 파일 드라이버가 장착된 장비를 이용하여 합성 H 파일을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반에 근입하는 단계; 및 (c) 이웃하는 합성 H 파일의 사이 및 전방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합성 H 파일의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wall using composite H pil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합성 구간을 최대한으로 하여 H 파일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합성 H 파일 상단에 결합된 캡 부재에 파일 드라이버를 고정하여 지반에 용이하게 근입할 수 있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대한 것이다.
흙막이 공법은 각종 건축·토목 구조물 시공시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에 대응하기 위하여 흙막이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으로, 지지구조, 형식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흙막이 공법의 하나로 H 파일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는 방법이 있는데, 상기와 같은 H 파일은 주로 일측으로 토압을 받는 캔틸레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H 파일은 휨 강성이 충분한 경우에도 압축 측 플랜지가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국부 좌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H 파일의 강성이 부족한 경우, 경타나 항타에 의해 H 파일을 지반 근입시 H 파일에 변형이 발생하여 파일을 재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은 H 파일의 강성을 강화시킨 "개착가시설을 위한 브이자형 강판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 합성형 에이치 파일"에 대한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특허 제10-1520771호).
한편, 흙막이 공법에 이용되는 H 파일은 파일 드라이버의 척(chuck)에 H 파일의 웨브 상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반에 근입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과 같이 H 파일의 플랜지 사이에 콘크리트를 합성한 철근콘크리트 합성형 H 파일은 척에 물릴 수 있는 웨브의 길이에 한계가 있어 시공성이 떨어진다. 특히, H 파일의 상단에 구비되는 마감 강판 상부에 보강용 리브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척에 물릴 수 있는 웨브의 길이가 보다 짧아지므로, H 파일을 척에 고정하기가 더욱 곤란해진다.
이에 따라 파일 드라이버의 척에 물릴 수 있는 웨브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H 파일에서 콘크리트 합성 구간을 줄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경타나 항타 근입시 콘크리트 비합성 구간에서 타격력 전달이 어려워 국부 좌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합성 구간을 최대한으로 하여 H 파일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H 파일을 파일 드라이버에 충분히 고정하여 지반에 용이하게 근입할 수 있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H 파일; 상기 H 파일 하부의 웨브 양측에 외측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에 결합되는 두부 강판; 상기 H 파일 상단에서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웨브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에 결합되는 마감 강판; 상기 두부 강판과 마감 강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콘크리트 보강체; 및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에 의한 합성 구간에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H 파일의 플랜지 및 웨브에 결합되는 쉬어스터드; 로 구성되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합성 H 파일의 상단에 캡 부재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캡 부재에 파일 드라이버의 척을 고정하고, 파일 드라이버가 장착된 장비를 이용하여 합성 H 파일을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반에 근입하는 단계; 및 (c) 이웃하는 합성 H 파일의 사이 및 전방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합성 H 파일의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캡 부재는 H 파일의 상단에 밀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H 파일의 웨브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감 강판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결합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파일 드라이버의 척에 물려 고정되는 것으로 H 형강인 고정부, 상기 결합판의 하단 양측에 마감 강판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마감 강판과 밀착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가압판 및 상기 결합판과 가압판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합성 H 파일은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에 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H 파일 상단에 결합되는 캡 부재에 파일 드라이버의 척을 고정하여 합성 H 파일을 지반에 쉽게 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에 의한 콘크리트 합성 구간을 최대한으로 유지하여 H 파일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압축 측 플랜지의 국부좌굴 방지, 파일의 재사용률 증가, 이웃하는 파일과의 간격 증가 등으로 인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합성 H 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합성 H 파일의 종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합성 H 파일의 횡방향 단면도.
도 4는 캡 부재가 결합된 합성 H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캡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캡 부재와 척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캡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캡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합성 H 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합성 H 파일의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합성 H 파일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은 H 파일(21); 상기 H 파일(21) 하부의 웨브(212) 양측에 외측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211)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212)에 결합되는 두부 강판(22); 상기 H 파일(21) 상단에서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웨브(212)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211)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212)에 결합되는 마감 강판(23); 상기 두부 강판(22)과 마감 강판(23)의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 및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 의한 합성 구간에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H 파일(21)의 플랜지(211) 및 웨브(212)에 결합되는 쉬어스터드; 로 구성되는 합성 H 파일(2)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 H 파일(2)은 H 파일(21), 두부 강판(22), 마감 강판(23) 및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H 파일(21)은 단면이 H 형상으로 상하 플랜지(211)와 웨브(212)로 구성되며, 두부 강판(22)과 마감 강판(23) 사이에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가 일체로 합성된다.
상기 두부 강판(22)은 H 파일(21) 하부의 웨브(212) 양측에 외측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211)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212)에 결합된다.
합성 H 파일(2)의 지반(1) 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두부 강판(22)은 V 형태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이웃하는 합성 H 파일(2)의 플랜지(211) 사이에 토류판(4)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두부 강판(22)은 H 파일(21)의 플랜지(21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다.
즉, 두부 강판(22)은 플랜지(21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소정 거리만큼 플랜지(211)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마감 강판(23)은 H 파일(21) 상부의 웨브(212)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211)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212)에 결합된다.
상기 마감 강판(23) 또한 H 파일(21)의 플랜지(211) 사이에 토류판(4)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H 파일(21)의 플랜지(21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다.
상기 합성 H 파일(2)의 지반(1) 근입시 또는 근입 후에는 파일의 선단지지력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 상향의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 강판(23) 상부에 보강 리브(231)를 설치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31)는 이웃하는 양 측면을 각각 마감 강판(23) 상부와 합성 H 파일(2)의 웨브(212)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 리브(231)를 설치하기 위해 마감 강판(23)은 H 파일(21) 상단에서 일정 간격 하부에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는 두부 강판(22)과 마감 강판(23)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 부분에 철근(241)을 배근하고 콘크리트(242)를 타설 및 양생하여 H 파일(21)과 콘크리트를 일체로 합성한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 의하여 H 파일(21)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H 파일(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의 훼손을 방지하여 파일의 재사용률을 높이고, 합성 H 파일(2)의 배치 간격을 늘여 파일 개수 및 이에 따른 시공량을 줄일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 의한 합성 구간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H 파일(21)의 플랜지(211) 및 웨브(212)에 쉬어스터드를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캡 부재가 결합된 합성 H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은 (a) 상기 합성 H 파일(2)의 상단에 캡 부재(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캡 부재(3)에 파일 드라이버의 척(5)을 고정하고, 파일 드라이버가 장착된 장비를 이용하여 합성 H 파일(2)을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반(1)에 근입하는 단계; 및 (c) 이웃하는 합성 H 파일(2)의 사이 및 전방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합성 H 파일(2)의 사이에 토류판(4)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단계에서는 합성 H 파일(2)의 상단에 캡 부재(3)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캡 부재(3)와 파일 드라이버의 척(5)을 결합하여 합성 H 파일(2)을 지반(1)에 쉽게 근입할 수 있다.
따라서 H 파일(21)의 웨브(212)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캡 부재(3)와 척(5)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 의한 합성 구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H 파일(21)을 파일 드라이버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3)는 합성 H 파일(2)을 지반(1)에 근입하는 (b) 단계 이후에 해체 가능하다.
다음으로, (b) 상기 캡 부재(3)에 파일 드라이버의 척(5)을 고정하고, 파일 드라이버가 장착된 장비를 이용하여 합성 H 파일(2)을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반(1)에 근입한다.
전술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와의 합성에 의하여 파일 강성이 증가하므로, 이웃하는 합성 H 파일(2)의 간격을 보다 이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합성 H 파일(2)은 지반(1)에 천공된 천공홀에 근입할 수 있다.
합성 H 파일(2)을 직타에 의해 지반(1) 내에 근입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민원 발생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오거에 의해 지반(1)에 미리 천공홀을 천공하고, 천공홀 내에 합성 H 파일(2)을 근입한 다음, 합성 H 파일(2)의 상단을 경타하여 합성 H 파일(2)을 지반(1)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천공홀 형성시 천공홀 하부에 슬라임이 발생한다. 이때, 합성 H 파일(2) 하부에 구비된 두부 강판(22)이 V자형으로 구성되므로, 슬라임이 두부 강판(22)을 타고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천공홀 저면의 지지 지반(1)까지 합성 H 파일(2)을 쉽게 근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 이웃하는 합성 H 파일(2)의 사이 및 전방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합성 H 파일(2)의 사이에 토류판(4)을 설치하여 흙막이벽을 완성할 수 있다(도 5).
도 6은 캡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캡 부재와 척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부재(3)는 H 파일(21)의 상단에 밀착되는 지지판(31), 상기 지지판(31)의 하부에 결합되어 H 파일(21)의 웨브(212)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감 강판(23)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결합판(32), 상기 지지판(31)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파일 드라이버의 척(5)에 물려 고정되는 것으로 H 형강인 고정부(33), 상기 결합판(32)의 하단 양측에 마감 강판(23)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마감 강판(23)과 밀착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가압판(35) 및 상기 결합판(32)과 가압판(35)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 리브(351)로 구성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 부재(3)는 합성 H 파일(2)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파일 드라이버의 척(5)에 캡 부재(3)가 결합되어 합성 H 파일(2)을 지반(1)에 쉽게 근입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3)의 지지판(31)은 H 파일(21)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합성 H 파일(2)을 지반(1)에 근입할 때, 파일 드라이버에 의한 추진력이 캡 부재(3)의 지지판(31)을 통해 H 파일(21)에 전달된다.
반대로 합성 H 파일(2)을 인발할 경우에는 지지판(31)의 인장력에 의해 인발력이 H 파일(21)에 전달된다.
상기 결합판(32)은 웨브(212)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H 파일(21)의 웨브(212)에 착탈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반(1)에 합성 H 파일(2)을 근입한 후에는 결합판(32)과 웨브(212)의 고정을 해제하여 캡 부재(3)를 H 파일(2)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캡 부재(3)의 결합판(32)과 H 파일(21)의 웨브(212)에는 미리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을 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결합판(32)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결합판(32) 사이에 H 파일(21)의 웨브(212)가 위치될 수 있도록 웨브(212)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마감 강판(23) 상부에 보강 리브(231)를 설치하는 경우, 결합판(32)은 보강 리브(2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보강 리브(2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는 지지판(31)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파일 드라이버의 척(5)에 물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파일 드라이버의 척(5)에 합성 H 파일(2)의 상단에 결합된 캡 부재(3)의 고정부(33)가 물리도록 하여, 합성 H 파일(2)을 지반(1)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판(32)은 마감 강판(23)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캡 부재(3)의 한 쌍의 결합판(32) 하부는 합성 H 파일(2)의 마감 강판(23) 상부에 직접 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합판(32)이 마감 강판(23)에 밀착되므로, 경타나 항타에 의해 합성 H 파일(2)을 근입하는 경우 H 파일(21) 뿐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도 타격력이 전달될 수 있어 하중이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도 8은 캡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판(32)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마감 강판(23)과 밀착되는 가압판(3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판(32)과 가압판(35)은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압판(35)은 마감 강판(23)과 평행을 이루도록 결합판(32)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캡 부재(3)를 마감 강판(23)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캡 부재(3)의 압축력을 합성 H 파일(2)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캡 부재(3)의 수직축과 합성 H 파일(2)의 수직축이 상호 어긋나지 않고 일치된다.
아울러 보강 리브(351)를 결합판(32)과 가압판(35)에 각각 결합하여 이들 부재를 보강할 수 있다.
도 9는 캡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3)는 수직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플레이트인 고정부(33)를 척(5)에 물려 합성 H 파일(2)을 파일 드라이버에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3)는 H 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압 하중이 큰 경우 일반적인 수직플레이트는 압축력에 의해 좌굴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고정부(33)를 H 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파일 드라이버의 척(5)은 H 형강인 고정부(33)의 웨브에 물려 합성 H 파일(2)을 파일 드라이버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33)가 파일 드라이버의 척(5)에 물리는 부분에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33)에 요철이 형성되는 경우, 고정부(33)의 요철이 척(5)의 고정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호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33)를 척(5)에 고정할 경우 슬립(slip)이 발생하여 고정부(33)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판(31) 또는 고정부(33)의 상부에는 양중와이어 연결을 위한 양중고리나 결합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1: 지반 2: 합성 H 파일
21: H 파일 211: 플랜지
212: 웨브 22: 두부 강판
23: 마감 강판 231: 보강 리브
24: 철근콘크리트 보강체 241: 철근
242: 콘크리트 3: 캡 부재
31: 지지판 32: 결합판
33: 고정부 35: 가압판
351: 보강 리브 4: 토류판
5: 척

Claims (7)

  1. H 파일(21); 상기 H 파일(21) 하부의 웨브(212) 양측에 외측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211)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212)에 결합되는 두부 강판(22); 상기 H 파일(21) 상단에서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웨브(212)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양측의 플랜지(211)에 결합되고, 내측단은 웨브(212)에 결합되는 마감 강판(23); 상기 두부 강판(22)과 마감 강판(23)의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 및 상기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에 의한 합성 구간에서 철근콘크리트 보강체(24)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H 파일(21)의 플랜지(211) 및 웨브(212)에 결합되는 쉬어스터드; 로 구성되는 합성 H 파일(2)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합성 H 파일(2)의 상단에 캡 부재(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캡 부재(3)에 파일 드라이버의 척(5)을 고정하고, 파일 드라이버가 장착된 장비를 이용하여 합성 H 파일(2)을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반(1)에 근입하는 단계; 및
    (c) 이웃하는 합성 H 파일(2)의 사이 및 전방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합성 H 파일(2)의 사이에 토류판(4)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캡 부재(3)는 H 파일(21)의 상단에 밀착되는 지지판(31), 상기 지지판(31)의 하부에 결합되어 H 파일(21)의 웨브(212)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감 강판(23)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결합판(32), 상기 지지판(31)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파일 드라이버의 척(5)에 물려 고정되는 것으로 H 형강인 고정부(33), 상기 결합판(32)의 하단 양측에 마감 강판(23)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마감 강판(23)과 밀착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가압판(35) 및 상기 결합판(32)과 가압판(35)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 리브(3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합성 H 파일(2)은 지반(1)에 천공된 천공홀에 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66943A 2016-05-31 2016-05-31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674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43A KR101674576B1 (ko) 2016-05-31 2016-05-31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43A KR101674576B1 (ko) 2016-05-31 2016-05-31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576B1 true KR101674576B1 (ko) 2016-11-09

Family

ID=5752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943A KR101674576B1 (ko) 2016-05-31 2016-05-31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2966A (zh) * 2022-12-12 2023-01-31 陕西理工大学 一种双臂桩与锚拉钢管复合桩相结合的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8788A (ja) * 2013-01-31 2014-08-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Z形鋼矢板における打設用治具
KR101520771B1 (ko) * 2015-01-09 2015-05-29 정제평 개착가시설을 위한 브이자형 강판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 합성형 에이치 파일
KR20160053430A (ko) * 2014-11-04 2016-05-13 이기환 말뚝 조립체를 이용한 주열식 흙막이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8788A (ja) * 2013-01-31 2014-08-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Z形鋼矢板における打設用治具
KR20160053430A (ko) * 2014-11-04 2016-05-13 이기환 말뚝 조립체를 이용한 주열식 흙막이 공법
KR101520771B1 (ko) * 2015-01-09 2015-05-29 정제평 개착가시설을 위한 브이자형 강판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 합성형 에이치 파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2966A (zh) * 2022-12-12 2023-01-31 陕西理工大学 一种双臂桩与锚拉钢管复合桩相结合的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652966B (zh) * 2022-12-12 2024-04-26 陕西理工大学 一种双臂桩与锚拉钢管复合桩相结合的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0882831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681022B1 (ko)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68048B1 (ko) 철재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823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1열 자립식 흙막이공법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KR100977206B1 (ko) 연속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에 깊이, 폭 조절이 가능한흙막이 벽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90123639A (ko)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파일
KR101506880B1 (ko) 흙막이 장치
KR101068147B1 (ko) 광폭 강재 시트파일의 항타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폭 강재 시트파일의 시공방법
KR101674576B1 (ko)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5031463B2 (ja)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0906161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KR101597542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3131502U (ja) 覆工作業用山留板
KR102142226B1 (ko) 단차 결합구조를 갖는 강재 토류판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KR100882294B1 (ko) 터널용 지보재
JP6694852B2 (ja) 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の連結装置及び連結方法
JP4436187B2 (ja) コンクリート矢板
KR200396174Y1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강재 토류판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102098141B1 (ko)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KR20170118313A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