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161B1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161B1
KR100906161B1 KR1020070084307A KR20070084307A KR100906161B1 KR 100906161 B1 KR100906161 B1 KR 100906161B1 KR 1020070084307 A KR1020070084307 A KR 1020070084307A KR 20070084307 A KR20070084307 A KR 20070084307A KR 100906161 B1 KR100906161 B1 KR 10090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rrugated steel
wire rope
sheet structur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969A (ko
Inventor
공강주
Original Assignee
정병삼
주식회사 건영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삼, 주식회사 건영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병진 filed Critical 정병삼
Priority to KR102007008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1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30Bases for lower arch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Reve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 중에 성토고가 높을 경우 토사압력에 저항하여 강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내부로 차량 및 작업자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며 홍수시 단면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파형강판 구조물(20)이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부(40)(40')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41')가 설치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외부면에 안내공(43)(43')이 형성된 가이드(42)(4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나사결합되며 와이어로프(L)의 일측이 상기 일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L)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42)(42')의 안내공(43)(43')에 관통, 인장되어 상기 타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파형강판 구조물,와이어로프,가이드,앵커,지지 프레임,인장 와이어로프.

Description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Construction of corrugated steel pipe using wire rope}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 중에 성토고가 높을 경우 토사압력에 저항하여 강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내부로 차량 및 작업자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며 홍수시 단면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통로,수로,공동구 및 터널 등과 같은 구조물을 파형강판으로 시공할 때 이론적 토압과 실제 토압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파형강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파형강판의 외주면에 와이어로프를 가이드와 앵커에 의해 인장력에 의한 압축하중으로 파형강판의 변형을 억제시키고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3.0-8.0mm 두께를 가진 아연도금 강판에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골형의 형상으로 성형시켜 일반강판에 비해 10-30배의 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친환경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으로 인하여 교량,통로,수로,공동구 및 터널 등과 같은 구조물 시공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파형강판으로 시공되는 구조물은 적용 단면에 따라 아치형,박스형 및 원형구조물의 형상으로 분류되고 마감부의 시공형식에 따라 면벽형,경사형 및 돌출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종래의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구조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터파기 시공단계와,기초 터파기가 완성된 영역에 기부들을 가지는 베이스면을 시공하는 베이스면 시공단계와,상기 각 기부로부터 파형강판들을 아치형의 구조물로 조립하는 파형간판 조립단계와,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내부에 외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수단을 설치하는 보강수단 설치단계와,상기 아치형 구조물의 측면과 상부측에 토사를 뒷채움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보강수단 설치단계는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보강채널들을 설치하는 보강채널 설치단계와,상기 파형강판 구조물의 기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강채널을 로프로 연결하는 제1로프 설치단계와,상기 하나의 보강채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채널을 로프로 연결하는 제2로프 설치단계와,상기 각 로프들에 설치된 턴버클을 이용하여 각 로프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인장력 조절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파형강판 구조물은 파형강판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파형강판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보강채널을 설치하고 파형강판의 내부로 보강채널과 기부 사이에 와이어로프와 턴버클에 의해 인장시켜 설치하므로 파형강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하력을 증진시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보강채널은 강판과 보강구조 간의 합성기능이 원활치 못하고 볼트구멍에 의해 파형강판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X자형의 와이어로프를 파형강판의 내부로 설치시 시공 중에 구조물의 내측으로 차량과 시공장비의 출입이 통제되어 작업이 불편하고 복잡하며 수로 구조물로 시공 중일 경우 집중호우 및 홍수 시에 X자형 와이어로프에 각종부유물과 이물질이 걸려서 파형강판의 내부를 폐쇄시켜 시공 중인 구조물 전체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또한 X자형 와이어로프가 보강채널과 기부로 연결되는 지점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형강판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통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9641호(2006.12.13)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3637호(2003.07.02)
[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8018호(2007.03.15)
[문헌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4304호(2007.03.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시공현장의 주변 지형조건을 평면적 및 입체적으로 정확하게 구조해석하기 어렵거나 상부토압과 편측토력의 변동,활하중 및 공사 중 다짐오류에 의한 불균형하중으로 인한 파형강판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로프와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장력에 의한 압축하중을 보강시켜 줌으로써 파형강판 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시공 중에 구조물의 내부로 차량통행,시공장비 및 작업자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수로공사 시에 외부적인 환경의 제약을 해소시키며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주면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분포하중으로 작용되게 하여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가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부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가 설치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부면에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가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나사결합되며 와이어로프(L)의 일측이 상기 일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의 안내공에 관통, 인장되어 상기 타측의 기초 콘크리트부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에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수단을 파형강판 구조물의 상부 에 설치하여 지형조건,상부토압,편측토력,활하중 및 공사 중 다짐오류에 의한 불균형 하중에 대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 중에 구조물의 내부로 차량,시공장비 및 작업자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키며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수로공사 시에 외부적인 환경의 제약을 해소시키며 또한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주면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분포하중으로 작용되게 하여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구조 사시도로 파형강판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주면으로 가이드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설치되고 그 상단에 지지프레임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추가적으로 지지시켜 시공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는 구조도로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부면에 가이드와 앵커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설치된 정면구조를 도시하였으며, 도 4 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도로 상기 도 3 의 공정에서 추가적으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의 외부면에 설치된 와이어로프를 별도의 인장 와이어로프로 지지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기초 콘크리트부(40)(40')에 아치형의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양측단부가 설치되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20)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이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부(40)(40')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41')가 설치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외부면에 안내공(43)(43')이 형성된 가이드(42)(4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나사결합되며 와이어로프(L)의 일측이 상기 일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L)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42)(42')의 안내공(43)(43')에 관통, 인장되어 상기 타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에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로프(L)가 설치된 파형강판 구조물(20)를 지지하는 기초 콘크리트부(40)(40')의 양측에 프레임 지지용 기초 콘크리트부(50)(50')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51)(51')을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상부로 서로 맞닿게 결합시켜 연결재(53)로 연장시키고 상기 와이어로프(L)와 지지프레임(51)(51') 사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인장 와이어로프(L')로 인장시킨 구조이다.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상부로 설치되는 와이어로프(L)와 지지프레임(51)(51')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2)(52')는 프레임 지지용 와이어로프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터파기를 실시하여 베이스면 시공단계에서 양측에 기초 콘크리트부(40)(40')를 설치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40)(40')의 길이방향으로 매입되거나 볼트에 의해 체결된 찬넬(도시없음)에 파형강판들을 조립하여 구조물(20)을 설치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40)(40')에 설치되는 찬넬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41')가 매입 설치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에는 안내공(43)(43')이 형성된 가이드(42)(42')를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외부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41)(41')는 하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파형강판 구조물(20)을 천공시켜 삽입시키고 상,하단에서 너트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41)(41')가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외부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면 가이드(41)(41')의 일측 안내공(43)에서 타측 안내공(43')으로 와이어로프(L)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삽입된 와이어로프(L)의 양측 선단은 기초 콘크리트부(40)(40')에 매입된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41')에 인장시켜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와이어로프(L)의 설치는 파형강판 구조물(20)에 미치는 지형조건과 외부압력 등의 조건에 따라 파형강판 구조물(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으로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파형강판 구조물(20)에 보강수단이 설치 완료되면 측부와 상부에 토사를 되메우는 되메우기 작업을 수행하고 다짐작업을 통하여 시공 후 침하 또는 부등침강이 발생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파형강판 구조물(20)이 설치되는 지형조건과 외부압력이 미칠 영향이 클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와 같이 베이스면 시공단계에서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설치를 위한 기초 콘리트부(40)(40')가 설치된 외측으로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프레임 지지용 기초 콘크리트부(50)(50')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지프레임(51)(51')을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상부로 삼각형상으로 입설시키고 연결재(53)로 연장시켜 설치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에 설치된 와이어로프(L)와 지지프레임(51)(51') 사이를 다수의 인장 와이어로프(L')를 이용하여 양측을 인장시켜 체결시켜서 파형강판 구조물(20)이 외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로프(L)와 지지프레임(51)(51')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지형조건과 외압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구조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는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파형강판 구조물 40,40': 기초 콘크리트부
41,41':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 42,42': 가이드
43,43': 안내공 50,50': 프레임 지지용 기초 콘크리트부
51,51': 지지프레임 L: 와이어로프
L': 인장 와이어로프

Claims (3)

  1. 기초 콘크리트부(40)(40')에 아치형의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양측단부가 설치되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20)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이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부(40)(40')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41')가 설치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외부면에 안내공(43)(43')이 형성된 가이드(42)(4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나사결합되며 와이어로프(L)의 일측이 상기 일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L)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42)(42')의 안내공(43)(43')에 관통, 인장되어 상기 타측의 기초 콘크리트부(40')의 와이어로프 체결용 앵커(41')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L)가 설치된 파형강판 구조물(20)을 지지하는 기초 콘크리트부(40)(40')의 양측에 프레임 지지용 기초 콘크리트부(50)(50')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51)(51')을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상부로 서로 맞닿게 결합시켜 연결재(53)로 연장시키고 상기 와이어로프(L)와 지지프레임(51)(51') 사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인장 와이어로프(L')로 인장시키며,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20)의 상부로 설치되는 와이어로프(L)와 지지프레임(51)(51')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070084307A 2007-08-22 2007-08-22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KR100906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307A KR100906161B1 (ko) 2007-08-22 2007-08-22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307A KR100906161B1 (ko) 2007-08-22 2007-08-22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969A KR20090019969A (ko) 2009-02-26
KR100906161B1 true KR100906161B1 (ko) 2009-07-03

Family

ID=4068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307A KR100906161B1 (ko) 2007-08-22 2007-08-22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633B (zh) * 2018-04-16 2024-04-05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采光顶操作平台及施工方法
CN110952990B (zh) * 2020-02-26 2020-06-12 中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责任公司 高海拔地区隧道工程中针对不良地质的施工方法
CN112832834B (zh) * 2021-03-04 2022-03-01 淮北市平远软岩支护工程技术有限公司 防岩体弹射的高强度韧性的支护封层方法
CN113374508B (zh) * 2021-07-20 2022-10-28 淮北市平远软岩支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高冲击地压的注浆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95A (ja) * 1993-11-17 1995-05-30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アーチ状トンネルの組立方法
KR200323068Y1 (ko) * 2003-05-10 2003-08-14 홍종문 이중 변위 케이블 장력 유니트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0641355B1 (ko) 2005-07-07 2006-11-01 (주)픽슨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19523B1 (ko) 2005-08-12 2007-05-17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95A (ja) * 1993-11-17 1995-05-30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アーチ状トンネルの組立方法
KR200323068Y1 (ko) * 2003-05-10 2003-08-14 홍종문 이중 변위 케이블 장력 유니트를 구비한 방음터널
KR100641355B1 (ko) 2005-07-07 2006-11-01 (주)픽슨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19523B1 (ko) 2005-08-12 2007-05-17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969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CA2630897C (en) The enforcement liner installation mold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KR101078047B1 (ko) 프리캐스트 가시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9516109A (ja) 仮設土留め装置
US20060070803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KR20090013528A (ko)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터널지보의 구조
KR102097855B1 (ko) 더블 아이 빔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100906161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JP6431218B2 (ja)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KR101061516B1 (ko)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100641355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20100042452A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KR100657654B1 (ko) 복수개의 앵커삽입홀이 형성된 에이치형 파일
KR200403692Y1 (ko) 지반 보강용 이열식 네일링 고정장치
KR101298020B1 (ko)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KR102186408B1 (ko) 인장력이 도입된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