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313A -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 Google Patents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313A
KR20170118313A KR1020160045892A KR20160045892A KR20170118313A KR 20170118313 A KR20170118313 A KR 20170118313A KR 1020160045892 A KR1020160045892 A KR 1020160045892A KR 20160045892 A KR20160045892 A KR 20160045892A KR 20170118313 A KR20170118313 A KR 20170118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roove
transverse
joint
decora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177B1 (ko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공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KR102016004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1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토부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부 및/또는 측면부에 장식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토부 옹벽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로서, 전면부 및 측면부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수용홈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수용홈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 이음재와,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되는 장식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패널에 다수의 연결 이음재를 슬라이딩 삽입하고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로 장식재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면 또는 측면에 장식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가 완료된다. 따라서, 장식재에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패널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장착구를 형성하여 장식재를 콘크리트 패널 전면에 시공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쉽게 장식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CONCRETE PANEL MOUNTED WITH FRONT/SIDE FINISHING MATERIALS BY CONNECTING ELEMENTS}
본 발명은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토부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부 및/또는 측면부에 장식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물로써, 도로, 철도, 항만, 방조제, 교대, 재개발 아파트 등 용지의 제한에 따른 토지의 최적 이용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주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옹벽 구조물로는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압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이들이 붕괴를 막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존에는 옹벽 구조물의 경우, 설치 높이 만큼 거푸집을 설치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법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로 미리 단위 크기로 제작한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공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절토부 철근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는 다양한 재료의 장식재(대리석, 타일, 목재, 시멘트, 칼라시멘트, 백시멘트, 칼라백시멘트 등)을 전면에 부착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 장식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석재용 에폭시를 이용하여 붙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장식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석재용 에폭시의 부착효과 감소로 인하여 콘크리트 패널에서 분리되어 제품의 하자로 연결되며 전면재 이탈시 안전사고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 제10-1477560호에서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재인 자연석재(10)를 볼트(11)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20)에 체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재(10)에 볼트(11)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는 데 석재에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자연석재(10)에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설치 후에도 자연석재(10)의 구멍 형성시 발생된 균열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여 미관이 손상되거나 석재 추락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동시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전면재인 자연석재(10)가 콘크리트 패널(20)에 설치된 후에도 전면재에 볼트(11)의 헤드부분이 노출되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게다가, 콘크리트 패널(20)에 볼트(11)를 고정하기 위한 방편으로 콘크리트 패널(20)에 장착구(30)를 추가로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해 콘크리트 패널(20)의 제작이 번거롭고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패널(20)을 사면과 고정하기 위한 인장재(50)로서 앵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인장재(50)를 다시 2차 인장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재(50)의 단부가 고정된 부분을 자연석재(10)가 덮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2차 인장작업을 위해서는 자연석재(10)를 고정하는 볼트(11)를 장착구(30)에서 풀어서 자연석재(10)를 탈거한 다음 2차 인장작업을 하고 다시 볼트(11)를 장착구(30)에 고정하여 자연석재(10)를 부착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과정 중에는 자연석재(10)를 지지한 상태에서 볼트(11)를 해체한 다음 다시 자연석재(10)를 지지한 상태에서 볼트(11)를 체결하여야 하는 2가지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바, 번거로운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콘크리트 패널(10)은 크기가 2.5 m × 2.5 m 등의 크기를 가지므로 자연석재(10)의 크기가 큰 경우도 존재하므로 인력만으로 자연석재(10)를 지지하는 것이 곤란하여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소요시간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또한, 볼트(11)의 체결 및 해제과정 중에 자연석재(10)에 다시 충격이 가해지므로 발생된 균열이 확장되거나 새로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 장식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토부 옹벽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로서, 전면부 및 측면부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수용홈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수용홈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 이음재와,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되는 장식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패널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횡부 홈과, 상기 횡부 홈에서 상기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종부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부 홈의 폭은 상기 횡부 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이음재는 상기 횡부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와, 상기 하부 횡부에 연결되며 상기 종부 홈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종부와, 상기 종부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재는 상기 패널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와 상기 연결 이음재의 상부 횡부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패널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수용홈과, 상기 패널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부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수용홈은 상기 종부 홈이 상기 횡부 홈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단부 수용홈은 상기 종부 홈이 상기 횡부 홈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중앙 연결 이음재는, 상기 중앙 수용홈의 횡부 홈에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와, 상기 하부 횡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부와, 상기 종부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하부 횡부와 동일하게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단부 연결 이음재는, 상기 단부 수용홈의 횡부 홈에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와, 상기 하부 횡부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부와, 상기 종부의 상방 단부에서 일측은 상기 하부 횡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횡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연결 이음재가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연결 이음재의 단부 하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연결 이음재의 단부 상부에는 상기 장식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식재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장식재의 측면 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H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이 상기 연결 이음재의 상부 횡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에서, 상기 패널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에 앵커공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공의 좌우측으로 상기 장식재 스토퍼가 형성된 연결 이음재가 설치되며, 상기 장식재는 상기 장식재 스토퍼가 형성된 연결 이음재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상기 앵커공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패널에 다수의 연결 이음재를 슬라이딩 삽입하고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로 장식재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면 또는 측면에 장식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가 완료된다.
따라서, 장식재에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패널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장착구를 형성하여 장식재를 콘크리트 패널 전면에 시공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쉽게 장식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앵커의 2차 인장을 위해 장식재를 제거 후 다시 부착하는 경우에도 삽입된 장식재를 다시 슬라이딩시켜 탈거한 다음 앵커의 2차 인장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장식재를 슬라이딩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쉽게 수행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의 전면에 체결된 볼트를 해체하여 장식재를 분리한 다음 2차 인장 후 다시 볼트를 체결하여 장식재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볼트를 통한 전면재 체결에 따라 장식재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균열이 발생된 장식재를 시공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다양한 수용홈의 형상이 표현된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을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연결 이음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장식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 이음재를 패널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식재를 연결 이음재 사이로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식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패널의 측면에 장식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종래기술의 콘크리트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에서 패널을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10)은 패널(100), 상기 패널(100)에 설치되는 연결 이음재(200), 상기 패널(100)의 전면부(101)에서 이웃하는 연결 이음재들(200)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장식재(300)로 이루어진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다양한 수용홈의 형상이 표현된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널(10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나 다른 소재도 가능하며 절토부 옹벽에 시공되는 공지된 형상을 가지며 대략 중앙부에는 앵커의 2차 인장을 위해 앵커(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100)의 전면부(101)에는 수용홈(120)이 형성된다. 수용홈(12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양자가 혼합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홈(120)은 패널(100)의 중앙 부분에서 형성되는 중앙 수용홈(130)과 패널(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부 수용홈(140)을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패널(100)의 전면부 전체를 중앙 수용홈(130)으로만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 단부는 중앙 수용홈(130)과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단부 수용홈(140)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중앙 수용홈(130)은 패널(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횡부 홈(131)과, 상기 횡부 홈(131)에서 패널(10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종부 홈(132) 으로 이루어진다.
중앙 수용홈(130)에서 종부 홈(132)는 횡부 홈(131)의 중앙에서 배치되며 종부 홈(132)의 폭은 상기 횡부 홈(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수용홈(130)은 횡부 홈(131)이 수평부로 형성되고 종부 홈(132)이 수직부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ㅗ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수용홈(130)에서 종부 홈(132)의 폭이 상기 횡부 홈(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 이음재(200)가 패널(10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 홈(131)의 단면이 원형이나 삼각형 등으로 형성되더라도 종부 홈(132)의 폭이 상기 횡부 홈(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단부 수용홈(140)도 패널(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횡부 홈(141)과, 상기 횡부 홈(141)에서 패널(10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도록형성되는 종부 홈(142)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부 홈(142)의 폭이 상기 횡부 홈(14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중앙 수용홈(130)과 동일하다
다만, 단부 수용홈(140)에서는 종부 홈(142)이 횡부 홈(141)의 중앙이 아니라 횡부 홈(131)에서 패널(100)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는 점이 중앙 수용홈(130)과 상이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단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재(300)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방향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120)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스토퍼(121)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121)는 수용홈(120)의 단부에서 수용홈(12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 이음재(200)가 수용홈(12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라면 형상에 제한없이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21)의 높이를 수용홈(12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패널(100)에서 연결 이음재(20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용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형상을 가진다.
도 4 에서는 패널(100)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120)에 스토퍼(121)가 형성된 경우에 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횡방향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옹벽의 좌측 단부에 패널(100)이 설치되어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결 이음재(200)를 슬라이딩 삽입하여야 하는 경우, 패널(100)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120)의 좌측 단부에 스토퍼(121)가 형성된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연결 이음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결 이음재(200)는 강재나 FRP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 I 형상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이음재(200)는 중앙 연결 이음재(210)와 단부 연결 이음재(222)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다.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 이음재(210)는 중앙 수용홈(130)의 횡부 홈(131)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211)와, 상기 하부 횡부(2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중앙 수용홈(130)의 종부 홈(132)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중앙 수용홈(130)의 종부 홈(132)보다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종부(212)와, 상기 종부(212)의 상방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횡부(21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연결 이음재(210)는 하부 횡부(211)과 상부 횡부(213)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종부(212)를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연결 이음재(220)도 단부 수용홈(140)의 횡부 홈(141)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221)와, 상기 하부 횡부(2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 수용홈(140)이 종부 홈(142)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단부 수용홈(140)의 종부 홈(142)보다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종부(222)와, 상기 종부(222)의 상방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횡부(223)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은 중앙 연결 이음재(210)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단부 연결 이음재(220)에서는 하부 횡부(221)는 종부(222)의 일측 방향으로만 형성된다는 점, 상부 횡부(223)가 하부 횡부(221)가 연장된 방향으로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반대방향으로는 하부 횡부(221)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한편,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이음재(200)의 하부 단부에는 절결부(214)를 형성할 수 있다. 절결부(214)는 종부(212, 222)에서 수용홈(120)에 형성되는 스토퍼(1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결 이음재(200)의 상부 횡부(213,223)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형태의 장식재 스토퍼(2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장식재 스토퍼(215)의 하단부는 패널(100)의 전면부(10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연결 이음재(200)를 패널(100)에 삽입하는 경우 장식재 스토퍼(215)의 하단부가 패널(100)의 전면부(101)와의 마찰로 인하여 연결 이음재(200)의 삽입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패널에서 장식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장식재(300)는 대리석, 타일, 목재, 시멘트, 칼라 시멘트, 백시멘트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장식재(300)의 개수는 장식재(300)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연결 이음재(200)의 총개수에서 하나를 제한 나머지 개수로 결정된다.
장식재(300)의 폭은 이웃하는 연결 이음재(20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해지며, 장식재(300)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연결 이음재(200)의 길이와 동일되나 슬라이딩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장식재(300)는 일반적으로 평판형상을 가지며 패널(100)의 전면부(101)와 연결 이음재(200)의 I 형상에서 상부 횡부(23) 사이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는, 장식재(30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두께방향 중간에 연결 이음재(200)의 I 형상에서 상부 횡부(21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310)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H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 이음재를 패널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패널(100)에 형성된 수용홈(120)을 따라 연결 이음재(200)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설치한다.
패널(100)의 수용홈(120)의 단부에 스토퍼(121)가 형성된 경우 연결 이음재(200)의 절결부(214)가 스토퍼(121)에 맞추어 진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식재를 연결 이음재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장식재(300)를 연결 이음재(200)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패널(100)의 수용홈(120)에서 장식재(300)를 슬라이딩 하는 방향의 단부에 스토퍼(121)가 형성된 경우, 장식재(300)를 슬라이딩 삽입할 때 장식재(300)와 연결 이음재(200)와의 마찰로 인하여 연결 이음재(200)가 패널(100)의 수용홈(12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연결 이음재(200)의 단부에 장식재 스토퍼(215)가 형성된 경우, 장식재(300)를 슬라이딩 시킬 때 장식재(300)가 연결 이음재(200)를 지나 패널(100)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패널(100)의 단부에 단부 연결 이음재(220)가 설치되는 경우 상부 횡부(223)에서 폭이 넓은 부분이 장식재가 설치되지 않는 패널(100)의 단부에서 패널(100)을 덮어 외부에서 패널(100)의 표면이 직접적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식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널(100)의 전면부(101)와 장식재(300)의 저면 사이에 석재용 에폭시(400) 등을 도포하여 양자를 접착시키고, 중앙 연결 이음재(210)의 상부 횡부(213)의 저면과 장식재(300)의 전면부(101) 사이에 실리콘 마감(500)을 통해 양자를 접착시킨다.
단부 연결 이음재(22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부 연결 이음재(220)의 상부 횡부(223)의 저면과 장식재(300)의 전면부(101) 사이에 실리콘 마감을 통해 양자를 접착시키면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10)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홈(120)이 형성된 패널(100)에 연결 이음재(200) 및 장식재(300)를 각각 슬라이딩 삽입하여 조립한 다음 서로 접착하는 것만으로 전면부(101)에 장식재(300)가 형성된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10)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패널에 별도의 장착구를 설치하고 볼트 작업 등에 의해 장식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편리하게 전면부에 장식재가 설치된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앵커공(110)을 덮도록 설치되는 장식재(300)의 경우에는 향후 2차 인장을 위해 장식재(300)가 탈부착되어야 하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은 패널(100)의 전면부(101)와 장식재(300)의 후면부 사이에 석재용 에폭시(400)는 도포하지 않고 실리콘 마감(500)만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앵커공(110)이 형성된 양측의 연결 이음재(200)의 단부에 장식재 스토퍼(215)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재 스토퍼(215)가 하방으로 형성된된 경우, 장식재(300)는 하방으로는 장식재 스토퍼(215)에 의해 지지되는 바, 실리콘 마감(500)을 하지 않고 연결 이음재(200) 사이에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장식재(300)는 전혀 접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앵커공(111)에서의 2차 인장을 위해 장식재(300)를 탈거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패널의 측면에 장식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100)의 전면부(101)에 연결 이음재(200)를 이용하여 장식재(300)를 설치하는 구성뿐 아니라 패널(100)의 측면부(102)에도 연결 이음재(200)를 이용하여 장식재(3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널(100)의 측면부(102)에 설치된다는 점이 상이할 뿐이며 나머지 다른 구성은 패널(100)의 전면부(101)에 설치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즉, 패널(100)의 측면부(102)에 측면 수용홈(150)이 형성되며, 측면 수용홈(150)은 측면 중앙 수용홈(160) 및 측면 단부 수용홈(170)으로 이루어진다.
측면 중앙 수용홈(160)은 패널(100)의 전면부(101)에 형성되는 중앙 수용홈(130)과 마찬가지로 ㅗ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면 단부 수용홈(170)도 패널(100)의 전면부(101)에 형성되는 단부 수용홈(1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ㄴ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 단부가 패널(100)의 측면부(102)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연결 이음재(200)는 패널(100)의 전면부(101)에 설치되는 중앙 연결 이음재(210) 및 단부 연결 이음재(220)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며 측면부(102)에 사용하도록 크기만이 다르게 사용된다.
장식재(300)의 경우도 설치되는 부분만이 측면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며 전면부(101)에 대해 사용한 장식재(300)를 크기만을 달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100)의 전면부(101)에 장식재(300)를 형성하고 측면부(102)에도 추가적으로 장식재(300)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식재(300)를 측면부(102)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패널 200 : 연결 이음재
300 : 전면재

Claims (10)

  1. 절토부 옹벽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로서,
    전면부 및 측면부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수용홈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수용홈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 이음재와,
    상기 패널과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되는 장식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패널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횡부 홈과, 상기 횡부 홈에서 상기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종부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부 홈의 폭은 상기 횡부 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이음재는 상기 횡부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와, 상기 하부 횡부에 연결되며 상기 종부 홈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종부와, 상기 종부의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재는 상기 패널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와 상기 연결 이음재의 상부 횡부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패널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수용홈과, 상기 패널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부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수용홈은 상기 종부 홈이 상기 횡부 홈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단부 수용홈은 상기 종부 홈이 상기 횡부 홈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 이음재는,
    상기 중앙 수용홈의 횡부 홈에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와,
    상기 하부 횡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부와,
    상기 종부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하부 횡부와 동일하게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단부 연결 이음재는,
    상기 단부 수용홈의 횡부 홈에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횡부와,
    상기 하부 횡부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부와,
    상기 종부의 상방 단부에서 일측은 상기 하부 횡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횡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연결 이음재가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이음재의 단부 하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이음재의 단부 상부에는 상기 장식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식재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9.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장식재의 측면 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H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이 상기 연결 이음재의 상부 횡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10.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 이음재 사이에 앵커공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공의 좌우측으로 상기 장식재 스토퍼가 형성된 연결 이음재가 설치되며,
    상기 장식재는 상기 장식재 스토퍼가 형성된 연결 이음재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상기 앵커공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20160045892A 2016-04-15 2016-04-15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180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892A KR101803177B1 (ko) 2016-04-15 2016-04-15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892A KR101803177B1 (ko) 2016-04-15 2016-04-15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313A true KR20170118313A (ko) 2017-10-25
KR101803177B1 KR101803177B1 (ko) 2017-12-28

Family

ID=6029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892A KR101803177B1 (ko) 2016-04-15 2016-04-15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24B1 (ko) *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77B1 (ko) 2024-01-22 2024-05-14 (주) 대현이엔씨 구조 개선된 콘크리트 패널옹벽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0227B2 (ja) * 2006-12-20 2013-02-20 油化三昌建材株式会社 保温板およびその設置方法
US8656678B2 (en) * 2009-09-29 2014-02-2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24B1 (ko) *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177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022B1 (ko)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5368B1 (ko)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PL204665B1 (pl) Sposób wytwarzania pola płyty gruntowej i pole płyty gruntowej
KR101875385B1 (ko)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803177B1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2052963B1 (ko) 탄성 보강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공법
JP2011021384A (ja) 道路橋の拡幅構造及び道路橋の拡幅工法
KR20180125846A (ko) 무천공방식의 정착고리철근을 이용한 교대측과 교량측 간의 연결슬래브조인트 시공방법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WO2018089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ropagation of cracks in concrete
KR101967425B1 (ko)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KR20090017771A (ko)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KR101437672B1 (ko) 조립식 피시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689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과 거더의 합성 연결구조,연결시공방법 및 연결장치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JP2690834B2 (ja) 止水板の設置方法
KR101908700B1 (ko)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단부 h접합블럭으로 구성된 복합보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KR101078782B1 (ko)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