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335A -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335A
KR20160130335A KR1020150062260A KR20150062260A KR20160130335A KR 20160130335 A KR20160130335 A KR 20160130335A KR 1020150062260 A KR1020150062260 A KR 1020150062260A KR 20150062260 A KR20150062260 A KR 20150062260A KR 20160130335 A KR20160130335 A KR 20160130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neck
deck neck
fixing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434B1 (ko
Inventor
송의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6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4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을 통해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초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고임목, 고임목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장선목 및 장선목 상부면 히든클립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데크목이 구비된 데크에 있어서, 히든클립은 장선목의 상부면 상에 나사못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어지되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는 U자 형태의 몸체; 몸체의 일측 상단에 수평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데크목의 일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데크목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정윙; 및 몸체의 타측 상단에 상부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데크목의 타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타측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를 통해 데크목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고정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Loading deck wood deck fasteners}
본 발명은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히든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보다 용이하게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 속에서 스트레스 해소나 건강상의 이유로 주말이 되면 도시 근교에 있는 산을 찾아 등산을 하거나 주변의 공원 등을 산책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회적인 추세에 따라 목재 등을 이용한 데크가 등산로나 공원 내에 위치한 산책로 또는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한 보도나 전원주택 또는 팬션 등의 테라스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산로에 목재로 되어 있는 장방형의 데크를 계단식으로 깔고, 데크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등산객들이 안전하게 등산 및 하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데크는 자연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등산로나 산책로에서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곳에 길을 만들거나 공원이나 숲에서 보행도로 및 생태 관찰을 위한 길 또는 관광지 및 건물의 옥외 전망대나 어린이 놀이터 또는 하천 위를 건널 수 있도록 설치된 다리의 바닥을 조성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데크의 설치시 보통 프레임 위에 다수의 데크목을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후에 체결수단으로 고정시켜 설치하는데, 이렇게 데크목이 나사 등으로 프레임 위에 체결될 경우 데크목 위로 나사가 보이게 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드릴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한 후에 다수의 나사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 체결시 나사가 잘못 체결되어 데크목이 손상되거나 나사의 사용으로 한번 사용된 데크목은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나사체결된 부분에 시공 후에 습기나 빗물 등이 스며들어 나사가 부식되거나 데크 상판에 형성된 구멍에서 부패나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선목에 클립을 고정하여 데크목을 고정 결합시키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클립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기술은 데크목의 파손시 파손된 부위의 데크목을 교체시 일부분 전체의 데크목을 전부 분리한 다음 파손된 부위부터 차례로 결합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336호(2013.02.06.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849호(2012.07.19.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102-0014759호(2012.02.20.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17289호(2009.11.12.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6625호(2009.06.03.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을 통해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을 통해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공수 및 자재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는 기초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고임목, 고임목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장선목 및 장선목 상부면 히든클립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데크목이 구비된 데크에 있어서, 히든클립은 장선목의 상부면 상에 나사못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어지되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는 U자 형태의 몸체; 몸체의 일측 상단에 수평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데크목의 일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데크목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정윙; 및 몸체의 타측 상단에 상부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데크목의 타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타측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를 통해 데크목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고정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데크목의 파손에 따른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 부분에 교체용 데크목의 일측 결합홈 상에 고정윙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교체용 데크목의 타측면을 하향으로 가압시키는 힘을 통해 고정턱의 탄성 후 복원에 의해 교체용 데크목의 타측 결합홈에 걸림 유지되어 교체용 데크목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고정윙의 하부면 상에는 다수의 쐐기가 더 형성되어 데크목의 일측 결합홈 상에 고정윙의 삽입 결합시 일측 결합홈의 바닥면과의 걸림을 통해 데크목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히든클립에는 계절 또는 날씨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좌우 및 상하로의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호 상의 절곡된 형태의 신축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히든클립의 외면에는 실리콘 또는 천연라텍스가 더 코팅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온도 변화에 따른 데크목과 장선목의 부피 변화에 따라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을 통해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만의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수 및 자재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가 적용된 데크로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통해 데크목의 고정을 보인 정면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이용한 파손 데크목의 교체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측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도 6 의 측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양호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가 적용된 데크로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통해 데크목의 고정을 보인 정면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이용한 파손 데크목의 교체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100) 역시 종래에 따른 기술에서와 같이 기초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고임목(110), 고임목(1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장선목(120) 및 장선목(120) 상부면 히든클립(130)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데크목(1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데크(100)에 있어 장선목(120)의 상부면 상에 데크목(140)을 고정시키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로써의 히든클립(130)은 일부 데크목(140)의 파손시 파손되지 않은 다른 데크목(140)을 장선목(12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손된 데크목(140) 만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종래의 기술과 다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손된 데크목(140) 만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로써의 히든클립(130)은 장선목(120)의 상부면 상에 나사못(150)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어지되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는 U자 형태의 몸체(131), 몸체(131)의 일측 상단에 수평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데크목(140)의 일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결합홈(142)에 삽입 결합되어 데크목(14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정윙(132) 및 몸체(131)의 타측 상단에 상부면이 하향 경사면(133a)으로 형성되어 데크목(140)의 타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타측 결합홈(144) 상에 걸림 유지를 통해 데크목(140)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고정턱(133)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로써의 히든클립(130)은 먼저, 도 4a 에서와 같이 파손된 부위의 데크목(140)을 제거한 다음, 교체용 데크목(140)을 준비하여 도 4b 에서와 같이 비스듬히 한 상태에서 교체용 데크목(140)의 일측 결합홈(142)에 장선목(120) 상부면에 결합 고정된 후단 히든클립(130)의 고정윙(132)이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교체용 데크목(140)의 일측 결합홈(142)에 장선목(120) 상부면에 결합 고정된 후단 히든클립(130)의 고정윙(132)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목(140)의 타측을 하부로 가압하게 된다. 이처럼 데크목(140)의 타측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도 4c 에서와 같이 데크목(140)의 타측 하단 모서리면이 타측 히든클립(130)의 고정턱(133) 경사면(133a)을 가압하게 된다.
전술한 도 4c 에서와 같이 데크목(140)의 타측 하단 모서리면이 타측 히든클립(130)의 고정턱(133) 경사면(133a)을 가압하게 되면 히든클립(130)의 고정턱(133)은 가압되는 방향으로 몸체(131)의 일측단이 탄성 변형되면서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데크목(140)의 타측 결합홈(144) 하부측의 측면이 하부로 내려갈 때에도 고정턱(133)은 데크목(140)의 타측면에 의해 고정턱(133)은 일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데크목(140)의 타측 하단 모서리면과 데크목(140)의 타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일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의 고정턱(133)이 데크목(140)의 가압에 의해 데크목(140) 타측의 타측 결합홈(144)에 이르게 되면 도 4d 에서와 같이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면서 복원되어 타측 결합홈(144)의 하단턱에 걸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턱(133)이 데크목(140)의 가압에 의해 데크목(140) 타측의 타측 결합홈(144)에 이르게 되어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면서 도 4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을 통해 타측 결합홈(144)의 하단턱에 걸리게 되면 데크목(140)의 타측은 고정턱(133)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데크목(140)의 일측은 일측 결합홈(142) 상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윙(132)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히든클립(130)의 U자형 몸체(131) 타측 상단이 경사면(133a)이 형성된 구조의 고정턱(133)으로 구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140)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140)을 제거한 후 교체용 데크목(140)의 일측 결합홈(142)을 일측 히든클립(130)의 고정윙(132)과 결합한 상태에서 데크목(140)의 타측을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타측 히든클립(130)의 고정턱(133)이 데크목(140)의 가압되는 힘에 의해 타성 변형 후 가압의 힘이 사라지면 복원되어 데크목(140)의 타측 결합홈(144)과의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어 교체 고정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로써의 히든클립(13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형성된 몸체(131)의 일측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윙(132)이 형성되고, U자 형태로 형성된 몸체(131)의 타측 상단에는 하향으로 경사면(133a)이 형성된 고정턱(133)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U자 형태의 몸체는 양측으로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131)와 고정윙(132) 및 고정턱(133)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로써의 히든클립(130)은 몸체(131)의 U자 홈 중심으로 관통 결합되는 나사못(150)을 통해 장선목(120)의 상부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 고정된다. 이때, 몸체(131)의 U자 홈 중심에는 나사못(15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31a)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장선목(120)의 상부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 고정되는 히든클립(130)은 데크목(140)의 파손에 따른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140) 부분에 교체용 데크목(140)의 일측 결합홈(142) 상에 고정윙(132)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교체용 데크목(140)의 타측면을 하향으로 가압시키는 힘을 통해 고정턱(133)의 탄성 후 복원에 의해 교체용 데크목(140)의 타측 결합홈(144)에 걸림 유지되어 교체용 데크목(140)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측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인 도 5 및 도 6 의 히든클립(130) 역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의 몸체(131)와 고정윙(132) 및 경사면(133a)이 형성된 고정턱(133)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전술한 도 5 및 도 6 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든클립(130)은 고정윙(132)의 하부면 상에 다수의 쐐기(134)가 더 형성되어 데크목(140)의 일측 결합홈(142) 상에 고정윙(132)의 삽입 결합시 일측 결합홈(142)의 바닥면과의 걸림을 통해 데크목(14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윙(132)의 하부면 상에 다수의 쐐기(134)가 더 형성된 구조의 히든클립(130)은 데크목(140)의 일측 결합홈(142) 상에 고정윙(132)의 삽입 결합시 일측 결합홈(142)의 바닥면에 끝이 파고들어 고정됨으로써 데크목(14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도 7 의 히든클립(130) 역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의 몸체(131)와 고정윙(132) 및 경사면(133a)이 형성된 고정턱(133)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도 7 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히든클립(130)에 계절 또는 날씨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좌우 및 상하로의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호 상의 절곡된 형태의 신축홈(13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라 좌우 및 상하로의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호 상의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신축홈(135)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절 또는 날씨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데크목(140) 및 장선목(120)과 함게 신축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히든클립(130)의 외면에는 실리콘 또는 천연라텍스(도면번호 부여하지 않음)가 더 코팅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히든클립(130)의 외면 전체에 실리콘 또는 천연라텍스를 코팅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데크목(140)과 장선목(120)의 부피 변화에 따라 실리콘 또는 천연라텍스를 통해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리콘이나 천연라텍스로 코팅된 몸체는 데크의 이격이나 변형으로 보행시 생길 수 있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히든클립(130)의 몸체(131) 일측 상단을 하향 경사면(133a)이 형성된 고정턱(133)으로 구성함으로써 데크목(140)의 파손시 데크목(140)의 일부를 분리하지 않고도 파손된 데크목(140)만을 제거한 후 교체용 데크목(140)을 위에서 가압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140)만의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발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이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데크. 110. 고임목
120. 장선목 130. 히든클립
131. 몸체 132. 고정윙
133. 고정턱 133a. 경사면
134. 쐐기 135. 신축홈
140. 데크목 142. 일측 결합홈
144. 타측 결합홈 150. 나사못

Claims (5)

  1. 기초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고임목, 상기 고임목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장선목 및 상기 장선목 상부면 히든클립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데크목이 구비된 데크에 있어서,
    상기 히든클립은 상기 장선목의 상부면 상에 나사못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어지되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는 U자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에 수평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데크목의 일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데크목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정윙; 및
    상기 몸체의 타측 상단에 상부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목의 타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타측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를 통해 데크목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고정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클립은 상기 데크목의 파손에 따른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 부분에 교체용 데크목의 일측 결합홈 상에 상기 고정윙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교체용 데크목의 타측면을 하향으로 가압시키는 힘을 통해 상기 고정턱의 탄성 후 복원에 의해 교체용 데크목의 타측 결합홈에 걸림 유지되어 교체용 데크목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윙의 하부면 상에는 다수의 쐐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데크목의 일측 결합홈 상에 상기 고정윙의 삽입 결합시 상기 일측 결합홈의 바닥면과의 걸림을 통해 상기 데크목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클립은 계절 또는 날씨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좌우 및 상하로의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호 상의 절곡된 형태의 신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클립의 외면에는 실리콘 또는 천연라텍스가 더 코팅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데크목과 장선목의 부피 변화에 따라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1020150062260A 2015-05-01 2015-05-01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10173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60A KR101734434B1 (ko) 2015-05-01 2015-05-01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60A KR101734434B1 (ko) 2015-05-01 2015-05-01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335A true KR20160130335A (ko) 2016-11-11
KR101734434B1 KR101734434B1 (ko) 2017-05-15

Family

ID=5752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60A KR101734434B1 (ko) 2015-05-01 2015-05-01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43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16B1 (ko) * 2018-01-02 2018-07-09 최승규 조경 시설물의 데크 결합구조
KR101947077B1 (ko) * 2018-08-29 2019-02-12 (주)티엔팀버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954362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101954377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로드
KR101930059B1 (ko)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101965179B1 (ko) * 2018-01-31 2019-04-03 이우현 개선된 기능의 목재 데크
KR102041262B1 (ko) 2019-01-11 2019-11-0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497B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예건 보행의 편리성을 개선한 데크 및 계단 데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625A (ko) 2007-11-30 2009-06-03 (주)가이아 글로벌 데크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17289A (ko) 2008-05-09 2009-11-12 (주)엘지하우시스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20120014759A (ko) 2010-08-10 2012-02-20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데크 보드 교체방법 및 데크 보드 교체 연결구
KR101166849B1 (ko) 2011-04-26 2012-07-19 주식회사휴플러스 바닥재용 고정구
KR101230336B1 (ko)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889B1 (ko) * 1995-12-09 1999-06-15 정몽규 잭핸들 고정용 클립
KR101302936B1 (ko) * 2013-02-22 2013-09-02 아이서비스 주식회사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데크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625A (ko) 2007-11-30 2009-06-03 (주)가이아 글로벌 데크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17289A (ko) 2008-05-09 2009-11-12 (주)엘지하우시스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20120014759A (ko) 2010-08-10 2012-02-20 동화홀딩스 주식회사 데크 보드 교체방법 및 데크 보드 교체 연결구
KR101166849B1 (ko) 2011-04-26 2012-07-19 주식회사휴플러스 바닥재용 고정구
KR101230336B1 (ko)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16B1 (ko) * 2018-01-02 2018-07-09 최승규 조경 시설물의 데크 결합구조
KR101965179B1 (ko) * 2018-01-31 2019-04-03 이우현 개선된 기능의 목재 데크
KR101930059B1 (ko)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101947077B1 (ko) * 2018-08-29 2019-02-12 (주)티엔팀버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954362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101954377B1 (ko) * 2018-10-22 2019-03-05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로드
KR102041262B1 (ko) 2019-01-11 2019-11-0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434B1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434B1 (ko)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200439584Y1 (ko) 심신단련용 데크로드의 펜스지주 결속구
KR101557419B1 (ko) 단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구비한 데크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데크 설치구조
KR101224033B1 (ko) 데크 연결부재
RU2016141103A (ru) Система балюстрад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и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MX2009006261A (es) Montaje de poste de compresion para levantamiento por el viento de plafones de suspension.
KR101665643B1 (ko) 데크로드
KR200449138Y1 (ko) 목재 결속용 고정구
KR101455585B1 (ko)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 체결용 클립
CN205569697U (zh) 一种用于体育舞蹈的训练把杆
KR101570839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데크 결합구조물
KR101784837B1 (ko) 데크로드
KR102561997B1 (ko) 클립을 포함하는 데크재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101637527B1 (ko) 난간 브라켓
KR101224434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보수용 마감재
KR101229895B1 (ko) 목재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 데크의 고정구조
KR20130114043A (ko) 배수용 드레인 캡
AU2008100442B4 (en) A Clamp
KR20200042552A (ko) 체결구를 이용한 데크로드 설치구조 및 데크로드 시공방법
KR101146504B1 (ko) 친환경 데크로드
KR200433073Y1 (ko)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
CN108411735B (zh) 一种园林道路结构
KR102120173B1 (ko) 원터치 클립 방식의 데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