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059B1 - 다기능 목재 데크 - Google Patents

다기능 목재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059B1
KR101930059B1 KR1020180055316A KR20180055316A KR101930059B1 KR 101930059 B1 KR101930059 B1 KR 101930059B1 KR 1020180055316 A KR1020180055316 A KR 1020180055316A KR 20180055316 A KR20180055316 A KR 20180055316A KR 101930059 B1 KR101930059 B1 KR 10193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block
jois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정
Original Assignee
우드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드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드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있어서, 복수개의 데크블럭, 데크블럭과 불규칙적으로 교대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듈데크블럭을 포함하는 데크; 데크 하부에 데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장선;을 포함하되, 상기 데크와 하부 장선은 클립을 통해 결합되며, 모듈데크블럭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어태치먼트를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고, 양측의 장선과 장선 사이에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지지대는 데크블럭 하부에 형성되는 데크블럭지지대와 모듈데크블럭 하부에 형성되는 모듈데크블럭지지대를 포함하고, 데크블럭지지대와 모듈데크블럭지지대의 크기는 각각 데크블럭과 모듈데크블럭과 동일한 다기능 목제 데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목재 데크{Multi-Functional Timber Deck}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관한 기술이다.
특허문헌 001은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을 통해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시 파손된 데크목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멍에목 위에 설치된 장선목 상부면 상에 데크목을 결합 고정시키는 클립의 일측을 상부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어 결합홈 상에 이르면 복원을 통해 결합홈 상에 걸림 유지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파손된 데크목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공수 및 자재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특허문헌 002는 구조적 안정성이 보강되어 바닥부재와의 볼트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부분 충진 각관을 제공하며, 바닥부재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그것의 유실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데크로드 보행시 보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보행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부분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3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데크판의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장선들에 모두 고정되는 레일형 연결부재를 통해 전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레일 데크를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데크판의 장선들의 사이가 하부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바닥 및 데크로드로 사용되고 레일형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레일 데크를 제공하며, 장선에 체결되어 레일형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나사못의 상부를 눌러 줌에 따라 레일 데크의 시공후 나사못이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일형 연결부재의 전방의 하부에는 장선에 상면에 박히는 다수의 하부 쇄기형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레일형 연결부재가 장선에서 전후방으로 미끄러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데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004는 목재패널을 바닥지지대에 조정하는 체결스크루를 차폐함으로써 체결스크류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체결스크루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산책로용 목제 데크를 제공하며, 바닥지지대를 이루는 멍에틀과 장선이 용이하게 조립되면서 설치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목재패널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산책로용 목재 데크를 제공하고, 산채로의 형태에 따라 바닥지지대의 다리를 확장시킴으로써 견고한 교량형태로 시공될 수 있게 한다.
KR 10-2016-0130335 (2016년11월11일) KR 10-1730120 (2017년04월19일) KR 10-1751184 (2017년06월20일) (특허문허 004) KR 10-1792440 (2017년10월28일)
본 발명은 통상적인 데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목재 데크에일반적인 데크블럭과 장착구가 형성된 모듈데크블럭을 함께 적용하고, 장착구에 배수부, 조명부, 녹화부, 미끄럼방지부, 난간부 등의 어태치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기능성 데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데크블럭과 모듈데크블럭 하부에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주변형방지부와 보조변형방지부를 구비하여 보행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 및 2차 방지하는 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복수개의 데크블럭, 복수개의 모듈데크블럭 조합으로 형성되는 데크;, 데크 하부에 데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장선;, 상기 데크와 상기 장선을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데크, 장선, 클립으로 형성된 발명에 있어서, 모듈데크블럭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데크, 장선, 클립으로 형성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선과 장선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는 데크블럭 하부에 형성되는 데크블럭지지대;, 상기 지지대는 모듈데크블럭 하부에 형성되는 모듈데크블럭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지지대 또는 데크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지지대 또는 데크와 접촉되는 주변형방지부;, 지지대 또는 데크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지지대 또는 데크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은 데크 처짐량을 제한하는 주변형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며, 장선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개구홈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홈;,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홈에 결합되는 내부돌출판부;, 상기 내부돌출판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데크, 장선, 클립으로 형성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측면에 형성되며, 클립 삽입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데크, 장선, 클립으로 형성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 형성되며, 장선과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클립에 형성되며, 데크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데크, 장선, 클립으로 형성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듈데크블럭에 형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에 형성되는 단차;, 상기 단차의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목재 데크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어태치먼트;,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며, 상기 어태치먼트 및 모듈데크블럭 사이에 결합되는 마감데크블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데크블럭과 장착구가 형성된 모듈데크블럭을 함께 적용하고, 장착구에 배수부, 조명부, 녹화부, 미끄럼방지부, 난간부 등의 어태치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기능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며, 데크블럭과 모듈데크블럭 하부에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주변형방지부와 보조변형방지부를 구비하여 보행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 및 2차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데크 전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데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선 상부의 데크와 지지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와 데크의 주변형방지부와 보조변형방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선과 지지대가 개구홈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선과 지지대가 브라켓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선과 데크가 클립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클립의 삽입부와 데크의 삽입홈이 결합하는 것을 구체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데크의 장착구에 어태치먼트가 결합한 형상과 마감데크블럭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미끄럼방지부, 조명부, 배수부, 녹화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엣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복수개의 데크블럭(110)과 데크블럭(110)과 불규칙적으로 교대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듈데크블럭(120)을 포함하는 데크(100); 데크(100) 하부에 데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장선(200)을 포함하되, 상기 데크(100)와 하부 장선(200)은 클립(300)을 통해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데크(100)와 하부 장선(200) 결합 시, 볼트 결합이나 용접 결합을 적용하게 되는데, 볼트 결합 사용 시, 목재의 홈 등을 형성해야 하며, 볼트와 목재의 이질적인 특성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변형이 생기게 된다. 또한 용접을 적용하게 되면, 목재를 결합하면서 용접이 가능한 다른 구성이 더 부가해야 하며, 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고, 전기의 위험성으로 인해 시공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데크(100)와 하부 장선(200)을 클립(300)으로 결합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의 고정력이 강화되어 서로 빠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데크블럭(110)과 모듈데크블럭(120)의 길이 및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나, 모듈데크블럭(120)의 폭이 데크블럭(11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데크블럭(110)과 모듈데크블럭(120)의 상면은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거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 점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1-3)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데크(100)에 적용되는 목재는 통상적으로 자연 목재와 합성 목재가 적용되는데, 자연 목재와 합성 목재 모두 방부, 방수처리되며, UV 차단체를 포함하는 코팅제(130)로 코팅되어 사용하게 된다. 이는 자연에 노출되는 데크(100)의 특징상 데크(100)가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데크(100)에 적용되는 목재는 고열처리처리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고열처리란 목재속에 존재하는 영양물질을 200℃ 이상의 고온으로 탄화시켜, 수분을 흡수하는 수산기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 인해 수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면서 갈라지거나 잘 썩지 않는 기능성 열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열처리된 목재는 고열처리로 인해 열에 의한 수팽창이 없으며, 수분에 의해 쉽게 갈라지지 않는다. 또한 병해충의 먹이가 되는 영양물질이 없어 잘 썩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 모듈데크블럭(120)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장착구(121)가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구(121)는 하기 미끄럼방지부(510), 조명부(520), 난간부(530), 배수부(540), 녹화부(550)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500)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모듈화되어 장착,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조명부(520)를 제거하고 난간부(530)를 설치하거나, 난간부(530)를 제거하고 미끄럼방지부(510)를 설치하는 것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태치먼트(500)는 여러 종류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장착구(121)에는 어태치먼트(500)을 결합하지 않고, 데크(100)와 동일한 목재를 결합하여 마감할 수도 있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 있어서, 양측의 장선과 장선 사이에는 지지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400)는 데크블럭(110) 하부에 형성되는 데크블럭지지대(410)와 모듈데크블럭(120) 하부에 형성되는 모듈데크블럭지지대(420)를 포함한다. 데크블럭지지대(410)와 모듈데크블럭지지대(420)의 크기는 각각 데크블럭(110)과 모듈데크블럭(120)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지대(400)는 데크(100)에 사람 등과 같은 하중이 재하될 경우, 데크(100)와 함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일부 지지대(400)는 데크 시스템의 구조 및 하중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일부 생략이 가능하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지지대(400) 또는 데크(100)에는 지지대(400)와 데크(100)와 맞닿는 주변형방지부(430)가 구비되며, 지지대(400) 또는 데크(100)에는 지지대(400)와 데크(100)와 맞닿아 있지는 않지만, 상부의 데크(100)가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할 때, 처짐의 변형을 보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조변형방지부(440)가 구비된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주변형방지부(430)와 보조변형방지부(440)는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8) 실시예 1-7에 있어서, 고무를 적용할 경우, 경제적인 제조를 위해 상부 또는 하부, 상부 및 하부를 파형 형상이나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요철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형 또는 요철부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를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은 데크 시스템에 공기를 순환시켜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9) 실시예 1-5에 있어서, 지지대(400)에는 장착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L형 브라켓(45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장착구(121)를 통해 삽입되는 어태치먼트(500)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며, 삽입 후에는 고정을 견고히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L형 브라켓(450)의 좌, 우측 방향에 형성된 고정볼트(451)을 통해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1-10) 실시예 1-6에 있어서, L형 브라켓(450)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상기 주변형방지부(430) 및/또는 보조변형방지부(440)를 생략할 수 있고, L형 브라켓(450) 상부에 탄성부(452)를 구비하여, 주변형방지부(430) 및/또는 보조변형방지부(4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452)는 고무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5에 있어서, 장선(200)과 장선(200) 사이의 지지대는 장선(200)에 개구홈(210)을 형성하여 개구홈(210)과 인접 장선(200)의 개구홈(210)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지지대(400)가 삽입되는 개구홈(210) 안쪽 끝에는 내부홈(211)을 형성할 수 있고, 개구홈(210)에 삽입되는 지지대(400) 삽입단(403) 일측 끝 상부와 하부에는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인 내부돌출판부(401)를 형성하여, 삽입시 눌림에 의해 내부돌출판부(401)가 펴져서 삽입되고, 삽입후에는 다시 내부돌출판부(401)가 돌출 형상을 유지하여 내부홈(211)에 장착된다.
(실시예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또한 지지대(400)가 삽입되는 삽입단(403)의 타측 끝, 즉 지지단(404)의 시작부에는 개구홈(211)과 접하는 부분에 상부와 하부에는 일측과 타측 모두 고정되는 외부돌출판부(402)가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돌출판부(401)와 외부돌출판부(402)로 지지대(400)와 장선(20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하게 된다.
(실시예 2-4) 실시예 2-1에 있어서, 또한 장선(200)과 지지대(400)의 결합은 장선(200)의 외면을 감싸는 브라켓(600)을 사용할 수 있는데, 외면을 감싸기 위해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이며, 장선(200)의 외측과 맞닿는 외측면(610), 장선(200)의 상면과 맞닿는 상측면(620), 장선(200)의 내측과 맞닻는 내측면(630)을 기본으로 한다.
(실시예 2-5) 실시예 2-4에 있어서, 외측면(610)의 하부끝에는 장선 하면과 탄성 결합하도록 내측으로 돌부(64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630)에는 지지대(400)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거나, 측면에서 슬라이딩하여 안착되는 안착면(650)이 내측면(6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실시예 2-6) 실시예 2-5에 있어서, 안착면(650)의 양 단부에는 지지대(400)가 안착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판(660)이 직립할 수 있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에 있어서, 또한 양측의 유동방지판(660) 상부에는 지지대가 안착후 상부로 빠지 않도록 걸림부(670)가 유동방지판(660) 내측으로 꺾임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670)는 일반적인 돌출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 2-8) 실시예 2-6에 있어서, 걸림부(670)와 함께 지지대(400)가 안착되는 내측면(630)에는 지지대(400) 쪽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진 누름부(680)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2-9) 실시예 2-7 또는 실시예 2-8에 있어서, 걸림부(670)와 누름부(680)는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지지대(400)가 안착 후 상부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지지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에 있어서, 데크블럭(110)과 모듈데크블럭(120)을 포함하는 데크(100)는 길이 방향으로는 클립(300)의 삽입부(310)가 삽입되는 삽입홈(140)이 형성된다. 그러나 하중에 따른 데크(100)가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하도록 삽입홈(140)의 크기가 클립(300)의 삽입부(310)보다 크게 형성된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다만, 이렇게 형성될 경우, 결합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기 때문에 삽입홈(140)과 삽입부(310) 사이에 탄성체(700)를 삽입한다.
(실시예 3-3) 실시예 3-2에 있어서, 탄성체(700)는 복수의 요철 굴곡이 있는 판스프링(710) 및/또는 고무(720)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4) 실시예 3-3 있어서, 고무(720)의 경우, 경질 또는 연질에 따라 탄성 지지력이 달라질 수 있는데, 고무(720)에 복수개의 탄성홈(721)을 형성하여 탄성 지지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5) 실시예 3-4에 있어서, 복수개의 탄성홈(721)을 무작위를 할 경우, 제조상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데크(100)가 하중을 받을 경우의 응력 상태를 고려하여, 삽입홈(140)의 안쪽 상부와 맞닿는 부분, 삽입된 삽입부의 양단 끝 상부와 하부, 삽입홈의 입구쪽 하부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응력 집중을 완화하면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700)로 데크(100)가 처짐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일정 부분 허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4-1) 실시예 1-1에 있어서, 장선(200)과 데크(100)를 결합, 고정하는 클립(300)은 장선(200)과 결합하는 결합부(320), 데크(100)의 삽입홈(14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 결합부(320)와 삽입부(31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 결합부(320)와 연결부(330)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3470)으로 구성된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결합부(320)의 하단은 장선(200) 하부와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32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선(200)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결합하면 돌출부(321)가 장선(200)의 하부를 감싸듯이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선(200) 하부에 요홈부(221)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321)이 안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4-3) 실시예 4-1에 있어서, 또한 장선(200) 중간부에 상기 돌출부(321)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222)을 형성할 수 있어, 결합부(3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4-4) 실시예 4-1에 있어서, 또한 클립(300)은 결합부(320)를 생략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베이스판(340)에 장선(2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공(341)을 형성하게 된다. 관통공(341)에 와이어, 밴드 또는 케이블 타이 등의 연결체(342)를 관통시켜 장선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실시예 5-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한 것과 같이 모듈데크블럭(120)에는 장착구(121)가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 및 시공의 관점에서 원형이 선호될 수 있다. 장착구(121)는 2단 이상의 계단 단면으로 단턱(122)을 가지는데, 모듈데크블럭(120)의 하부쪽 직경(다각형의 경우는 변의 길이)이 상부쪽 직경(다각형의 경우는 변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장착구(121)에는 미끄럼방지부(510), 조명부(520), 난간부(530), 배수부(540), 녹화부(550) 등의 어태치먼트(500)를 삽입하게 되고, 삽입된 어태치먼트(500) 주변, 즉 상부쪽에는 마감데크블럭을 삽입하게 된다.
(실시예 5-3) 실시예 5-2에 있어서, 마감데크블럭(150)에는 고무(151)를 구비하여 마감데크블럭(150)과 어태치먼트(500)가 닿은 부분의 마찰에 의한 손상 등을 최소화하면서, 그 사이에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또한 어태치먼트(500) 중 조명부(520), 난간부(530), 녹화부(55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예로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고, 어태치먼트(500)의 본체에는 조절홈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510)와 배수부(540)는 데크(100) 상면과 그 상면이 동일한 위치를 하게 된다.
(실시예 5-5) 실시예 5-2에 있어서, 어태치먼트(500)는 일부는 조명부(520), 일부는 배수부(540) 등과 같이 혼재하여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모듈데크블럭(120)의 양쪽에 있는 장착구(121)에는 난간부(530)를 형성하고, 그 안쪽에 있는 장착구(121)에는 조명부(52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데크(100)에도 다양한 기능 및 효과,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태치먼트(500)는 마감데크블럭(150)과 L형 브라켓(450)으로 고정력이 우수하다.
(실시예 5-6) 실시예 5-2에 있어서, 미끄럼방지부(510)는 상부에 미끄럼 방지 요철부를(511) 선형상 또는 점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요철부(511)의 경우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요철부(511) 상부에 코팅층(512)을 형성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7) 실시예 5-2에 있어서, 조명부(520)는 내부에 LED등(521)을 설치하여, 조명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조명부 상면(522)은 투명유리관 또는 투명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에는 쏠라셀(523), 축전기(524), 조도센서(525), 전류기판(526)을 설치하여, 쏠라셀(523)에 의해 전류를 생성시키며, 이를 축전기(524)에 축전시킬 수 있다. 조도센서(525)는 외부의 어둠을 감지하여, 전류기판(526)의 전원부를 통해 LED등(521)에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쏠라셀을 이용한 발전을 기재하였으나, 압전소자, 외부 전류 등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 외에 조명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을 부가할 수 있는 것 또한 물론이다. 또한 조명부 상면(522)과 LED등(521) 사이에는 방향판 또는 광고판 등 알림판(527)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 5-8) 실시예 5-에 있어서, 데크(100)에서 안전 난간은 데크(100) 양측에 설치되어 사람 등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장선(200)과 수직 상측 방향으로 결합하여 데크(100)의 폭을 넓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데크(100) 양측에 설치하는 시공의 어려움이 있고, 결합의 안정성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난간부(530)는 난간부(530)의 기둥부(531)을 장착구(121)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시공되어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다. 설치된 기둥부(531)를 서로 연결하는 안전바(532)를 통해 난간부(530)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간부(530)는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안전 난간 내부에서 보조난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기 녹화부(550)와 인접 녹화부(550)를 연결하는 연결부(551)를 통해서도 보조난간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보행자들의 추락 방지를 위해 2중의 난간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5-9) 실시예 5-2에 있어서, 배수부(540)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그 자체에서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저수시키거나, 물을 배수시킬 수 있다. 이 개념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배수부 상면(541)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544)의 크기나 개수를 본체 외면(542)이나 하면(543)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545)의 크기나 개수를 크거나 많게 하면 일반적으로 물이 저수되고, 동일하거나 반대의 경우는 물이 배수된다. 또한 다른 방법을 통해 저수와 배수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공지의 기술 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저수가 되는 경우는 여름철 데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으며, 배수가 되는 경우는 물이 오버플로우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입홀(544)과 배출홀(545)의 크기 또는 개수를 조절하여 두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540) 본체 내부에는 우수 등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546)을 구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 5-10) 실시예 5-2에 있어서, 녹화부(550)는 어태치먼트(500) 본체 내부에 흙을 채우고,상부에는 꽃이나 작은 묘목 등을 구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목재로 형성된 데크(100)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녹화부(550)는 녹화부(550)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51)를 형성하여 물이 흐르게 하는 등을 통해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조명부(520), 난간부(530), 녹화부(55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여 그 기능 및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6-1) 실시예 1-5에 있어서, 또한 장선(200)을 기준으로 양측에 모두 데크(100) 및 지지대(400)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6-2) 실시예 6-1에 있어서, 이 경우, 데크(100)는 폭방향에 제2삽입홈(160)을 더 구비하게 된다. 브라켓(500)의 외측면(610)에는 돌부(640) 대신 내측면(630)에 형성되는 안착면(650), 유동방지판(660)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걸림부(670)와 누름(680)부는 동시에 형성하거나,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6-3) 실시예 6-2에 있어서, 또한 브라켓(600)의 상측면(620) 상부에는 클립(300)의 연결부(330)와 삽입부(310)와 동일한 기능 및 형상을 하는 브라켓연결부(691)와 브라켓삽입부(692)를 더 구비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삽입부(692)는 제2삽입홈(160)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를 기재하기에 복잡한 경우가 있어 구체적으로 실시예을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된 실시예는 서로 혼용이 가능한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구분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의 결합에 의한 발명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0 : 데크 110 : 데크블럭
120 : 모듈데크블럭 121 : 장착구
122 : 단턱 130: 코팅제
140 : 삽입홈 150 : 마감데크블럭
151 : 고무 160 : 제2삽입홈
200 : 장선 210 : 개구홈
211 : 내부홈 221 : 요홈부
222 : 요홈 300 : 클립
310 : 삽입부 320 : 결합부
321 : 돌출부 330 : 연결부
340 : 베이스판 341 : 관통공
342 : 연결체 400 : 지지대
401 : 내측돌출판부 402 : 외측돌출판부
403 : 삽입단 404 : 지지단
410 : 데크블럭지지대 420 : 모듈데크블럭지지대
430 : 주변형방지부 440 : 보조변형방지부
450 : L형 브라켓 451 : 고정볼트
452 : 탄성부 500 : 어태치먼트
510 : 미끄럼방지부 511 : 요철부
512 : 코팅층 520 : 조명부
521 : LED등 522 : 조명부 상면
523 : 쏠라셀 524 : 축전기
525 : 조도센서 526 : 전류기판
527 : 알림판 530 : 난간부
531 : 기둥부 532 : 안전바
540 : 배수부 541 : 배수부 상면
542 : 배수부 외면 543 : 배수부 하면
544 : 유입홀 545 : 배출홀
546 : 필터 550 : 녹화부
551 : 연결부 600 : 브라켓
610 : 외측면 620 : 상측면
630 : 내측면 640 : 돌부
650 : 안착면 660 : 유동방지판
670 : 걸림부 680 : 누름부
691 : 브라켓연결부 692 : 브라켓삽입부
700 : 탄성체 710 : 판스프링
720 : 고무 721 : 탄성홈

Claims (10)

  1. 다기능 목재 데크에 있어서,
    복수개의 데크블럭, 복수개의 모듈데크블럭 조합으로 형성되는 데크;,
    데크 하부에 데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장선;,
    상기 데크와 상기 장선을 결합하는 클립;,
    모듈데크블럭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어태치먼트;,
    상기 장선과 장선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는 데크블럭 하부에 형성되는 데크블럭지지대;,
    상기 지지대는 모듈데크블럭 하부에 형성되는 모듈데크블럭지지대;,
    상기 장선과 상기 데크를 결합 및 고정하는 클립은 장선과 결합하는 결합부, 데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결합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결합부와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하단은 장선 하부와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형성하며, 장선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결합하며, 돌출부가 장선 하부를 감싸듯이 결합하며, 장선 하부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제 데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대 또는 데크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지지대 또는 데크와 접촉되는 주변형방지부;,
    지지대 또는 데크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지지대 또는 데크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은 데크 처짐량을 제한하는 부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목제 데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며, 장선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재 데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홈;,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홈에 결합되는 내부돌출판부;,
    상기 내부돌출판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재데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측면에 형성되며, 클립 삽입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재 데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 형성되며, 장선과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클립에 형성되며, 데크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재 데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데크블럭에 형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에 형성되는 단차;,
    상기 단차 하부직경이 상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제 데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어태치먼트;,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며, 상기 어태치먼트 및 모듈데크블럭 사이에 결합되는 마감데크블럭;을 포함하는 다기능 목제데크.

KR1020180055316A 2018-05-15 2018-05-15 다기능 목재 데크 KR10193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16A KR101930059B1 (ko) 2018-05-15 2018-05-15 다기능 목재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16A KR101930059B1 (ko) 2018-05-15 2018-05-15 다기능 목재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059B1 true KR101930059B1 (ko) 2019-03-14

Family

ID=6575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16A KR101930059B1 (ko) 2018-05-15 2018-05-15 다기능 목재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882B1 (ko) * 2023-03-16 2023-09-07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901A (ja) * 2000-11-10 2002-05-22 Sekisui Chem Co Ltd デッキ
KR100832663B1 (ko) * 2007-04-30 2008-05-27 장석조 목재 데크 구조물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KR20100032403A (ko) * 2010-03-04 2010-03-25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010256B1 (ko) * 2010-03-17 2011-01-21 (주)이레이앤엘 데크로드 장치
KR20120092805A (ko) * 2011-02-14 2012-08-22 (주)엘지하우시스 합성목재 보도블록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101184676B1 (ko) * 2012-02-20 2012-09-20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20120127834A (ko) * 2011-05-16 2012-11-26 조준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20130127042A (ko) * 2012-05-14 2013-11-22 (주)리버앤텍 수상 데크 모듈
KR20150081819A (ko) * 2014-01-07 2015-07-15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20160130335A (ko) 2015-05-01 2016-11-11 주식회사휴플러스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20160143099A (ko) * 2015-06-04 2016-12-14 이한규 목재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730120B1 (ko) 2016-05-31 2017-04-27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751184B1 (ko) 2016-05-17 2017-06-28 윤진한 레일 데크
KR101754109B1 (ko) * 2015-12-24 2017-07-06 이윤경 매립형 바닥데크 조명등
KR20170110799A (ko) * 2016-03-24 2017-10-12 정현우 차선 분리대
KR101792440B1 (ko) 2016-10-17 2017-11-02 주식회사 세인 산책로용 목재 데크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901A (ja) * 2000-11-10 2002-05-22 Sekisui Chem Co Ltd デッキ
KR100832663B1 (ko) * 2007-04-30 2008-05-27 장석조 목재 데크 구조물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KR20100032403A (ko) * 2010-03-04 2010-03-25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010256B1 (ko) * 2010-03-17 2011-01-21 (주)이레이앤엘 데크로드 장치
KR20120092805A (ko) * 2011-02-14 2012-08-22 (주)엘지하우시스 합성목재 보도블록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20120127834A (ko) * 2011-05-16 2012-11-26 조준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1184676B1 (ko) * 2012-02-20 2012-09-20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20130127042A (ko) * 2012-05-14 2013-11-22 (주)리버앤텍 수상 데크 모듈
KR20150081819A (ko) * 2014-01-07 2015-07-15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20160130335A (ko) 2015-05-01 2016-11-11 주식회사휴플러스 개보수가 용이한 데크목 고정장치
KR20160143099A (ko) * 2015-06-04 2016-12-14 이한규 목재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754109B1 (ko) * 2015-12-24 2017-07-06 이윤경 매립형 바닥데크 조명등
KR20170110799A (ko) * 2016-03-24 2017-10-12 정현우 차선 분리대
KR101751184B1 (ko) 2016-05-17 2017-06-28 윤진한 레일 데크
KR101730120B1 (ko) 2016-05-31 2017-04-27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부분 충진 각관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792440B1 (ko) 2016-10-17 2017-11-02 주식회사 세인 산책로용 목재 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882B1 (ko) * 2023-03-16 2023-09-07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733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US8276330B2 (en) Modular solar panel racking system
KR101820684B1 (ko) 목재데크 결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010256B1 (ko) 데크로드 장치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CN103891131A (zh) 用于安装光伏模块的保持系统
KR101751643B1 (ko) 태양광패널 설치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CN103380253A (zh) 木质板结合装置
KR102155782B1 (ko) 지주대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난간살대가 구비되는 데크로드
KR101930059B1 (ko) 다기능 목재 데크
KR20170025636A (ko) 데크용 보드 연결장치
RU2007129733A (ru) Отбойник
KR101637527B1 (ko) 난간 브라켓
KR101897472B1 (ko)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20190030292A (ko) 데크 조립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KR20120014397A (ko) 분리대
KR10091909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자연친화적 조경휀스
CN211523662U (zh) 一种角度任意调整的玻璃幕墙装配结构
KR102077845B1 (ko)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CN205134186U (zh) 一种复合型木栈道
KR102269902B1 (ko)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완충기능을 가지는 데크
KR200482005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십자형 보강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0768925B1 (ko) 가로등주 보호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10284418B (zh) 一种游乐用高空玻璃栈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