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82B1 -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82B1
KR102575882B1 KR1020230034380A KR20230034380A KR102575882B1 KR 102575882 B1 KR102575882 B1 KR 102575882B1 KR 1020230034380 A KR1020230034380 A KR 1020230034380A KR 20230034380 A KR20230034380 A KR 20230034380A KR 102575882 B1 KR102575882 B1 KR 10257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weight
parts
color non
silica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Priority to KR102023003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5Cork; Ba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컬러규사를 포함한 충진재를 충진하여 다양한 컬러 연출이 가능하고, 논슬립(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이 함몰 형성되는 프레임(100);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200); 및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를 교반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형성되는 컬러 논슬립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Color non-slip de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컬러규사를 포함한 충진재를 충진하여 다양한 컬러 연출이 가능하고, 논슬립(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지역자치단체에서는 각종 테마공원, 테마동굴, 박물관 등을 신축 및 개관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이고 있다. 또한, 상기 테마공원의 노면 뿐만 아니라, 일반노면, 자전거도로, 공원산책로, 해변산책로, 주요 관광지 산책로, 둘레길, 아파트 주변 산책로 등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반사광 및 축광을 사용한 주간 및 야간의 경관표시, 안전표시, 정보표시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존에는 네온등, LED 조명등과 같은 획일적인 조명시설물을 사용하여 야간경관을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야간경관 시설물들은 수명을 다하면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하고, 우천시에는 누전의 우려가 있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한 야간경관 시설물이 도로에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파손됨으로써, 유지보수 및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축광석은 태양광 등에 포함된 자외선을 흡수하여 저장하였다가 광원이 없어지면 어두운 상태에서 빛을 발산하거나 또는 어두운 상태에서 블랙라이트를 사용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는 광석으로, 최근 각종 실내 및 실외 바닥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축광석은 바닥에 설치되는 일반 엘이디 전구 또는 조명장식과 달리, 수시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간편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를 자동차 또는 사람이 밟아도 무방하고, 우천 시 누전의 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야관 경관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이 함몰 형성되는 데크; 상기 충진홈의 내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충진홈에 규사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교반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형성되는 충진재; 상기 충진재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로 산포되는 축광석; 및 상기 축광석의 상부에 무기질 수용성 코팅제와 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충진재에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홈이 음각 형성되고, 상기 홈에 액상수지와 축광도료를 혼합한 축광물질을 채워 경화시켜 형성되는 축광 디자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광 디자인이 위치하는 충진재의 홈에 데크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마찰음을 줄여 소음을 방지하는 우레탄 폼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 데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충진재의 상부에 별도의 축광석을 산포하기 때문에 데크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기에 취약하여 표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별도의 부속물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데크들은 대부분 어두운 갈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아름답고 다양한 색상의 연출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2343호(2022.08.16.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된 것으로서, 주로 어두운 갈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는 기존 데크와 달리, 아름답고 다양한 컬러 연출이 가능한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논슬립 기능을 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충진재를 이용함으로써 논슬립(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디자인 조각물이 컬러 논슬립부에 형성됨으로써 컬러 발현이 우수하고, 빛에 따른 색상변화로 감성적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이 함몰 형성되는 프레임(100);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200); 및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를 교반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형성되는 컬러 논슬립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합성목재, 천연목재, 스테인리스, 갈바, 금속, 석재, 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불소수지가 도포되며,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혼합물은 이액형 바인더와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가공규사는 입자 크기가 1~2㎜로 분쇄한 것이며, 상기 돌가루는 자갈을 2~5㎜의 크기로 분쇄한 것이고, 상기 충진재는 컬러규사 30~40 중량부, 가공규사 15~20 중량부, 돌가루 15~20중량부, 콩자갈 10~20 중량부, 코르크칩 5~10 중량부 및 탄성고무칩 5~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액형 바인더는 폴리올계 주제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계 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되고,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디자인 조각물(400)이 형성되며, 상기 디자인 조각물(400)은 주제인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 및 경화시켜 제조되고, 상기 광감응 안료는 스피로피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을 함몰 형성하는 충진홈 성형단계;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프라이머(20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콩자갈, 코르크칩 및 탄성고무칩을 포함한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하는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0)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불소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충진재는 컬러규사 30~40 중량부, 가공규사 15~20 중량부, 돌가루 15~20중량부, 콩자갈 10~20 중량부, 코르크칩 5~10 중량부 및 탄성고무칩 5~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에서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에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가 조각된 음각 도장을 이용하여 음각홈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홈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스피로피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광감응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채운 후 경화시켜 디자인 조각물(400)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UV차단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은 주로 어두운 갈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는 기존 데크와 달리, 아름답고 다양한 컬러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논슬립 기능을 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충진재를 이용함으로써 논슬립(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디자인 조각물이 컬러 논슬립부에 형성됨으로써 컬러 발현이 우수하고, 빛에 따른 색상변화로 감성적 심미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의 색상별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에서 프레임의 돌출부 상에 디자인 조각물을 접착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에서 컬러 논슬립부 상에 음각 도장에 의해 디자인 조각물을 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는 데크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컬러규사를 포함한 충진재를 충진하여 다양한 컬러 연출이 가능하고, 논슬립(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프레임(100), 프라이머(200) 및 컬러 논슬립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컬러 논슬립 데크는 피스 결합방식 또는 클립 결합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합성목재, 천연목재, 스테인리스, 갈바, 금속, 석재, 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프레임(100)은 다양한 부식 환경(예, 바닷가 염분 등)에 의한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불소수지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충진홈(110)에는 이액형 바인더와 충진재를 교반 혼합한 혼합물이 충진된다. 상기 충진홈(110)에 충진되는 혼합물은 대략 3~3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부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1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데크의 전체적인 처짐에 의한 휨 변형과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자인 조각물 또는 컬러 논슬립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디자인 조각물의 배치 안정화를 이룬다.
상기 프라이머(200)는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도포되며, 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200)는 상기 충진홈(110) 내면에 충진된 혼합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는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를 교반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데크들은 대부분 어두운 갈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아름답고 다양한 색상의 연출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충진홈(110)에 다양한 색상의 컬러규사를 포함한 충진재를 충진하여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컬러 연출이 가능하고, 논슬립(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혼합물은 이액형 바인더와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1:10의 종량비를 벗어나게 되면 강도가 낮아지고, 색상발현이 고르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액형 바인더는 폴리올계 주제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계 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된다.
상기 주제를 이루는 성분인 폴리올은 이소시안네이트(-NCO)기를 갖는 화합물과 잘 반응하며, 따라서 후술하는 경화제와 반응하는 경우에 견고한 접착력을 가지게 되고, 이에 의해 바인더로서 양호한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를 이루는 성분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아닐린과 포름알데히드가 축합되어 생성된 디페닐메탄디아민에 포스겐을 처리(포스겐화)하여 얻어지는 물질로서, 수분과 반응하여 경화함으로써 우수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이액형 바인더의 주제와 경화제는 5:1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이에 의해 최적의 접합 능력이 발휘된다. 위에서 설명한 5:1의 중량비를 벗어나게 되면 혼합작업이 용이하지 않거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진재는 컬러규사 30~40 중량부, 가공규사 15~20 중량부, 돌가루 15~20중량부 및 콩자갈 10~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규사는 분쇄한 천연석(자연규사)의 표면에 색상 안료가 포함된 색상 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미끄럼 저항성을 부여함은 물론 시인성을 높이고, 미적 외관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컬러규사의 함량은 30~4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컬러규사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기 어렵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공규사는 천연규사 또는 암석을 분쇄하여 체가름한 것으로서, 입자 크기가 대략 1~2㎜를 갖는다.
상기 가공규사의 입자 크기가 1㎜ 미만이면 강도 및 접착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를 초과하면 너무 거칠어 부드러운 작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가공규사의 함량은 15~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공규사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논슬립)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돌가루는 자갈을 2~5㎜의 크기로 분쇄한 것으로서, 입자 크기가 2㎜ 미만이면 쉽게 부서지거나 컬러 연출 효과가 미미하고, 5㎜를 초과하면 배합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충진재는 코르크칩 5~10 중량부, 탄성고무칩 5~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르크칩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 및 완충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 및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고무칩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 및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디자인 조각물(4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조각물(400)은 주제인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 및 경화시켜 제조된 것으로, 컬러 발현이 우수하고, 빛에 따른 색상변화로 감성적 심미성을 부여한다. 특히, 상기 광감응 안료는 스피로피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피로피란(Spiropyran)은 햇빛의 자외선을 비롯한 전자기적 방사선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가역적인 색상 및 형광 변화를 일으키고, 자외선이 불연속이면 화합물은 다시 원래의 색상 또는 무색 상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은 충진홈 성형단계(S100), 프라이머 도포단계(S200), 혼합물 제조단계(S300) 및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홈 성형단계(S1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을 함몰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충진홈 성형단계(S100)에서는 합성목재, 천연목재, 스테인리스, 갈바, 알루미늄, 금속, 석재, 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을 프레스, 압연 또는 압출 등의 가공을 통해 충진홈(11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부 상면에 복수의 돌출부(1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00)는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프라이머(20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라이머(200)는 상기 충진홈(110) 내면에 충진된 혼합물을 부착시켜 충진홈(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S300)는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S300)에서는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믹싱기에 투입시켜 혼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는 컬러규사 30~40 중량부, 가공규사 15~20 중량부, 돌가루 15~20중량부 및 콩자갈 10~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진재는 코르크칩 5~10 중량부, 탄성고무칩 5~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바인더 및 충진재의 기능, 임계적 의의 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S400)는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S400)에서 혼합물을 압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롤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혼합물 표면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든 이용 가능하다.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S400) 이후에는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UV차단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디자인 조각물(4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인 조각물(400)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립형 충진 방식과 음각 도장형 충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매립형 충진 방식의 경우,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S400)에서 충진홈(110)에 혼합물을 충진하기 이전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디자인 조각물(400)을 실리콘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한다.
부연하면, 매립형 충진 방식에 의해 이용되는 디자인 조각물(400)은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몰드 금형을 이용하여 사전에 미리 성형한다. 이후, 성형된 복수의 디자인 조각물(400)을 실리콘을 이용하여 충진홈(110)의 바닥면에 접착 고정시켜 배열한다. 상기 디자인 조각물(400)을 접착 고정한 이후에는 디자인 조각물(400)의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매립되도록 혼합물을 충진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부 상면에 돌출부(120)가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0) 상에 디자인 조각물(400)을 접착 고정한다.
이와 같이, 디자인 조각물(400)의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매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디자인 조각물(400)의 견고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도장형 충진 방식의 경우,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S400)에서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에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가 조각된 음각 도장을 이용하여 음각홈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홈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채운 후 경화시켜 디자인 조각물(400)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컬러 논슬립부(300)에 음각 도장을 이용하여 형성된 음각홈에 혼합물을 채운 후 경화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디자인 조각물(400)을 박아놓은 것과 같은 미려함을 얻을 수 있고, 어떠한 외압이나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음각 도장 부위가 파손 또는 손상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미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립형 충진 방식과 음각 도장형 충진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 조각물(400)은 주제인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으로, 컬러 발현이 우수하고, 빛에 따른 색상변화로 감성적 심미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디자인 조각물(400)은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채, 컬러 논슬립부(300)에 단일화된 유닛으로 고정 셋팅되면서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장식미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서도 단일화된 디자인 조각물(400)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레임의 충진홈 내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컬러 논슬립부를 형성하여 컬러 논슬립 데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컬러 논슬립 데크에 대한 물성을 시험하였다. 이때, 물성 시험은 컬러 논슬립 데크를 KS F 3230:2013에서 규정한 방법에 따라 압축강도, 휨강도 및 미끄럼 저항성(BPN, British Pendulum Number) 시험을 실시하여 측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측정결과

압축강도(MPa)
1차 25
2차 24
3차 23

휨강도(MPa)
1차 7.6
2차 7.8
3차 7.3
미끄럼 저항성(BPN) 86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컬러 논슬립 데크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에서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시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컬러 논슬립 데크가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끄럼 저항성 시험의 경우 측정값이 높을수록 우수한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컬러 논슬립 데크는 미끄럼 저항성이 86(BPN)을 확보하는 결과에 따라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충진홈
120 : 돌출부 200 : 프라이머
300 : 컬러 논슬립부 400 : 디자인 조각물

Claims (14)

  1.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이 함몰 형성되는 프레임(100);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200); 및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및 콩자갈을 포함한 충진재를 교반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형성되는 컬러 논슬립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합성목재, 천연목재, 스테인리스, 갈바, 금속, 석재, 플라스틱, FRP,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불소수지가 도포되며,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혼합물은 이액형 바인더와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가공규사는 입자 크기가 1~2㎜로 분쇄한 것이며,
    상기 돌가루는 자갈을 2~5㎜의 크기로 분쇄한 것이고,
    상기 충진재는 컬러규사 30~40 중량부, 가공규사 15~20 중량부, 돌가루 15~20중량부, 콩자갈 10~20 중량부, 코르크칩 5~10 중량부 및 탄성고무칩 5~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액형 바인더는 폴리올계 주제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계 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되고,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디자인 조각물(400)이 형성되며,
    상기 디자인 조각물(400)은 주제인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광감응 안료를 혼합 및 경화시켜 제조되고,
    상기 광감응 안료는 스피로피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논슬립 데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프레임(10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충진홈(110)을 함몰 형성하는 충진홈 성형단계;
    상기 충진홈(110)의 내면에 프라이머(20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이액형 바인더와 컬러규사, 가공규사, 돌가루, 콩자갈, 코르크칩 및 탄성고무칩을 포함한 충진재를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200)가 도포된 충진홈(110)에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압착 및 다짐하여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하는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0)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불소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충진재는 컬러규사 30~40 중량부, 가공규사 15~20 중량부, 돌가루 15~20중량부, 콩자갈 10~20 중량부, 코르크칩 5~10 중량부 및 탄성고무칩 5~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에서 컬러 논슬립부(300)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에 글자, 숫자, 기호, 그림, 문양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형태가 조각된 음각 도장을 이용하여 음각홈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홈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와 스피로피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광감응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채운 후 경화시켜 디자인 조각물(400)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컬러 논슬립부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컬러 논슬립부(300)의 표면에 UV차단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논슬립 데크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30034380A 2023-03-16 2023-03-16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380A KR102575882B1 (ko) 2023-03-16 2023-03-16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380A KR102575882B1 (ko) 2023-03-16 2023-03-16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882B1 true KR102575882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380A KR102575882B1 (ko) 2023-03-16 2023-03-16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8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275B1 (ko) * 2014-09-20 2015-04-17 최찬우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81819A (ko) * 2014-01-07 2015-07-15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20160035892A (ko) * 2014-09-24 2016-04-01 김재호 미끄럼 방지 문양이 형성된 목제 데크 제작방법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102432343B1 (ko) 2021-11-10 2022-08-16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819A (ko) * 2014-01-07 2015-07-15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512275B1 (ko) * 2014-09-20 2015-04-17 최찬우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35892A (ko) * 2014-09-24 2016-04-01 김재호 미끄럼 방지 문양이 형성된 목제 데크 제작방법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102432343B1 (ko) 2021-11-10 2022-08-16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829B2 (en) Cast photoluminescent devices and photoluminescent inserts for substrates
KR102575882B1 (ko) 컬러 논슬립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1390A (ko)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
KR102432343B1 (ko)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439705B1 (ko) 유리입자가함유된결합성재료의표면마감처리판
JP2020163854A (ja) 面材
JP2018048546A (ja) 面材
KR101445710B1 (ko)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DE4212925A1 (de) Bauelement, insbesondere belagelement
RU229038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носостойкого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RU2247139C2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камень и его структура
CN201016211Y (zh) 复合仿玉石扣地板
KR970002024B1 (ko) 보도용 투수 유리 블럭 제조방법
KR0136641B1 (ko) 논슬립 및 방수성을 갖는 수지포장재 및 그 포장시공방법
GB2345269A (en) Painted and sealed rubber tiles
CN204676811U (zh) 一种在建筑物墙体上的仿真石材覆盖层
JPH11292597A (ja) 人造石成形体
KR101283806B1 (ko) 야광기능 및 다양한 외관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제조방법
GB2200384A (en) A paving slab or a tile with a picture or message
KR100877352B1 (ko) 도로표지도료용 유리알을 이용한 탄성포장층의 포장방법
CN205206247U (zh) 水性彩色固化地坪
KR200344661Y1 (ko)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능성 마감 패널
KR100636024B1 (ko) 명색 야광 우레탄을 이용한 포장재의 포장구조 및 그포장방법.
KR102413086B1 (ko) 규사 데크 및 그 제조방법
RU79305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накрывно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