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845B1 -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845B1
KR102077845B1 KR1020170137716A KR20170137716A KR102077845B1 KR 102077845 B1 KR102077845 B1 KR 102077845B1 KR 1020170137716 A KR1020170137716 A KR 1020170137716A KR 20170137716 A KR20170137716 A KR 20170137716A KR 102077845 B1 KR102077845 B1 KR 10207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ixing
deck
coupl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991A (ko
Inventor
백승호
Original Assignee
백석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백석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17013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8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크는, 건물의 옥상 또는 옥외공간 등에 조경이나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시공될 수 있다. 특히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면과 데크를 위치 고정시키므로,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는 고정부재, 지주부재,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데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 시공방법은 건물의 옥상 또는 옥외공간 등에 조경이나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데크 시공방법은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고정부재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지주부재를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제1지지부재를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제2지지부재를 지주부재 및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및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DECK AND DECK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데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는 등산로나 공원 내에 위치한 산책로 또는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한 보도, 전원주택이나 팬션 등의 테라스 등에 보행자의 편의성과 깨끗한 환경을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데크는 건물의 옥상이나 옥외 공간에 방수처리가 된 바닥면에 조경을 위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데크는 데크의 하방 지지구조를 바닥에 앵커볼트나 스크류 등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크를 방수처리가 된 바닥면에 시공하면, 바닥면을 손상시켜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닥면의 손상을 막기 위해 데크를 바닥면에 고정시키지 않는다면, 구조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각 모서리나 벽 부분 등에 고정을 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공간 일부분에만 시공이 어렵고, 공간전체에 시공하는 것만 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4635호(2017.08.29.등록)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라 데크구조물을 시공하는데, 건물 옥상 등의 방수처리가 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경우에는 바닥면을 손상시켜 방수기능을 상실케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은,
바닥면을 향하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고정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주부재를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를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지주부재 및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및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를 접촉부에 대하여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 지주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인 지주부재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를 접촉부와 평행하는 면이 형성되도록 굴곡시켜 완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는, 고정부재와 바닥면 사이에 완충패드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의 지주부재고정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멍 형태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고정부재상에 지주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는, 결합공에 지주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지주부재고정부에 접촉된 지주부재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고정부재에 지주부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를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및 제2지지부재를 지주부재 및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는 바닥면 보호를 위해 보호매트를 바닥면 위에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데크는,
바닥면을 향하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지주부재,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지주부재와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주부재 및 제1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데크부재를 포함하는 데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접촉부로부터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져 연장하여 형성되며, 지주부재를 지지하는 지주부재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접촉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고정부재를 접촉부와 평행하는 면이 구비되도록 굴곡시켜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와 바닥면의 사이에 개재된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패드의 상면에는 고정부재의 접촉부 하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주부재고정부에는 결합공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데크 시공시, 데크가 시공되는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수기능을 유지하고, 데크를 바닥면에 고정하며, 시공 과정을 간단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고정부재와 지주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완충패드가 결합된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데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데크(100)는, 건물의 옥상 또는 옥외공간 등에 조경이나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시공될 수 있다. 특히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면과 데크(100)를 위치 고정시키므로,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100)는 고정부재(110),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제2지지부재(140), 데크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은 건물의 옥상이나 옥외공간의 바닥면일 수 있다. 바닥면은 방수를 위해 우레탄 등의 소재로 방수처리가 될 수 있다.
도 2는 고정부재와 지주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10)는 데크(100)가 시공되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부재이고, 강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형의 접촉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11)의 하면은 바닥면과 접촉 될 수 있으며, 접촉부(111)의 하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으로 구성되고,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은 凹凸의 형상이 나열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요철은 접촉부(111)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는 접촉부(111)로부터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져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주부재고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a) 참조) 지주부재고정부(113)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면에 지주부재(120)를 기대어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고정부(113)에 형성되는 면에도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재고정부(113)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멍 형태의 결합공(114)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공(114)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결합공(114)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스, 스크류, 볼트 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피스, 스크류, 볼트 등의 외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는 접촉부(1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고정부재(110)를 접촉부(111)와 평행하는 면이 구비되도록 굴곡시켜 형성되는 완충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b) 참조) 완충부(112)에는 접촉부(111)와 평행하는 면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12)에는 굴곡되는 부분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112)는 ㄷ자 또는 ㄹ자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완충패드(116)가 결합된 고정부재(110)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10)와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의 완충패드(116)가 개재될 수 있다. 완충패드(116)의 하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패드(116)는 바닥면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고정 될 수 있다. 완충패드(116)의 상면은 고정부재(110)의 접촉부(111)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완충패드(116)의 상면에는 고정부재(110)의 접촉부(111) 하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패드(116)는 고정부재(110)의 접촉부(111) 하면 및 완충패드(116)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의 상보적인 형태에 따라 맞물려 접촉될 수 있다. 완충패드(116)는 탄성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패드(116)와 고정부재(11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고정 될 수 있다.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및 제2지지부재(140)는 막대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및 제2지지부재(140)는 사각파이프, 삼각파이프, 원형파이프, 사각 스틱, 삼각 스틱, 원형 스틱 등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태일 수 있다.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및 제2지지부재(140)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및 제2지지부재(140)는 데크가 시공되는 바닥면으로부터 데크(100) 상판의 높이나 데크(100) 상판의 넓이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재(12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주부재(120)는 지주부재고정부(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주부재고정부(113)의 결합공(114)에 피스, 스크류, 볼트 등의 체결부재(115)를 삽입시켜 지주부재고정부(113)에 지지된 지주부재(12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110)에 지주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다. 지주부재(120)에는 결합공(114)에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를 가진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115)가 구멍을 통해 관통되므로 고정부재(110)와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120)와 지주부재고정부(113)는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3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지주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30)는 지주부재(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30)는 지주부재(120)와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제1지지부재(13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주부재(120) 및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0)는 지주부재(120)의 측면에, 제1지지부재(1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0)는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데크부재(150)는 판형의 목재일 수 있다. 데크부재(150)는 데크(100)의 넓이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데크부재(150)는 제1지지부재(130) 또는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부재(150)를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피스, 스크류, 볼트 등을 관통삽입하여 제2지지부재(14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부재(150)를 접착제를 이용해서 제2지지부재(14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100) 시공방법은 건물의 옥상 또는 옥외공간 등에 조경이나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데크(100)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데크(100) 시공방법은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 고정부재(110)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는 단계,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와 결합하는 단계, 제2지지부재(140)를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하는 단계 및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데크부재(150)를 결합하여 데크(1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데크(100)가 시공되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고정부재(110)는 판형의 접촉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부(111)의 하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부재를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철판 등의 판형의 부재를 절삭하는 단계 및 판형의 부재의 일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준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를 접촉부(111)에 대하여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 지주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주부재고정부(113)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주부재고정부(113)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철판을 50mm*110mm의 크기로 절삭 후, 수직으로 굽혀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를 접촉부(111)와 평행하는 면이 형성되도록 굴곡시켜 완충부(112)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에 완충부(112)를 형성한 후에 지주부재고정부(113)를 형성하는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112)를 형성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를 굴곡시키는 단계를 복수 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10)를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180도 굴곡시키고, 굴곡된 부분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굴곡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과정이 반복 될 수 있다.
고정부재(110)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접착 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고정부재(110)를 바닥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접촉부(111)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데크(100)를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접촉부(111)를 접착시킨 후,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액상 접착제뿐만 아니라 접착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10)를 바닥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접촉부(111) 하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과 접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와 바닥면 사이에 완충패드(116)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패드(116)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의 하면과 완충패드(116)의 상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116)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의 하면과 완충패드(116)의 상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116)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는 완충패드(116)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닥면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116)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는 완충패드(116)의 하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고정부재와 지주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는 단계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지주부재(120)를 바닥면에 위치 고정 되어있는 고정부재(11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는 단계는, 금속 파이프 등의 지주부재(120)를 일정한 길이로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는 과정은, 데크(100) 상판의 넓이에 따라서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부재(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고정부재(110)의 지주부재고정부(113)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멍 형태의 결합공(114)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는 단계는, 결합공(114)에 지주부재(120)와 고정부재(110)를 결합하는 체결부재(115)를 삽입시켜, 지주부재고정부(113)에 지지된 지주부재(12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고정부재(110)에 지주부재(120)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재고정부(113)에 결합공(114)이 다수 형성될 수 있고, 결합공(114)을 형성하는 과정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기 위해 결합공(114)에 체결부재(115)를 삽입시키고, 지주부재(120)를 관통시키는 과정도 결합공(114)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하는 단계는, 지주부재(120)와 지주부재고정부(113)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재(120)와 지주부재고정부(113)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는 바닥면의 보호를 위해 보호매트를 바닥면 위에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의 결합시에 용접을 하게되면 용접시 발생하는 불꽃이 바닥에 튀어 바닥면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와 결합하는 단계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지지부재(130)를 고정부재(110)와 결합된 지주부재(120)에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와 결합하는 단계는,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에 지지시키고,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와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100) 상판의 넓이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와 결합하는 단계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40)를 상기 지주부재(120) 및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하는 단계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제1지지부재(13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제2지지부재(140)를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40)를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하는 단계는, 제2지지부재(140)를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에 지지시키고, 제2지지부재(140)를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30)를 지주부재(120)와 결합하는 단계 및 제2지지부재(140)를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하는 단계는 바닥면의 보호를 위해 보호매트를 바닥면 위에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제2지지부재(140)의 결합시에 용접을 하게되면 용접시 발생하는 불꽃이 바닥에 튀어 바닥면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데크부재(150)를 결합하여 데크(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지주부재(120) 및 제1지지부재(130)와 결합된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데크부재(15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데크부재(150)를 위치시키고 피스, 스크류, 볼트 등의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데크부재(150)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지지부재(140)의 상면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데크(100)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데크(100)를 시공할 때, 스크류,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홈을 형성하므로 바닥면을 손상시켜서 방수기능을 망가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데크(100)를 시공할 때, 고정부재(110) 또는 완충패드(116)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이용하므로,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아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고정부재(110)에 지주부재(120)를 결합할 때에도 용접을 이용하여 용접불꽃이 방수처리된 바닥에 튀어 방수기능이 망가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지주부재(120)를 고정부재(110)에 체결부재(115)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바닥면의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120), 제1지지부재(130), 제2지지부재(140)를 각각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접을 이용하더라도, 용접하기 전에 보호매트로 바닥면을 덮어 보호하므로, 용접불꽃이 바닥면에 튀어 바닥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막고, 바닥면의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의 접촉부(111) 하면 및 완충패드(116)의 하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바닥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116)는 고정부재(110)의 접촉부(111) 하면 및 완충패드(116)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의 상보적인 형태에 따라 맞물려 접착 될 수 있으므로, 접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성이 우수한 소재의 완충패드(116)를 사용하여, 고정부재(110) 및 바닥면과 완충패드(116)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가 완충부(112)를 포함하므로, 데크(100) 상판에 충격이 가해지면, 완충부(112)가 압축되어 스프링과 유사한 기능을 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와 바닥면 사이에 탄성소재의 완충패드(116)가 개재되므로, 데크(100) 상판에 충격이 가해지면, 완충패드(116)가 상하로 압축되므로,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데크
110 : 고정부재
120 : 지주부재
130 : 제1지지부재
140 : 제2지지부재
150 : 데크부재
111 : 접촉부
112 : 완충부
113 : 지주부재고정부
114 : 결합공
115 : 체결부재
116 : 완충패드

Claims (12)

  1.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주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 상기 지주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인 지주부재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지주부재고정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멍 형태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공에 상기 지주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상기 지주부재고정부에 지지된 상기 지주부재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지주부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접촉부와 평행하는 면이 형성되도록 굴곡시켜 완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
  4.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주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완충패드를 개재시켜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
  5. 삭제
  6.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주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및
    상기 제2지지부재를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바닥면의 보호를 위해 보호매트를 상기 바닥면 위에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시공방법.
  7. 구조물의 방수처리된 바닥면;에 시공되는 데크로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 판형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지주부재;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기 지주부재와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지주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데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져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주부재를 지지하는 지주부재고정부;를 포함하는, 데크.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접촉부와 평행하는 면이 구비되도록 굴곡시켜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데크.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개재된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데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접촉부 하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는, 데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고정부에는 결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데크.
KR1020170137716A 2017-10-23 2017-10-23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KR10207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16A KR102077845B1 (ko) 2017-10-23 2017-10-23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16A KR102077845B1 (ko) 2017-10-23 2017-10-23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91A KR20190044991A (ko) 2019-05-02
KR102077845B1 true KR102077845B1 (ko) 2020-02-14

Family

ID=6658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716A KR102077845B1 (ko) 2017-10-23 2017-10-23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488A (ko) 2021-10-06 2023-05-02 (주)태평양기술산업 데크 고정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알루미늄 바닥판 구조물 및 복합소재 알루미늄 바닥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r_crane&logNo=22096810700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2017. 3.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488A (ko) 2021-10-06 2023-05-02 (주)태평양기술산업 데크 고정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알루미늄 바닥판 구조물 및 복합소재 알루미늄 바닥판 구조물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91A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81B1 (ko)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US9631360B2 (en) Insulating wall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KR101176363B1 (ko) 데크 체결용 연결구
US20160010875A1 (en) Heating panel with floating floor structure
KR102077845B1 (ko)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KR20210053523A (ko)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KR102241551B1 (ko) ㄷ자형 앵글시스템
KR102281507B1 (ko) 방수 구조 시공 방법
KR101684686B1 (ko) 건축설비 내진 및 면진용 가대
JP5748325B2 (ja) スレート屋根用ソーラーパネル取付台
KR102028889B1 (ko) 슬라이딩 레일 끼움 방식의 데크 조립 시스템
JP6198296B2 (ja) 天井構造
KR101068472B1 (ko) 벽체용 패널 이음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123717B2 (ja) 床用目地カバー装置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JP6317595B2 (ja) 瓦棒葺き屋根の雪止め構造を伴った防水構造、および、瓦棒葺き屋根の雪止め工法を伴った防水工法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KR10126348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JP5829938B2 (ja) 地下貯留槽
KR101029748B1 (ko) 이중바닥 구조를 갖는 저수조
JP2016003432A (ja) 床下空間の断熱構造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