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51B1 - ㄷ자형 앵글시스템 - Google Patents

ㄷ자형 앵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51B1
KR102241551B1 KR1020200167893A KR20200167893A KR102241551B1 KR 102241551 B1 KR102241551 B1 KR 102241551B1 KR 1020200167893 A KR1020200167893 A KR 1020200167893A KR 20200167893 A KR20200167893 A KR 20200167893A KR 102241551 B1 KR102241551 B1 KR 10224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angle
anchor
anchor bolt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민
전은택
Original Assignee
전광민
전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민, 전은택 filed Critical 전광민
Priority to KR102020016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본 발명은 ㄷ자형 앵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머리 부분(111)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삽입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돌출되는 앙카볼트(110)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110)의 외주에 결합되는 앙카캡(120)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10)에 시공되는 단열재(20)에 정면부(131)가 대응되고 상기 정면부(131)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132,133)가 상기 단열재(20)에 삽입되며, 상기 정면부(131)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110)가 관통하는 관통장공(131a)이 형성되는 ㄷ자 앵글(130)과 상기 ㄷ자 앵글(130)에 접촉되는 일측면부(141)와 상기 일측면부(141)와 직교하는 타측면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면부(141)에 상기 관통장공(131a)과 연통되는 연통장공(141a)이 형성되는 L자 앵글(140)과, 상기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상기 L자 앵글(140)의 연통장공(141a)을 관통한 상기 앙카볼트(110)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앙카볼트(110)와 상기 앙카캡(120)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앙카너트(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앙카볼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ㄷ자형 앵글시스템{Install assembly of angle}
본 발명은 ㄷ자형 앵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시공하기 위한 ㄷ자형 앵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체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오랫동안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벽체에 석재를 시공하여 건물의 외벽을 마감한다. 석재는 외장재로서 화강석, 문경석, 대리석, 라임스톤, 샌드스톤 등이 사용된다.
석재의 시공은 건식공법과 습식공법이 있으며, 현재는 시멘트, 모래, 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앵글을 이용하여 석재를 시공하는 건식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건식공법은 석재의 색상을 보존할 수 있고 지진이나 충격 방지에 좋으며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석재는 콘크리트 벽체와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벽체가 강우 및 외부 습기에 의해 보호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석재의 시공은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에 앙카홀이 형성된 벽체 고정캡을 용접하고, 벽체 고정캡의 앙카홀에 고정앙카를 체결하고 건물의 벽체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지지프레임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처짐 및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용접 접합 구조로 인해 석재에 대한 하중 지지력이 더욱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배치하는 경우, 단열재의 두께 이상으로 고정앙카가 건물의 벽체에서 돌출되는 구조가 되어, 고정앙카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욱 증가되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정앙카의 처짐 및 변형이 쉽게 발생되고, 심한 경우 고정앙카가 벽체에서 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535770호(2015.07.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벽체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건물의 벽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앙카볼트를 적용하며, 앙카볼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재 시공의 편의성이 높고 석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단열재의 손상이 방지되며 단열재와 석재를 분리 고정할 수 있는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머리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에 삽입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앙카볼트와,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앙카볼트의 외주에 결합되는 앙카캡과,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되는 단열재에 정면부가 대응되고 정면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가 상기 단열재에 삽입되며 정면부에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앙카볼트가 관통하는 관통장공이 형성되는 ㄷ자 앵글과, ㄷ자 앵글에 접촉되는 일측면부와, 일측면부와 직교하는 타측면부를 포함하며 일측면부에 관통장공과 연통되는 연통장공이 형성되는 L자 앵글과, ㄷ자 앵글의 관통장공과 L자 앵글의 연통장공을 관통한 앙카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앙카볼트와 앙카캡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앙카너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L자 앵글의 타측면부에 안착되며, 상기 L자 앵글의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과 연통되는 고정장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끼움공이 형성된 길이조정판을 더 포함한다.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길이조정판의 고정장공을 관통하는 근각볼트와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길이조정판의 고정장공을 관통한 근각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근각너트를 더 포함한다.
끼움공에 끼워져 일부는 길이조정판의 상부로 돌출되고 일부는 길이조정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한다.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고, 앙카캡은 상기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일부가 벌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L자 앵글과 앙카너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앙카볼트에는 제1 와셔가 결합되고, 길이조정판과 근각너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근각볼트에는 제2 와셔가 결합된다.
관통장공과 연통장공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고, 체결장공과 고정장공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길이조정판은 선단 양측에 라운드진 형상의 모깍기부가 형성된다.
고정핀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납작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다.
와셔는 스프링 와셔인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공에 끼워진 고정핀 중 길이조정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상부 석재가 끼움 결합되고, 길이조정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하부 석재가 끼움 결합된다.
앙카볼트와 ㄷ자 앵글의 사이에 진동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앙카볼트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ㄷ자형 앵글시스템은 머리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에 삽입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앙카너트를 포함한다.
ㄷ자형 앵글시스템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의 외주에 결합되는 앙카캡;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되는 단열재에 정면부가 대응되고 상기 정면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가 상기 단열재에 삽입되며, 상기 정면부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가 관통하는 관통장공이 형성되는 ㄷ자 앵글; 및 상기 ㄷ자 앵글에 접촉되는 일측면부와 상기 일측면부와 직교하는 타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면부에 상기 관통장공과 연통되는 연통장공이 형성되는 L자 앵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앙카너트는, 상기 ㄷ자 앵글의 관통장공과 상기 L자 앵글의 연통장공을 관통한 상기 앙카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캡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L자 앵글의 타측면부에 안착되며, 상기 L자 앵글의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과 연통되는 고정장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끼움공이 형성된 길이조정판; 상기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고정장공을 관통하는 근각볼트; 상기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고정장공을 관통한 상기 근각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근각너트;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일부는 상기 길이조정판의 상부로 돌출되고 일부는 상기 길이조정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고, 상기 앙카캡은 상기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일부가 벌어지는 형상이며, 상기 L자 앵글과 상기 앙카너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앙카볼트에는 제1 와셔가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정판과 상기 근각너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근각볼트에는 제2 와셔가 결합되며, 상기 관통장공과 상기 연통장공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장공과 상기 고정장공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길이조정판은 선단 양측에 라운드진 형상의 모깍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납작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와셔는 스프링 와셔이며,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고정핀 중 상기 길이조정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상부 석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정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하부 석재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진동지지부재는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ㄷ자 앵글의 사이를 서로 지지하여 유격에 의한 상기 앙카볼트 및 상기 ㄷ자 앵글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지진에 대한 내진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진동지지부재는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진동지지부재는 상기 ㄷ자 앵글의 사이를 서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유격에 의한 앙카볼트와 ㄷ자 앵글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ㄷ자 앵글과 상기 L자 앵글의 사이에 제1 진동흡수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ㄷ자 앵글의 관통장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이며, 상기 L자 앵글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사이에 제2 진동흡수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는 폭이 상기 L자 앵글의 폭에 대응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L자 앵글의 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길이조정판의 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는 길이가 되도록 상기 L자 앵글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근각볼트는 나사부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앙카너트 및 상기 근각너트에 대한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근각너트의 풀림이 방지된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나일론 또는 상기 나사부에 배치된 고무링이다.
상기 근각볼트의 머리부에 자성물질이 구비된다.
상기 ㄷ자 앵글, 상기 L자 앵글, 상기 앙카너트, 상기 근각볼트, 상기 근각너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된 것이며, 상기 길이조정판, 상기 고정핀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자파 차폐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차폐 금속은 황동 계열의 합금금속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에 앙카볼트를 고정하고, 콘크리트 벽체에서 돌출된 앙카볼트 부분에 단열재와 ㄷ자 앵글을 고정시키므로 앙카볼트와 앙카캡이 조여지는 힘을 콘크리트 벽체와 ㄷ자 앵글이 함께 지지하여 앙카볼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앙카볼트를 조이는 것에서 앙카볼트의 확장되는 직경의 머리 부분이 앙카캡에 삽입되고, 앙카캡이 벌어지면서 콘크리트에 밀착되므로 앙카볼트가 콘크리트 벽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ㄷ자 앵글을 적용하므로 단열재의 손상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단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와 석재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게 석재를 시공하므로 강우 및 외부 습기로부터 건물의 벽체와 단열재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또는 다른 충격파에 시공된 석재가 일정 부분 흔들리면서 충격을 견뎌 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진동흡수부재와 제2 진동흡수부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진동흡수 효과를 극대화하여 지진 또는 다른 충격파에 시공된 석재가 일정 부분 흔들리면서 충격을 견뎌 내는 과정에서 그 진동이 제1 진동흡수부재와 제2 진동흡수부재에서 흡수하여 진동이 ㄷ자 앵글이나 앙카볼트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네 로써 앙카볼트의 고정력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앙카볼트와 근각볼트의 나사부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앙카볼트와 앙카너트 및 근각볼트와 근각너트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앙카볼트와 근각너트의 풀림 방지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각볼트의 머리부에 자성물질이 일체로 구비되어, 드라이브와 자성에 의해 근각볼트와 드라이브가 붙은 상태에서 근각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근각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근각볼트의 낙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정판과 고정핀이 스테인레스 스틸과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자파 차폐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되므로, 인체에 해로운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 아니라 낙뢰 등에 의한 전파가 고정핀(190) 및 길이조정판(160)을 통해 건물로 유입되는 것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시공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건물의 벽체를 따라 설치하고 석재를 고정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의 ㄷ자 앵글과 앙카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시공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건물의 벽체(10)에 단열재(20)를 시공하고, 단열재(20)와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게 석재(30)를 시공한다. 단열재(20)는 외부 단열재로서 건물의 단열을 담당하고, 단열재(20)와 석재(30)의 사이의 일정 공간은 강우 및 외부 습기로부터 건물의 벽체(10)와 단열재(20)를 보호하여 건물의 벽체(10)와 단열재(20)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단열재(20)와 석재(30)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단열재(20)와 석재(30)의 이격거리는 20mm~6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열재(20)와 석재(30)의 이격거리가 짧으면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건물의 벽체(10)는 콘크리트 벽체이다. 단열재(20)는 우레탄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석재(30)는 외장재로서 화강석, 문경석, 대리석, 라임스톤, 샌드스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건물의 벽체(10)에 단열재(20)와 분리하여 시공된 석재(30)는 건물의 외벽을 형성한다.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콘크리트 벽체(10)에 단열재(20)를 고정하고 단열재(20)와 이격되게 석재(30)를 시공한다.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앙카볼트(110), 앙카캡(120), ㄷ자 앵글(130), L자 앵글(140), 앙카너트(150), 길이조정판(160), 근각볼트(170), 근각너트(180) 및 고정핀(190)을 포함한다.
앙카볼트(110)는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된다. 앙카볼트(110)는 머리 부분(111)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삽입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돌출된다. 앙카볼트(110)는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 후, 앙카너트(150)를 이용하여 ㄷ자 앵글(130)과 L자 앵글(140) 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앙카볼트(110)는 단열재(20)를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단열재(20)의 두께보다 길다. 앙카볼트(110)는 앙카캡(120)과 같이 조여져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된다.
앙카캡(120)은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돌출된 앙카볼트(110)의 외주에 결합된다. 앙카캡(12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앙카볼트(110)의 외주에 끼움 결합된다. 앙카캡(120)은 앙카볼트(110)가 조여지는 과정에서 앙카볼트(110)와 함께 조여져 앙카볼트(110)를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ㄷ자 앵글(130)은 단열재(20)에 고정시켜 앙카볼트(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ㄷ자 앵글(130)은 단열재(20)의 손상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ㄷ자 앵글(130)은 단열재(20)를 파내지 않고도 단열재(20)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단열재(20)의 손상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단열재(20)가 손상되면 단열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ㄷ자 앵글(130)은 단열재(20)에 정면부(131)가 대응되고, 정면부(131)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132,133)가 단열재(20)에 삽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ㄷ자 앵글(130)은 정면부(131)와 정면부(131)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132,133)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ㄷ자 앵글(130)의 정면부(131)와 양측부(132,133)는 지지력이 우수하도록 각각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ㄷ자 앵글(130)은 정면부(131)에 관통장공(도 3의 도면 부호 131a)이 형성된다. 관통장공(131a)은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돌출된 앙카볼트(110)가 관통한다.
ㄷ자 앵글(130)은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연도금하여 부식으로부터 강하도록 할 수 있다.
ㄷ자 앵글(130)의 정면부(131)에 L자 앵글(140)이 결합된다. L자 앵글(140)은 단열재(20)와 석재(30)를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L자 앵글(140)은 ㄷ자 앵글(130)에 면접촉되는 일측면부(141) 및 일측면부(141)와 직교하는 타측면부(142)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L자 앵글(140)은 일측면부(141)에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연통되는 연통장공(141a)이 형성된다.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L자 앵글(140)의 연통장공(141a)을 관통한 앙카볼트(110)의 단부에 앙카너트(150)가 체결된다. 앙카볼트(110)의 단부에 앙카너트(150)가 체결되고 조여지면 앙카볼트(110)와 앙카캡(120)이 함께 조여지고 앙카볼트(110)가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된다.
그 원리는, 앙카너트(150)가 앙카볼트(110)에 조여지면 앙카볼트(110)가 앙카너트(15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앙카볼트(110)의 머리 부분(11)이 앙카캡(120)에 삽입되고, 앙카캡(120)이 벌어지면서 콘크리트에 밀착되므로 앙카볼트(110)가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앙카캡(120)은 일부가 콘크리트 벽체(10)에 삽입 고정된다. 그에 따라 앙카너트(150)를 조이는 과정에서 앙카볼트(110)만 앙카너트(15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앙카볼트(110)의 머리 부분(111)이 앙카캡(12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L자 앵글(140)과 앙카너트(150)의 사이에 해당하는 앙카볼트(110)의 외주에는 제1 와셔(155)가 결합된다. 제1 와셔(155)는 앙카볼트(110)에 체결된 앙카너트(150)의 풀림을 방지한다. 제1 와셔(155)는 원형의 평와셔 또는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 이 중 스프링 와셔는 앙카너트(150)가 회전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힘으로 앙카너트(150)를 가압하게 되므로 앙카너트(150)의 풀림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스프링와셔는 상하로 진동하고 건물의 진동을 흡수하여 석재의 흔들림을 막아줄 수 있다.
더욱이, ㄷ자 앵글(130)은 양측부(132,133)가 단열재(20)에 삽입되어 단열재(20)를 콘크리트 벽체(10)에 밀착하는 구성이므로 단열재(20)를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앙카볼트(110)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더욱이, ㄷ자 앵글(130)의 정면부(131)와 L자 앵글(140)의 일측면부(141)가 겹쳐져 형성된 두꺼운 두께로 앙카볼트(110)의 돌출 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앙카볼트(110)의 고정력이 더욱 향상된다.
길이조정판(16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길이조정판(160)은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142)에 면접촉되게 안착되고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142)와 근각볼트(170) 및 근각너트(180)로 고정된다. 길이조정판(160)은 L자 앵글(140)의 타측면과 상호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단열재(20)와 석재(30)의 이격거리를 짧게하거나 크게 조정할 수 있다.
길이조정판(160)은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142a)과 연통되는 고정장공(160a)이 형성된다. 근각볼트(170)는 L자 앵글(140)의 체결장공(142a)과 길이조정판(160)의 고정장공(160a)을 관통하고, 근각너트(180)는 L자 앵글(140)의 체결장공(142a)과 길이조정판(160)의 고정장공(160a)을 관통한 근각볼트(170)의 단부에 체결되어 길이조정판(160)을 L자 앵글(140)에 고정할 수 있다.
길이조정판(160)과 근각너트(180)의 사이에 해당하는 근각볼트(170)의 외주에는 제2 와셔(185)가 결합된다. 제2 와셔(185)는 근각볼트(170)에 체결된 근각너트(180)의 풀림을 방지한다. 제2 와셔(185)는 원형의 평와셔 또는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 스프링 와셔는 근각너트(180)가 회전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힘으로 근각너트(180)를 가압하게 되므로 근각너트(180)의 풀림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길이조정판(160)은 선단에 끼움공(도 2의 도면 부호 160b)이 형성된다. 끼움공(160b)에 고정핀(190)이 끼워진다. 끼움공(160b)에 끼워진 고정핀(190)은 일부가 길이조정판(160)의 상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가 길이조정판(160)의 하부로 돌출된다.
끼움공(160b)에 끼워진 고정핀(190) 중 길이조정판(160)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상부 석재(30a)가 끼움 결합되고, 길이조정판(160)의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하부 석재(30b)가 끼움 결합됩니다.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는 고정핀(190)이 결합되는 핀구멍(31)이 형성된다. 핀구멍(31)은 길이조정판(16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된 고정핀(190)의 폭 및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도록 형성하여 지진 또는 다른 충격파에 시공된 석재(30)가 일정 부분 흔들리면서 충격을 견뎌 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앙카볼트(110)의 외주에 앙카캡(120)이 결합되고, 앙카볼트(110)의 단부가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L자 앵글(140)의 연통장공(141a)을 관통하며, 관통장공(131a)과 연통장공(141a)을 관통한 앙카볼트(110)의 단부에 제1 와셔(155)와 앙카너트(150)가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앙카볼트(110)의 머리 부분(111)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고, 앙카캡(120)은 앙카볼트(110)의 머리 부분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일부가 벌어지는 형상이다. 앙카볼트(110)의 머리 부분(111)은 앙카캡(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앙카캡(120)의 내경을 확장시킨다. 일 예로, 앙카캡(120)은 앙카볼트(110)의 머리 부분(111)의 완만한 경사가 앙카캡(12)에 삽입되는 힘에 의해 내경이 확장될 수 있는 형상이다.
앙카볼트(110)에서 머리 부분(111)과 반대측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L자 앵글(140)의 체결장공(142a)과 길이조정판(160)의 고정장공(160a)이 연통되도록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142)의 상면에 길이조정판(160)이 배치되고, 근각볼트(170)의 단부가 L자 앵글(140)의 체결장공(142a)과 길이조정판(160)의 고정장공(160a)을 관통한다.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을 관통한 근각볼트(170)의 단부에 제2 와셔와 근각너트(180)가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관통장공(131a)과 연통장공(141a)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고,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관통장공(131a)과 연통장공(141a)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면, ㄷ자 앵글(130)에 대해 상하좌우 장공의 길이만큼 L자 앵글(140)을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석재(30)의 시공시 석재(30)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추기 용이하다. 후술할 고정핀(190)으로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를 연결시킬 때, 고정핀(190)의 위치와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에 타공되어 형성되는 핀구멍(31)의 위치가 정확해야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를 단차없이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ㄷ자 앵글(130)에 대한 L자 앵글(140)의 상대적인 고정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석재(30)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조정판(160)과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142)와 상호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열재(20)와 석재(30)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은 단열재(20)와 석재(30)의 이격거리를 규정하는 방향으로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142)와 길이조정판(160)에 각각 길게 형성된다.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이 원형으로 형성되면 단열재(20)와 석재(30)의 이격거리를 짧게하거나 크게 조정할 수 없다.
또한,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길이조정판(160)의 선단에 끼움공(160b)이 형성되고 끼움공(160b)에 고정핀(190)이 상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길이조정판(160)은 선단 양측에 라운드진 형상의 모깍기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모깍기부(161)는 고정핀(190)에 결합되는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제공하여 줄눈 시공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다.
고정핀(19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납작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다. 고정핀(190)의 형상은 끼움공(160b)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190)이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앙카볼트(110), 앙카캡(120), ㄷ자 앵글(130), L자 앵글(140), 앙카너트(150), 길이조정판(160), 근각볼트(170), 근각너트(180) 및 고정핀(190)은 탄소강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술한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시공하는 방법은 우선, 콘크리트 벽체(10)에 앙카캡(120)을 결합한 앙카볼트(11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일 예로, 콘크리트 벽체(10)에 드릴로 소정 깊이로 천공한 다음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을 삽입하고 망치로 항타하여 앙카볼트(110)를 건물의 벽체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벽체(10)에 드릴로 천공하는 과정에서 드릴의 유동으로 앙카볼트(110)를 삽입하는 홀에 유격이 발생하여도, 앙카캡(120)이 앙카볼트(110)에 강력하게 체결되므로 콘크리트 벽체(10)에 삽되고 앙카캡(120)의 내측이 확장된 후에는 진동에도 앙카볼트(110)가 콘크리트 벽체(10)에서 빠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에 단열재(20)를 시공하고, 단열재(20)에 ㄷ자 앵글(130)을 끼움 결합한다. 이때, 앙카볼트(110)의 단부가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L자 앵글(140)의 연통장공(141a)이 연통되도록 ㄷ자 앵글(130)의 정면부(131)에 L자 앵글(140)의 일측면부가 면접촉하도록 배치한다. 그러면,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L자 앵글(140)의 연통장공(141a)을 관통하며 앙카볼트(110)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관통장공(131a)과 연통장공(141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앙카볼트(110)의 단부에는 제1 와셔(155)와 앙카너트(150)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앙카볼트(110)가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도 4의 (c)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앙카너트(150)를 조여주면 콘크리트 벽체 내에 위치한 앙카캡(120)의 끝단부가 벌어지면서 콘크리트에 지지되므로 앙카볼트(110)가 콘크리트 벽체(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L자 앵글(140)의 체결장공(142a)과 길이조정판(160)의 고정장공(160a)이 연통되도록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142)의 상면에 길이조정판(160)이 배치한다. 다음으로,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을 관통하도록 근각볼트(170)를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고, 체결장공(142a)과 고정장공(160a)을 관통한 근각볼트(170)의 단부에 제2 와셔(185)와 근각너트(180)를 체결하여 L자 앵글(140)에 길이조정판(16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길이조정판(160)의 끼움공(160b)에는 고정핀(190)을 삽입하여 고정핀(190)의 일부가 길이조정판(160)의 하부와 상부로 각각 돌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정판(160)의 하부로 돌출된 고정핀(190)에 하부 석재(30b)를 결합한다. 즉, 하부 석재(30b)의 핀구멍(31)에 고정핀(190)이 삽입되도록 하부 석재(30b)를 고정핀(190)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정판(160)의 상부로 돌출된 고정핀(190)에 상부 석재(30a)를 결합한다. 즉, 상부 석재(30a)의 핀구멍(31)에 고정핀(190)이 삽입되도록 상부 석재(30a)를 고정핀(190)에 결합한다.
길이조정판(16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된 고정핀(190)에 결합된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는 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낙스와 같은 줄눈 재료를 사용하여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의 경계 공간을 메우는 줄눈(m) 시공을 한다.
길이조정판(160)에서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의 간격을 1mm로 유지하며, 고정핀(190)은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에 각각 형성한 핀구멍(31)에 끼움 결합되며, 핀구멍(31)의 깊이는 고정핀(190)이 길이조정판(16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하여 상부 석재(30a)의 중량이 하부 석재(30b)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석재(30)는 방수 석재를 시공할 수 있다.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의 간격에 실리콘 코킹(줄눈 시공)하여 상부 석재(30a)와 하부 석재(30b)의 크랙 발생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건물의 벽체를 따라 설치하고 석재를 고정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건물의 벽체(10)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하여 건물의 벽체(10)에 단열재(20)를 고정하고, 단열재(20)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석재(30)를 시공하여 강우 및 외부 습기로부터 건물의 벽체(10)와 단열재(20)를 보호하므로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실시예와 대비하여 할 때 길이조정판(도 2의 도면 부호 160)이 제거되고 L자 앵글(140')의 타측면부에 끼움공(160b')을 형성하여 고정핀(19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른 실시예는 길이 조절 기능은 생략되나 일 실시예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고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의 ㄷ자 앵글과 앙카볼트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앙카볼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앙카볼트(110)에 진동지지부재(210)가 포함된다. 진동지지부재(210)는 앙카볼트(110)의 나사산(112)에 결합되고 가장자리가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의 내면에 지지되게 배치된다.
진동지지부재(210)는 앙카볼트(110)와 ㄷ자 앵글(130)의 사이를 지지하여 유격에 의한 앙카볼트(110) 또는 ㄷ자 앵글(13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앙카볼트(110)와 ㄷ자 앵글(130)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면 지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된다. 진동지지부재(210)는 앙카볼트(110)의 나사산(112)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앙카볼트(110)와 ㄷ자 앵글(130)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나 앙카볼트(110) 자체는 지지파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일 예로, 앙카볼트(11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프링으로 연결된 나사산 구조로 되어 지진시 길이방향으로 진동하고 건물의 지진파동을 흡수하여 석재의 흔들림을 막아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에 제1 진동흡수부재(215), 제2 진동흡수부재(220), 마찰부재(230) 및 자성물질(240)이 더 포함된다.
제1 진동흡수부재(215)는 ㄷ자 앵글(130)과 L자 앵글(14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1 진동흡수부재(215)는 ㄷ자 앵글(130)과 L자 앵글(14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ㄷ자 앵글(130)의 관통장공(131a)과 연통되는 통공(216)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L자 앵글(140)과 길이조정판(16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L자 앵글(140)과 길이조정판(16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L자 앵글(140)의 체결장공(142a)과 연통되는 통공(221)이 형성된 형상이다.
제1 진동흡수부재(215)는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 ㄷ자 앵글(130)을 통해 L자 앵글(1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 길이조정판(160)을 통해 L자 앵글(1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제1 진동흡수부재(215)와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ㄷ자 앵글(130)로 전달된 진동이 L자 앵글(140)을 통해 석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석재를 통해 길이조정판(160)으로 전달된 진동이 L자 앵글(140)을 통해 ㄷ자 앵글(130)로 전달되는 것도 차단한다. 즉, 제1 진동흡수부재(215)와 제2 진동흡수부재(220)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진동흡수 효과를 극대화하여 지진 또는 다른 충격파에 시공된 석재가 일정 부분 흔들리면서 충격을 견뎌 내는 과정에서 그 진동이 제1 진동흡수부재(215)와 제2 진동흡수부재(220)에서 흡수하여 ㄷ자 앵글(130)이나 앙카볼트(110)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앙카볼트(110)의 고정력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폭이 L자 앵글(140)의 폭에 대응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L자 앵글(140)의 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고 타측은 길이조정판(160)의 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는 길이가 되도록 L자 앵글(140)과 길이조정판(16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L자 앵글(140)과 길이조정판(160)이 접하는 부분에 제2 진동흡수부재(220)가 개재되어 L자 앵글(140)과 길이조정판(160)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진동흡수 효과를 높인다.
제1 진동흡수부재(215)와 제2 진동흡수부재(22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진동흡수부재(215)와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두께는 체결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진동 흡수 효과가 있도록 L자 앵글(140), 길이조정판(160), ㄷ자 앵글(130)의 두께 대비 1/2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앙카볼트(110)와 근각볼트(170)는 나사부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마찰부재(230)가 구비되어 앙카너트(150) 및 근각너트(180)에 대한 앙카볼트(110)와 근각너트(180)의 풀림이 방지되게 한다. 마찰부재(230)는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나일론(230a) 또는 나사부에 배치된 고무링(230b)이다. 나일론(230a)은 나일론 패치 형태로 나사부에 부착될 수 있다. 나일론 패치는 금속대 비금속을 접촉시켜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앙카볼트(110)와 근각너트(180)의 풀림 방지 성능을 높인다. 고무링(230b)은 진동 등에 의해 앙카볼트(110)와 근각너트(180)가 앙카너트(150)와 근각너트(18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고무링(230b)은 앙카볼트(110)와 근각볼트(170)의 단부에 이중 사출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앙카볼트(110)와 근각볼트(170)를 풀림 방지는 고신뢰성을 가지는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을 제공한다.
근각볼트(170)의 머리부에 자성물질(240)이 구비된다. 자성물질(240)은 근각볼트(170)의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자성물질 부분에 드라이브의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된다. 근각볼트(170)는 하방에서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되기 쉽다. 따라서 근각볼트(170)의 머리부에 자성물질(240)을 일체로 구비하여 드라이브와 자성에 의해 붙은 상태에서 근각볼트(170)를 조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근각볼트(170)를 조이는 과정에서 근각볼트(170)의 낙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ㄷ자 앵글, 상기 L자 앵글, 상기 앙카너트, 상기 근각볼트, 상기 근각너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된 것이다. 이는 고강도를 확보하면서 습기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ㄷ자형 앵글시스템(100")의 내구성을 높인다.
길이조정판(160), 고정핀(190)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자파 차폐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된다.
전자파 차폐 금속은 니켈합금으로 형성된다. 길이조정판(160)과 고정핀(190)은 내부를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하여 석재를 지지하는 하중을 높이고 외부는 전자파 차폐 금속으로 코팅하여 고정핀(190) 또는 길이조정판(160)을 통해 건물의 내부로 인체에 해로운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는 고압전선이 지나가는 건물의 경우 고압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고정핀(190) 및 길이조정판(160)을 통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낙뢰 등에 의한 전파가 고정핀(190) 및 길이조정판(160)을 통해 건물로 유입되는 것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데 전자파 차폐용 금속은 Ni 79%, Cu 16%, Zn 5%의 비율의 니켈합금 금속으로 형성하여 내구성과 내식성을 보강한다.
상기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외주에 앙카캡이 결합된 앙카볼트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므로 콘크리트 벽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콘크리트 벽체에서 돌출된 앙카볼트 부분에 단열재와 ㄷ자 앵글을 고정시키므로 앙카볼트와 앙카캡이 조여지는 힘을 콘크리트 벽체와 ㄷ자 앵글이 함께 지지하여 앙카볼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단열재와 외장재인 석재를 분리하므로 강우 및 외부 습기로부터 건물의 벽체와 단열재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앙카볼트와 ㄷ자 앵글의 사이에 진동지지부재가 구비되므로 앙카볼트와 ㄷ자 앵글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지진에 대한 내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ㄷ자 앵글로 단열재를 고정하므로 단열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ㄷ자형 앵글시스템는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혼용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콘크리트 벽체
100: ㄷ자형 앵글시스템
110: 앙카볼트
111: 머리 부분
112: 나사부
120: 앙카캡
130: ㄷ자 앵글
131: 정면부
132,133: 양측부
131a: 관통장공
140: L자 앵글
141: 일측면부
142: 타측면부
141a: 연통장공
142a: 체결장공
150: 앙카너트
155,185: 제1 및 제2 와셔
160: 길이조정판
160a: 고정장공
160b: 끼움공
170: 근각볼트
180: 근각너트
190: 고정핀
10: 콘크리트 벽체
20: 단열재
30: 석재
215: 제1 진동흡수부재
216: 통공
220: 제2 진동흡수부재
230: 마찰부재
230a: 나일론
230b: 고무링
240: 자성물질

Claims (2)

  1. 머리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에 삽입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앙카볼트; 및
    상기 앙카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앙카너트;
    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의 외주에 결합되는 앙카캡;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되는 단열재에 정면부가 대응되고 상기 정면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가 상기 단열재에 삽입되며, 상기 정면부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가 관통하는 관통장공이 형성되는 ㄷ자 앵글; 및
    상기 ㄷ자 앵글에 접촉되는 일측면부와 상기 일측면부와 직교하는 타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면부에 상기 관통장공과 연통되는 연통장공이 형성되는 L자 앵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앙카너트는,
    상기 ㄷ자 앵글의 관통장공과 상기 L자 앵글의 연통장공을 관통한 상기 앙카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캡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L자 앵글의 타측면부에 안착되며, 상기 L자 앵글의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과 연통되는 고정장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끼움공이 형성된 길이조정판;
    상기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고정장공을 관통하는 근각볼트;
    상기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고정장공을 관통한 상기 근각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근각너트;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일부는 상기 길이조정판의 상부로 돌출되고 일부는 상기 길이조정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고, 상기 앙카캡은 상기 앙카볼트의 머리 부분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일부가 벌어지는 형상이며,
    상기 L자 앵글과 상기 앙카너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앙카볼트에는 제1 와셔가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정판과 상기 근각너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근각볼트에는 제2 와셔가 결합되며,
    상기 관통장공과 상기 연통장공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장공과 상기 고정장공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길이조정판은 선단 양측에 라운드진 형상의 모깍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납작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와셔는 스프링 와셔이며,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고정핀 중 상기 길이조정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상부 석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정판의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에 하부 석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ㄷ자 앵글의 관통장공의 내면에 지지되게 배치되는 진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지지부재는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ㄷ자 앵글의 사이를 서로 지지하여 유격에 의한 상기 앙카볼트 및 상기 ㄷ자 앵글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지진에 대한 내진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진동지지부재는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ㄷ자 앵글과 상기 L자 앵글의 사이에 제1 진동흡수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ㄷ자 앵글의 관통장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이며,
    상기 L자 앵글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사이에 제2 진동흡수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L자 앵글의 체결장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형상이며,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는 폭이 상기 L자 앵글의 폭에 대응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L자 앵글의 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길이조정판의 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는 길이가 되도록 상기 L자 앵글과 상기 길이조정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근각볼트는 나사부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앙카너트 및 상기 근각너트에 대한 상기 앙카볼트와 상기 근각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나일론 또는 상기 나사부에 배치된 고무링이며,
    상기 근각볼트의 머리부에 자성물질이 구비되며,
    상기 ㄷ자 앵글, 상기 L자 앵글, 상기 앙카너트, 상기 근각볼트, 상기 근각너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된 것이며,
    상기 길이조정판, 상기 고정핀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의 외부를 감싸는 전자파 차폐 금속의 2중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차폐 금속은 황동 계열의 합금금속인,
    ㄷ자형 앵글시스템.
  2. 삭제
KR1020200167893A 2020-12-03 2020-12-03 ㄷ자형 앵글시스템 KR10224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93A KR102241551B1 (ko) 2020-12-03 2020-12-03 ㄷ자형 앵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93A KR102241551B1 (ko) 2020-12-03 2020-12-03 ㄷ자형 앵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551B1 true KR102241551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893A KR102241551B1 (ko) 2020-12-03 2020-12-03 ㄷ자형 앵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036B1 (ko) * 2021-05-07 2022-05-24 박용득 지중배전선로 배전반의 연결브라켓 보호시스템
KR102454872B1 (ko) * 2021-10-06 2022-10-17 계민교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20150019937A (ko) * 2013-08-16 2015-02-25 (주)에스엘에스이앤씨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535770B1 (ko) 2015-02-12 2015-07-09 현종구 건축물 치장벽돌 지지용 멀티캡 앵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20150019937A (ko) * 2013-08-16 2015-02-25 (주)에스엘에스이앤씨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535770B1 (ko) 2015-02-12 2015-07-09 현종구 건축물 치장벽돌 지지용 멀티캡 앵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036B1 (ko) * 2021-05-07 2022-05-24 박용득 지중배전선로 배전반의 연결브라켓 보호시스템
KR102454872B1 (ko) * 2021-10-06 2022-10-17 계민교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551B1 (ko) ㄷ자형 앵글시스템
JP2007107374A (ja) ワイヤロープアンカー
KR100912200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독립 고정구
US4150791A (en) Rail fastener
US10294682B2 (en) Outrigger debris netting system
JP6942334B2 (ja) 受圧板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斜面保護方法
JP2006312822A (ja) 緊張材の定着構造
KR102454872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KR101232306B1 (ko) 분리식 브라켓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지지구조체
KR101060476B1 (ko) 구조물용 외장재의 브래킷 조립구조
KR102216196B1 (ko) 석재 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앵글 설치 어셈블리 시스템
KR102451166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90119065A (ko) 방진 및 내진용 배관고정장치
KR102175172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384167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의 고정장치
KR101167687B1 (ko)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055189B1 (ko)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KR100721604B1 (ko) 쏘일네일의 두부보호 조임장치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102234029B1 (ko) 내진형 원형 앵글시스템
KR20230003704A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102077845B1 (ko)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KR102005848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101423292B1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록 볼트 고정장치
KR102047695B1 (ko) 방진패드를 구비한 선 매립형 소켓앵커 조립체 및 그의 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