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687B1 -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687B1
KR101167687B1 KR1020110019966A KR20110019966A KR101167687B1 KR 101167687 B1 KR101167687 B1 KR 101167687B1 KR 1020110019966 A KR1020110019966 A KR 1020110019966A KR 20110019966 A KR20110019966 A KR 20110019966A KR 101167687 B1 KR101167687 B1 KR 10116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ground
mounting portio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1001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상부는 지지프레임을 지지하고 중앙부분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마련된 상판과,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과, 측벽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중공부를 통과하여 지면에 삽입되며 베이스에 고정되는 폴과, 베이스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가이드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지면을 굴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의 홈이 마련된 굴착로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 모듈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단순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베이스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폴의 길이를 조절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의 위치 및 높이의 변경이 가능하고, 또한 암석지반과 같이 단단한 지반에 지지구조체를 설치하는 경우 굴착로드가 지중을 굴착하면서 삽입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지반에 지지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with th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support body}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모듈을 지면에 지지되게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를 위해서는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모듈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설비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용접 결합하고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며, 고정프레임 상에 태양광 발전 모듈을 안착시킨 다음, 태양광 발전 모듈을 고정시킬 수 있는 판재 형태의 고정판을 모듈 상부에서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에 체결시켜 고정판에 의해 태양광 발전 모듈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태양광 발전 모듈을 고정프레임에 직접 체결시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 모듈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은 태양광 발전 모듈을 지면과 이격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지중에 일부가 매설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태양광 발전 모듈이 설치될 부지를 파내고 지지프레임의 하부 일부를 삽입하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지중에 지지시킬 수도 있고, 별도로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콘크리크 부설물을 미리 부착하여 곧바로 매설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설치 부지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지반을 미리 형성한 후 기초지반 상에 앵커 등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을 지중에 지지되게 하는 방법 중 지지프레임을 지면에 매설하고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지지시키는 방법의 경우에는 터파기,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 등 그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에 미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부설물을 부착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부설물을 부착하는 작업 외에도 콘크리트 부설물이 부착된 상태로 지지프레임을 이송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설치부지에 기초지반을 형성하고 기초지반 상에 앵커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을 지지되게 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 모듈의 기초지반 상에 앵커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 모듈의 위치변경 또는 높이조절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이 설치부지가 암석으로 이루어진 경우 태양광 모듈의 설치가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 모듈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단순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모듈의 위치 변경 및 높이 변경이 용이하며 암석지반과 같이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설치가 까다로운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는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고 중앙부분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마련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지면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지면을 굴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의 홈이 마련된 굴착로드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굴착로드가 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측벽의 중심으로부터 편향되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상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판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폴이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이 마련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상판과 상기 플레이트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비는 지지구조체와,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들이 고정 배치된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도록 다수개의 고정프레임들이 배열형성된 패널거치부와, 상기 패널거치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패널거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널거치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거치부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거치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거치부에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구멍이 이격되게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의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바닥판이 상기 패널거치부에 결합 될 시 상기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판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고 하방으로 연장된 가압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 모듈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단순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베이스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폴의 길이를 조절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의 위치 및 높이의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암석지반과 같이 단단한 지반에 지지구조체를 설치하는 경우 굴착로드가 지중을 굴착하면서 삽입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지반에 지지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설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도시한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는 태양광 발전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0)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0)와, 폴(20)과, 굴착로드(30)를 구비한다.
베이스(10)는 상판(11)과, 상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측벽(12)을 포함한다.
상판(11)은 평탄한 면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11a)의 주변에는 후술되는 플레이트부재(41)를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40)이 설치될 수 있는 제1결합홀(11b)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판(11)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간격조절수단(40)과 결합될 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3)이 더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보강판(13)은 상판(11)이 간격조절수단(4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측벽(12)은 상면(11)으로부터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중공부(11a)로부터 멀어지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측벽(12)은 사각형상을 갖는 상면(11)의 각 변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호 인접되는 네 개의 빗면(12a)들을 가지며, 각 빗면(12a)에는 각 빗면(12a)이 이루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홀(12b)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베이스(10)의 상판(11)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측벽(12)이 곡면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즉, 상판(11)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세 개의 빗면(12a)(12b)을 가지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더 많은 수의 빗면(12a)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빗면(12a)은 상판(1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11)으로부터 직하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가이드홀(12b)은 굴착로드(30)가 삽입되고 회전될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되고 측벽(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굴착로드(30)가 각 가이드홀(12b)에 삽입될 시 상호 간섭되지 않고 중공부(11a)에 삽입되는 폴(20)과 접촉되지 않도록 각 빗면(12a)의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굴착로드(30)는 베이스(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0)의 하단이 지면(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홀(12b)에 삽입되며 가이드홀(12b)에서 회전되면서 지면을 굴착한다. 굴착로드(30)는 헤드(31)와 헤드(31)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된 바디(32)와 바디의 끝단에 형성된 굴착팁(33)을 구비한다.
헤드(3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동공구에 마련된 드릴 팁이 삽입되어 드릴 팁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드릴 팁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공구홈(미도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홀(12b)을 따라 지면을 굴착할 시 베이스(10) 내에 마련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홀(12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디(32)는 헤드(31)로부터 연장되며 전동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에 삽입될 수 있게 외주면에는 나선형상의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32)의 끝단에는 암석 등의 단단한 지반을 굴착할 수 있도록 굴착팁(33)이 마련되어 있다. 굴착팁(33)은 철보다 강도가 강한 금속소재, 일 예로 망간 또는 망간합금 등으로 이루어지고 날카로운 형상을 가지며 바디(32)의 끝단에 용접된다.
폴(20)은 베이스(10) 상면의 중공부(11a)를 통과하여 지면(200)에 삽입되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면 일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폴(20)은 베이스(10)의 중공부(11a)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부에는 제1고정너트(60)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제2고정너트(70)가 결합되어 베이스(10)에 고정된다.
제2고정너트(70)가 미리 체결된 상태에서 베이스(10)의 하방으로부터 폴(20)이 중공부(11a)에 삽입되고, 제1고정너트(60)가 베이스(10)의 상부로 노출된 폴(20)의 상단에 체결되며, 제1고정너트(60)와 제2고정너트(70)가 베이스(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폴(20)을 베이스(10)에 고정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제1고정너트(60)와 제2고정너트(70)는 베이스(10) 및 베이스(1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밀착결합되어 폴(20)을 지지하며 베이스(10)가 폴(2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고정너트(60) 및 제2고정너트(70)는 폴(20)의 나사산을 따라 폴(20)의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베이스(10)에 폴(20)이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베이스(10)와 지면(20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지지프레임(50)의 하부를 베이스(10)의 상판(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결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40)는 플레이트부재(41)와 간격조절수단(4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부재(41)는 상판(11)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판(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판(11)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제1고정너트(6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관통홀(41a)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부재(41)의 상면에는 지지프레임(5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게 브라켓(42)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42)은 플레이트부재(41)의 관통홀(41a) 주변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지지프레임(50)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42)에는 관통홀(41a)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프레임(50)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제1체결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부재(41)의 브라켓(42)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50)은 브라켓(42)으로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제1체결홀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50)을 브라켓(42)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제2체결홀(50a)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간격조절수단(40)은 지지프레임(50)이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41)와 베이스(1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8)와 제1너트(9a), 제2너트(9b), 제3볼트(9c)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볼트는 상판(11)의 저면으로부터 상판(11)의 상방으로 제1결합에 끼워지고, 제1볼트는 상판(11)의 상부에서 볼트와 결합되어 상판(11)과 보강판(13)을 밀착되게 한다. 제2너트(9b)는 제1너트(9a)와 이격되는 위치에서 볼트(8)에 결합되어 플레이트부재(41)를 베이스(10)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고, 제3너트(9c)는 플레이트부재(41)의 상방에서 볼트와 결합되어 플레이트부재(41)를 볼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간격조절수단(40)는 제1너트(9a)와 볼트(8)가 상판(11)과 보강판(13)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제2너트(9b)의 위치를 볼트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10)와 플레이트부재(41)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10)에는 중공부(11a)에 삽입되어 베이스(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폴(20)의 통과방향을 안내하며 폴(20)을 지지하도록 중공부(11a)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면(1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폴 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단순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베이스와 플레이트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암석지반과 같이 단단한 지반에 지지구조체를 설치하는 경우 굴착로드가 지중을 굴착하면서 삽입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지반에 지지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설비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와, 태양광 패널(90)과, 패널거치부(80)와, 고정부재(60)와, 지지프레임(50)을 구비한다.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는 도 1을 참고로 설명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태양광 패널(90)은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들이 고정 배열된 것으로 태양전지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보호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거치부(80)는 태양광 패널(90)이 고정되는 구조물로 다수개의 고정프레임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다. 패널거치부(80)는 고정플레이트(70)에 의해 지지프레임(50)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81)과, 메인프레임(81)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메인프레임(8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82)들과, 세로프레임(82)들의 상면에서 메인프레임(81)의 설치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세로프레임(8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프레임(83)들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81), 세로프레임(82), 가로프레임(83)은 내부가 빈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갖고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패널거치부(80)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로프레임(83)이 세로프레임(82)보다 크고 세로프레임(82)보다는 메인프레임(81)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60)는 태양광 패널(90)을 패널거치부(8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판(61)과, 연장판(62)과, 가압판(63)을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닥판(61)은 패널거치부(8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세로프레임(82)에 결합볼트(7)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나사구멍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단 일부가 하부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연장판(62)은 바닥판(61)의 폭 방향에 위치하는 양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태양광 패널(90)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압판(63)은 인접되는 태양광 패널(90)의 가장자리 일부분에 접촉되어 태양광 패널(9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연장판(62)의 끝단에서 상호 멀어지고 바닥판(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을 참고로 설명된 고정부재(60)는 연장판(62)이 태양광 패널(90)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볼트(7)를 조이는 과정에서 고정부재(60)가 결합볼트(7)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 패널(90)을 가압할 수 있어 고정부재(60)와 태양광 패널(90)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60)의 가압판(63)은 도 3에 도시되 바와는 다르게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판(63)은 연장판(62)의 끝단에서 상호 멀어지고 바닥판(61)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판(62)과 인접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가압판(63)에 의하면 결합볼트(7)를 가로프레임(83)에 결합시키되 완전히 조여지지 않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압판(63)의 끝단 일부분만이 태양광 패널(90)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배치된 각 태양광 패널(90)의 위치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결합볼트(7)를 조이는 과정에서 가압판(63)이 연장판(62)과 이루는 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가압판(63)의 저면 전체가 태양광 패널(90)의 상면에 밀착되며, 결합볼트의 체결에 의해 가압판(63)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과 가압판의 탄성력에 의해서 태양광 패널(90)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태양광 패널(9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압판(63)의 저면 또는 태양광 패널(90)과 접촉되는 가압판(63)의 단부에는 가압판(63)에 의해 태양광 패널(9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판(63)으로부터 태양광 패널(90)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재는 가압판(63)과 태양광 패널(90) 사이에서 가압판(63)에 의해 가압되어 형태의 변형을 통해 태양광 패널(90)과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되어 태양광 패널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며, 태양광 패널(90)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20 : 폴
30 : 굴착로드 40 : 결합부
50 : 지지프레임 60 : 고정부재
70 : 고정플레이트 80 : 패널거치부
90 : 태양광 패널

Claims (5)

  1.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고 중앙부분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마련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지면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되면서 지면을 굴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의 홈이 마련된 굴착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굴착로드가 상기 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측벽의 중심으로부터 편향되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상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판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폴이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이 마련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상판과 상기 플레이트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구조체와;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들이 고정 배치된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도록 다수개의 고정프레임들이 배열형성된 패널거치부와;
    상기 패널거치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상기 패널거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널거치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거치부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널거치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거치부에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구멍이 이격되게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의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바닥판이 상기 패널거치부에 결합 될 시 상기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판의 끝단으로부터 멀어지고 하방으로 연장된 가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0110019966A 2011-03-07 2011-03-07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10116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66A KR101167687B1 (ko) 2011-03-07 2011-03-07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66A KR101167687B1 (ko) 2011-03-07 2011-03-07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687B1 true KR101167687B1 (ko) 2012-07-25

Family

ID=4671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966A KR101167687B1 (ko) 2011-03-07 2011-03-07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8142A (zh) * 2014-06-17 2014-09-10 信阳师范学院 通用型易安装光伏构件及使用该构件的光伏安装结构
KR200478187Y1 (ko) * 2015-05-13 2015-09-07 윤석진 그라운드 리벳 구조
KR101974009B1 (ko) * 2018-01-05 2019-04-3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기초 보강 및 지지력 측정 기능을 갖는 태양광 구조물 장치
EP3978826A1 (de) * 2020-10-05 2022-04-06 Düllmann Umformtechnik GmbH Photovoltaikanlage zur verankerung im erdreic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8142A (zh) * 2014-06-17 2014-09-10 信阳师范学院 通用型易安装光伏构件及使用该构件的光伏安装结构
KR200478187Y1 (ko) * 2015-05-13 2015-09-07 윤석진 그라운드 리벳 구조
KR101974009B1 (ko) * 2018-01-05 2019-04-3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기초 보강 및 지지력 측정 기능을 갖는 태양광 구조물 장치
EP3978826A1 (de) * 2020-10-05 2022-04-06 Düllmann Umformtechnik GmbH Photovoltaikanlage zur verankerung im erdrei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898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체
EP2042659B1 (en) Anchor post
KR101242476B1 (ko) 지상구축물의 기초구축 방법 및 기초구축용 부재
US20140182663A1 (en) Photovoltaic panel system, photovoltaic panel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ing photovoltaic panel system
KR101232306B1 (ko) 분리식 브라켓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지지구조체
KR101167687B1 (ko)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101632030B1 (ko)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 및 방법
KR20150145485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발전모듈의 지지장치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067870B1 (ko)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 설치구조 및 그 방법
KR101459706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장치
KR100912200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독립 고정구
JP2012067524A (ja) 免震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4152486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架台支持用支柱
KR20170089357A (ko)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KR20130046061A (ko) 흙막이 가시설 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6132587B2 (ja) 支持架台取付金具及び太陽光発電パネル設置システム
KR101257367B1 (ko) 절곡연결대를 이용한 방호시설 시공방법
JP535648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又は太陽電池アレイ用架台の基礎構造
JP2018033195A (ja) トラフ支持部材、トラフ支持部材の敷設方法およびトラフ橋
JP3188774U (ja) 簡易基礎
KR20200133497A (ko) 부착식의 태양광발전모듈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692204B1 (ko)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JP5968667B2 (ja) 軽量建屋基礎の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