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834A - 덮개형 데크 구조물 - Google Patents

덮개형 데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834A
KR20120127834A KR1020110045578A KR20110045578A KR20120127834A KR 20120127834 A KR20120127834 A KR 20120127834A KR 1020110045578 A KR1020110045578 A KR 1020110045578A KR 20110045578 A KR20110045578 A KR 20110045578A KR 20120127834 A KR20120127834 A KR 2012012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oundary
wood
pedestal
sid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397B1 (ko
Inventor
조준
Original Assignee
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 filed Critical 조준
Priority to KR102011004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3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의 상면에 소정면적이 걸치도록 형성된 제1,2 측면경계목;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위치하되, 데크를 안착하기 위한 걸림턱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제1,2 중앙경계목;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측면경계목과 중앙경계목의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제1 측면경계목의 걸림턱과 상기 제1 중앙경계목의 걸림턱에 안착되는 제1 데크; 및 상기 제2 측면경계목의 삽입홈에 일단부는 삽입되고 상기 제2 중앙경계목의 걸림턱에 타단부는 안착되는 제2 데크; 상기 제1 측면경계목과 제1,2 중앙경계목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데크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데크의 일단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2 마감목;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2 데크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실리콘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덮개형 데크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공의 편의성을 고려한 구조로 체결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시공방식보다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최적화한 데크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목재 데크의 시공기간보다 현저히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의 절감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데크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못이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 사용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또 데크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여 차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이와 더불어 산책로나 자전거도로로 사용되는 데크에 어떠한 체결수단도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보행시나 자전거의 운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덮개형 데크 구조물{Structure of wooddeck}
본 발명은 덮개형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의 편의성을 고려한 구조로 체결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시공방식보다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최적화한 데크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목재 데크의 시공기간보다 현저히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의 절감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데크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못이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 사용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또 데크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여 차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이와 더불어 산책로나 자전거도로로 사용되는 데크에 어떠한 체결수단도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보행시나 자전거의 운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형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의 바닥면, 특히 산책로나 자전거도로의 조성을 위해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일 뿐 아니라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조립식 목재 데크가 바닥마감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조립식 목재 데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보수유지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목재 데크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의 데크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 피스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과 데크를 결합?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목재 데크 구조물은 그 설치공정 및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공비, 인건비 등의 전반적인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었다.
또한, 데크의 지지를 위한 무차별적인 체결수단의 사용으로 모든 자재의 재활용이 어렵고, 데크 구조물의 친환경적인 목적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의 편의성을 고려한 구조로 체결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시공방식보다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최적화한 데크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목재 데크의 시공기간보다 현저히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의 절감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데크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못이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 사용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또 데크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여 차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이와 더불어 산책로나 자전거도로로 사용되는 데크에 어떠한 체결수단도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보행시나 자전거의 운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형 데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데크 구조물은,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의 상면에 소정면적이 걸치도록 형성된 제1,2 측면경계목;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위치하되, 데크를 안착하기 위한 걸림턱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제1,2 중앙경계목;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측면경계목과 중앙경계목의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제1 측면경계목의 걸림턱과 상기 제1 중앙경계목의 걸림턱에 안착되는 제1 데크; 및 상기 제2 측면경계목의 삽입홈에 일단부는 삽입되고 상기 제2 중앙경계목의 걸림턱에 타단부는 안착되는 제2 데크; 상기 제1 측면경계목과 제1,2 중앙경계목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데크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데크의 일단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2 마감목;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2 데크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된 실리콘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중앙경계목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공의 편의성을 고려한 구조로 체결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시공방식보다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최적화한 데크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목재 데크의 시공기간보다 현저히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의 절감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데크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못이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 사용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또 데크 구조물의 분리가 용이하여 차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이와 더불어 산책로나 자전거도로로 사용되는 데크에 어떠한 체결수단도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보행시나 자전거의 운행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데크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데크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데크 구조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받침대(110); 제1,2 측면경계목(120,130); 제1,2 중앙경계목(140,150); 지지대(160); 제1,2 데크(170,171); 제1,2 마감목(180,181); 체결수단(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A)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받침대(110)를 설치하기에 앞서 상기 바닥(A)은 평탄화 작업에 의해 바닥면이 고르고 평편하게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상기 제1,2 측면경계목(120,130)은 데크(170,171)를 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2 측면경계목(120,13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10)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면에 소정면적이 걸치도록 각각 단턱(121,1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121,131)의 수직면은 제1,2 데크(170,171)의 측면에 밀착되고 수평면은 상기 제1,2 데크(170,171)의 양단부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측면경계목(120,130)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 데크(170)를 안착하기 위한 걸림턱(122)과, 제2 데크(17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은 상기 제1,2 측면경계목(120,130)과 함께 제1,2 데크(170,171)를 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의 상단부에는 각각 걸림턱(141,1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41,151)은 제1,2 데크(170,171)의 안착을 위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60)는 제1,2 데크(170,171)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160)는 산책로나 자전거도로 등의 시공현장, 즉 바닥(A)에 설치되는 받침대(110)의 너비에 따라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측면경계목(120,130)과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의 사이에 하나 이상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받침대(110)의 너비가 상대길이를 가지게 된다면, 데크(170,17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제1,2 측면경계목(120,130)과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의 사이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지대(16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16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161)을 도포하여 제1,2 데크(170,171)가 상기 지지대(16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 데크(170,171)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실리콘(161)은 물이나 열에 강한 소재로 기후나 주변여건에 상관없이 강한 접착성을 가지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 제1,2 데크(170,1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측면경계목(120,130)과 제1,2 중앙경계목(140,150)에 안착 또는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데크(170,17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이나 전후로 일정길이를 갖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 마감목(180,181)은 상기 제1,2 데크(170,17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수단(190)이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2 마감목(180,181)에 의해 경계를 구획함으로써 일측의 제1 데크(170)는 산책로, 타측의 제2 데크(171)는 자전거도로 등으로 나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190)으로는 결합 및 시공성이 우수한 스텐피스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90)은 제1,2 마감목(180,181), 제2 측면경계목(120) 및 제1,2 중앙경계목(140,150), 받침대(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제2 측면경계목(130)의 경우에는, 제2 데크(171)의 일단부가 상기 제 측면경계목(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삽입?결합되므로 별도의 마감목이 필요 없어 상기 제2 측면경계목(130)에 직접 체결수단(190)을 체결하여 받침대(110)를 고정하게 된다.
나아가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1,2 마감목(180,181)에는 상기 체결수단(180)을 위한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덮개형 데크 구조물
110: 받침대 120: 제1 측면경계목
130: 제2 측면경계목 121,131: 단턱
122: 걸림턱 132: 삽입홈
140: 제1 중앙경계목 150: 제2 중앙경계목
141,151: 걸림턱 160: 지지대
170: 제1 데크 171: 제2 데크
180: 제1 마감목 181: 제2 마감목
190: 체결수단 A: 바닥

Claims (2)

  1. 바닥(A)에 설치되는 받침대(110);
    상기 받침대(110)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양단부의 상면에 소정면적이 걸치도록 형성된 제1,2 측면경계목(120,130);
    상기 받침대(110)의 중앙에 위치하되, 데크를 안착하기 위한 걸림턱(141,151)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제1,2 중앙경계목(140,150);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측면경계목(120,130)과 중앙경계목(140,150)의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지지대(160);
    상기 제1 측면경계목(120)의 걸림턱(122)과 상기 제1 중앙경계목(140)의 걸림턱(141)에 안착되는 제1 데크(170); 및 상기 제2 측면경계목(130)의 삽입홈(132)에 일단부는 삽입되고 상기 제2 중앙경계목(150)의 걸림턱(151)에 타단부는 안착되는 제2 데크(171);
    상기 제1 측면경계목(120)과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데크(170)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데크(171)의 일단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체결수단(190)에 의해 고정되는 제1,2 마감목(180,181);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2 데크(170,171)는 상기 지지대(160)의 상면에 형성된 실리콘(161)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데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중앙경계목(140,150)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20110045578A 2011-05-16 2011-05-16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125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578A KR101250397B1 (ko) 2011-05-16 2011-05-16 덮개형 데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578A KR101250397B1 (ko) 2011-05-16 2011-05-16 덮개형 데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834A true KR20120127834A (ko) 2012-11-26
KR101250397B1 KR101250397B1 (ko) 2013-04-05

Family

ID=4751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578A KR101250397B1 (ko) 2011-05-16 2011-05-16 덮개형 데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3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20200073672A (ko) * 2018-12-14 2020-06-24 민성준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2128600B1 (ko) * 2020-03-31 2020-07-01 주식회사 부림씨앤에스 장선의 설치가 불필요한 데크로드 및 그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49Y1 (ko)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KR20200073672A (ko) * 2018-12-14 2020-06-24 민성준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2128600B1 (ko) * 2020-03-31 2020-07-01 주식회사 부림씨앤에스 장선의 설치가 불필요한 데크로드 및 그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397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5297A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a quick assembly do-it-yourself (DIY) wood flooring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CN105026675B (zh) 具有夹紧异型件的隔断墙系统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EP3246489A1 (en) Decking support system
KR101250397B1 (ko)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1278446B1 (ko) 패킹재가 결합된 목재데크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KR101153985B1 (ko) 바닥데크용 완충구조
KR20150116505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20130000374U (ko) 데크 클립
KR101296784B1 (ko) 데크결합구조
KR102044164B1 (ko) 데크의 조립구조
KR101773040B1 (ko)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101144052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KR100665225B1 (ko) 평상마루
KR101038704B1 (ko) 목재 데크 구조
KR20120064271A (ko)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KR20190104916A (ko) 캐노피 결합구조
KR20130030939A (ko) 목재데크
KR100623960B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JP3199070U (ja) 合掌造り風木造小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