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164B1 - 데크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데크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164B1
KR102044164B1 KR1020190040531A KR20190040531A KR102044164B1 KR 102044164 B1 KR102044164 B1 KR 102044164B1 KR 1020190040531 A KR1020190040531 A KR 1020190040531A KR 20190040531 A KR20190040531 A KR 20190040531A KR 102044164 B1 KR102044164 B1 KR 10204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bottom panel
frame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혁신
Priority to KR102019004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들의 상부에 안치고정되는 바닥판넬들의 시공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조립작업의 간편화를 통해 시공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길이를 가지고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바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들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보행바닥면을 형성하고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넬들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넬들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크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판넬이 안치되는 안치면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이간격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가 끼움결속하도록 된 한 쌍의 결속돌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크의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의 조립구조{Elevator Emergency Operator}
본 발명은,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보행로에 조성되어 보행자의 보행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도록 된 데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들의 상부에 안치고정되는 바닥판넬들의 시공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조립작업의 간편화를 통해 시공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데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주변의 자연 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므로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데크(Deck)를 시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근자에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추구한다는 현상과 맞물리면서 목조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데크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 펜션 등과 같은 개인적인 건축물에도 적용되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데크의 기본적인 구조적 구성들을 살펴보면, 지형에 따라 지면에 전반적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길이를 가지고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들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보행자가 보행가능한 바닥면을 이루도록 된 바닥판넬들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에 상기 바닥판넬들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들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넬들이 연결되면서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못, 나사 등)을 통해 고정하여 조립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18509호(명칭: 바닥재용 조립데크/2006.06.2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절곡된 형상의 상부 가이드부가 형성된 다수의 베이스 빔과; 다수의 베이스 빔을 상호 연결지지하는 연결지지부재와; 상기 다수의 베이스 빔과 교차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양 측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바닥패널과;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 빔의 상부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돌려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빔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앞뒤의 너비가 상기 베이스 빔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상기 바닥패널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 맞쳐질 수 있게 형성된 패널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널결합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된 하측부분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에 맞쳐 끼워질 수 있게 내부를 향하여 만입형성된 가이드 홈이 구비된 연결부로 구성된 패널결합부재와; 상기 높이조절공에 결합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기둥과, 상기 결합기둥의 하단부에는 받침부가 마련된 높이조절부로 구성된 데크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30829호(명칭: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2010.04.0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베이스에 데크보드들이 고정되도록 하여 데크보드들을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는 클립유지부재에서, 바닥베이스에 분리와 결합 가능한 기초면과; 상기 기초면의 위에 세워져 성형된 수직절곡편과; 상기 수직절곡편의 수평방향으로 뚫려 클립을 끼워 유지할 수 있는 클립고정구멍;이 형성된 클립유지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클립유지부재들을 상기 바닥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서 상기 클립유지부재의 클립고정구멍의 클립에 데크보드의 측면유지홈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된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9563호(명칭: 데크 보드 조립체의 데크 보드 고정용 클립/2015.05.1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 장홈과 하부 단턱홈을 구비한 복수 개의 데크 보드들을 장선에 고정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데크 보드들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데크 보드 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장선 위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 단턱홈에 삽입되며, 상기 장선 위에 체결되는 나사못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공을 구비하는 버텀부; 시공 이후 상기 데크 보드의 팽창에 의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데크 보드가 서로 들러붙고 상방으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데크 보드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버텀부의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간격 유지부; 상기 결합 장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간격 유지부로부터 'ㄱ'자형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장선 위에 고정되는 나사못이 경사방향으로관통할 수 있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의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결합 장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텀부로부터 역 'ㄱ'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버텀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의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부의 폭은 2mm 이상 6mm 이하이고, 상기 버텀부와 상기 간격 유지부의 측면에는 응력집중 방지를 위한 라운드부가 형성되는데크 보드 고정용 클립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05814호(명칭: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2017.01.1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지면에 일면이 접촉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유입구를 구비토록 돌출형성된 좌우 한 쌍의 결합요부와; 상기 결합요부의 상측에 구비하되 상기 결합요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보행자들이 직접 보행가능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결합요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결합요부의 유입구를 향해 억지 끼움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측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부와 면 접촉하여 결속가능하게 구성하는 결속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요부에는 상기 유입구측 벽면에 형성되되 상기 결속돌기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하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결속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돌기부는 상기 결합요부의 결속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원호형상, 경사판형상, 경사만곡형 중 하나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프레임의 측면에 절개하여 상기 결속돌기부의 길이가 상기 결속가이드홈의 오목한 깊이보다 1/3~1/5만큼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18509호(2006.06.27.)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30829호(2010.04.0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9563호(2015.05.1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05814호(2017.01.13.)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데크의 조립구조들은, 시공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장시간 사용시 고정수단에 의한 체결력이 헐거워져 구조물의 전반적인 내구성이 저하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음과 더불어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프레임들의 상부에 안치고정되는 바닥판넬들의 시공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조립작업의 간편화를 통해 시공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데크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는, 길이를 가지고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바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들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보행바닥면을 형성하고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넬들과; 상기 고정프레임들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넬들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크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판넬이 안치되는 안치면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이간격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가 끼움결속하도록 된 한 쌍의 결속돌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실리콘이 주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들에는, 상기 수용공과 공간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수용공으로 실리콘을 주입하도록 된 주입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닥판넬들의 단부들의 상부와 측단부를 덮어씌우면서 마감처리하도록 된 '┌' 형상의 마감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는, 고정수단의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 바닥판넬과 고정프레임을 각각 결속한 상태에서 주입통로를 통해 수용공으로 실리콘을 주입하여 바닥판넬과 고정프레임 및 고정수단의 몸체를 접착고정하도록 되어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시공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시공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수용공에 수용된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진동을 흡수하여 상쇄하도록 되어 상부에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안정적으로 완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고정프레임에 다수의 고정수단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면서 고정한 후, 바닥판넬을 조립하도록 되어 바닥판넬들의 설치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마감프레임을 통해 바닥판넬의 밀림을 방지하고 들뜸을 방지하며 깔끔한 외관연출가능하여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5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시공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는, 길이를 가지고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바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들과; 상기 고정프레임(2)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보행바닥면을 형성하고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넬(3)들과; 상기 고정프레임(2)들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넬(3)들을 각각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4)을 통해 바닥에 설치된 상기 고정프레임(2)들과 상기 바닥판넬(3)들을 수직상으로 연결고정하여 보행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프레임(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단면형상이 '□' 형상을 가지는 '사각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바닥판넬(3)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하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에서, 상기 고정수단(4)은, 상기 고정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판넬(3)이 안치되는 안치면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저면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이간격에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가 끼움결속하도록 된 한 쌍의 결속돌편(4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4)의 상기 몸체(41)의 상면에는, 상기 바닥판넬(3)이 상기 고정편(43)들의 사이간격에 끼움결속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4)은, 상기 고정프레임(2)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대칭되는 상기 몸체(41)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사이간격에 상기 바닥판넬(3)을 끼움결속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편(43);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4)의 상기 몸체(41)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측일부가 상기 결속돌편(42)들의 사이간격에 끼움결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공프레임(2)과 상기 바닥판넬(3)들이 상기 고정수단(4)에 각각 끼움결속하여 조립됨에 따라, 시공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2)에 다수의 몸체(41)들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끼움결속되어 고정된 후, 상기 바닥판넬(3)을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끼움결속되면서 조립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2)에 끼움결속되는 상기 몸체(41)들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면서 시공하여 상기 바닥판넬(3)들의 설치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결속돌편(42)들의 사이간격은, 상기 고정프레임(2)이 억지끼움결속되는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43)들은, 상기 바닥판넬(3)이 억지끼움결속되는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에서, 상기 몸체(41)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실리콘(5)이 주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4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43)들에는, 상기 수용공(44)과 공간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수용공(44)으로 실리콘을 주입하도록 된 주입통로(4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 상기 몸체(41)가 상기 결속돌편(42)들들 통해 끼움결속되고; 상기 몸체(41)의 고정편(43)들을 통해 상기 바닥판넬(3)이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끼움결속되어 1차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통로(45)를 통해 상기 수용공(44)으로 액상의 실리콘(5) 접착제를 주입하고 경화하여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상기 몸체(41)들이 실리콘(5) 접착제를 통해 2차적으로 접착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상기 고정수단(4)의 시공 및 유지에 대한 안정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상기 수용공(44)에 수용된 실리콘(5) 접착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에 따라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진동상쇄하여 안정적으로 완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프레임(2)에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몸체(41)들은 각각의 상기 고정편(43)들이 각각 서로 밀착되면서 접촉되게 배치고정되어, 상기 주입통로(45)를 공유함은 물론, 상기 주입통로(4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주입되는 실리콘(5) 접착제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닥판넬(3)들의 단부들의 상부와 측단부를 덮어씌우면서 마감처리하도록 된 '┌' 형상의 마감프레임(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마감프레임(6)을 통해 상기 바닥판넬(3)들의 단부들을 각각 폐쇄하면서 마감처리하게 되어, 각각의 바닥판넬(3)들의 밀림을 방지하고 들뜸을 방지하며 깔끔한 외관연출가능하여 사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에서 상기 고정수단(4)은, 상기 바닥판넬(3)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공(44)에 수용된 후 경화된 상기 실리콘(5) 접착제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2)에 고정되는 나사, 못 등과 같은 '고정피스'로 이루어진 고정부재(4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46)를 통해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상기 몸체(41)들을 3차적으로 고정 결속시켜 안정성을 더욱 극대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5) 접착제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46)가 탄성적으로 지지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46)를 통해 누수를 방지하여 부식발생을 최소화함은 물론, 상기 고정부재(46)의 무단풀림을 억제하여 조립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에서, 상기 바닥판넬(3)에서 상기 고정편(43)들과 각각 밀착되는 양단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결속요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3)들에는, 상기 결속요홈(31)들이 끼움결속되는 결속돌기(47)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넬(3)이 고정될 때, 상기 결속요홈(31)과 상기 결속돌기(47)가 각각 끼움결속되어, 상기 몸체(41)에서 상기 바닥판넬(3)들이 상측방향으로 무단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결속돌기(47)는, '
Figure 112019035453330-pat00001
' 또는 '
Figure 112019035453330-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에 대한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에 대한 시공방법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데크의 조립구조(1)의 시공방법은,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에 상기 고정프레임(2)들을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배치하여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설치단계와; 상기 고정프레임설치단계를 통해 바닥에 시공된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 상기 몸체(4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결속돌편(42)들을 통해 끼움결속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들에 다수의 상기 몸체(41)들을 각각 배치하면서 끼움결속되는 몸체결속단계와; 상기 몸체결속단계를 통해 다수의 상기 몸체(41)들이 상기 고정프레임(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넬(3)들을 각각의 몸체(41)들의 상부에 상기 고정편(43)들을 통해 끼움결속하여 각각 고정하는 바닥판넬결속단계와; 상기 바닥판넬고정단계를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 상기 몸체(41) 및 상기 바닥판넬(3)들이 순차적으로 적층고정되면 상기 고정편(43)들에 구비된 각각의 주입통로(45)들을 통해 액상의 실리콘(5)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몸체(41)의 수용공(44)에 충진시켜 경화접착하는 실리콘주입단계와; 상기 실리콘주입단계를 통해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상기 몸체(41)들이 실리콘(5) 접착된 상태에서 나사 못 등과 같은 '고정피스'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46)를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실리콘(5) 접착제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체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 상기 몸체(41) 및 상기 바닥판넬(3)들이 순차적으로 1차적층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5) 접착제를 통해 2차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46)를 통해 3차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과 상기 몸체(41) 및 상기 바닥판넬(3)들을 확고히 결합하면서 조립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데크의 조립구조 2 : 고정프레임
3 : 바닥판넬 31 : 결속요홈
4 : 고정수단 41 : 몸체
42 : 결속돌편 43 : 고정편
44 : 수용공 45 : 주입통로
46 : 고정부재 47 : 결속돌기
5 : 실리콘 6 : 마감프레임

Claims (4)

  1. 길이를 가지고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바닥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들과; 상기 고정프레임(2)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보행바닥면을 형성하고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넬(3)들과; 상기 고정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판넬(3)이 안치되는 안치면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저면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이간격에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가 끼움결속하도록 된 한 쌍의 결속돌편(42)들과, 상기 고정프레임(2)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대칭되는 상기 몸체(41)의 양단부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사이간격에 상기 바닥판넬(3)을 끼움결속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편(43)들을 가지어 상기 고정프레임(2)들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넬(3)들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판넬(3)에서 상기 고정편(43)들과 각각 밀착되는 양단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결속요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3)들에는, 상기 결속요홈(31)들이 끼움결속되는 결속돌기(47)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데크의 조립구조(1)에 있어서;
    상기 몸체(41)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실리콘(5)이 주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4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43)들에는,
    상기 수용공(44)과 공간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수용공(44)으로 실리콘(5)을 주입하도록 된 주입통로(45)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2)에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몸체(41)들은,
    각각의 상기 고정편(43)들이 각각 서로 밀착되면서 접촉되게 배치고정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 상기 몸체(41) 및 상기 바닥판넬(3)들이 순차적으로 적층고정된 후, 각각의 상기 주입통로(45)들을 통해 액상의 상기 실리콘(5) 접착제를 상기 몸체(41)의 수용공(44)에 주입하여 충진시켜 경화접착하며,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상기 몸체(41)들이 실리콘(5)을 통해 접착된 상태에서 '고정피스'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6)를 상기 바닥판넬(3)과 상기 실리콘(5) 접착제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2)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의 조립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40531A 2019-04-08 2019-04-08 데크의 조립구조 KR10204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31A KR102044164B1 (ko) 2019-04-08 2019-04-08 데크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31A KR102044164B1 (ko) 2019-04-08 2019-04-08 데크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164B1 true KR102044164B1 (ko) 2019-11-13

Family

ID=6853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31A KR102044164B1 (ko) 2019-04-08 2019-04-08 데크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48B1 (ko) * 2021-07-26 2021-12-15 (주) 현대그린 데크 고정 장치
KR20230079561A (ko) * 2021-11-29 2023-06-07 양희숙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829A (ko) 2008-09-11 201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
KR101176363B1 (ko) * 2012-01-31 2012-08-23 (주)이건환경 데크 체결용 연결구
KR20150064553A (ko) * 2013-12-03 2015-06-11 지산투수개발(주) 끼움결합식 알루미늄 데크 패널
KR20150069563A (ko) 2013-12-13 2015-06-23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의 밸브용의 개스킷 및 내연기관용의 밸브
KR101557419B1 (ko) * 2015-03-16 2015-10-13 (주)이건환경 단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구비한 데크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데크 설치구조
KR20170005814A (ko) 2014-04-30 2017-01-16 넥스터 시스템즈 포탄 파지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시행시키는 파지 방법
KR101773094B1 (ko) * 2017-07-17 2017-08-31 (유)송원이엔지 데크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829A (ko) 2008-09-11 201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
KR101176363B1 (ko) * 2012-01-31 2012-08-23 (주)이건환경 데크 체결용 연결구
KR20150064553A (ko) * 2013-12-03 2015-06-11 지산투수개발(주) 끼움결합식 알루미늄 데크 패널
KR20150069563A (ko) 2013-12-13 2015-06-23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의 밸브용의 개스킷 및 내연기관용의 밸브
KR20170005814A (ko) 2014-04-30 2017-01-16 넥스터 시스템즈 포탄 파지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시행시키는 파지 방법
KR101557419B1 (ko) * 2015-03-16 2015-10-13 (주)이건환경 단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구비한 데크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데크 설치구조
KR101773094B1 (ko) * 2017-07-17 2017-08-31 (유)송원이엔지 데크 조립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48B1 (ko) * 2021-07-26 2021-12-15 (주) 현대그린 데크 고정 장치
KR20230079561A (ko) * 2021-11-29 2023-06-07 양희숙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
KR102583319B1 (ko) * 2021-11-29 2023-09-26 양희숙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295B1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10256B1 (ko) 데크로드 장치
KR102044164B1 (ko) 데크의 조립구조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KR101947077B1 (ko)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20110007666U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KR102598177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데크 결합구조
KR101126355B1 (ko) 데크 구조체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102403325B1 (ko) 데크 기초 자재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23960B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20200062606A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2433484B1 (ko) 스프링클립을 적용한 데크 시공방법
KR20130030939A (ko) 목재데크
KR102406551B1 (ko) 회전형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037657B1 (ko)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KR101263629B1 (ko) 회첨형 전통 목조 건축 부재 접합 구조
KR101038704B1 (ko) 목재 데크 구조
KR102663325B1 (ko) 데크로드용 목재데크 시공장치
CN215629106U (zh) 一种榫卯结构的滨水栈道拼接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