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271A -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 Google Patents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271A
KR20120064271A KR1020100125424A KR20100125424A KR20120064271A KR 20120064271 A KR20120064271 A KR 20120064271A KR 1020100125424 A KR1020100125424 A KR 1020100125424A KR 20100125424 A KR20100125424 A KR 20100125424A KR 20120064271 A KR20120064271 A KR 2012006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rtition panel
assembly member
partition
fro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규
Original Assignee
양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규 filed Critical 양영규
Priority to KR102010012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271A/ko
Publication of KR2012006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a number of smaller components rigidly or movably connected together, e.g. interlocking, hingedly connected of particular shape, e.g. not rectangular of variable shape or size, e.g. flexible or telescopic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자의 키 크기에 구애를 받지 않고 화장실의 출입이 편리하며, 화장실 칸막이 하단부에 다리 받침대가 없어 청소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가 설치되는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이 교차, 연결되는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을 수직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상부 조립부재와;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이 교차, 연결되는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을 수평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하부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화장실 출입자의 키 높이에 따른 장애 없이 화장실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FRAME FOR TOILET PARTITION}
본 발명은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사용자의 키 크기에 구애를 받지 않고 화장실의 출입이 편리하며, 화장실 칸막이 하단부에 다리 받침대가 없어 청소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 등에는 일정규격으로 절단한 패널을 이용하여 화장실 도어와 칸막이를 조립함으로서 화장실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실 칸막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도어(1)와, 상기 도어(1)와 경첩(2)으로 연결된 전면 칸막이(3)과, 상기 도어(1)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면 칸막이(3)을 고정 지지하도록 된 수평프레임(5)과, 받침다리(6) 및 도어 스토퍼(7)로 구성되어 설치된다.
또한, 근래에 들어 상기 화장실 도어(1)와 전면 칸막이(3) 사이에는 별도의 마감용 프레임(미도시)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마감용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은 경첩(3)으로 연결되는 화장실 도어(1)의 지지 상태를 좀더 견고하게도 하지만, 목재 또는 석고보드판으로 제작되는 전면 칸막이(3) 내부에 침투할 수 있는 수분을 막는 역할도 병행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종래에 다양한 칸막이용 프레임 등이 제작되어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으로써 설치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실 칸막이 구조는 상기 도어(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중하중을 견디도록 설치된 수평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어, 특히 키가 큰 경우에는 머리를 숙이고 출입하거나, 급히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잘 못 부딪쳐서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을 출입하는데 더 어려움이 많다. 이는 음식문화로 서구화되어가는 청소년들의 평균 키가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 못하고 일률적인 크기로 화장실 높이가 설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실에 맞춰 재설치 하거나 유지 보수에 따른 추가 비용이 그 만큼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또한 화장실 전면 칸막이 패널에 설치되는 바닥 받침대 역시 자중 하중을 견디도록 설치되고 있었는데, 바닥 청소할 때에 걸려서 청소하기가 불편하였고 더불어 이물질 등이 끼어 지저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바닥 받침부재를 별도로 제작 설치하는 관계로 제작비용과 설치시간이 소요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병원 등에서 환자가 링거병을 거치대에 걸어서 화장실 도어를 출입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키보다 링거병 거치대가 클 경우에 화장실 도어의 상단 프레임에 걸려 부딪치는 일이 발생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 출입자의 키 높이에 따른 장애 없이 화장실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 청소를 할 때 바닥면에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 신속하고 깨끗한 청소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설치부품의 간소화로 제조비용을 줄이고,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설치부품의 간소화로 깨끗하고 미려한 화장실을 연출하여 쾌적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부품에 따른 낭비되는 자원을 절약하도록 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은 병원 등의 화장실에서 거치대에 링거병을 걸어서 화장실 도어를 출입할 경우에 거치대가 걸리는 일이 없어 불편한 환자들이 자유롭고 편안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장실 도어가 설치되는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이 교차, 연결되는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을 수직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상부 조립부재와;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이 교차, 연결되는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을 수평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하부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조립부재는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의 상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앙 일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 연결부와; 상기 수직 연결부의 일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고정지지부의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지부는 그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3)에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좌우 걸림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걸림편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조립부재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의 하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전방에 돌출되는 보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앙 일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와 고정지지부의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지부는 그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에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좌우 걸림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걸림편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가 설치되는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이 교차, 연결되는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을 수직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상부 조립부재와;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이 교차, 연결되는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을 수평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하부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화장실 출입자의 키 높이에 따른 장애 없이 화장실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조립부재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의 하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전방에 돌출되는 보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앙 일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와 고정지지부의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화장실 청소를 할 때 바닥면에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 신속하고 깨끗한 청소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 설치부품의 간소화로 제조비용을 줄이고,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설치부품의 간소화로 깨끗하고 미려한 화장실을 연출하여 쾌적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부품에 따른 낭비되는 자원을 절약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 등의 화장실에서 거치대에 링거병을 걸어서 화장실 도어를 출입할 경우에 거치대가 걸리는 일이 없어 불편한 환자들이 자유롭고 편안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실 설치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설치를 보인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인 상부 조립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부 조립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요부인 하부 조립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부 조립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상부 조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보인 제1실시예,
도 8은 도 2의 상부 조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보인 제2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는 화장실 도어(1)가 설치되는 전면 칸막이패널(3)과,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과,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이 교차되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조립부재(100)와,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이 교차되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조립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조립부재(100)와 하부 조립부재(200)는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조립부재(100)는 일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T"자 형태를 가지는 일체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의 상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01)의 중앙 일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 연결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103)의 일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되어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10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연결부(103)는 기존 및 현존에 설치된 화장실 도어(1)의 수평프레임(5)에도 같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101)에서 고정지지부(105) 사이를 수직으로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고정부(101)에서 고정지지부(105)를 바로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반듯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1)와 고정지지부(105)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11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01a)(103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105)는 그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에 밀착,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좌우 걸림편(107)(107')이 더 형성되며, 상기 좌우 걸림편(107)(107')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11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07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105)는 패널과의 고정을 증대시키는 보강력을 주는 정도로 돌출되면 족하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상기 상부 조립부재(100)와 같이 "T"자 형태를 가지는 일체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의 하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1)의 일측 전방에는 절곡되어 돌출된 보강부(20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01)의 중앙 일단부에서 수평의 길이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20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1)와 고정지지부(205)의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체결볼트(12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01a)(20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부(203)는 화장실 도어(1)나 전면 칸막이패널(3)을 발로 차는 경우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에 고정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의 자체 보강력을 주기 위함이며, 다양한 돌출 형태가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듯이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205)는 그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에 밀착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좌우 걸림편(207)(207')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걸림편(207)(207')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12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07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의 설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의 상부 조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보인 제1실시예이고, 도 8은 도 2의 상부 조립부재의 설치 형태를 보인 제2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형태의 화장실 도어(1)의 상단부에 위치한 수평프레임(5)에도 적용하여 설치를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조립부재(100)의 고정부(101)를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수평프레임(5)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연결부(103)는 전면 칸막이패널(3)의 후방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의 상단부에 고정지지부(105)를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기존에 화장실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5)을 쓰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그 뒤에 교차되는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의 높이 단차를 두고 설치 한 후, 상기 상부 조립부재(100)의 고정부(101)는 전면 칸막이패널(3)의 상단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절곡된 수직연결부(103)는 전면 칸막이패널(3)의 후방면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밀착이 되며, 상기 고정지지부(105)는 단차진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의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200)는 수평형태로 기존 및 현존의 화장실 칸막이에 모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 고정부재(200)를 설치할 경우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에 설치된 받침다리(6)는 바닥면(10)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의 하단부에는 차체 보강력을 주기 위한 받침다리(6)가 반듯이 있을 필요는 있다.
즉, 상기 상부 조립부재(100)는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의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절곡된 수직 형태를 갖는 것이며,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수평 형태이면 족하나, 전면 칸막이패널(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의 하단부에는 반듯이 받침다리(6)를 함께 설치하여 차체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상부 조립부재 101 : 고정부
101a, 103a, 107a : 관통공 103 : 수직연결부
105 : 고정지지부 107, 107' : 좌우 걸림편
200 : 하부 조립부재 201 : 고정부
201a, 205a : 관통공 203 : 보강부
205 : 고정지지부 207, 207' : 좌우 걸림편
110, 120 : 체결볼트

Claims (5)

  1. 화장실 도어(1)가 설치되는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이 교차, 연결되는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을 수직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상부 조립부재(100)와;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이 교차, 연결되는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과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을 수평으로 고정지지하기 위한 하부 조립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부재는(100)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의 상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101)와;
    상기 고정부(101)의 중앙 일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수직 연결부(103)와;
    상기 수직 연결부(103)의 일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01)와 고정지지부(105)의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체결볼트(11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01a)(103a)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105)는
    그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3)에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좌우 걸림편(107)(10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걸림편(107)(107')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11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0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상기 전면 칸막이패널(3)의 하단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고정부(201)와;
    상기 고정부(201)의 일측 전방에 돌출되는 보강부(203)와;
    상기 고정부(201)의 중앙 일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지지부(2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201)와 고정지지부(205)의 일면에는 각각 관통되어 체결볼트(12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01a)(20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205)는
    그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화장실 분리 칸막이패널(4)에 밀착되도록 돌출되는 좌우 걸림편(207)(20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걸림편(207)(207')의 일면에는 관통되어 체결볼트(12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0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KR1020100125424A 2010-12-09 2010-12-09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KR20120064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24A KR20120064271A (ko) 2010-12-09 2010-12-09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24A KR20120064271A (ko) 2010-12-09 2010-12-09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71A true KR20120064271A (ko) 2012-06-19

Family

ID=4668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424A KR20120064271A (ko) 2010-12-09 2010-12-09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2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275A (ko) 2016-09-02 2016-09-19 주식회사 소리노 내구성이 향상된 화장실 칸막이
KR20190080096A (ko) * 2017-12-28 2019-07-08 진목호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20190083827A (ko) 2018-01-05 2019-07-15 신재균 칸막이 고정 장치
KR102449407B1 (ko) * 2021-12-06 2022-10-11 (주)현대큐비클 내진설계가 적용된 도어이탈방지 화장실 칸막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275A (ko) 2016-09-02 2016-09-19 주식회사 소리노 내구성이 향상된 화장실 칸막이
KR20190080096A (ko) * 2017-12-28 2019-07-08 진목호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20190083827A (ko) 2018-01-05 2019-07-15 신재균 칸막이 고정 장치
KR102449407B1 (ko) * 2021-12-06 2022-10-11 (주)현대큐비클 내진설계가 적용된 도어이탈방지 화장실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589B2 (en) Three dimensional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KR20120064271A (ko) 화장실 칸막이 조립부재
US9526379B2 (en) Enclosure with storage
JP2015190256A (ja) 壁掛便器
JP4993267B2 (ja) 床固定式机
KR100221866B1 (ko) 주방용 가구 시스템
KR101250397B1 (ko) 덮개형 데크 구조물
KR102340243B1 (ko) 시스템 선반
KR200453339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200467343Y1 (ko)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 받침대
JP5764731B2 (ja) 手摺用支柱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JP6820709B2 (ja) デッキ
CN214906228U (zh) 一种浴室柜
CN211155518U (zh) 一种多功能坐便椅
US20180296000A1 (en) Three dimensional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JP4589568B2 (ja) 防水パン
KR20120138260A (ko)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JP3217403U (ja) 段差解消機能付き嵌合式木製浴室すのこ
JP6638156B2 (ja) 天板付き什器
JP5106805B2 (ja) 浴室ユニット
KR20220070630A (ko) 칸막이 장착장치
CN113633128A (zh) 一体式组合床的爬梯安全组件
KR200363246Y1 (ko) 수직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구조
JPH0747477Y2 (ja) 手すり付き防水パ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