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805A - 합성목재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805A
KR20120092805A KR1020110012656A KR20110012656A KR20120092805A KR 20120092805 A KR20120092805 A KR 20120092805A KR 1020110012656 A KR1020110012656 A KR 1020110012656A KR 20110012656 A KR20110012656 A KR 20110012656A KR 20120092805 A KR20120092805 A KR 2012009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block
present
synthetic wood
sidewal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01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2805A/ko
Publication of KR2012009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01C5/22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having an upper layer of rubber, with or without inserts of other materials; with rubbe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개구된 외부덮개;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 및 상기 내부충진물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외부덮개로 인해 외관이 수려한 미감을 주면서 동시에 내부에는 무기질소재의 내부충진물로 충진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고, 내부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충진물이 갈라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합성목재 보도블록{WOOD POLYMER COMPOSITE PAVEMENT BLOCK}
본 발명은 보도용 블록 내지 차도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외부덮개와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에 충진된 내부충진물로 이루어진 보도용 블록 내지 차도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Wood Polymer Composite)는 목섬유와 열가소성 고분자를 혼합, 개개의 목섬유가 용융된 고분자에 의해 캡슐화된 상태로 압출 내지 사출되어 성형된 재료를 말하며, 합성목재는 이렇게 압출/사출 공정에 의해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목재는, 사용 후 원료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원목의 장점과 고분자 수지의 장점을 모두 갖춘 친환경 소재이며, 특히 그동안 구조용 건축자재 및 하부구조용으로 사용되던 방부목재가 유해성 문제로 사용이 금지되면서 합성목재가 그 대체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합성목재는 제작공정상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어서 건축자재용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블록, 데크, 펜스, 방음벽 등 많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보도용 블록 내지 차도용 블록을 제작하는 경우에, 합성목재의 가격으로 인해 제작의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등 문제가 있으므로, 합성목재의 외관을 가지면서 내부를 이종물질로 충진하여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요구되는 미관 및 강도를 충족시키는 보도용 블록 내지 차도용 블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외관을 갖되 내부를 이종의 충진물로 충진하여 외관상 미려한 느낌을 주면서도 내부 충진물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가진 보도용 블록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개구된 외부덮개;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 및 상기 내부충진물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충진물은 무기질소재이며, 상기 크랙방지부재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부재이거나 유리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도블록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외부덮개로 인해 외관이 수려한 미감을 주면서 동시에 내부에는 무기질소재의 내부충진물로 충진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내부충진물 내부에서 내부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충진물이 갈라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도블록이 측방향으로 여러 개 배치된 형상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보도블록에 구비되는 돌기부의 다양한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랙방지부재의 한 예를 도시한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이라 하면, 보행자가 통행하는 통로에 설치하는 블록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행로에 설치되는 블록뿐만 아니라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에 설치되는 블록도 포함하는 개념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보도블록을 설치함에 있어서 외관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이종의 물질로 충진된 새로운 개념의 합성목재 블록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도블록이 측방향으로 여러 개 배치된 형상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랙방지부재의 한 예를 도시한 모습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보도블록은 외부표면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덮개(10)와 상기 외부덮개(10)의 내부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덮개(10)는 내부가 비어있는 단면이 사각형의 블록형상이며 단면 사각형의 면 중에서 일부 면은 개방된 형상이며, 이렇게 개방된 개구를 통해서 비어있는 내부에 내부충진물이 유입되어 충진된다. 내부충진물(20)로는 다양한 소재의 무기질 물질들이 충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시멘트를 물로 개어 풀처럼 만들고 여기에 골재를 넣어서 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상기 외부덮개(10)의 내부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20)로 사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보도블록에 필요한 충분한 중량의 무게감을 발휘하고 또한 강도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부덮개(10)와 내부충진물(20)이 서로 재질이 다른 이종의 물질이어서 물리적인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덮개(10)에서 내측으로 돌기된 돌기부(15)를 형성하였다.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외부덮개에서 내측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부위에는 내부충진물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덮개와 내부충진물 사이의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내부충진물이 콘크리트인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굳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콘크리트에 매몰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와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덮개와 내부충진물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5)는 외부덮개(10)의 내부에서 폭을 따라 적절한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고, 좌우측면 및 상면 등에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돌기부(15)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도시된 돌기부는 돌기된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끝단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내부충진물과의 결합력이 더욱 커지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돌기부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와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외부덮개(10)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내부충진물과 결합되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보도블록의 내부충진물은 시공 후 갈라지는 현상(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그 결과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외관상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도블록은 내부충진물(10)이 시공 후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크랙방지부재(30) 구비한다. 상기 크랙방지부재(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부충진물 내부에서 상하로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랙방지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상의 메쉬일 수 있다. 상기 메쉬가 내부충진물의 내부에서 상하로 여러층으로 배치되어서 내부충진물을 결함하는 역할을 하여 크랙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부충진물(20) 자체 내부에 유리섬유 등 강성을 가지는 소재를 배치하여 크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크랙방지부재로 메쉬 내지 유리섬유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내부충진물에 구비되어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소재이면 본 발명의 보도블록의 크랙방지부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개구된 외부덮개;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에 충진되는 내부충진물; 및
    상기 내부충진물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충진물은 무기질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방지부재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방지부재는,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5.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외부덮개;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내부충진물; 및
    상기 내부충진물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충진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방지부재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부재 또는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KR1020110012656A 2011-02-14 2011-02-14 합성목재 보도블록 KR20120092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656A KR20120092805A (ko) 2011-02-14 2011-02-14 합성목재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656A KR20120092805A (ko) 2011-02-14 2011-02-14 합성목재 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05A true KR20120092805A (ko) 2012-08-22

Family

ID=4688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656A KR20120092805A (ko) 2011-02-14 2011-02-14 합성목재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28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59B1 (ko) * 2018-05-15 2019-03-14 우드밸리 주식회사 다기능 목재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114B2 (en) Rotationally molded, reinforced decorative fence pos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138829B1 (ko)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및 교량용 난간방호벽의 개량공법과 그 중앙분리대 및 그 난간방호벽
KR20120092805A (ko) 합성목재 보도블록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0933050B1 (ko) 복합재료 맨홀뚜껑과 이를 포함하는 복합재료 맨홀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0806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석
CN103492640A (zh) 轻质组合式路缘排水元件
KR20130023410A (ko) 합성목재 보도블록
KR101125719B1 (ko) 시각장애인용 차도유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9268A (ko) 합성목재 데크
EP3365495B1 (en) Polymer based combined kerb drainag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KR101252539B1 (ko)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466727Y1 (ko) 지중케이블보호판
JP5361810B2 (ja) 縁石ブロックの組合せ及び縁石ブロックの施工方法
KR100968062B1 (ko) 보도블록
KR102444772B1 (ko) 프리캐스트 입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0449B1 (ko) 안전성을 갖는 어린이 놀이터용 고무 바닥재 및 설치방법
KR101596440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KR100557419B1 (ko) 아파트 건축용 콘크리트 거푸집 스페이서
KR200288117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20150130754A (ko) 벽체용 거푸집
KR20130110721A (ko) 기능성 사각수로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7212B1 (ko) 스크랩이 첨가된 합성수지 맨홀뚜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맨홀 낙하 안전장치를 구비한 맨홀뚜껑
JP2011106207A (ja) 植生舗装構造
KR101040492B1 (ko)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