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440B1 -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440B1
KR101596440B1 KR1020140077116A KR20140077116A KR101596440B1 KR 101596440 B1 KR101596440 B1 KR 101596440B1 KR 1020140077116 A KR1020140077116 A KR 1020140077116A KR 20140077116 A KR20140077116 A KR 20140077116A KR 101596440 B1 KR101596440 B1 KR 10159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deck
block
concre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89A (ko
Inventor
정승우
Original Assignee
(주)미래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그린 filed Critical (주)미래그린
Priority to KR102014007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4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재질로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록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재질의 콘크리트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부에 나무재질의 데코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데코패널과 콘크리트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상측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한 후, 상기 홈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고무가 위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과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데크블록에 구성되는 블록을 콘크리트재질로 성형하여 블록의 강성을 높이고, 재질의 특성 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재질의 콘크리트블록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데크블록의 시공 시, 다양한 종류의 나무재질 데크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미려감을 상승시키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과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Using concrete blocks and the deck of the block deck block construction method }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재질로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록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또는 보도블록에는 보행자의 편의성과 도심의 깨끗한 환경을 위해 다양한 블록이 설치된다.
이때, 블록의 대부분이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이거나 폐타이어 등을 재활용하여 제조된 합성수지재 블록이다.
콘크리트 블록은 제작비가 저렴하고 내구성과 표면강도가 높아 파손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콘크리트자체의 특성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질 경우 인체에 충격이 그대로 전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그 색상과 질감이 단조로우므로 최근 도심 환경을 미려하게 하려는 트렌드에 맞지 않는 한계가 있다.
합성수지재 블록은 폐타이어 등을 재활용한다는 점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단가가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높으며,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어 그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내구성을 갖추면서 친환경적이고, 도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블록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종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은 공개특허 1999-0088254호의 ‘복합건재 및 그 제조방법’과, 등록실용 20-0341881호의 ‘조경을 겸한 건축용 내외장 패널’과, 등록실용신안 20-0455812호의 ‘데크 콘크리트 결합 블록’ 및 공개특허 10-2006-0102816호의 ‘시각장애인용 도보안내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콘크리트재질의 콘크리트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부에 나무재질의 데코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데코패널과 콘크리트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상측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한 후, 상기 홈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고무가 위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과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결합되는 데크패널로 구성된 데크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합성수지재가 인입되고, 상기 데크패널은 나무재질로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데크패널을 관통한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홈에 인입된 합성수지재에 결속되는 것이며, 콘크리트블록과 데크패널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에 있어서, 데크블록을 위치시키는 시공지를 정리하는 시공지정리단계와,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합성수지재가 인입된 콘크리트블록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록준비단계와,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을 준비하는 데크패널준비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블록을 시공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측에 데크패널을 위치시키고,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패널을 관통시키며 관통된 연결부재가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홈에 인입된 합성수지재와 결속시키는 결속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과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데크블록에 구성되는 블록을 콘크리트재질로 성형하여 블록의 강성을 높이고, 재질의 특성 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재질의 콘크리트블록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데크블록의 시공 시, 다양한 종류의 나무재질 데크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미려감을 상승시키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데크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데크블록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데크블록의 구성 중 콘크리트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데크블록의 구성 중 콘크리트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데크블록의 구성 중 콘크리트블록에 외부패널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콘크리트블록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연결과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7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데크블록의 구성 중 콘크리트블록에 가이드패널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2는 도 5의 (A)에 데크패널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8의 (B)에 대한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데크블록을 수평선상으로 다수개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9의 데크블록에 대한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데크블록에 대한 핵심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17은 도 16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의 홈에 대한 실시 예와 홈에 합성수지재가 인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홈에 대한 다른 실시 예와 홈에 합성수지재가 인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과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인 데크블록(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인 데크블록(10)은 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이 결합된 데크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외주 상면의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홈(110)에는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패널을 관통한 연결부재(300)가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홈(110)에 형성된 합성수지재(120)와 결속된다.
상기 데크패널(200)은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하나 이상 다수개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다수개 구성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 외주에는 돌출부(130)를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하고, 하부면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13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홈부(140)가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데크패널(20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에 형성되는 돌출부(130)와 홈부(140)는 다수개 형성 시, 우선하는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과 타 측의 끝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 각각의 상호간 간격과,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에 연결되는 후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와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 끝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 각각의 상호간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에 형성된 홈(110)은 상면의 외주 및 내주 중심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외부패널(160)이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연결 구성된다.
상기 외부패널(16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연결 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의 가이드패널(1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패널(170)에는 일정 깊이의 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홈(110)에는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되되, 상기 가이드패널(170)의 홈(110)은 상면의 외주 및 내주 중심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데크블록(10)은 하나 이상 다수개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데크블록(10)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블록과 데크패널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에 있어서, 데크블록(10)을 위치시키는 시공지를 정리하는 시공지정리단계(s1)와, 외주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일정 깊이의 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홈(110)에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된 콘크리트블록(100)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록준비단계(s2)와, 나무재질의 데크패널(200)을 준비하는 데크패널준비단계(s3) 및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시공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측에 데크패널(200)을 위치시키고,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패널(200)을 관통시켜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홈에 인입된 합성수지재(120)와 결속되는 결속단계(s4); 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다수개 구성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홈부(140)가 형성된 선 콘크리트블록(100)을 위치시키고, 후 콘크리트블록(100)을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하부에 위치시키되, 후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130)가 선 콘크리트블록(100) 하부면 외주에 형성된 홈부(140)에 끼움 되도록 각각의 콘크리트블록(100) 중심부가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데크패널(20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이 사용되는 시공지 및 위치에 따라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외부패널(16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데크블록(10)은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데크블록(10)에 구성된 콘크리트블록(100)을 상호 연결하여 수평방향 넓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과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데크블록(10)은 대분하여 콘크리트블록(100)과 데크패널(20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대분 구성된 콘크리트블록(100)과 데크패널(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콘크리트블록(1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크블록(10)의 하부에 구성되며, 별도의 콘크리트블록을 양생하는 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 및 경화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완성하는데,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합성수지재(120)가 인입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 일정 깊이의 홈(110)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110)으로 합성수지재(120)를 인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홈(110)은 상면의 외주 및 내주 중심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0)은 콘크리트블록의 상면 중심부에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홈(11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홈(110)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재(120)는 콘크리트블록(100)을 양생 및 경화함에 따라 상기 합성수지재(120)를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 인입시켜 상기한 홈(110)이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된 만큼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홈(110)을 형성한 후, 상기 홈(110)에 합성수지재(120)를 인입시킬 수도 있다.
이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양생 및 경화함에 따른 방법으로 위 사항에 대해서는 콘크리트블록(100)을 완성함에 따른 사항에 따라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재(120)의 사용으로 인해 본 발명인 데크블록(10)은 상부가 하기 설명하는 나무재질의 데크패널(200)을 이용하여, 하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데크블록(10)을 시공하려는 시공지가 대부분 흙지대, 돌지대, 잡석지대임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부분에 대한 내구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콘크리트블록(100)을 사용함에 따라 상부에 연결되는 데크패널(200)을 나무재질로 하여 상부의 데크패널(200)로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미려감을 상승시켜주며, 하부의 콘크리트블록(100)으로 내구성을 상승시킨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사용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 외주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고, 하부면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13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홈부(140)가 형성된다.
상기한 돌출부(130)와 홈부(140)는 각각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이 다수개 구성 시, 적층시킴에 따라 콘크리트블록(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부(140)로 하측에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13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이 다수개 구성되어 적층 시, 최상단에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되어 상부면에 상기 데크패널(2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돌출부(130), 홈부(140)는 각각의 콘크리트블록(100)에 각각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130), 홈부(140)를 다수개 형성 시, 우선하는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과 타 측의 끝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 각각의 상호간 간격과,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에 연결되는 후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와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 끝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 각각의 상호간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수평선상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콘크리트블록(100)이 연결되는 부분의 하부에 별도의 콘크리트블록(100)을 위치시켰을 때, 수평선상의 일 측에 위치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하부 일 측 끝부에 형성되는 홈부(140)와 수평선상의 타 측에 위치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하부 일 측 끝부에 형성되는 홈부(140)(이때, 각각의 홈부(140)는 상호 인접한 위치의 홈부(140)를 말함)에 별도의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 양 끝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돌출부(1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한 콘크리트블록(100)은 수평선상으로 다수개 연결할 수도 있고, 다층으로 적층시킬 수도 있으며, 다층으로 적층 시 결속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층의 연결부분 하부에 콘크리트블록(100)을 위치시키며 결속시킬 수도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외부패널(160)이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패널(16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연결 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외부패널(160)은 콘크리트블록(100)을 양생, 경화 완료한 블록으로써, 외주의 형상이 콘크리트재질로 되어 있으며, 이는 보는 이로 하여금 미려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 사용에 따라 별도의 이미지 또는 문자 또는 숫자 및 도형 등이 형성된 외부패널(16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연결 홈(150)으로 결속되는 연결부재(300)로 결속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의 가이드패널(17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패널(170)에는 일정 깊이의 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홈(110)에는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되되, 상기 가이드패널(170)의 홈(110)은 상면의 외주 및 내주 중심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패널(170)은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가 클 경우 또는 내부가 넓을 경우 상기 가이드패널(170)을 이용하여 상측에 연결되는 데크패널(200)을 사용자가 디딤 시, 지지력을 상승시켜주며 안정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데크패널(200)은 나무재질로 형성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데크블록(10)의 상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데크패널(200)에 대한 형상은 하부에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외주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외주 크기가 클 경우, 세분하여 다수개를 구성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외주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다수개 연결되는 데크패널(200)은 가로, 세로 또는 혼합적인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크패널(200)을 이용하되 나무재질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데크패널(2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에 위치하며 연결하는데, 이때 상기 데크패널(200)을 관통하는 별도의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100)과 데크패널(20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크패널(200)을 관통한 연결부재(300)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 구성되는 합성수지재(120)에 결속하게 된다.
상기 데크블록(10)은 하나 이상 다수개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데크블록(10)을 사용자가 사용 시, 산책로, 탐방로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인 데크블록(10)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시공지정리단계(s1)]
데크블록(10)을 시공하려는 시공지의 바닥과 사면을 파내고 정리하는 공정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공지의 바닥면과 사면을 정리하는 것이며, 상기한 정리는 일반적으로 데크블록(10) 시공 전 필연적으로 시행하는 공정이다.
[콘크리트블록준비단계(s2)]
상면 외주의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된 콘크리트블록(100)을 준비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이 다수개를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 하부에 각각의 돌출부(130)와 홈부(140)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 대해 연결 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블록(100)은 콘크리트블록(100)의 사용 및 데크블록(10)의 사용에 따라 상기 설명한 다양한 구성에 대해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설명에 한정하지 않는다.
[데크패널준비단계(s3)]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나무재질의 데크패널(200)을 준비한다.
상기 데크패널(200)은 상기한 데크패널(200)의 설명과 같이 하나의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 하나의 데크패널(200)이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복합적으로 다수개가 구성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결속단계(s4)]
상기 시공지정리단계(s1)에서 정리 완료된 시공지에 콘크리트블록준비단계(s2)에서 준비 완료된 콘크리트블록(100)을 위치시키고, 데크패널준비단계(s3)에서 준비 완료된 데크패널(200)을 상기 콘크리트블록(2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 데크패널(200)이 위치되면, 연결부재(3000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패널(200)을 관통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합성수지재(120)와 결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0)과 데크패널(200)로 구성된 하나의 데크블록(10)은 하나 이상 다수개를 구성하여 수평선상으로 다수개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하나의 데크패널(200) 하부로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적층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홈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수평선상으로 다수개 구성 시, 하측으로 적층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을 상측과 동일 선상으로 적층할 수도 있지만, 상층 콘크리트블록(100)과 하층 콘크리트블록(100)의 중심부가 지그재그가 되도록 적층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데크패널(20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30)를 형성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최상층에는 데크패널(20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이 사용되는 시공지 및 위치에 따라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외부패널(16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널(160)은 데크블록(10)의 시공 완료 시, 시각적인 효과와 더불어 미려감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블록(10)에 구성되는 블록을 콘크리트재질로 성형하여 블록의 강성을 높이고, 재질의 특성 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재질의 콘크리트블록(100)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2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데크블록(10)의 시공 시, 다양한 종류의 나무재질 데크패널(2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미려감을 상승시키는 발명이라 하겠다.
10 : 데크블록
100 : 콘크리트블록 110 : 홈 120 : 합성수지재
130 : 돌출부 140 : 홈부 150 : 연결 홈
160 : 외부패널 170 : 가이드패널
200 : 데크패널
300 : 연결부재
s1 : 시공지정리단계
s2 : 콘크리트블록준비단계
s3 : 데크패널준비단계
s4 : 결속단계

Claims (17)

  1. 상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나무재질의 데크패널을 관통한 연결부재로 결속되는 데크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홈에는 합성수지재가 인입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나무재질의 데크패널(200)을 관통하여 상기 홈의 합성수지재와 결속되되,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사용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를 구성하되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 외주에는 돌출부(130)를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하고 하부면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13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홈부(140)가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외부패널(160)이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연결 구성되되 상기 외부패널(16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연결 홈(150)이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의 가이드패널(170)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패널(170)에는 일정 깊이의 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패널(170)의 홈(110)은 상면의 외주 및 내주 중심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패널(200)은 콘크리트블록(1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하여 적층 시, 데크패널(200)이 연결되는 최상부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은 평평한 형태로 되고, 하부에만 홈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에 형성되는 돌출부(130)와 홈부(140)는 다수개 형성 시, 우선하는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과 타 측의 끝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 각각의 상호간 간격과,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에 연결되는 후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와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일 측 끝부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130), 홈부(140) 각각의 상호간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블록(10)은 하나 이상 다수개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13. 콘크리트블록과 데크패널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에 있어서,
    데크블록(10)을 위치시키는 시공지를 정리하는 시공지정리단계(s1);
    외주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의 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홈(110)에 합성수지재(120)가 인입된 콘크리트블록(100)을 준비하는 콘크리트블록준비단계(s2);
    나무재질의 데크패널(200)을 준비하는 데크패널준비단계(s3);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시공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측에 데크패널(200)을 위치시키고,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패널(200)을 관통시켜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면 홈에 인입된 합성수지재(120)와 결속되는 결속단계(s4); 로 이루어지되,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은 다수개 구성 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홈부(140)가 형성된 선 콘크리트블록(100)을 위치시키고, 후 콘크리트블록(100)을 상기 선 콘크리트블록(100)의 하부에 위치시키되, 후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면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130)가 선 콘크리트블록(100) 하부면 외주에 형성된 홈부(140)에 끼움 되도록 각각의 콘크리트블록(100) 중심부가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며,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이 사용되는 시공지 및 위치에 따라 일 측면 또는 양측면 또는 사면에는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외부패널(160)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0)을 다수개 구성 시, 데크패널(200)이 연결되는 콘크리트블록(100)의 상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
  16. 삭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블록(10)은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데크블록(10)에 구성된 콘크리트블록(100)을 상호 연결하여 수평방향 넓게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시공방법.
KR1020140077116A 2014-06-24 2014-06-24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KR10159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16A KR101596440B1 (ko) 2014-06-24 2014-06-24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16A KR101596440B1 (ko) 2014-06-24 2014-06-24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89A KR20160000489A (ko) 2016-01-05
KR101596440B1 true KR101596440B1 (ko) 2016-02-23

Family

ID=5516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116A KR101596440B1 (ko) 2014-06-24 2014-06-24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4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08A (ja) * 1998-08-05 2000-02-22 Ig Tech Res Inc 境界ブロック
KR100940866B1 (ko) * 2009-03-19 2010-02-09 정재옥 보도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278B2 (ja) * 1992-10-19 1996-09-04 正野 正剛 木レンガ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木レンガを使用した木レンガブロック
KR200468954Y1 (ko) * 2010-10-25 2013-09-09 구칠회 복합부재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08A (ja) * 1998-08-05 2000-02-22 Ig Tech Res Inc 境界ブロック
KR100940866B1 (ko) * 2009-03-19 2010-02-09 정재옥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89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419B1 (en) Unbonded non-masonry building block components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US7425106B2 (en) Concrete pavers positioned in a herringbone pattern
US20140169878A1 (en)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US9243374B2 (en) Prefabricated mold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pavement
KR101887635B1 (ko)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US20160319543A1 (en) Concrete slab panel forming, reinforcing, joint sealing and edge protecting framing system
CA2925079C (en) Block, block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lock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CN109252434A (zh) 一种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596440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데크블록 및 그 데크블록의 시공방법
KR20120114918A (ko) 합성목재와 콘크리트(우레탄, 고무)를 일체화한 보도블럭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1086885B1 (ko) 다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
EP3766385B1 (en) Modular pavement
KR20210002402U (ko)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KR100970449B1 (ko) 안전성을 갖는 어린이 놀이터용 고무 바닥재 및 설치방법
KR101812477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데크블럭 및 그 시공방법
EP004387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elementen aus Altreifen und Baukörper, hergestellt aus diesen Bauelementen
KR101887215B1 (ko) 벽체의 시공과 치장 겸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KR100774020B1 (ko) 노출 콘크리트벽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KR200427787Y1 (ko) 복합목재 우드타일
KR20130110721A (ko) 기능성 사각수로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2102U (ko) 옹벽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