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35B1 -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Google Patents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7635B1 KR101887635B1 KR1020170102527A KR20170102527A KR101887635B1 KR 101887635 B1 KR101887635 B1 KR 101887635B1 KR 1020170102527 A KR1020170102527 A KR 1020170102527A KR 20170102527 A KR20170102527 A KR 20170102527A KR 101887635 B1 KR101887635 B1 KR 1018876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joint
- horizontal
- vertical
- bl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20—Tools or apparatus for applying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에 관한 것으로, 미숙련자도 블록을 빠르고 편하게 쌓을 수 있고 블록들 사이에 균일한 크기의 줄눈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단일 작업을 통해 블록의 전후방에 줄눈을 함께 형성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는,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11,21)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단일 작업으로 블록의 전후방 2개소에 줄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는,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11,21)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단일 작업으로 블록의 전후방 2개소에 줄눈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의 시공과 치장을 위한 블록 줄눈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 제품의 줄눈대를 이용하여 미숙련 작업자도 블록들 사이에 줄눈을 만들면서 블록을 쉽고 빠르게 쌓아 벽체를 시공 및 치장할 수 있으며 단일 작업을 통해 전후방 2개소에 줄눈을 형성하는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치장 쌓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블록 쌓기(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 외벽의 앞에 블록의 조적벽체 시공)가 있다. 블록 쌓기는 블록들을 종횡방향으로 쌓으면서 블록들 사이에 줄눈(수직줄눈,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그 시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기준 수평 몰탈 깔기 - 2. 블록 옆면의 세로구간 몰탈 바르기 - 3. 작업자가 블록을 들어 올려서 수평 몰탈 위에 놓기 - 4. 블록을 놓으면서 세로줄눈(10mm) 맞추기 - 5. 세로줄눈을 맞춘 후 블록을 망치질하여 블록을 기준실 높이에 맞추기[블록가로줄눈 두께(5mm ~ 15mm)로 맞추기] - 6. 블록 윗면에 몰탈을 발라 수평줄눈 만들기의 공정을 통해 1단을 쌓는다. 이어서 (2) ~ (6) 공정의 반복을 통해 블록을 다단으로 쌓아 벽체를 시공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블록 쌓기 방법에 따르면, 블록의 좌우 측면에 바른 몰탈이 떨어지지 않도록 블록을 조심해서 운반 및 놓아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에 바른 몰탈의 일부가 블록에서 떨어지게 되어 몰탈을 다시 바르는 작업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록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블록을 편하게 운반 및 놓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몰탈이 떨어지지 않도록 블록을 운반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숙련자가 몰탈을 줄눈의 크기로 바른다하여도 줄눈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여 벽체의 미관을 훼손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의해 블록을 쌓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몰탈의 양생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기가 길어지며 미숙련자가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숙련자라 하더라도 하루에 쌓을 수 있는 블록의 수량이 매우 적어 인건비도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블록의 전방과 후방 양쪽에 각각 줄눈을 형성하여야 하며 수직줄눈과 수평줄눈의 형성을 위한 작업을 2번 하여야 함으로써 공기가 더욱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663923호)은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178611호)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돌출줄눈과 상기 본체부의 양측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 2돌출줄눈을 구비하며, 본체부의 배면에 본체부에 대해 엇갈리게 위치되어 본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속하는 제1,2결합부를 형성하는 코어플레이트부를 구비한 돌출줄눈을 가지는 문양블록으로서, 몰탈에 의한 줄눈을 시공하지 않는 것이지만 기존 블록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숙련자도 블록을 빠르고 편하게 쌓을 수 있고 블록들 사이에 균일한 크기의 줄눈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단일 작업을 통해 블록의 전후방에 줄눈을 함께 형성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는,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단일 작업으로 블록의 전후방 2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의 수직줄눈부와 상기 수평줄눈 가이드부는 각각 블록의 높이와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몰탈에 의해 수직줄눈과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는,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단일 작업으로 블록의 전후방 2개소에 줄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에 의하면, 블록의 측면에 몰탈을 바르지 않아 몰탈이 흐르지 않도록 운반하는 것과 달리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용이하고, 몰탈의 양생에 따른 시간이 줄어들고 아울러 블록과 블록 줄눈대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블록 조적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전후방 양쪽의 줄눈을 단일 작업으로 형성하여 작업시간을 1/2로 줄일 수 있으므로 공기 단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수직줄눈은 물론 수평줄눈 가이드부를 통해 수평줄눈의 높이도 균일화하여 양호한 품질을 확보하는 효과도 있고, 결과적으로 시공용은 물론 치장 효과를 향상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탈을 발라 수직줄눈과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작업이 능숙한 숙련자가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블록의 조적 작업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고 특히 몰탈을 바르고 블록을 쌓는 작업이 능숙하지 못한 미숙련자도 몰탈을 발라 줄눈을 형성할 때보다 단위 시간 당 더 많은 블록을 쌓을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의 절감과 공기 단축에 매우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에 적용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연결부가 조립형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의 공정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에 수평줄눈대가 적용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1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에 적용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의 다른 예시도로서 수직줄눈부에 가이드 경사부가 구성된 예를 보인 도면.
도 13과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보인 사시도 및 시공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에 적용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연결부가 조립형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의 공정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에 수평줄눈대가 적용된 예를 보인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1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에 적용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의 다른 예시도로서 수직줄눈부에 가이드 경사부가 구성된 예를 보인 도면.
도 13과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보인 사시도 및 시공 상태 정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 줄눈대(10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 및 이들(10,20)의 연결부(30)로 구성되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는 자체적으로 수직줄눈(세로줄눈)을 형성하는 한편 몰탈에 의한 수평줄눈(가로줄눈)을 가이드하고 연결부(3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들을 연결하여 단일 작업으로 전후방측 줄눈을 형성하도록 한다.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는 동일한 구조로서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11,21) 및 수직줄눈부(11,21)에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 구성되며, 수직줄눈부(11,21)는 수직줄눈을 형성하기 위해 블록(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는 수직줄눈부(11,21)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십자형으로 구성되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직 줄눈부(11,21)와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는 각각 수직 줄눈과 수평 줄눈의 크기에 맞는 두께(바람직하게 5mm ~ 15mm)로 형성된다.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는 도면에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수직 줄눈부(11)는 블록(1)들의 옆에 개재되어 수직 줄눈을 형성한다.
수평줄눈 가이드부(12)는 몰탈에 의한 수평 줄눈의 시공을 위한 높이를 알려주는 것이며, 즉, 작업자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의 높이까지만 몰탈(2)을 발라 수평 줄눈을 형성한다.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는 수직 줄눈부(11,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옆을 향해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4에서처럼 수직 줄눈부(11,2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옆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는 수직 줄눈부(11,21)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아래에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직 줄눈부(11,21)는 하단에 쌓이는 블록(1)들 사이에서 수직줄눈을 형성하고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의 위쪽에 돌출된 수직 줄눈부(11,21)는 수직줄눈을 형성하면서 상단에 쌓이는 블록(1)의 위치를 정렬하는 기능을 한다.
또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는 도 5에서처럼 수직 줄눈부(11,21)의 상단에 형성(T 형, 외팔보 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는 수직 줄눈부(11,21)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 곳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블록 줄눈대(100)는 블록(1)의 다양한 조적 방식(일자형 조적, 엇갈림 조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 줄눈대(100)는 블록(1)의 조적에 맞춰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되어 수직 줄눈을 형성하며, 상하로 이웃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들의 수직 줄눈부(11,21)들을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줄눈부(11,21)의 하부에는 적층돌기(13,23)가 상부에는 적층홈(또는 홀)(14,24)이 형성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적층돌기(13,23)가 하부에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적층홈(14,24) 안에 삽입됨으로써 상하로 적층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들이 인터록킹된다. 적층돌기(13,23)와 적층홈(14,24)은 원기둥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적층돌기와 적층홈은 위치가 서로 뒤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적층홈(14,24)은 적층돌기(13,23)가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가 가능하고, 또한, 몰탈이 충진되어 적층돌기(13,23)가 끼워지지 못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층돌기(13,23)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수직 줄눈부(11,21)의 상단과 하단을 인터록킹 가능한 방향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겹쳐지면서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줄눈대(100)를 이용하여 자연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환기홀(15,25)이 구비될 수 있다.
환기홀(15,25)은 수직 줄눈부(11,21)[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에도 가능]에 전후로 관통되는 홀로서 공기가 벽체를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자연 환기를 통해 실내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별도의 환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연결부(3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에 일체로 제조되는 일체형,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에 조립되는 조립형 모두가 가능하고, 일체형의 경우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 현장에서 별도의 조립 작업없이 사용하는 이점이 있으며 조립형의 경우 부피를 최소화하여 취급(보관, 운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1. 일체형 연결부(30).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연결부(30)는 단일 공정을 통해 제조(예를 들어 사출)되어 도 1에서 보이는 형태가 제조 완료 상태이다.
2. 조립형 연결부(30).
도 6은 조립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하나의 생산라인을 통해 제조되고 연결부(30)는 별도의 생산라인을 통해 제조된다.
연결부(3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간의 거리에 맞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에 결합되고, 예를 들어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에 각각 연결홈(16,26)이 형성되며 연결부(30)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연결돌기(31,32)가 형성되어 이 연결돌기(31,32)가 연결홈(16,26)에 끼움됨으로써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연결부(30)가 연결된다.
이때, 연결홈(16,26)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은 물론 환기홀(15,26)을 연결홈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30)의 연결돌기(31,32)는 연결홈(16,26)의 구조에 따라 별도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연결부(30)의 단부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3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연결부(3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동일한 재질로서 유연성이 없는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연결부(30)는 다음과 같은 유연성이 있어 형태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연결부(30)는 와이어(실), 체인 등 유연성이 있는 모든 제품이 가능하다.
유연성 있는 연결부(30)는 길이방향의 양쪽 끝이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에 각각 고정되며, 이 고정 방법 역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제조(사출)시 인서트하여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제조와 함께 고정되는 방법,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완제품에 묶는 방법[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교차부에 묶는 방법, 환기홀(15,25) 등에 묶는 방법 등] 등을 통해 고정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연성 있는 연결부(3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들을 붙여 취급(보관, 운반)할 수 있어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의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유연성 있는 연결부(30)는 길이를 여유있게 즉 다양한 사이즈의 블록에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는 수직줄눈부(11,21)가 블록(1)들의 옆에 세워지기 때문에 수직하중을 받지 않고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가 블록(1)들의 저부에 있지만 몰탈에 의한 수평줄눈이 수직하중을 받기 때문에 강도가 크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재료의 사용이 매우 다양하다.
즉,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는 통상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할 수 있고, 강도가 크지 않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폐자재를 재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폐코프렌 PP, 폐합성수지, 폐고무, 폐섬유 등의 폐원료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강도보강제, 경화제 등의 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코프렌 PP 100중량%를 원료로 하고 180~220℃의 경화온도와 35~45초의 시간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폐원료를 사용함으로써 폐원료의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장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안료가 첨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료의 첨가비율은 색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수치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줄눈 블록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은 다음과 같다(도 8 참고).
1. 기준 수평 몰탈 깔기.
블록(1)을 쌓을 바닥의 평탄화를 위하여 몰탈을 포설하여 기초층(3)을 형성한다. 본 공정은 필요에 따라 선택된다.
2. 1단 블록 쌓기.
기초층(3) 위에 다수의 블록(1)을 놓아 1단을 쌓으며, 블록(1)과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1단의 조적이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좌측 끝에서 우측 끝으로 가면서 블록(1)들을 쌓는다.
이 때, 작업자는 연결부(30)를 잡고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를 블록(1)의 우측으로 옮겨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가 블록(1)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수직줄눈부(11,21)의 좌측을 블록(1)의 옆에 붙여 설치하는 것으로 하나의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의 우측 옆에 다른 블록(1)을 놓으며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의 우측을 블록(1)에 붙여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수의 블록(1)과 다수의 블록 줄눈대(10)가 교대로 반복되는 1단을 쌓는다.
3. 수평줄눈 시공.
1단의 블록(1) 위에 몰탈을 발라 수평줄눈(2)을 시공하며, 블록 줄눈대(10)의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가 수평줄눈의 기준높이이므로 작업자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의 높이까지 몰탈을 바르는 것으로 수평줄눈(2)을 시공한다. 이때,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부터 먼 곳도 수평줄눈 가이드부(12)의 높이로 맞추기 위하여 기준선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준선을 수평줄눈 가이드부(12)에 붙이는 것으로 기준선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수평줄눈 가이드부(12)는 기준선을 설치하는 용도로도 가능한 것이다.
4. 2단 블록 쌓기.
수평줄눈(2) 위에 블록(1)과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설치하여 2단 블록 쌓기를 하며, 이 공정은 1단 블록 쌓기와 동일하다.
2단 블록층 위에 몰탈을 발라 수평줄눈을 형성하고 이상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블록의 조적을 완료 즉 벽체의 시공을 완료한다.
<실시예 2>
도 9와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는, 수평줄눈대(40)를 통해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점이 있으며, 이때, 수평줄눈을 위하여 몰탈을 사용하지 않거나 수평줄눈대(40)의 뒤쪽으로 몰탈을 타설할 수 있다.
실시예 1은 몰탈을 발라 수평줄눈을 시공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의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의 사이에 수평줄눈대(40)를 설치하여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와 수평줄눈대(40)를 통해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줄눈대(4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동일한 재질,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는 수평줄눈의 규격으로 형성된다.
수평줄눈대(40)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에 돌기와 홈에 의해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경사부를 통해 겹쳐지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끼움결합없이 근접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수평줄눈대(40)가 수직하중을 받기 때문에 시공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직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물론 치장용의 경우에도 수직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시공용보다는 치장용에 적합하다.
수평줄눈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이며, 길이방향의 양측 즉 좌우 양측 단부가 블록 줄눈대(10)의 수평줄눈 가이드부(12)의 단부에 근접 또는 연결된다.
수평줄눈대(40)는 환기를 위한 하나 이상의 환기홀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 조적 방법은 블록(1)과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를 교대로 반복하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블록(1) 위에 수평줄눈대(40)를 설치하여 수평줄눈을 시공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는 몰탈을 사용하지 않아 실시예 1보다 공기가 짧고 몰탈의 취급을 위한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수평줄눈부(11,21)의 길이를 길게 하여 좌우에 이웃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수평줄눈부(11,21)들에 의해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2에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는 수직 줄눈부(11,21)에 저부측/상부측 가이드 경사부(11a,21a)(11b,21b)가 적용될 수 있다(도 11, 도 12 참고).
저부측/상부측 가이드 경사부(11a,21a)(11b,21b)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를 기준으로 하여 저부와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구분한 것이며, 각각 저부와 상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단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저부측 가이드 경사부(11a,21a)에 따르면, 블록(1) 옆에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를 붙일 때 저부측 가이드 경사부(11a,21a)를 타고 자연스럽게 블록(1)의 옆면을 타고 내려가게 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상부측 가이드 경사부(11b,21b)에 따르면, 블록(1)이 자연스럽게 상부측 가이드 경사부(11b,21b)를 타고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 사이에 자리를 잡게 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저부측/상부측 가이드 경사부(11a,21a)(11b,21b)는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것, 2개 모두가 형성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13과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의 수직줄눈부(11-1,21-1)가 몰탈(4)과 함께 수직줄눈을 형성하는 점에서 실시예 1,2와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직줄눈부(11-1,21-1)의 길이는 블록(1)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는 수직줄눈부(11-1,21-1)와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 정십자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블록(1)들 사이에 몰탈(4)을 바르지만 수직줄눈부(11-1,21-1)에 의해 블록(1)을 수직줄눈부(11-1,21-1)의 옆에 붙이는 것으로 블록(1)의 설치가 가능하여 조적이 매우 용이하고 아울러 좌우로 배열되는 블록(1)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의 조적 공법은 블록(1)과 벽체용 블록 줄눈대(100)를 교대로 반복하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단, 블록(1)의 옆에 몰탈(4)을 먼저 바른 후 블록(1)을 놓고 블록 줄눈대(100)를 블록(1)의 상측 모서리에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몰탈(4)에 의해 수직줄눈을 형성하여 기존 방식과 유사성을 유지하므로 시방의 변경없이 자유롭게 실시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처럼, 일체형과 조립형 모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20 :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 11,21 : 수직 줄눈부
12,22 : 수평줄눈 가이드부, 13,23 : 적층돌기
14,24 : 적층홈, 15,25 : 환기홀
16,26 : 연결홈,
30 : 연결부, 31,32 : 연결돌기
40 : 수평줄눈대,
12,22 : 수평줄눈 가이드부, 13,23 : 적층돌기
14,24 : 적층홈, 15,25 : 환기홀
16,26 : 연결홈,
30 : 연결부, 31,32 : 연결돌기
40 : 수평줄눈대,
Claims (14)
-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11,21)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단일 작업으로 블록의 전후방 2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의 수직줄눈부와 상기 수평줄눈 가이드부는 각각 블록의 높이와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몰탈에 의해 수직줄눈과 수평줄눈을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수평줄눈 가이드부 중 일측 이상에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환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11,21)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단일 작업으로 블록의 전후방 2개소에 줄눈을 형성하고,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수평줄눈 가이드부 중 일측 이상에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환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 종방향의 수직줄눈부(11,21) 및 상기 수직줄눈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줄눈 가이드부(12,22)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10,20)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의 수평줄눈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수평줄눈대(40)를 포함하여 수직줄눈과 수평줄눈을 함께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수평줄눈 가이드부 중 일측 이상에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환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연결부는 단품으로 제조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연결부는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유연성이 있는 제품의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환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환기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용 블록 줄눈대는 폐코프렌 PP, 폐고무를 포함하는 폐원료 중 하나 이상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는 저부와 상부에 적층돌기와 적층홈이 각각 형성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의 수직줄눈과 수평줄눈 가이드부 중 일측 이상은 가이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
- 청구항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으로서,
다수의 블록을 횡방향을 따라 놓되 블록들의 사이에 청구항 1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개재하여 블록의 놓기와 함께 수직줄눈을 형성하는 블록쌓기 단계와;
상기 블록쌓기 단계를 통해 놓은 블록의 위에 상기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수평줄눈 가이드부의 높이에 맞춰 몰탈을 도포하여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수평줄눈 형성단계의 반복을 통해 벽체를 시공하고,
상기 블록쌓기 단계는 상기 블록의 옆면에 몰탈을 바른 후 이 블록을 놓고, 상기 블록의 상측 모서리에 상기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설치하여 몰탈에 의해 수직줄눈을 형성하되 수평줄눈 가이드부가 상기 블록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수직줄눈부의 좌측을 상기 블록의 옆에 붙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청구항 2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으로서,
다수의 블록을 횡방향을 따라 놓되 블록들의 사이에 청구항 2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개재하여 블록의 놓기와 함께 수직줄눈을 형성하는 블록쌓기 단계와;
상기 블록쌓기 단계를 통해 놓은 블록의 위에 상기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수평줄눈 가이드부의 높이에 맞춰 몰탈을 도포하여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수평줄눈 형성단계의 반복을 통해 벽체를 시공하고,
상기 블록쌓기 단계는 상기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상기 블록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설치하되, 수평줄눈 가이드부가 상기 블록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수직줄눈부의 좌측을 상기 블록의 옆에 붙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청구항 3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으로서,
다수의 블록을 횡방향을 따라 놓되 블록들의 사이에 청구항 3에 의한 벽체용 블록 줄눈대의 연결부로 연결된 전후방측 블록 줄눈부를 블록들의 사이에 놓아 블록의 놓기와 함께 수직줄눈을 형성하되, 수평줄눈 가이드부가 상기 블록의 윗면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수직줄눈부의 좌측을 상기 블록의 옆에 붙여 설치하는 블록쌓기 단계와;
상기 블록쌓기 단계를 통해 블록들 사이에 설치된 이웃하는 블록 줄눈대의 수평줄눈 가이드부 사이에 수평줄눈대를 설치하여 수평줄눈을 형성하는 수평줄눈 형성단계의 반복을 통해 블록을 조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블록 줄눈대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527A KR101887635B1 (ko) | 2017-08-11 | 2017-08-11 |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527A KR101887635B1 (ko) | 2017-08-11 | 2017-08-11 |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7635B1 true KR101887635B1 (ko) | 2018-08-10 |
Family
ID=6322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2527A KR101887635B1 (ko) | 2017-08-11 | 2017-08-11 |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763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06789A (zh) * | 2020-02-18 | 2020-05-29 |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 填充墙竖向灰缝一次成型工装及一次成型方法 |
KR102119508B1 (ko) * | 2019-11-13 | 2020-06-05 | 한우식 | 줄눈 표출 구조를 갖는 벽돌 조립체 |
CN111236021A (zh) * | 2020-03-31 | 2020-06-05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免勾缝的路缘石模架及其施工方法 |
CN113494176A (zh) * | 2021-08-09 | 2021-10-12 | 哈尔滨达城绿色建筑股份有限公司 | 混凝土小型空心砌块砌体墙片砌筑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
CN114535938A (zh) * | 2022-03-21 | 2022-05-27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可调式砌筑砂浆摊铺工具的制作方法 |
KR102423474B1 (ko) * | 2022-02-09 | 2022-07-20 | 곽은경 | 건축물의 창틀 상측부 벽돌벽 조적시 간격유지 및 줄눈형성을 위한 도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7880B2 (ja) * | 1990-07-12 | 1995-05-24 | 日本製紙株式会社 | 裏足付タイル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これにより得られるタイルパネル |
JP2639539B2 (ja) * | 1987-10-30 | 1997-08-13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ブロック積層パネルの目地処理方法 |
JP2003247336A (ja) * | 2002-02-25 | 2003-09-05 | Takasago Dento Kogyo Kk | 目地幅調整具 |
KR100663923B1 (ko) | 2005-05-24 | 2007-01-09 | 이형수 |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 및 조적장치 |
KR101178611B1 (ko) | 2009-04-20 | 2012-08-30 | (주)전통아이엔지 | 돌출줄눈을 가지는 문양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형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012061A (ko) * | 2013-07-24 | 2015-02-03 | (주)성은 | 블록 쌓기용 시공 지그 |
-
2017
- 2017-08-11 KR KR1020170102527A patent/KR1018876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39539B2 (ja) * | 1987-10-30 | 1997-08-13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ブロック積層パネルの目地処理方法 |
JPH0747880B2 (ja) * | 1990-07-12 | 1995-05-24 | 日本製紙株式会社 | 裏足付タイル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これにより得られるタイルパネル |
JP2003247336A (ja) * | 2002-02-25 | 2003-09-05 | Takasago Dento Kogyo Kk | 目地幅調整具 |
KR100663923B1 (ko) | 2005-05-24 | 2007-01-09 | 이형수 |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 및 조적장치 |
KR101178611B1 (ko) | 2009-04-20 | 2012-08-30 | (주)전통아이엔지 | 돌출줄눈을 가지는 문양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형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012061A (ko) * | 2013-07-24 | 2015-02-03 | (주)성은 | 블록 쌓기용 시공 지그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9508B1 (ko) * | 2019-11-13 | 2020-06-05 | 한우식 | 줄눈 표출 구조를 갖는 벽돌 조립체 |
CN111206789A (zh) * | 2020-02-18 | 2020-05-29 |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 填充墙竖向灰缝一次成型工装及一次成型方法 |
CN111236021A (zh) * | 2020-03-31 | 2020-06-05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免勾缝的路缘石模架及其施工方法 |
CN113494176A (zh) * | 2021-08-09 | 2021-10-12 | 哈尔滨达城绿色建筑股份有限公司 | 混凝土小型空心砌块砌体墙片砌筑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
KR102423474B1 (ko) * | 2022-02-09 | 2022-07-20 | 곽은경 | 건축물의 창틀 상측부 벽돌벽 조적시 간격유지 및 줄눈형성을 위한 도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CN114535938A (zh) * | 2022-03-21 | 2022-05-27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可调式砌筑砂浆摊铺工具的制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7635B1 (ko) | 벽체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
CA2961116C (en) |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 |
US20110036038A1 (en) | Telescopic canning sleeve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slabs | |
KR101439488B1 (ko) | 슬래브 성형용 탈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
US8973322B2 (en) |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 |
US20010032431A1 (en) | Insulated wall structure | |
KR101783460B1 (ko) | 조립식 보강벽돌 | |
US2008011012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locking blocks | |
KR101731382B1 (ko) |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 |
US10458074B1 (en) | Access mat comprising single unitary pultruded body | |
EP3766385B1 (en) | Modular pavement | |
EP3775436B1 (en) | Strengthening assemblies | |
KR101887215B1 (ko) | 벽체의 시공과 치장 겸용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적 공법 | |
WO2018212391A1 (ko) | 에어 단열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437672B1 (ko) | 조립식 피시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93713B1 (ko) | 블록 줄눈대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치장 쌓기 방법 | |
KR200324797Y1 (ko) | 흙막이를 위한 토류판 | |
US20090249732A1 (en) | Modular floor system | |
GB2222624A (en) | Drainage channel support system | |
CA3010135C (en) | Access mat comprising single unitary pultruded body | |
DE4330308C2 (de)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ohlraumbodens und Schalungselement zu seiner Durchführung | |
DE3408233A1 (de) | Bordschweller in anlehnung an din 483 und dazu passende einfahrtsteine und kabelverteilerstein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formen dazu | |
DE202016106002U1 (de) | Bodenplatte und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Hohlraumbodens | |
KR20040103270A (ko) | 무해체 계단 거푸집 | |
WO2009124092A2 (en) | Interlocking bolted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