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492B1 -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 Google Patents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492B1
KR101040492B1 KR1020080056943A KR20080056943A KR101040492B1 KR 101040492 B1 KR101040492 B1 KR 101040492B1 KR 1020080056943 A KR1020080056943 A KR 1020080056943A KR 20080056943 A KR20080056943 A KR 20080056943A KR 101040492 B1 KR101040492 B1 KR 10104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lock
recycled
synthetic resin
porou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126A (ko
Inventor
이정숙
Original Assignee
이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숙 filed Critical 이정숙
Priority to KR102008005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4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발명은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다양한 소재에 필요한 색상을 혼합처리 및 돌출형태를 형성시킨 재생합성수지로 된 조립식 다공블록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수지로 성형된 기판의 상면에 착색수지코팅층이 구비된 블록에 있어서, 기판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요홈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기판의 저면에 요입부 및 돌출부가 구비되며, 전술한 착색수지코팅층 위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규칙 배열 형성되거나 점자를 표현하도록 형성하여 이에 따라 금형 성형으로 제작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사출로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에 다수의 다공을 형성하여 중량이 적고, 절단 등의 가공이 용이하여 설치 시 설치여건에 따라 미관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블록 몸체가 재생소재로 되어 있어서 유연성이 좋고 내구성이 뛰어나 충격에 파손되지 않으며, 유연성 있는 연결구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치여건에 맞게 선형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재활용, 조립식, 다공블록

Description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Porous Block of Assembly Type Using Recycled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분리표현이 필요한 경우에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다양한 소재에 필요한 색상을 혼합처리 및 돌출형태를 형성하고 저중량이며 내구성이 높은 재생합성수지로 된 조립식 다공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나 화강석으로 가공된 경계블록이나 보도블록은 중량이 무거워 제작이나 운반, 절단 및 가공 설치가 어렵고, 코너나 곡선구간은 별도로 제작하거나 직선형을 절단하는 등의 재가공에 의해 설치되어야 하며, 충격에 약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유연성이 없는 취성소재로 재작되기 때문에 충격에 균열 및 이음부 파손이 많고, 보도를 정비하는 경우 상태가 양호한 블록도 폐기처리 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블록용 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자연을 훼손하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폐자재로 매립시켜 환경을 오염 시키 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블록이 제안된바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71707호(발명의 명칭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도블럭 제조방법 및 그 보도블럭 ;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가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합성수지 중에서 폐우레탄고무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잔존하는 불순물을 각각 선별하는 공정(S10); 상기 공정(S10)에 의해 선별된 폐우레탄고무와 폐플라스틱을 각각 구분한 후 파쇄기를 이용하여 5∼7cm 크기로 파쇄하는 공정(S20); 상기 공정(S20)에 의해 파쇄된 폐우레탄고무와 폐플라스틱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1∼2mm 크기로 미분쇄하는 공정(S30); 상기 공정(S30)에 의해 미분쇄된 폐우레탄고무분말과 폐플라스틱분말을 30∼50℃ 온도에서 10∼20분 동안 열풍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공정(S40); 상기 공정(S40)에 의해 건조된 폐우레탄고무분말 70∼89wt%에 폴리우레탄 10∼20wt%, 자외선차단제 1∼10wt%의 함량 범위로 배합하고, 폐플라스틱분말 70∼84wt%에 폴리우레탄 10∼20wt%, 난연제 1∼10wt%, 착색제 5∼10wt%의 함량 범위로 배합하여 각각 교반기를 이용하여 골고루 혼합하여 고형물이 없도록 1,2차 혼합물을 얻는 공정(S50); 상기 공정(S50)에 의해 얻어진 1,2차 혼합물을 금형상에 투입하여 1차혼합물을 상판(111)으로, 2차혼합물을 하판(112)으로 성형한 뒤 150∼180℃의 고온하에서 15∼20분 동안 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보도블럭(110)을 성형하는 공정(S60); 및 상기 공정(S60)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럭(110)을 검사하고 완제품으로 포장하는 공정(S70)으로 구성된 방법으로 제조되어, 상판(111) 및 하판(112)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홈(111a)과 결합턱(112a)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보도블럭이다.
이러한 인용발명1은 동절기에 동파 및 충격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동시에 수분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더불어 탄성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될 뿐 아니라, 장기간 원형이 유지되어 시공ㆍ보수에 따른 편리성과 함께 시공의 견실함을 도모하는 등 폐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나 각 보도블럭(110) 간에 결합 구조가 없이 평탄화한 지면에 놓여 설치되므로 보도블럭(110) 간의 사이가 불규칙해지며, 지면의 부분함몰 등에 의해 설치가 불량해지고, 상판(111) 및 하판(112)으로 분리되어 있어 용도 및 미관에 따라 상관(111)을 교체하는 장점은 있으나 반대로 상관(111)의 분실 또는 유실에 의한 미관 손상 및 설치 작업 시 이중 작업이 이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1422호(발명의 명칭 :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 이하 '인용발명2'라 함)는 도2에서 보는바와 같이 보도구간의 시설물들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발명으로 바닥에 보도블럭체결홀(211)이 다수 형성되고 측면은 요입부(212)와 돌출부(2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213)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파이프홀(214)이 형성되는 일체형차도블럭(311)과; 상기 일체형차도블럭(311)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바닥에 다수의 보도블럭체결홀(221)이 형성되고 일체형차도블럭(311)의 돌출부(213)와 결합되는 요입부(222) 및 일체형차도블럭(311)의 요입부(212)와 결합되는 돌출부(22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223)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홀(224)이 형성되는 일체형보도블럭(312)과; 일체형차도블럭(311)과 일체형보도블럭(312)이 결합된 후 파이프홀(214,224)에 삽입고정되는 에프알피 체결파이프(313)와; 하단에 체결앵커(241)가 돌출성형되고 상기 체결앵커(241)의 외주면으로 다수의 고무링(242)이 부착된 보도블럭(3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2는 인용발명1의 단점인 단순히 평탄화 작업이 된 지면에 순차적으로 배치한 것에 불과함으로써 돌출 내지는 함입되어 미관을 해치고 보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나 인용발명2 또한 시공이 복잡하고 일체형 차도블럭(311)과 일체형 보도블럭(312)을 시공한 후 서로 연결하고 그 위에 다시 보도블럭(314)을 시공해야 하므로 이중으로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강도 및 형태 유지를 위하여 일반 콘크리트 블록과 같이 내부가 채워진 형태이므로 각 블록이 갖는 무게가 무겁고,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지 못하여 용도 및 도로의 상태에 따라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량이 적고 각각의 도로 상황에 알맞은 형태로 조립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의 조립식 다공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활용 수지로 성형된 기판의 상면에 착색수지코팅층이 구비된 블록에 있어서, 기판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요홈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기판의 저면에 요입부 및 돌출부가 구비되며, 전술한 착색수지코팅층 위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규칙 배열 형성되거나 점자를 표현하도록 형성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에 있어서, 전술한 기판의 저면 양측을 연장하여서 된 두 개의 기립벽체와, 기립벽체 하단에 형성된 기초판체를 구비하고, 기립벽체와 기초판체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며, 기초판체에 고정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기초 내지 대지면 위에 타설한 앵커볼트 등의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고정 가능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을 제안하며, 모서리 부분의 연결을 위한 조립식 다공블록으로 전술한 기판의 저면에 형성된 두 개의 기립벽체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이러한 기립벽체의 하단에 기초판체가 'L'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기립벽체의 측면과 기초판체에 체결부가 구비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조립식 다공블록간의 조립을 위해 전술한 기판, 기립벽체 내지 기초판체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되는 수단은 둘레면에 걸림돌기 및 요입홈이 구비된 봉상의 결합수단이며, 이러한 요홈의 내부에 결합수단과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요입홈이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본 발명은 금형성형으로 제작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사출로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에 다수의 다공을 형성하여 단면적 대비 소요자재의 절감으로 경량이고, 절단 등의 가공이 용이하므로 설치 시 설치여건에 따라 미관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블록 자체가 재생소재로 되어 있어서 유연성이 좋고 내구성이 뛰어나 충격에 파손되지 않으며, 유연성 있는 연결구인 요홈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치여건에 맞게 선형 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용도에 따라 외부 마감재에 다양한 색상선택이 가능하고, 불연성수지로 코팅하거나, 반사판이나 발광부재의 부착이 용이하여 미관뿐만 아니라 안전성 향상도 가능하며, 마감재로 연성의 재생 PE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성이 우수하고, 균열이나 탈락의 우려가 없으며, 점자돌기를 형성하여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도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폐기물을 재활용하므로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다시 재활용할 수 있어서 환경을 보호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활용 수지로 성형된 기판(1)의 상면에 착색수지코팅층(2)이 구비된 블록에 있어서, 기판(1)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요홈(5)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기판(1)의 저면에 요입부(6) 및 돌출부(7)가 구비되며, 전술한 착색수지코팅층(2) 또는 기판의 상단에 복수개의 돌기부(8)가 규칙 배열 형성되거나 점자를 표현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은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기 위한 1차 가공으로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합성수지(PVC, PE 등), 폐비닐 및 플라스틱(Plastic) 등을 재활용하여 금형으로 찍어내거나 사출기로 사출하여 기존 규격으로 또는 내부에 다공을 형성하여 경량재이므로 기존 규격보다 큰 형태로 연속 제작하며, 2차 가공으로 도로에 노출되는 외부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선택색상의 동일 소재 또는 별도의 합성소재로 코팅하여 가공한다. 이 때 조립식 다공블록의 형성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기판(1)의 저면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요입부(6) 및 돌출부(7)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다공블록을 지면에 설치할 때 위치 고정의 효과를 갖으며, 형성 재료의 량을 줄일 수 있어서 경량의 블록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 강한 강도를 필요로 한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식 다공블록 형성 시 내부에 금속재로 된 망 형태의 코어(12)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착색수지코팅층(2)은 공원이나 산책, 등산, 조깅도로 등의 특성에 맞게 충격흡수가 우수한 합성소재로 코팅하거나 도로의 구분 또는 미관을 위해 다양한 색으로 착색시키거나, 실내의 경우 불연성 수지로 코팅하거나 시각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상면에 점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립식 다공블록간의 연결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요홈(5)에 봉상의 결합수단(20)의 일단을 삽입하고 타단에 다른 조립식 다공블록의 요홈(5)을 끼우고 일측으로 밀착 조립시킴을 반복하여 연결하며, 이 때 봉상의 결합수단(20)은 그 둘레면에 걸림돌기(21) 및 요입홈(22)을 구비하고, 이러한 결합수단(20)이 삽입되어 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21) 및 요입홈(22)이 결합수단(20)의 걸림돌기(21) 및 요입홈(22)과 맡물리도록 요홈(5)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과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2실시예는 경계블록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조립식 다공블록에 있어서, 전술한 기판(1)의 저면 양측을 연장하여서 된 두 개의 기립벽체(3)와, 기립벽체(3) 하단에 형성된 기초판체(4)로 되어 내부에 통공(24)을 구비하고, 기립벽체(3)와 기초판체(4)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요홈(5)이 형성되며, 기초판체(4)에 고정공(10)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기초 내지 대지면 위에 타설한 앵커볼트 등 공지의 고정수단(11)으로 고정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기초판체(4)는 기립벽체(3)의 하단을 마감하여 내부가 통공(24)으로 되며, 동시에 양방으로 연장되어 양측 고정날개를 구비하고, 고정날개에 전술한 다수의 고정공(10)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경계블록의 설치 방법의 일예를 들면, 도 1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층을 평탄작업을 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1차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평탄 작업을 실시하며, 이 위에 경계블록을 올려놓고 양측 고정날개 주변에 2차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 때 고정을 위해 고정날개의 고정공(10)에 고정핀이나 앵커 같은 고정수단(11)을 이용하여 지지층 또는 기초 콘크리트에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주변에 조립식 다공블럭을 포장할 경우 채움재(23)를 깔고 제1 실시예의 조립식 다공블럭의 요홈(5)과 요홈(5)을 결합수단(20)으로 조립하여 포설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러한 경계블록간에 연결은 전술한 조립식 다공블록간의 연결과 마찬가지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1), 기립벽체(3) 내지 기초판체(4)에 형성된 요홈(5)에 봉상의 결합수단(20)을 삽입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요구되는 경계블록의 경우에 도 1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 기립벽체(3) 및 기초판체(4)로 둘려진 통공(24)에 금속재로 된 보강재(13)를 삽입 형성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경계블록의 기판(1) 상측 또는 외부에 드러나는 외부면에 착색수지코팅층(2)을 형성하여 도로의 구분 또는 미관을 위해 다양한 색으로 착색시키거나, 시각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상면에 점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외부면에 반사판(14) 또는 발광체를 부착하여 야간에도 진행 방향 표시 또는 경계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경계블록의 모서리 연결을 위해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기판(1)의 저면에 형성된 두 개의 기립벽체(3)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이러한 기립벽체(3)의 하단에 기초판체(4)가 'L'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통공(24)을 구비하고 기립벽체(3)의 측면과 기초판체(4)에 체결부(9)가 구비된 것이다.
여기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기판(1), 기립벽체(3) 및 기초판체(4)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요홈(5)을 형성하여 결합수단(20)으로 양단에 경계블록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9a 내지 도 9b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블럭을 연결하는 다른구성으로 도 9a은 평면도이고 도 9b는 연결부 일측의 단면도로 모서리 양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9)를 경계블록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는 경계블록인 제2실시예의 모서리 연결을 위한 실시예로 이러한 제3실시예를 이용하여 경계블록의 모서리 연결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요홈(5)에 봉상의 결합수단(20)을 삽입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도 9a와 도 9b로 도시한 모서리 부분으로 연결하는 것은 전술한 체결부(9)를 경계블록의 기판(1), 기립벽체(3) 및 기초판체(4)로 둘려진 내부 공간인 통공(24)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각 실시예의 조합으로 보도 및 도로와 이들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블록까지 조립식으로 용도 및 설치 환경에 따라 알맞은 형태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인용발명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인용발명2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a 내지 9b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3실시에 따른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1실시예를 연결하는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2실시예를 연결하는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연결하는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연결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보강된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공블록의 반사판이 구비된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 2:착색수지코팅층 3:기립벽체 4:기초판체
5:요홈 6:요입부 7:돌출부 8:돌기부
9:체결부 10:고정공 11:고정수단 12:코어
13:보강재 14:반사판 20:결합수단 21:걸림돌기
22:요입홈 23: 채움재 24: 통공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재활용 수지로 성형된 기판의 상면에 착색수지코팅층이 구비된 블록에 있어서,
    상기 착색수지코팅층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요홈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저면에 요입부 및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판의 내부에 금속재로 된 망 형태의 코어가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상단에 상기 착색수지코팅층의 돌기부와 같은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가 점자를 표현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착색수지코팅층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점자를 표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저면 양측을 연장하여서 된 두 개의 기립벽체와,
    기립벽체 하단에 형성된 기초판체로 되어 내부에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 기립벽체 및 기초판체의 둘레면에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저면에 형성된 두 개의 기립벽체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이러한 기립벽체의 하단에 기초판체가 'L'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판, 기립벽체 및 기초판체로 둘려진 내부의 통공에 상기 통공의 형상과 같은 금속재로 된 보강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56943A 2008-06-17 2008-06-17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KR10104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43A KR101040492B1 (ko) 2008-06-17 2008-06-17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43A KR101040492B1 (ko) 2008-06-17 2008-06-17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26A KR20090131126A (ko) 2009-12-28
KR101040492B1 true KR101040492B1 (ko) 2011-06-09

Family

ID=4169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943A KR101040492B1 (ko) 2008-06-17 2008-06-17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893B (zh) * 2016-12-14 2019-04-30 刘克军 Tst路面上基层排水盲沟施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962A (ko) * 1995-09-02 1997-04-28 안창석 바닥용블럭의 제조방법
KR200160430Y1 (ko) * 1997-09-10 1999-11-01 문동해 보도 블록
KR20010060430A (ko) * 1999-12-24 2001-07-07 신현준 실리카질 슬리브 성형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실리카질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
KR100324067B1 (ko) * 1999-05-31 2002-02-16 노영철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성형품 및 그 성형방법
KR100730089B1 (ko) * 2005-03-05 2007-06-20 이상원 콘크리트 외벽체 무늬형 복합소재 외장패널 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962A (ko) * 1995-09-02 1997-04-28 안창석 바닥용블럭의 제조방법
KR200160430Y1 (ko) * 1997-09-10 1999-11-01 문동해 보도 블록
KR100324067B1 (ko) * 1999-05-31 2002-02-16 노영철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성형품 및 그 성형방법
KR20010060430A (ko) * 1999-12-24 2001-07-07 신현준 실리카질 슬리브 성형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실리카질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
KR100730089B1 (ko) * 2005-03-05 2007-06-20 이상원 콘크리트 외벽체 무늬형 복합소재 외장패널 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26A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074B1 (en) Inlay system for concrete
KR101040492B1 (ko)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US20030121221A1 (en) Prefabricated stairway and method
KR20120114918A (ko) 합성목재와 콘크리트(우레탄, 고무)를 일체화한 보도블럭
US8231304B2 (en) Artificial flagstone
KR20200117550A (ko) 경계 블록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US7540684B1 (en) Interlocking rubber mat resembling a paving stone surface
KR101387643B1 (ko)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도로경계블록
KR101226960B1 (ko) 목재 일체형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10892B1 (ko) 합성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보도블록
KR200381325Y1 (ko) 보도블록
KR102340982B1 (ko) 폐수지를 이용한 인조 조경석
KR200472648Y1 (ko)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KR200418074Y1 (ko) 목재 대체용 거푸집 각재
KR20070048830A (ko)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KR102444772B1 (ko) 프리캐스트 입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4295B1 (ko) 블록 조립체
KR200291927Y1 (ko) 도로경계석
KR102627011B1 (ko) 조립식 고무블록 시스템
KR200427787Y1 (ko) 복합목재 우드타일
KR200393642Y1 (ko) 금속재 보도블록
KR100966851B1 (ko) 탄성 보도블록
KR20180087604A (ko) 합성데크용 친환경 고강도 데크블록
KR200362069Y1 (ko) 조립식 계단용 디딤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