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194B1 -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194B1
KR101906194B1 KR1020180054402A KR20180054402A KR101906194B1 KR 101906194 B1 KR101906194 B1 KR 101906194B1 KR 1020180054402 A KR1020180054402 A KR 1020180054402A KR 20180054402 A KR20180054402 A KR 20180054402A KR 101906194 B1 KR101906194 B1 KR 10190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attice
grid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현
김지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현
김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현, 김지호 filed Critical 김명현
Priority to KR102018005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격자줄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격자줄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격자줄바 고정부재에 격자줄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격자줄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배치단계;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와 격자줄바를 분리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해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격자줄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는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격자줄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배면측에 테두리를 따라 각 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날개 설치홈이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고정날개 설치홈을 통해 상기 중앙돌기의 각 방향에 조립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날개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wall}
본 발명은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또는 옹벽 및 담장과 같은 벽체의 시공 시, 벽체에 콘구멍과 격자형태의 줄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출콘크리트(exposed concrete) 공법은 건물의 벽체, 옹벽 또는 담장을 이루는 벽체를 구성하는 기본 골조재인 콘크리트 물성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마감 기법이다. 다시 말해, 노출콘크리트 공법은 콘크리트 자체가 갖고 있는 색상 및 질감으로 마감을 나타내는 형태의 공법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탈거한 상태 그대로를 노출시켜 콘크리트 자체가 나타내는 독특한 미와 중후함을 강조하는 공법이다.
현재, 많은 건축가들이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선호하고 있기는 하지만, 종래의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수행할 때는 거푸집 탈거 후 고르지 못한 면이 발생되거나 줄이 일률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되어 표면 보수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노출콘크리트 공법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벽체의 설계 시 점, 선, 면의 3가지 요소가 잘 어우러져야 하나의 건축 작품이 완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점과 선에 해당되는 콘구멍과 격자줄의 배치와 배열은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노출콘크리트 시공 시 이들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단순 적용할 경우, 점과 선에 해당되는 콘구멍과 격자줄의 배치와 배열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벽체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새로운 대응기술로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7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특허문헌의 경우 거푸집의 일면에 다수의 블록막대를 교차 형성하여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블록막대 형성 시, 각각의 블록막대를 거푸집에 고정시켜 형성함에 따라 그 작업량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에 볼트를 통해 블록막대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볼트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경우 블록막대 및 거푸집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해야 함은 물론, 블록막대의 고정력을 위해 각각의 블록막대의 양단에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할 때, 다수의 블록막대를 모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그 작업량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블록막대에 볼트의 체결홀을 형성함에 따라 블록막대에 형성된 체결홀에 의해 콘크리크의 양생 시,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지점은 매끄럽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거푸집에 접착제를 통해 블록막대를 형성하는 경우, 접착력의 강도에 따라, 접착강도가 높으면 블록막대를 거푸집에서 제거하기가 어려워 블록막대의 파손에 따른 교체 필요시 교체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접착 강도가 낮으면 블록막대가 콘크리트 양생 과정중에 거푸집으로부터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작업량이 최소화되고, 거푸집에 격자 줄 형성을 위한 부재의 결합이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8043호(2013.09.06)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외벽 또는 옹벽 및 담장과 같은 벽체 시공 시, 거푸집에 격자줄의 형성을 위한 기재의 형성이 견고하면서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노출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격자줄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격자줄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격자줄바 고정부재에 격자줄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격자줄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배치단계;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와 격자줄바를 분리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해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격자줄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는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격자줄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배면측에 테두리를 따라 각 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날개 설치홈이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고정날개 설치홈을 통해 상기 중앙돌기의 각 방향에 조립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날개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각 고정날개는, 길이방향 양단으로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후크가 형성되고, 상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후단측이 상기 중앙돌기의 측면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날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 보강리브의 후단측이 위치된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날개 설치홈에 삽입되는 고정날개 설치돌기가 연장형성된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격자줄바를 개별적으로 거푸집에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한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음에 따른 공정 및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격자줄바의 파손 시, 파손된 격자줄바의 신속한 탈거 및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 또는 옹벽 및 담장과 같은 벽체 시공 시, 콘구멍과 격자줄의 배치와 배열이 자연스럽게 일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아울러, 격자줄바 고정부재의 고정날개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음에 따라 격자줄바 고정날개의 파손에 따른 격자줄바 고정부재의 불필요한 파기를 최소될 수 있 격자줄바 형성부재와 관련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노출콘크리트 벽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줄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격자줄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격자줄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격자줄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격자줄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격자줄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격자줄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 의 격자줄바가 격자줄바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줄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격자줄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격자줄바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격자줄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격자줄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격자줄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격자줄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 의 격자줄바가 격자줄바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을 참고하면, 격자줄이 표현된 콘크리트 벽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격자줄용 거푸집(1000)이 요구된다. 이러한 격자줄용 거푸집(1000)은 격자줄용 거푸집(1000)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100)를 건물의 외벽, 옹벽 및 담장과 같은 건축물의 외벽 사이즈에 맞게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시킴으로서 전반적인 벽체 형성용 거푸집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줄용 거푸집(1000)은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철재 또는 목재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거푸집 본체(100)를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10)의 격자줄(12)에 대응되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격자줄 형성부재(200)를 포함한다.
격자줄 형성부재(200)는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양생시 콘크리트 벽체(10)에 격자줄(12)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격자줄 형성부재(200)는 크게 격자줄바(210)와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격자줄바(210)는 상기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결합되어 거푸집 본체(100) 상에 수평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격자줄바(210) 형태로 성형되었을 때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줄바(210)는 원통형 관을 1/2로 절단한 것과 같은 반원관(Half-pipe)형태의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의 내측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부(212) 및 몸체부(211) 내측 중앙지점 부근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강판(213)으로 구성된다.
몸체부(211)는 반원관(Half-pipe)형태로 형성되며, 양단 일 측에는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결합 후, 제거 시, 공구 등을 삽입하여 격자줄바(21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탈거홈(214)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211)는 격자줄바(210)가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부에 형성 시, 콘크리트 벽체 외면에 라운드진 격자줄을 형성하게 된다.
결합날개부(212)는 격자줄바(210)를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11)가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음에 따라 양단의 개방된 하측이 벌어지면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될 격자줄바 고정부재(220) 설명에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보강판(213)은 콘크리트 양생시 콘크리트에 의해 몸체부(2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211)의 내측 중앙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판(213)의 형성 구조는 격자줄바(210) 전반에 걸쳐 콘크리트의 압력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격자줄바(210)가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결합 시, 양단 저면측이 벌어질 수 있어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경우에 따라 격자줄바(210)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짧은 격자줄바가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 시, 해당 길이에 해당하는 격자줄바(210)의 어느 부위를 절단하여도 보강판이 존재하게 됨과 동시에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양단이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격자줄바(210)는 격자형태의 격자줄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하게 배열되는 제 1 격자줄바(210a)와, 수직하게 배열되는 제 2 격자줄바(21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격자줄바(210a, 21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는 십자형(+)의 구조로 격자줄바(210)의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격자줄바(210)의 교차지점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격자줄바(210)들을 연결해줌과 동시에 상기 격자줄바(210)를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부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 및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조비용의 절감과, 파손, 보관 및 고내식성 등의 다양한 이점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비용적인 측면을 더 고려했을 때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재생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는 크게 중앙돌기(221) 및 고정날개부(222)로 구분 형성된다.
중앙돌기(221)는 전반적으로 육면체(ex: 단면이 사각형인 정육면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콘크리트 벽체(10)상에 격자줄(12)의 교차지점의 모양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측면은 격자줄바(210)의 결합 시, 중앙돌기(221)와 격자줄바(10)가 자연스럽게 연속되도록 구현하기 위해 격자줄바(210) 몸체부(211) 단면의 구조 및 면적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중앙돌기(221)의 중앙(센터)지점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를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홀(223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거푸집 본체(100)와 접촉되는 중앙돌기(221)의 배면측에는 고정날개부(222)를 중앙돌기(2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날개 설치홈(223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날개 설치홈(223b)은 중앙돌기(221)의 배면측에 4방향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 방향마다 한 쌍이 형성되며 후술될 고정날개부(222)의 설치돌기(22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 가공되어 있다. 또한, 고정날개 설치홈(223b)의 내측에는 내면을 따라 고정돌기 삽입홈(223b-1)이 인입 가공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중앙돌기(221)의 전면방향으로 가공된 제 1 나사홀(223b-2)이 가공되어 있다.
고정날개부(222)는 중앙돌기(221)의 4방향으로 형성되어 격자줄바(210)의 양단의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돌기(221)의 4방향 측면에 동일한 구조로 각각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고정날개(222a~222d)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 고정날개(222a~222d)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격자줄바(210)를 고정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격자줄바(210)를 구성하는 몸체부(211)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의 단위 고정날개들로 형성된다. 이러한, 각 단위 고정날개들은 각 고정날개(222a~222d)를 형성하기 위해 각 고정날개(222a~222d)당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호 보강판(213)이 삽입 가능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중앙돌기(221)의 배면측에 조립되어 설치된다. 이때, 조립 설치된 각 단위 고정날개의 배면은 중앙돌기(221)의 배면과 동일선상으로 일치된다.
이러한, 고정날개부(222)의 구조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제 1 고정날개(222a)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제 1 고정날개(222a)는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들(222a-1, 222a-2)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격자줄바(210)의 결합날개부(212)와 결합 가능한 결합후크(2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224)는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되는 구조로 끝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후크(224)의 상방향 연장길이는 격자줄바(210)의 결합날개부(2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날개부(222)와 격자줄바(210)가 결합 시, 결합날개부(212)와 거푸집 본체(100)와의 사이의 벌어짐 발생 없이 격자줄바(210)가 고정날개부(22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격자줄바(210)와 고정날개부(222)가 결합 고정되는 과정에 대해 보충 설명하면, 격자줄바(210) 일 단측을 고정날개부(222)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힘을 가하면 격자줄바(210)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후크(224)의 끝단이 접촉하게 된다. 이후 격자줄바(210)에 더 힘을 가하면 결합날개부(212)가 결합후크(224)의 끝단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날개부(212)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결합후크(224)가 결합날개부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격자줄바(210)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벌어졌던 결합날개부(212)가 복원되어 결합날개부(212)와 결합후크(224)가 후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격자줄바(212)가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에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 보강리브(226)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날개 보강리브(226)는 각 단위 고정날개의 강성을 보완하여 격자줄바(210)의 결합 및 해체 시, 또는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설치 및 보관 시에 휘어짐 또는 부러짐과 같은 고정날개부(2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재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정날개 보강리브는(22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반적인 쐐기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단면적이 가장 큰 고정날개 보강리브(226)의 후단측은 중앙돌기(221)에 측면에 기밀하게 접하게 되고, 편평한 저면은 각 단위 고정날개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날개 보강리브는(226)는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의 길이 전반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소정부분까지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날개 보강리브(226)는 쐐기형태의 구조로 중앙돌기(221)와 먼측의 선단측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어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의 끝단 측이 고정날개 보강리브(226)에 의해 하드 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미하게나마 변형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거푸집 본체(100)으로부터 격자줄바 고정부재(200)의 분리 시, 격자줄바 고정부재(200)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고정날개부(222)의 끝단측의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고정돌기(221)의 고정날개 설치홈(223b)에 삽입되는 고정날개 설치돌기(227)가 연장 형성되며, 고정날개 설치돌기(227)는 단위 각 단위 고정날개(222a-1, 222a-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7a)와, 상기 연장부(227a)의 끝단의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삽입부(227b)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227b)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절두원뿔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측면 테두리를 따라 고정돌기(227c)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227c)는 고정날개 설치돌기(227)가 고정날개 설치홈(223b)에 삽입 시, 고정돌기 삽입홈(223b-1)과 결합된다.
또한, 고정날개 설치돌기(227)에는 연장부(227a)와 삽입부(227b)를 관통하는 제 2 나사홀(227d)이 형성되며, 제 2 나사홀(227d)은 고정날개 설치돌기(227)가 고정날개 설치홈(223b)에 삽입될 시, 제 1 나사홀(223b-2)과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어 나사(피스)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 및 2 나사홀(223b-1, 227d)에 체결되는 피스의 헤드는 제 2 나사홀(227d)에 의해 고정날개 설치돌기의 배면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된다.
이와 같은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는 측면 4방면에 형성되는 각 고정날개(222a~222d)가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로 형성되고,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는 보강판(213)이 삽입 가능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보강판 삽입홈(225)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고정날개부(222)와 격자줄바(210)가 결합 시 격자줄바(210)의 양단을 포함한 격자줄바(210) 전체에 걸쳐 보강판(213)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격자줄바(210)와 각 고정날개(222a~222d)의 결합 시, 보강판 삽입홈(225)을 따라 위치되는 결합후크(224)에 의해 보강판 삽입홈(225)으로의 보강판(213)의 이동이 가이드됨에 따라 고정날개부(222)와 격자줄바(21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중앙돌기(221)에 설치되는 각 단위 고정날개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립 가능함에 따라 고정날개(222a~222d)의 파손 시, 해당 고정날개(222a~222d)에서 파손된 단위 고정날개만을 교체함으로써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위 고정날개의 교체 시, 단위 고정날개가 모두 동일한 구조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방향별 또는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의 좌우 위치별로 구분할 필요가 없어 제작,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거푸집 본체(100)에 격자줄바(210) 및 격자줄바 고정부재(220)가 설치되는 위치에 자리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리홈은 첫째로 격자줄바(210)와,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고정 위치를 잡아주고, 둘째로는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설치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회전을 방지해주며, 셋째로는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격자줄바(210)의 결합 시, 격자줄바(210)의 결합날개부(212)와 거푸집 본체(100) 전면부와의 사이가 들뜨지 않고 견고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설명된 격자줄바(210)와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는 격자줄용 거푸집(1000)의 제작 시, 격자줄바(210)를 거푸집 본체(100)에 설치하기 위해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만을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하고, 격자줄바(210)를 단순 삽입(끼워맞춤)하여 고정시키면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모든 격자줄바를 거푸집 본체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하나하나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부수재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접착제 도포 및 접착제 경화 시간 등이 요구되지 않음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전반적인 거푸집 제작 공정, 제작시간 및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격자줄바(210)의 파손 시, 파손된 해당 격자줄바(210)의 신속한 탈거 및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공사완료에 따른 거푸집의 해체 시, 거푸집 본체(100)로부터 격자줄바(210)의 탈거홈(214)에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하면 결합날개부(212)가 결합홈(224)으로터 이탈됨에 따라 격자줄바(210)의 선 분리 후,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를 분리하여 해체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격자줄바(2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 고정상태의 해제를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고정 해제와 동시에 격자줄바(210)의 설치 상태가 해체(분리)되도록 하는 등, 전반적인 거푸집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를 일괄적으로 수평과 수직이 일치되도록 설치하면, 격자줄바(210)는 자연스럽게 수직과 수평이 맞춰짐에 따라 격자줄(12)의 정확한 수직, 수평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은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S10),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S20), 거푸집 배치단계(S30), 이격거리 확보단계(S40), D콘 결합단계(S50), 본체 볼트 결합단계(S60),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S70), 주물 너트 체결단계(S80), 콘크리트 양생단계(S90), 부품 제거단계(S100) 및 격자줄용 거푸집 해체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S10)는 도 7(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구성되는 보강재인 철근(310)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 고정하여 벽체 형태로 형성되는 철근 기초물(3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철근 기초물이 벽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만큼 시공되는 벽체의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S20)는 노출콘크리트 벽체(10)와 대응되게 거푸집 본체(10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킨 다음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와 격자줄바(210)를 설치하여 격자줄용 거푸집(1000)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격자줄용 거푸집(1000) 제작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가 거푸집 본체(100)를 노출콘크리트 벽체(10)와 대응되도록 연속하여 설치한 다음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수직방향의 격자줄과 수평방향의 격자줄이 교차하는 교차지점과 대응되는 거푸집 본체 상에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를 설치한다. 이때,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는 연속설치된 거푸집 본체(100)에 일괄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설치는 격자줄바 고정부재(220) 자리홈이 형성되어 있다면 매우 짧은 시간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일괄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 및 수평방향의 격자줄바(210a) 또는 제 2 격자줄바(210b)를 순서에 관계없이 동일선상에 위치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고정날개부(222)에 결합시켜 설치한다. 이러한 격자줄바(210)의 설치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순서에 관계없이 이루어지고, 단순히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설치 작업 또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격자줄바(210)의 길이에 있어서, 벽체의 전반적인 크기에 의해 벽체의 외각측에 배치되는 격자줄바(210)의 길이는 보통의 것에 비해 짧은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격자줄바(210)를 해당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격자줄바(210)를 절단하더라도, 절단된 격자줄바(210)는 길이만 짧을 뿐 다른 것은 변하지 않아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결합 가능하기 때문이다.
거푸집 배치단계(S30)는 도 7(b)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S10)를 통해 제작된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을 상호간 이격 배치하는 과정이다.
이격거리 확보단계(S40)는 세파 볼트(41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격자줄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과정이다.
세파 볼트(410)는 노출콘크리트 벽체(10) 내에 영구히 묻혀 고정된다. 세파 볼트(410)의 양쪽 끝에는 나사산을 통해 D 콘(420)이 결합된다. 이때, 세파 볼트(410)의 길이에 따라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세파 볼트(410)는 콘크리트 양생 시 격자줄용 거푸집들이 좁아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이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D 콘 결합단계(S50)는 노출콘크리트 벽체(10)에 형성되는 콘구멍(11)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420)을 세파 볼트(410)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D 콘(420)이 해당 위치에서 제거되어 재사용되는데, 이처럼 D 콘(420)이 제거된 자리에 원형의 콘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볼트 결합단계(S60)는 본체 볼트(430)를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D 콘(42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S70)는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의 외측에서 본체 볼트(430)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440)를 체결하는 과정이다.
주물 사각와셔(440)의 사이즈가 큰 이유는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을 관통하는 본체 볼트(430)의 구멍 주위로 배치되는 거푸집 보강용 각재 또는 철재(미도시) 등을 감싸기 위함이다.
주물 너트 체결단계(S80)는 주물 사각와셔(440)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45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주물 너트(450)는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을 버틸 수 있고, 이로 인해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두께가 설계치보다 늘어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콘크리트 양생단계(S90)는 도 7(c)처럼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과정이다.
부품 제거단계(S100)는 도 7(d)처럼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 D 콘(420), 본체 볼트(430), 주물 사각와셔(440) 및 주물 너트(450)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필요에 따라 이들 부품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
격자줄용 거푸집 해체 단계(S110)는 전반적인 시공이 완료된 이후 거푸집 본체(100)의 야적, 또는 이동을 위해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100)와 격자줄바(210) 및 격자줄바 고정부재(220)를 분리하는 과정이다. 이때, 거푸집의 해체 시, 격자줄바(2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에 고정된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의 고정 해제와 동시에 격자줄바(210)의 설치 상태가 해체(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거푸집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거푸집 해체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을 양쪽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내면 혹은 외면 모두에 콘구멍(11)과 격자줄(12)이 형성되나, 격자줄용 거푸집(1000)들을 한쪽에만 배치하고 다른쪽에는 일반적인 거푸집을 사용할 경우, 노출콘크리트 벽체(10)의 내면에만 혹은 외면에만 콘구멍(11)과 격자줄(1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구멍(11)과 격자줄(12)의 배치와 배열이 정렬되어 설치되는 격자줄바 고정부재(22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노출콘크리트 벽체(10)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을 연출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완성도가 종래보다 훨씬 상승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의 미적 아름다움을 드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노출콘크리트 벽체(10) 상에 격자줄(12)이 부드러우면서도 정교한 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양한 건물에 있어서 규칙적인 외관의 노출콘크리트를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노출콘크리트 벽체(10) 상에 격자줄(12)을 양측 또는 어느 한 측에만 설치 가능함에 따라, 건물벽의 외측을 형성하는 거푸집에 격자줄바 고정부재 및 격자줄바를 설치하고, 견물벽의 내측을 형성하는 거푸집에는 격자줄바 고정부재 및 격자줄바를 설치하지 않고 전기 배선을 위한 설치 공간과 같은 별도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패널 또는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용도 및 목적에 맞는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건축물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노출콘크리트 벽체
11:: 콘구멍 12: 격자줄
100: 거푸집 본체
200: 격자줄 형성부재
210: 격자줄바
211: 몸체부 212: 결합날개부
213: 보강판 214: 탈거홈
220: 격자줄바 고정부재
221: 중앙돌기 222: 고정날개부
223a: 체결홀 223b: 고정날개 설치홈
224: 결합후크 225: 보강판 삽입홈
226: 보강리브 227: 설치돌기
1000: 격자줄용 거푸집

Claims (4)

  1. 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시공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벽체에 형성되는 격자줄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십자형(+)의 구조의 격자줄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로 인접하게 설치된 격자줄바 고정부재에 격자줄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격자줄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
    격자줄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배치단계;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들, D 콘, 본체 볼트,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및
    상기 격자줄용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본체와 격자줄바를 분리하는 격자줄용 거푸집 해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격자줄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 형성되는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격자줄바 고정부재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의 특정 패턴의 형상이 가공되며 중앙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배면측에 테두리를 따라 각 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날개 설치홈이 형성되는 중앙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상기 고정날개 설치홈을 통해 상기 중앙돌기의 각 측면 방향에 조립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날개로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날개는, 길이방향 양단으로 걸림부가 형성된 결합후크와, 상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후단측이 상기 중앙돌기의 측면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날개 보강리브 및 상기 고정날개 보강리브의 후단측이 위치된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날개 설치홈에 삽입되는 고정날개 설치돌기가 각각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 설치홈은, 상기 고정날개 설치돌기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 내주면을 따라 고정돌기 삽입홈이 인입 가공되고, 중앙에는 중앙돌기의 전면 방향으로 제 1 나사홀이 가공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 설치돌기는, 각 단위 고정날개의 일 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절두원뿔형의 구조로 상기 연장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 삽입홈과 결합 가능한 고정돌기 및 상기 제 1 나사홀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상기 연장부 및 삽입부를 관통하는 제 2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날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단위 고정날개들은 상기 보강판이 삽입 가능한 거리로 이격됨으로써 보강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 삽입홈에 보강판의 삽입 시, 보강판 삽입홈 주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에 의해 보강판의 삽입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4402A 2018-05-11 2018-05-11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10190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02A KR101906194B1 (ko) 2018-05-11 2018-05-11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02A KR101906194B1 (ko) 2018-05-11 2018-05-11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194B1 true KR101906194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402A KR101906194B1 (ko) 2018-05-11 2018-05-11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1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653B1 (ko) * 2017-12-08 2018-05-04 박진순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653B1 (ko) * 2017-12-08 2018-05-04 박진순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107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801270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12565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1770172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EA025860B1 (ru) Блочная фор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бетонных покрытий
KR101950872B1 (ko) 탈형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pc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889644B1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CN205918110U (zh) 一种定型柱体模板加固结构
KR101854653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25362B1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00689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899860B1 (ko)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KR101906194B1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WO2019207345A1 (en) Variable crosssectional formwork for buiding an annular concrete tower
KR101812955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N108868130B (zh) 一种双层连梁洞口模板系统及其应用于双层连梁的工法
KR101812560B1 (ko) 건축 시공방법
KR101877417B1 (ko) 옹벽 시공방법
KR101859408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9151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 형성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