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048Y1 - 방수턱 거푸집 - Google Patents

방수턱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048Y1
KR200246048Y1 KR2020010018664U KR20010018664U KR200246048Y1 KR 200246048 Y1 KR200246048 Y1 KR 200246048Y1 KR 2020010018664 U KR2020010018664 U KR 2020010018664U KR 20010018664 U KR20010018664 U KR 20010018664U KR 200246048 Y1 KR200246048 Y1 KR 200246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support
support
waterproof jaw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종
정근호
Original Assignee
박헌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종 filed Critical 박헌종
Priority to KR2020010018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048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턱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정 길이와 두께를 유지하여 형성된 제 1수평대(21)로 이루어진 제 1수평지지대(20); 상기 제 1수평대(21)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2수평대(32)로 이루어진 제 2수평지지대(30); 상기 제 1수평대(21)와 제 2수평대(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 하부 양측에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어 바닥 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재(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부성형틀을 제 1,2수평지지대로 분리가 가능하여 콘트리트 양생후 취출이 용이하여 제품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상부성형틀의 하부에는 배근되는 철근 상부에 안착이 가능하도록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수턱 거푸집{A FLASH BOARD WATER PROOF SILL}
본 고안은 방수턱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턱 거푸집의 상부성형틀을 이중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배근되는 철근 상부에 안착이 가능하도록 받침부재가 하부에 구비되어 콘트리트 양생후 취출이 용이하여 제품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간편한 방수턱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시공시 욕실, 베란다 등에는 실내로 스며드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턱을 시공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방수턱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욕실, 베란다 등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수턱 거푸집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방수턱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방수턱 거푸집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 거푸집(100)은 크게 상부성형틀(200)과 받침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성형틀(200)은 동일한 길이와 높이를 유지하여 형성된 한쌍의 수직지지판(210)과, 수직지지판(210)의 양단에 고정 설치된 마감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수직지지판(210)의 상부 양측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각각 고정 설치된 지지편(310)과, 지지편(310)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제1지지봉(320)과, 제 1지지봉(32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 2지지봉(33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거푸집을 사용하여 방수턱의 시공순서를 설명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바닥슬라브에 배근이 된 상태에서 방수턱이 설치될 위치에 방수턱 거푸집(100)의 받침부재(300)를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받침부재(300)의 제 1,2지지봉(310)(320)이 배근된 철근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제 2지지봉(320)의 단부가 바닥슬라브 거푸집(500)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수직지지판(210)과 마감판(220)으로 이루어진 상부성형틀(200)이 배근된 철근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슬라브 거푸집(500)과 방수턱 거푸집(100)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바닥슬라브 거푸집(500)과 방수턱 거푸집(1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슬라브와 방수턱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받침부재(300)의 제 1지지봉(310)을 제 2지지봉(3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부성형틀(200)을 상방으로 취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바닥슬라브와 일체로 방수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수턱 거푸집은 수직지지판과 마감판으로 이루어진 상부성형틀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바닥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받침부재를 구비하여 바닥슬라브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리트 양생후 상부성형틀의 취출시 상부성형틀의 지지편에 고정 설치된 제 1지지봉을 콘크리트에 양생된 제 2지지봉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받침부재를 분리시키지 않고 상부성형틀의 취출시에는 받침부재의 크기 만큼 구멍이 발생되어 이를 재작업하게 되었고, 그리고 상부성형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성형틀 취출시 방수턱이 깨지는 등의 제품에 대한 손상이 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방수턱이 형성되는 상부성형틀을 이중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양생후 취출이 용이하여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간편한 방수턱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적정 길이와 두께를 유지하여 형성된 제 1수평대로 이루어진 제 1수평지지대; 상기 제 1수평대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2수평대로 이루어진 제 2수평지지대; 상기 제 1수평대와 제 2수평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2수평지지대의 제 1,2수평대 하부 양측에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어 바닥 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방수턱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방수턱 거푸집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방수턱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성형틀 20,30 : 제 1,2수평지지대
21,31 : 제 1,2수평대 22 : 끼움홈
23,33,70,75 : 제 1,2,3,4마감판 32 : 삽지홈
40 : 받침부재 80 : 잠금장치
81 : 고정부재 82 : 걸림부재
83 : 걸림고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방수턱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수턱 거푸집(1)은 상부성형틀(10)과 받침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성형틀(10)은 적정 길이와 두께로 이루어진 제 1수평대(21)와, 상기 제 1수평대(21)의 양단에 내측으로 교차되게 고정 설치된 제 1마감판(23)으로 이루어진 제 1수평지지대(20)와, 상기 제 1마감판(23)과 결합되는 제 2마감판(33)이 전면 양단으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수평대(21)와 대향되게 형성된 제 2수평대(31)로 이루어진 제 2수평지지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수평지지대(20)의 제 1마감판(23)의 하부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수평지지대(30)의 제 2마감판(33) 상부에는 삽지홈(32)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력으로써 제 1,2수평지지대(20)(30)를 결합 및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부재(40)는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 하부 양측에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각각 고정 설치되어 바닥 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제 1,2수평지지대(20)(30)와 받침부재(40)의 높이가 방수턱의 높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받침부재(40)는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철근과 접촉면적을 줄여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에는 제 1,2수평지지대(20)(30)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 1수평대(21) 상부 중앙 영역에 제 1마감판(23)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고, 끼움공(51)이 형성된 제 1수평편(50)과, 상기 제 1수평편(50)의 끼움공(51)과 동일하게 삽지공(55)이 형성되고, 제 2수평대(31)의 전면 중앙 영역에 고정 설치된 제 2수평편(56)과, 1,2수평편(50)(56)의 삽지공(51)과 끼움공(55)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끼움부재(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수평편(50)은 제 1수평대(21) 상부 중앙 영역에 고정 설치되고, 제 2수평편(56)은 제 2수평대(31)의 전면 중앙 영역에 제 2수평편(56)의 상면과 동일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제 1,2수평대(50)(56)가 상호 밀착된다.
상기 끼움부재(60)는 제 2수평편(56)의 끼움공(55)과 제 1수평편(50)의 삽지공(51)을 통하여 수직으로 삽입되고, 끼움장공(61)이 형성된 제 1부재(62)와, 제 1부재(62)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끼움장공(63)이 형성된 제 2부재(64)와, 제 1부재(62)의 끼움장공(61)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끼움장공(65)이 형성된 제 3부재(66)로 이루어진다.
즉, 끼움부재(60)의 제 1,2,3부재(62)(64)(66)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삽입되는 방향을 상호 다르게 하여 제 1,2수평지지대(20)(3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방수턱 거푸집(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방수턱 거푸집(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나, 제 1,2수평지지대(20)(30)를 분리 및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가 상호 다르게 이루어진 것이다.
즉, 제 1수평지지대(20)의 제 1수평대(21) 일단에는 제 3마감판(70)이 직교되게 고정 설치되고, 제 2수평지지대(30)의 제 2수평대(31) 타단에는 제 4마감판(75)이 직교되게 고정 설치되어 직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수평대(21)의 후면과 제 4마감판(75) 외측면 및 제 2수평대(31)의 전면과 제 3마감판(70)의 외측면에는 제 1,2수평지지대(20)(30)를 분리 및 고정시키는 잠금장치(8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80)는 제 1,2수평대(21)(31)의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고정부재(81)와, 고정부재(8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재(82)와, 제 3,4마감판(70)(75) 외측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걸림부재(82)가 걸리게 되는 걸림고리(8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 1수평대(21) 양단의 제 1마감판(22)에 형성된 끼움홈(23)과 제 2수평대(31) 전면 양단에 고정 설치된 제 2마감판(33)의 삽지홈(32)을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마감판(22)의 끼움홈(23)이 제 2마감판(33)의 삽지홈(32)의 내부에 밀착되게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 2수평대(31) 양단과 제 1수평대(21)의 제 1마감판(22) 내측에 밀착되고, 제 1수평대(21) 상부 중앙 영역의 제 1수평편(50)과 제 2수평대(31)의 전면 중앙 영역의 제 2수평편(56)이 상호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수평편(56)의 끼움공(55)과 제 1수평편(50)의 삽지공(51)을 통하여 제 1부재(62)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끼움장공(63)으로써 제 2부재(64)가 삽입된 상태의 제 1부재(62)가 제 2수평편(56)의 끼움공(55)과 제 1수평편(50)의 삽지공(51)을 통하여 돌출되게 삽입되고, 제 1부재(61)의 끼움장공(62)을 통하여 제 3부재(66)를 삽입시키게 되면,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제 1,2수평지지대(20)(30)와 받침부재(40)가 조립됨으로써 방수턱 거푸집(1)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방수턱 거푸집(1)을 바닥슬라브에 배근이 완료된 상태에서 방수턱이 설치될 위치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받침부재(40)가 철근 상부에 안착되어 받침부재(40)의 높이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제 1,2수평지지대(20)(30)로 이루어진 상부성형틀(10)의 높이로써 방수턱 성형위치가 결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슬라브 거푸집(90)과 방수턱 거푸집(1)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바닥슬라브 거푸집(90)과 방수턱 거푸집(1) 내부, 즉 제 1,2수평지지대(20)(30)와 받침부재(40)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된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바닥슬라브 거푸집(90)을 취출시킨 다음,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 사이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해제시게 된다.
즉, 제 2수평편(56)의 끼움공(55)과 제 1수평편(50)의 삽지공(51)을 통하여 돌출되게 삽입된 제 1부재(62)의 끼움장공(63)으로부터 제 3부재(66)를 취출시킨 다음, 제 2수평편(56)의 끼움공(55)과 제 1수평편(50)의 삽지공(51)으로부터 제 1부재(62)를 취출시키게 되면, 제 1,2수평지지대(20)(30)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수평대(31) 양단의 제 2마감판(33)에 형성된 삽지홈(32)으로부터 제 1수평대(21) 양단의 제 1마감판(22)에 형성된 끼움홈(23)을 상방으로 취출시켜 제 1수평지지대(20)를 제 2수평지지대(3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제 2수평지지대(20)를 상방으로 취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바닥슬라브와 일체로 방수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방수턱 거푸집(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 3 내지 도 5의 방수턱 거푸집(1)과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공정으로 방수턱이 형성되는 것이나, 제 1,2수평지지대(20)(30)를 분리 및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가 상호 다르게 이루어진 것이다.
즉,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고정부재(81)의 걸림부재(82)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제 3,4마감판(70)(75) 외측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 걸림고리(83)에 걸어 제 1,2수평지지대(20)(30)를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 양생시에는 잠금장치(80)를 해제시키게 된다. 즉,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고정부재(81)를 타측으로 회동시킨 다음, 고정부재(81)의 걸림부재(82)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제 3,4마감판(70)(75)의 걸림고리(83)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제 1,2수평지지대(20)(30)를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취출시키게 되면, 방수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방수턱 거푸집(1)의 받침부재(40)는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철근과 접촉면적을 줄여 콘크리 양생후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수턱 거푸집에 의하면, 상부성형틀을 제 1,2수평지지대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즉 상부성형틀을 상호 끼움 타입과 고리타입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하게 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하게 되었으며, 콘트리트 양생후 취출이 용이하여 내부에 형성된 양생물, 즉 방수턱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상부성형틀의 하부에는 배근되는 철근 상부에 안착이 가능하도록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 및 취출이 간편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적정 길이와 두께를 유지하여 형성된 제 1수평대(21)로 이루어진 제 1수평지지대(20);
    상기 제 1수평대(21)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 2수평대(32)로 이루어진 제 2수평지지대(30);
    상기 제 1수평대(21)와 제 2수평대(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2수평지지대(20)(30)의 제 1,2수평대(21)(31) 하부 양측에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어 바닥 슬라브에 배근된 철근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재(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수평대(21)의 양단에 끼움홈(22)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교차되게 각각 고정 설치된 제 1마감판(23)과,
    상기 제 2수평대(31)의 전면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마감판(23)의 끼움홈(22)에 밀착 삽입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된 제 2마감판(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수평지지대(20)의 제 1수평대(21) 일단에 직교되게 고정 설치된 제 3마감판(70)과,
    상기 제 2수평지지대(30)의 제 2수평대(31) 타단에 직교되게 고정 설치된 제 4마감판(75)과,
    상기 제 1수평대(21)의 후면과 상기 제 4마감판(75) 외측면 및 상기 제 2수평대(31)의 전면과 상기 제 3마감판(70)의 외측면에 구비된 잠금장치(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80)은
    상기 제 1,2수평대(21)(31)의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고정부재(81)와,
    상기 고정부재(8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재(82)와,
    상기 제 3,4마감판(70)(75) 외측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재(82)가 걸리게 되는 걸림고리(8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40)는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철근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턱 거푸집.
KR2020010018664U 2001-06-21 2001-06-21 방수턱 거푸집 KR200246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664U KR200246048Y1 (ko) 2001-06-21 2001-06-21 방수턱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664U KR200246048Y1 (ko) 2001-06-21 2001-06-21 방수턱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048Y1 true KR200246048Y1 (ko) 2001-10-31

Family

ID=7306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664U KR200246048Y1 (ko) 2001-06-21 2001-06-21 방수턱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0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68A (ko) * 2001-06-22 2003-01-06 동영금속 주식회사 콘크리트 방수턱용 조립식 거푸집
KR100595929B1 (ko) 2004-03-17 2006-07-03 정옥순 화장실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KR200461500Y1 (ko) * 2010-02-09 2012-07-16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KR102217743B1 (ko) * 2020-08-25 2021-02-22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68A (ko) * 2001-06-22 2003-01-06 동영금속 주식회사 콘크리트 방수턱용 조립식 거푸집
KR100595929B1 (ko) 2004-03-17 2006-07-03 정옥순 화장실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KR200461500Y1 (ko) * 2010-02-09 2012-07-16 박영식 방수턱 거푸집
KR102217743B1 (ko) * 2020-08-25 2021-02-22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048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CN112297196A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标准化模具
JPH0972028A (ja) 型枠パネルの連結具
KR200249988Y1 (ko) 방수턱 거푸집
JPS5926741B2 (ja) 基礎築造装置
KR101282092B1 (ko) 블록 및 그의 성형장치
CN216429040U (zh) 一种空心楼盖内模
CN211541672U (zh) 叠合楼板预制模具
CN217581227U (zh) 一种方便钢筋固定的休息平台浇筑用模具
CN211369514U (zh) 一种装配式施工模板
JP2002070317A (ja) スラブ駄目穴の施工及び養生方法
CN216968144U (zh) 一种具有内嵌式吊环的预制盖板模板
CN213918816U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标准化模具
CN210713778U (zh) 一种可拼接型免拆水泥模板
RU2660689C1 (ru)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KR200337457Y1 (ko) 접힘이 가능한 수평받침대를 구비하는 거푸집 수직지지대
JP2663061B2 (ja) フラワーボックスの製造方法
JPS6195127A (ja) コンクリ−ト型枠工法
JPS5832894Y2 (ja) コンクリ−ト製門柱・塀等の製造型
KR100733715B1 (ko)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200433870Y1 (ko)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JPH0842038A (ja) 上面に凹部を有する床版の構築方法
SK500482020U1 (sk) Stavebná tvárnica, najmä debniaca stavebná tvárnica, spôsob jej výr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