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870Y1 -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70Y1
KR200433870Y1 KR2020060025778U KR20060025778U KR200433870Y1 KR 200433870 Y1 KR200433870 Y1 KR 200433870Y1 KR 2020060025778 U KR2020060025778 U KR 2020060025778U KR 20060025778 U KR20060025778 U KR 20060025778U KR 200433870 Y1 KR200433870 Y1 KR 200433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angle
forming
precast concre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5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28B7/0017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전후 및 좌우측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하부를 수평하게 성형하는 하부 성형틀; 하부 성형틀의 상부면 상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전후 및 좌우측면을 성형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중심부 후방 하부 성형틀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그 상부면에는 내외측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앵글 고정편; 앵글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후방측 하단이 삽입 결합되어지되 선단부를 통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중심부 후단을 지지하여 슬라브 성형용 앵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의 주입시 그 밀림을 방지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 및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하부 성형틀에 고정시켜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고정시키는 지지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프 프리캐스트,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

Description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Forming apparatus for half precast concreat slab}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보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슬라브의 성형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110. 하부 성형틀 120. 슬라브 성형용 앵글
124. 걸림턱 126. 중공
130. 앵글 고정편 132. 고정홈
140.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 142. 버팀쇠
144. 가압 고정쇠 150. 고정너트
152. 결합공 154. 고정볼트
200.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
210. 철근재
본 고안은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빔(Beam) 구조의 건축물이나 교량의 시공시 층간 바닥의 하부를 이루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성형하기 위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산업발전과 도심의 인구집중 및 도심의 확대에 따른 업무의 효율화 및 인구의 과밀화를 해결함은 물론, 도시의 지가 상승에 따른 최대 용적율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가장 알맞은 대안으로 고층의 빌딩과 공동주택이 양적으로 팽창을 거듭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층의 빌딩과 공동주택이 양적으로 팽창을 거듭해 오는 과정에서 건축기술은 대체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기술에서 빔(Beam)을 통해 건축물의 기본 골격을 완성한 후 벽체와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하는 방법의 기술로 발전하여 현대에 이르러서는 빔(Beam)을 이용한 건축기술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건축기술은 구조적으로도 매우 견고하고 안정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건축 공사비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저층이나 고층의 건축물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고층의 빌딩과 공동주택의 시공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방법에는 먼저, 고층의 빌딩과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을 철근 콘크리트 시공법을 통 해 시공하는 경우 적용되었던 시공법으로 거푸집과 동바리를 이용하여 바닥 시공구조에 철근을 배열한 후, 거푸집 상부에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시간의 양생을 통해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방법에는 빔(Beam)을 통해 건축물의 기본 골격을 완성한 후 벽체와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시공법으로 상부에 철근이 입체적으로 배열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시간의 양생을 통해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거푸집과 동바리를 이용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방법과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방법의 경우에는 시공시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기간이 길어 건축물의 전체적인 공기의 지연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특히,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방법은 일정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하기 때문에 양생에 따른 시간이 너무 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시공방법이 하프 프리캐스트(Half Precast) 콘크리트 슬라브(Slab) 공법이다. 즉, 이러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공법은 시공하여야 할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의 절반 정도 두께로 공장에서 성형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빔(Beam)으로 이루어진 건축 물의 기본 골격에 고정한 후,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 상부에 나머지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하는 공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공법은 시공하여야 할 두께의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 중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미리 성형하여 이를 빔(Beam)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기본 골격에 고정한 후,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 상부에 나머지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물의 양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기를 보다 단축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은 시공되는 빔(Beam)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기본 골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종래에는 다양한 크기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성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시공시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 등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전후 및 좌우측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시공시 성형하고자 하 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전후 및 좌우측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성형시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는 빔(Beam) 구조의 건축물이나 교량의 시공시 층간 바닥의 하부를 이루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하부를 수평하게 성형하는 하부 성형틀; 하부 성형틀의 상부면 상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전후 및 좌우측면을 성형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중심부 후방 하부 성형틀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그 상부면에는 내외측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앵글 고정편; 앵글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후방측 하단이 삽입 결합되어지되 선단부를 통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중심부 후단을 지지하여 슬라브 성형용 앵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의 주입시 그 밀림을 방지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 및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하부 성형틀에 고정시켜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고정시키는 지지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는 수평단 후방의 절곡단 하단이 앵글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버팀쇠; 및 버팀쇠의 수평단 일부의 좌우 양측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결합 고정되어지되 수평단과 이루는 각이 90°의 각으로 이루어지도록 결합 고정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외측면과 걸림턱이 이루는 사이에 삽입 위치되는 한편 지지구 고정수단의 고정력에 의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하부 성형틀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서 지지구 고정수단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과 앵글 고정편 사이인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 하부의 하부 성형틀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너트; 고정너트에 대응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의 버팀쇠 수평단 일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및 결합공을 통해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내측면 형태는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전후 및 좌우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은 후방 상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외측면과 걸림턱 사이의 구조가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양단은 45°의 경사각으로 커팅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시 이웃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양단이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보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슬라브의 성형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100)는 건축물이라 교량의 시공시 사용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하부를 수평하게 성형하는 하부 성형틀(110), 하부 성형틀(110)의 상부면 상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전후 및 좌우측면을 성형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중심부 후방 하부 성형틀(110)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는 앵글 고정편(130), 앵글 고정편(130)의 고정홈(132) 상에 후방측 하단이 삽입 결합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중심부 후단을 지지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 및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를 하부 성형틀(110)에 고정시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고정시키는 지지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1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성형틀(110)의 상부측에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한 상태에서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를 앵글 고정편(130) 상에 결합하여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후방을 지지한 후, 지지구 고정수단을 통해 앵글 지지구(140)를 하부 성형틀(110) 상에 고정시켜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고정시킴으로써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성형 준비를 완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고정시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성형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이 이루는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에 입체적으 로 배열된 철근재(210)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물을 주입하여 일정시간 양생을 거치게 되면 성형하고자 하는 크기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이 성형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성형틀(110)을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하부면을 수평하게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이 하부 성형틀(110)은 정확한 두께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을 성형하기 위해 그 수평이 맞추어진 평반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하부 성형틀(110)은 일정두께의 금속재나 석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수평이 정확하게 맞추어진 상태에서 지면(작업장)에 설치된다. 이처럼 하부 성형틀(110)의 수평이 정확하게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이 이루는 직사각형 형태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주입하게 되면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두께가 일정하게 성형된다.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은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은 성형하고자 하는 크기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에 대응하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되 통상 한 조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은 4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은 하부 성형틀(110)의 상부면 상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형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주입하게 되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배열 형태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4개로 구성되어 한 조를 이루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내측면 형태는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전후 및 좌우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내측면은 ">"와 같은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성형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전후 및 좌우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 내측면의 상부 경사면(122)이 하부 경사면(122a)에 비해 보다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면의 형태가 ">"와 같은 홈 형태로 이루어진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외측면에는 걸림턱(12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124)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상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외측면과 걸림턱(124) 사이의 구조가 상향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은 작업시 운반이 용이하도록 보다 가벼운 재질이면서 강도가 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길이방향 내부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26)의 형태 로 형성하여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전체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형틀 공간을 형성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양단은 45°의 경사각으로 커팅되어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시 이웃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양단이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앵글 고정편(130)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를 통해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각각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앵글 고정편(130)은 도 1,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중심부 후방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하부 성형틀(110)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된다. 이때, 앵글 고정편(130)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중심부 후방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하부 성형틀(110)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기도 하지만, 이 중심의 앵글 고정편(130) 좌우 동일 선상에 다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앵글 고정편(130)의 상부면에는 도 1,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132)이 형성되어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크기에 따라 후술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절곡단(142) 하단의 삽입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보다 큰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을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전체가 외측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후술하 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 역시 외측으로 후퇴하여 고정홈(132)에 절곡단(142b) 하단이 삽입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앵글 고정편(1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32)은 내외측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야 한다.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는 전술한 앵글 고정편(130)과의 결합을 통해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지지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의 주입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고정편(130)의 고정홈(132) 상에 후방측 하단이 삽입 결합되어지되 선단부를 통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중심부 후단을 지지하여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의 주입시 그 밀림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는 수평단(142a) 후방의 절곡단(142b) 하단이 앵글 고정편(130)의 고정홈(132) 상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버팀쇠(142) 및 버팀쇠(142)의 수평단(142a) 일부의 좌우 양측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결합 고정되어지되 수평단(142a)과 이루는 각이 90°의 각으로 이루어지도록 결합 고정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외측면과 걸림턱(124)이 이루는 사이에 삽입 위치되는 가압 고정쇠(1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가압 고정쇠(144)는 후술하는 지지구 고정수단의 고정력에 의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하부 성형틀(110)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는 절곡단(142b)의 하단이 앵글 고정편(130)의 고정홈(132)에 삽입 결합되고, 수평단(142a)에 설치된 가압 고정쇠(144)를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외측면과 걸림턱(124)이 이루는 상향이 개방된 삼각형 홈 상에 삽입 결합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콘크리트 타설물의 주입시 그 밀림을 방지하게 된다.
지지구 고정수단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를 하부 성형틀(110)에 고정시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구 고정수단은 도 1,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과 앵글 고정편(130) 사이인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 하부의 하부 성형틀(110)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너트(150), 고정너트(150)에 대응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버팀쇠(142) 수평단(142a) 일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152) 및 결합공(152)을 통해 고정너트(150)에 체결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5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구 고정수단은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절곡단(142b) 하단을 앵글 고정편(130)의 고정홈(132)에 삽입 결합시킨 후, 수평단(142a)에 설치된 가압 고정쇠(144)를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외측면과 걸림턱(124)이 이루는 상향이 개방된 삼각형 홈 상에 삽입 결합시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볼트(154)를 버팀쇠(142) 의 결합공(152)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너트(150)에 고정시킴으로써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를 하부 성형틀(110)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154)를 버팀쇠(142)의 결합공(152)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너트(15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그 체결력이 증대되면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는 하부 성형틀(110)의 방향으로 가압되어지고, 결국 버팀쇠(142)의 수평단(142a)이 각각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상부면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154)의 체결과정에서 가압 고정쇠(144)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외측면과 걸림턱(124)이 이루는 상향이 개방된 삼각형 홈 상에 삽입 결합되어 하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완전한 걸림이 이루어져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주입하더라도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100)를 통해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을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성형틀(110)의 상부측에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한다. 이때,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양단은 45°의 각도로 커팅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양단은 정확하게 일치한다(도 1, 도 2 및 도 7 참조).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직사각형의 형태 로 배열한 후에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절곡단(142b) 하단을 앵글 고정편(130)의 고정홈(132) 상에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각각의 외측면과 걸림턱(124) 사이의 홈 상에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가압 고정쇠(144)를 삽입 결합하여 앵글 고정편(130)과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에 의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직사각형 배열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앵글 고정편(130)과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에 의해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의 직사각형 배열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에는 고정볼트(154)를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한 구성인 버팀쇠(142)의 수평단(142a) 상에 형성된 결합공(152)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너트(150)에 체결하여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가 하부 성형틀(110) 상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고정볼트(154)의 체결과정에서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가 하부 성형틀(110) 상에 완전히 고정되면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역시 고정볼트(154)의 체결력과 이에 따른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가압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154)의 체결력과 이에 따른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140)의 가압을 통해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4개의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을 고정시켜 성형 준비를 완료한 후에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내부에 입체적으로 배열된 철근재(210)를 삽입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물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된 슬라브 성형용 앵글(120) 내부에 주입 하여 일정시간 양생을 거치게 되면 성형하고자 하는 크기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이 성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100)는 성형하고자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200)의 크기에 따른 성형시 그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의 성형시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성형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성형하고자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성형시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Claims (7)

  1. 빔(Beam) 구조의 건축물이나 교량의 시공시 층간 바닥의 하부를 이루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을 성형하기 위해 구성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성형되는 상기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하부를 수평하게 성형하는 하부 성형틀;
    상기 하부 성형틀의 상부면 상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성형되는 상기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전후 및 좌우측면을 성형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중심부 후방인 성형틀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그 상부면에는 내외측 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앵글 고정편;
    상기 앵글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후방측 하단이 삽입 결합되어지되 선단부를 통해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중심부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물의 주입시 그 밀림을 방지하는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 및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상기 하부 성형틀에 고정시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고정시키는 지지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는 수평단 후방의 절곡단 하단이 상기 앵글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버팀쇠; 및
    상기 버팀쇠의 수평단 일부의 좌우 양측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수평단과 이루는 각이 90°의 각으로 이루어지도록 결합 고정되어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외측면과 걸림턱이 이루는 사이에 삽입 위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구 고정수단의 고정력에 의해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상기 하부 성형틀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 고정수단은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과 앵글 고정편 사이인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 하부의 하부 성형틀 상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의 버팀쇠 수평단 일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지지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내측면 형태는 성형되는 상기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의 전후 및 좌우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은 후방 상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외측면과 걸림턱 사이의 구조가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 각각의 양단은 45°의 경사각으로 커팅되어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을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시 이웃하는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양단이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성형용 앵글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2020060025778U 2006-09-25 2006-09-25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200433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78U KR200433870Y1 (ko) 2006-09-25 2006-09-25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78U KR200433870Y1 (ko) 2006-09-25 2006-09-25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845A Division KR100733715B1 (ko) 2006-09-25 2006-09-25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70Y1 true KR200433870Y1 (ko) 2006-12-13

Family

ID=4178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778U KR200433870Y1 (ko) 2006-09-25 2006-09-25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7166B2 (en)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WO2011127522A1 (en) A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el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NZ527835A (en)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US20090121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101798138B1 (ko) 멀티 프리캐스트 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WO2005124043A1 (en)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KR101748781B1 (ko) 프리캐스트 벽체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0761964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KR200433870Y1 (ko)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100733715B1 (ko)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용 성형장치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20160132348A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AU2005287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CN219931212U (zh) 一种组合房屋
JPH0754361A (ja) 法面や建物等の壁面構築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組立鉄筋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KR100371747B1 (ko) 건물 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110002820U (ko) 파이프 고정구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860001189B1 (ko) 치장용 콘크리트제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JP4319775B2 (ja) 耐震補強壁とその製造方法
KR2003628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
JPH0235951Y2 (ko)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