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743B1 -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743B1
KR102217743B1 KR1020200107002A KR20200107002A KR102217743B1 KR 102217743 B1 KR102217743 B1 KR 102217743B1 KR 1020200107002 A KR1020200107002 A KR 1020200107002A KR 20200107002 A KR20200107002 A KR 20200107002A KR 102217743 B1 KR102217743 B1 KR 10221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nnection
fixing part
fix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0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은 방수턱이 시공될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 배치 단계;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방수턱을 철근 상에 고정하는 방수턱 배치 단계; 및 철근이 배근된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턱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모듈이 삽입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이동공간 상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연결연계부, 상기 철근에 고정되도록 상기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철근연결부 및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연계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관통되되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통과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철근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3 고정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제1 철근연결부 및 상기 제1 철근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철근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방수턱으로 향하는 일단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수턱은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이동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철근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를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철근이 상기 철근연결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동공간 상의 상기 연결연계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공간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의 위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박히도록 하며, 상기 방수턱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WATER BLOCK WALL}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성이 향상된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턱은 10 ~ 20㎝ 정도의 높이로 설치하는 방수를 위한 턱을 말한다.
방수턱은 바닥의 물이 그 바깥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닥으로 구획된 끝부분에 수직으로 설치하며, 바닥에 고이는 물의 정도와 바닥마감재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턱은 방수 처리되지 않은 공간으로 누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슬래브와 일체로 시공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거실과 욕실 또는 발코니 사이, 지하 주차장의 이중벽 등에 시공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수턱은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방수턱 거푸집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거나, 또는 슬래브 시공을 완료한 후에 수평 측량하여 방수턱 철근을 배근하고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한 후, 방수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예를 들면, 발코니의 경우, 발코니 끝 외부에 면한 곳에 설치하는 방수턱은 바닥방수층, 타일초벌 모르타르 및 타일붙임 등의 두께 5cm를 고려하여 마감층에서 10㎝ 이상 남을 수 있는 높이인 15㎝ 정도 높이로 시공하며, 그 상단에는 발코니 바닥 마감층으로부터 높이 120㎝ 정도의 핸드레일을 설치한다.
이때, 거실 등 내부에 면한 곳은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발코니 바닥에서 15㎝ 정도를 12㎜ 정도 안으로 들어가게 시공하여 방수턱을 형성하며, 이후 바닥 방수와 동시에 미장을 실시한다. 또한, 실내, 화장실 욕실의 경우 벽체하부에 콘크리트 방수벽을 설치하고 상부에 시멘트, 벽돌, 또는 건식벽체를 설치하고 마감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수턱은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양생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지연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4770호(2018.02.27. 등록)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철근을 기준으로 몸체부(110)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홈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문제가 있어, 시공과정에서 별도로 몸체부(110)를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고정력이 증가되는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은 방수턱이 시공될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 배치 단계;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방수턱을 철근 상에 고정하는 방수턱 배치 단계; 및 철근이 배근된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턱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모듈이 삽입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이동공간 상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연결연계부, 상기 철근에 고정되도록 상기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철근연결부 및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연계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관통되되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통과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철근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3 고정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제1 철근연결부 및 상기 제1 철근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철근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방수턱으로 향하는 일단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수턱은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이동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철근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를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철근이 상기 철근연결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동공간 상의 상기 연결연계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공간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의 위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박히도록 하며, 상기 방수턱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고정력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 및 연결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연결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이 철근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개략 저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은 방수턱이 시공될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 배치 단계;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방수턱을 철근 상에 고정하는 방수턱 배치 단계; 및 철근이 배근된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턱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모듈이 삽입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이동공간 상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연결연계부, 상기 철근에 고정되도록 상기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철근연결부 및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연계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관통되되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통과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철근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3 고정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제1 철근연결부 및 상기 제1 철근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철근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방수턱으로 향하는 일단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수턱은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이동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철근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를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철근이 상기 철근연결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동공간 상의 상기 연결연계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공간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의 위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박히도록 하며, 상기 방수턱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 및 연결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연결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의 방수턱이 철근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개략 저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방수턱(100) 시공방법은 공동주택의 바닥면의 방수를 구현하기 위해 바닥면 상에 턱을 시공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동주택 방수턱(100) 시공방법은 방수턱(100)이 시공될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철근(P)을 배치하는 철근 배치 단계, 연결모듈(200)을 이용하여 방수턱(100)을 철근(P) 상에 고정하는 방수턱 배치 단계 및 철근(P)이 배근된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철근 배치 단계는 공동주택의 바닥(슬래브)의 철근(P)을 배근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배근된 철근(P) 상에 상기 연결모듈(200)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턱(100)을 고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수턱(1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공장에서 이미 만들어져 시공 현장에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철근(P)이 배근된 바닥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슬래브)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방수턱(100)이 일체화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는 상기 방수턱(100) 보다 낮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방수턱(100) 및 상기 연결모듈(2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방수턱(100)은 상기 연결모듈(200)이 삽입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이동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공간(S1)은 대략적으로 T 자형일 수 있으며, 상기 방수턱(100)의 하측 부분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공간(S1)은 상기 방수턱(100)의 양 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각각 소정 거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이동공간(S1) 상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연결연계부(210), 상기 철근(P)에 고정되도록 상기 철근(P)을 수용하는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철근연결부(220) 및 상기 연결연계부(210)와 상기 철근연결부(220)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연계부(210)는 상기 이동공간(S1)과 대응되는 형상인 T 자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공간(S1)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연계부(210)는 상기 고정부(230)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H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관통홀(H1)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210)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23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231)는 전체적으로 나사산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231)는 상기 방수턱(100)으로 향하는 일단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231)의 타단은 일자 또는 십자 드라이버가 체결될 수 있는 일자 또는 십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방수턱(100)은 상기 이동공간(S1)을 형성하는 몸체부(110) 및 상기 제1 고정부(231)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이동공간(S1)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철근연결부(220)는 상기 제1 고정부(231)가 관통되되 상기 제1 고정부(23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231)의 외경보다 큰 통과홀(H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철근연결부(220)는 상기 제1 고정부(231)와 나사 결합되는 것이 아닌, 상기 제1 고정부(2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통과홀(H2)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부(231)를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시공자는 철근(P)의 배근 방향에 따라 상기 철근연결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제1 고정부(231)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연계부(210)와 상기 철근연결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233) 및 상기 제1 고정부(231)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2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233) 및 상기 제3 고정부(233)는 상기 철근연결부(220)가 상기 방수턱(100)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부(233)와 상기 제3 고정부(233)는 상기 철근연결부(2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철근연결부(220)가 상기 방수턱(100)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고정부(233) 및 상기 제3 고정부(233)는 전체적으로 너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철근연결부(220)는 상기 제3 고정부(233)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3)을 형성하는 제1 철근연결부(221) 및 상기 제1 철근연결부(22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제2 철근연결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철근연결부(221)는 상기 통과홀(H2)을 형성하되 상기 제3 고정부(233)가 배치되는 상기 배치공간(S3)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S2) 상에 수용되는 철근(P)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철근연결부(223)는 상기 제1 철근연결부(22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연결모듈(200)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턱(100)을 철근(P)에 배치하는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철근(P)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220)를 상기 제1 고정부(231)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철근연결부(220)는 상기 제1 고정부(2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통과홀(H2)을 가진다는 점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231)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철근(P)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철근(P)이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상기 수용공간(S2)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동공간(S1) 상의 상기 연결연계부(2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시공자는 철근(P)이 상기 수용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공간(S1) 상에 배치된 상기 연결연계부(2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연계부(210)가 상기 이동공간(S1) 상에서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상기 제1 고정부(231)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231)의 상기 일단이 상기 돌출부(120)에 박히도록 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상기 연결연계부(210)와 나사 결합된 상기 제1 고정부(231)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231)의 상협하광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120)에 박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연결연계부(210)는 상기 이동공간(S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31)가 상기 돌출부(120)에 박힘에 따라, 상기 방수턱(100)은 단면 손실을 최소화 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상기 방수턱(100)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233)와 상기 제3 고정부(233)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시공자는 철근(P)을 기준으로 방수턱(10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231)에 나사 결합된 상기 제2 고정부(233)와 상기 제3 고정부(233)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231) 상의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후, 시공자는 상기 철근연결부(220)의 상기 수용공간(S2) 상에 철근(P)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7은 철근(P) 상에 배치된 상기 방수턱(100)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상기 방수턱(100)은 상기 연결모듈(200)에 의해 상기 철근(P)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높이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방수턱
200: 연결모듈
P: 철근

Claims (1)

  1.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수턱이 시공될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 배치 단계;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방수턱을 철근 상에 고정하는 방수턱 배치 단계; 및
    철근이 배근된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턱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모듈이 삽입되어 위치 이동되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이동공간 상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연결연계부,
    상기 철근에 고정되도록 상기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철근연결부 및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간의 연결을 구현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연계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와의 나사 결합을 구현하도록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관통되되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의 외경보다 큰 통과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연계부와 상기 철근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철근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철근연결부는,
    상기 제3 고정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제1 철근연결부 및 상기 제1 철근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철근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방수턱으로 향하는 일단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수턱은,
    상기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이동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턱 배치 단계는,
    철근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를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철근이 상기 철근연결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동공간 상의 상기 연결연계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공간 상에서 상기 연결연계부의 위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박히도록 하며,
    상기 방수턱을 기준으로 상기 철근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KR1020200107002A 2020-08-25 2020-08-25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KR10221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02A KR102217743B1 (ko) 2020-08-25 2020-08-25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02A KR102217743B1 (ko) 2020-08-25 2020-08-25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743B1 true KR102217743B1 (ko) 2021-02-22

Family

ID=7468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02A KR102217743B1 (ko) 2020-08-25 2020-08-25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7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48Y1 (ko) * 2001-06-21 2001-10-31 박헌종 방수턱 거푸집
KR200249988Y1 (ko) * 2001-07-26 2001-11-22 김종규 방수턱 거푸집
JP2004358228A (ja) * 2003-05-15 2004-12-24 Agk Ltd 物品吊り下げシステム、スライド式ワイヤー留め具、脱着自在ワイヤー留め具、ワイヤーフック及びワイヤーグリッパー
KR101834770B1 (ko) * 2017-05-11 2018-04-16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48Y1 (ko) * 2001-06-21 2001-10-31 박헌종 방수턱 거푸집
KR200249988Y1 (ko) * 2001-07-26 2001-11-22 김종규 방수턱 거푸집
JP2004358228A (ja) * 2003-05-15 2004-12-24 Agk Ltd 物品吊り下げシステム、スライド式ワイヤー留め具、脱着自在ワイヤー留め具、ワイヤーフック及びワイヤーグリッパー
KR101834770B1 (ko) * 2017-05-11 2018-04-16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960A (ko)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2217743B1 (ko)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CN208396083U (zh) 一种新型预制外挂墙板系统
KR10183477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공동주택 방수턱 시공방법
CN109779322A (zh) 一种内壁预留管线槽孔的同层排水精装整体卫生间
CN206681418U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CN109797988A (zh) 一种外壁预留管线槽孔的同层排水精装分块预制卫生间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2264711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CN109779317A (zh) 电管嵌入式、墙壁设置水管沟槽的毛坯整体卫生间
CN109779312A (zh) 电管分离式、墙壁设置水管沟槽与孔洞的毛坯整体卫生间
CN109779319A (zh) 一种外壁预留管线槽孔的同层排水毛坯分块预制卫生间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KR102271152B1 (ko) 공장제작 일체형 화장실 모듈 제작 방법
KR20130022698A (ko) 배관 매설 슬래브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9779310A (zh) 一种外壁预留管线槽孔的同层排水毛坯整体卫生间
KR102387380B1 (ko)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102360835B1 (ko) 지하외벽용 프리캐스트 더블월 및 이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시공방법
CN215443303U (zh) 装配式无障碍电梯出入口结构以及地铁出入口
KR10044934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시공방법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377134B1 (ko) 초고층 아파트의 복도와 발코니의 하프 슬래브 시공방법
KR100910362B1 (ko) Pc판넬을 이용한 공간쌓기 공법
JP2001032293A (ja) 住宅用建築物の基礎床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及び捨て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