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49U -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49U
KR20210000749U KR2020190003936U KR20190003936U KR20210000749U KR 20210000749 U KR20210000749 U KR 20210000749U KR 2020190003936 U KR2020190003936 U KR 2020190003936U KR 20190003936 U KR20190003936 U KR 20190003936U KR 20210000749 U KR20210000749 U KR 202100007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height
bar
vertica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김춘성
Original Assignee
김형철
김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김춘성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2020190003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749U/ko
Publication of KR20210000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가 용융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 상기 바닥판고정부재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봉이 형성된 수직높이조절부재;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에 결합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캡부재;를 마련하여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레벨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콘크리트를 터설하고자 하는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물의 기본이 되는 옹벽 콘크리트를 구축하고, 구축된 옹벽 콘크리트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철근을 소정 형태로 배근하고 레미콘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구축하게 된다.
이때,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 면이 전 부위에서 평탄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 슬래브가 평탄하지 못하면 완공된 건축물이 기울어지게 되어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의 평탄도 확보는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이와 같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 시 그 평탄도를 형성하기 위해 방법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전체적인 수평정도와 두께를 맞추거나, 표시눈금이 새겨진 막대 등의 높이표시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지하는 방법은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고, 단순한 막대 등의 높이표시구는 설치도 불편하지만 레미콘의 주입압력으로 인해 쓰러지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빈발하여 원활한 시공이 어려웠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용 레벨봉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용 레벨봉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70)을 안착시키는 철근고임턱(11)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고임턱(11)의 타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끼움부(12)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의 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20)를 구비한다.
상기 높이조절구(20)의 하측에 위치되어 높이조절구(20)의 높이조절 및 셋팅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직립되게 위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의 접촉 시에도 원위치로 복원 가능한 탄성부재(40)와, 이 탄성부재(4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캡연결나사(42)에 나사 결합되며, 몸체 상부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51)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51)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구비되는 캡부재(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높이조절구(2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필요한 높이를 일정하게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캡부재(50)를 이용하여 미세조절을 하는 것으로, 필요한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이조절구(20)의 하부에 결합된 위치제어구(30)를 회동시켜 조절한 후 미세한 높이를 캡부재(50)를 회동시켜 조절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마감점(52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캡부재(50)의 상부를 부러뜨려 제거하여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캡부재(50)의 상부를 제거한 다음에도 마감점(52)의 상측면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면으로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이물질로 작용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캡부재(50)의 상부만을 부러뜨려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간이 증대되어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늘어나므로,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는 철근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구비되고, 바닥면에 직립되도록 다수개의 직립부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이동공간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도록 받침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과 대향된 위치에 수평한 높이로 관통형성되는 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가 구비되는 하부브라켓과, 이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에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상부브라켓이 포함되는 길이조절봉과,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기어봉(420):과, 상기 기어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고정홈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기어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렉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봉이 승하강되도록 외주면에 톱니기어가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는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는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부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제1 결합홈에 하단부가 끼움 결합됨과 아울러 상단부에는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된 상호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지지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축의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설정부재 및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지지축에 구비되는 제2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상단에서 형성된 환 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둘레에서 외측 상부로 펼쳐지게 형성된 레벨 표시편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벨 표시편들의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재와 높이설정부재 및 베이스부재의 끼움 결합 부위인 상기 제1, 제2 결합홈과 결합돌부 및 끼움돌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의 외주면에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서 돌출 혹은 요입되게 형성된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제2 결합홈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의 단면으로 요입 혹은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고정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구가 돌출되게 형성되면 상기 제2 고정구는 요입되게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고정구가 요입되게 형성되면 상기 제2 고정구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제1, 제2 결합홈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제2 고정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제2 고정구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부 및 그 돌부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홈부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807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004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728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직높이조절부재에 결합된 높이조절스프링부재를 타설하고자 하는 높이로 조절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10); 상기 부착부재(10)가 용융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10)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봉(32)가 형성된 수직높이조절부재(30);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에 결합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캡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현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봉(31);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봉(32);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요입부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봉(32)의 끝단에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안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봉(32)의 선단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원활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31);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안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수평봉(33); 상기 수직봉(3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수직봉(34); 상기 상부수직봉(34)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평봉(33)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봉(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봉(33) 및 상기 제2 수평봉(35)의 선단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원활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는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요입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스프링삽입홈부(51);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상면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외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2);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 및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52)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레벨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콘크리트를 터설하고자 하는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의하면, 높이조절스프링부재의 회전에 의해 레벨봉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도시한 작동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10)와, 상기 부착부재(10)가 용융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10)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와,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봉(32)가 형성된 수직높이조절부재(30)와,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에 결합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와,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캡부재(50)를 포함한다.
<제1 실시 예>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르트 타설용 레벨봉은 바닥면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착부재(10)와,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와,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높이조절부재(30)와,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캡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재(10)는 바닥판고정부재(20)의 저면에 소정의 두께로 부착되는 것으로, 열을 가해주게 되면 용융되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를 바닥면에 가압하게 되면, 용융된 합성수지가 바닥면에 고착된다. 이에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가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현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부착부재(10)에 의해 바닥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판고정부재(20)는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직높이조절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봉(31)와,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봉(32);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요입부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봉(32)의 끝단에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안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봉(31)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31)은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봉(31)은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에 결합되는 수평봉(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봉(31)과 수평봉(32)은 전체적인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봉(32)은 비교적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스프링 나선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즉, 스프링 나선의 피치는 스프링이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봉(32)을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상부에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캡부재(50)가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는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요입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스프링삽입홈부(51)와,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상면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외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2)와,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 및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52)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53)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를 회전시키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에 결합되는 스프링삽입홈부(51)와,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수평부(52)와, 상기 수평부(5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파지부(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에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상면에 끼워져 결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에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상면에는 스프링삽입홈부(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링삽입홈부(52)는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작업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52)의 상면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파지부(53)가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53)는 작업자가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 바닥판고정부재(20)에 부착부재(10)를 부착한다.
이러한 부착부재(10)는 열을 가해줌에 따라 용융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높이조절부재(30)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봉(31)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봉(32)은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내면에 결합된다.
또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상부에는 높이조절캡부재(50)가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의 스프링삽입홈부(51)에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는 높이조절캡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수직높이조절부재(30)의 수평봉(32)을 따라 회전되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레벨봉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해 용융시키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부착부재(10)가 용융된 상태에서 바닥판고정부재(20)를 바닥면에 가압하게 된다. 이에 용융된 부착부재(10)가 바닥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가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고정부재(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높이조절캡부재(50)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를 회전시켜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는 높이조절캡부재(5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수평봉(32)의 하부로 하강하게 되거나 수평봉(32)의 상브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다수의 레벨봉을 바닥면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벨봉의 높이 조절은 바닥판고정부재(20)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전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높이조절캡부재(50)를 회전시켜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를 회전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는 수평봉(32)의 상부 또는 하부로 승강되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부착부재(10), 바닥판고정부재(20), 수직높이조절부재(30),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 및 높이조절캡부재(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수직높이조절부재(30)의 수평봉(32)의 선단을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수평봉(32)의 선단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원활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수평봉(32)의 선단을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회전에 따라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승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보다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승강에 따른 높이 조절이 보다 원활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수직높이조절부재(30)의 상부에 제1 수평봉(33) 및 제2 수평봉(35)을 형성하여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31)와,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안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수평봉(33)와, 상기 수직봉(3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수직봉(34)와, 상기 상부수직봉(34)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평봉(33)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봉(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봉(33) 및 상기 제2 수평봉(35)의 선단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원활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봉(31)의 상부에는 제1 수평봉(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봉(33)의 상부로 상부수직봉(3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직봉(34)의 상단에 제2 수평봉(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수평봉(33)과 제2 수평봉(35)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1 수평봉(33)과 제2 수평봉(35)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수평봉(33)과 제2 수평봉(35)의 선단은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에 보다 긴밀하게 결합되어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부착부재
20: 바닥판고정부재
30: 수직높이조절부재 31: 수직봉
32: 수평봉 33: 제1 수평봉
34: 상부수직봉 35: 제2 수평봉
40: 높이조절스프링부재
50: 높이조절캡부재 51: 스프링삽입홍부
52: 수평부 53: 파지부

Claims (5)

  1.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10);
    상기 부착부재(10)가 용융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10)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봉(32)가 형성된 수직높이조절부재(30);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에 결합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캡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현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봉(31);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봉(32);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요입부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봉(32)의 끝단에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안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봉(32)의 선단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원활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높이조절부재(3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31);
    상기 수직봉(31)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안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수평봉(33);
    상기 수직봉(3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수직봉(34);
    상기 상부수직봉(34)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평봉(33)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봉(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봉(33) 및 상기 제2 수평봉(35)의 선단은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원활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는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가 요입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스프링삽입홈부(51);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상면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삽입홈부(51)의 외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2);
    상기 높이조절캡부재(50) 및 상기 높이조절스프링부재(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52)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0190003936U 2019-09-26 2019-09-26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100007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36U KR20210000749U (ko) 2019-09-26 2019-09-26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36U KR20210000749U (ko) 2019-09-26 2019-09-26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49U true KR20210000749U (ko) 2021-04-05

Family

ID=7546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936U KR20210000749U (ko) 2019-09-26 2019-09-26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7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8752A (zh) * 2023-03-10 2023-08-18 中铁建设建筑发展(海南)有限公司 一种装配式预制板的模具浇筑厚度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88A (ko) 2009-04-24 2010-11-03 박창규 콘크리트 타설 레벨러
KR20120108077A (ko) 2011-03-23 2012-10-05 박시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200480048Y1 (ko) 2015-07-14 2016-04-07 (주)한송씨엔씨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88A (ko) 2009-04-24 2010-11-03 박창규 콘크리트 타설 레벨러
KR20120108077A (ko) 2011-03-23 2012-10-05 박시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200480048Y1 (ko) 2015-07-14 2016-04-07 (주)한송씨엔씨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8752A (zh) * 2023-03-10 2023-08-18 中铁建设建筑发展(海南)有限公司 一种装配式预制板的模具浇筑厚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115B2 (en) Level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CN111456330B (zh) 一种用于预埋钢筋的定位模具
US3489383A (en) Swivel support for a mannequin head
WO2004111350A1 (ja) スイング式アンカーボルトによる基礎へのアンカーボルトの精密位置決め法
KR20210001188U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10000749U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190001615U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KR102289730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TWI281963B (en) Device for forming pre-formed opening in concrete floor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48246Y1 (ko) 콘크리트용 레벨봉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100221038B1 (ko)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KR20180116058A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CN208885020U (zh) 一种现浇板混凝土厚度控制工具
KR102133723B1 (ko)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JPH07158277A (ja) コンクリート天端のレベル出し具
JP5687406B2 (ja) 天端出し治具
KR20210000937U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190000714A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KR200397231Y1 (ko) 건물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조절 장치
JP5534593B2 (ja) 鏝およびこの鏝を用いる法面補強工法ならびに法面補強構造
CN210395420U (zh) 塔吊锚固预埋安装辅助装置
AU2011100110A4 (en) Multi-height chair system
JP2002061391A (ja)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KR20190000694U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